[[분류:오릭스속]] [include(틀:멸종 위기 동물)] ||<-2> '''{{{#white {{{+1 긴칼뿔오릭스(흰오릭스)}}}[br]Scimitar-horned oryx}}}'''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cimitar-horned oryx.jpg|width=100%]]}}} || || [[학명|{{{#000 '''학명'''}}}]] || ''' ''Oryx dammah'' '''[br]Cretzschmar, 1827 || ||<-2>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문(Chordat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포유강(Mammalia) ||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경우제목(Cetartiodactyla)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소과(Bovidae) ||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오릭스속(Oryx) || ||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긴칼뿔오릭스'''(O. dammah)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언어별 명칭】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한국어]]''' || 긴칼뿔오릭스, 흰오릭스 || || '''[[영어]]''' || Scimitar-horned oryx || || '''[[아랍어]]''' || مها أبو حراب || || '''[[중국어]]''' || 彎角劍羚 || || '''[[일본어]]''' || シロオリックス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280px-Scimitar_Oryx_Nov09_Werribee.jpg|width=100%]]}}} || [목차] [clearfix] == 설명 == 북아프리카 [[사하라]] 전체에서 서식했다. 2001년부터 2004년까지 개체 수에 대한 조사에 나섰으나 야생개체를 확인하지 못해 오늘날에는 국제자연보호연맹에 의해 야생멸종으로 분류되었고, 과거 동물원에서 사육되다 [[세네갈]]과 [[모로코]], [[튀니지]] 같은 아프리카 국가들의 국립공원 등지에 방사된 개체들만이 남아 있다. 몸길이가 1.8m정도이고 뿔은 102~127cm로 활같이 휘어 져 있다 목과 엉덩이는 회갈색이며 사지와 배 위는 희다. 아침, 저녁으로 활동이 활발하며 어두울 때도 활동한다. 사막에 적응한 특성상 몇 주~몇 달간 물을 마시지 않아도 견딜 수 있는데, 수분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체온을 '''46.5°C'''까지 올리면서도 뇌를 과열시키지 않을 수 있다.[* 특유의 비강이 심장에서 뇌로 가는 혈액에서 열을 방출해 혈액의 온도를 떨어트린다.] == 기타 == 우리나라에서는 [[서울동물원]]의 제2아프리카관에서 사육 중이며, 흰오릭스라고 한다. 과거엔 [[에버랜드 주토피아]]나 [[오월드]]에도 있었으나 에버랜드의 개체들의 행방은 확실하지 않으며 오월드의 개체들은 서울동물원으로 반환되었다. 미국에서는 대규모 목장에서 사냥용으로 키우고 있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긴칼뿔오릭스,version=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