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1 긴수염버섯파리}}}(톱밥파리)[br]Lycoriella mali}}}'''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Lycoriella mali.jpg]]}}} || || [[학명|{{{#000 '''학명'''}}}]] || ''' ''Lycoriella mali'' '''[br]Fitch, 1856 || ||<-2> {{{#000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절지동물문]](Arthropod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곤충강(Insecta) ||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파리목(Diptera)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검정날개버섯파리과(Sciaridae) ||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Lycoriella'' || ||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긴수염버섯파리(''L. mali'')''' || ''Lycoriella mali'' [[파리목]] 검정날개버섯파리과의 [[곤충]]. '톱밥파리'는 별칭으로 정식 이름은 '''긴수염버섯파리'''이다. 이름처럼 [[느타리]]나 [[표고버섯]]을 기르는 농장에서 많이 발생한다. 이름에 파리가 들어가는 것과는 다르게, [[모기]]와 가까운 곤충이다. 실제로 위의 사진처럼 모습도 모기와 많이 닮았다.[* 다만 분류학적으로 모기와 파리는 같은 파리목에 속하기 때문에 파리목의 곤충으로 볼 수 있다.] [[사슴벌레]]나 [[장수풍뎅이]]를 기를 때 [[톱밥]]을 쓰게 되는데 이 때문에 곤충을 사육하는 가정에서는 톱밥파리와의 전쟁 치르는 걸 흔히 목격할 수 있다. 사슴벌레,장수풍뎅이 집에 톱밥파리가 알을 까게 되면 애벌레가 선충에 감염되어 죽는다. 이렇게 죽은 톱밥파리 애벌레는 [[굼벵이]]에게 선충을 감염시킨다. 몇마리만 들어와도 순식간에 번식한다. 별로 없었는데 나중에 통을 열어보면 엄청나게 증식한 톱밥파리들을 볼 수 있다.--사슴벌레를 키우고 있는건지 톱밥파리를 키우고 있는건지-- 수가 많아지면 얼굴로 날아오는건 기본이고 밥먹을 때 국으로 뛰어들기도 한다! 버섯농장의 [[버섯]] 재배에서는 영양이 풍부한 배지, 톱밥파리가 서식하기에 좋은 온도와 습도 그리고 개방화된 농장 구도 등의 환경조성과 버섯재배의 특성상 [[농약]]을 치기 어렵기 때문에[* 균상에 배지와 함께 섞어넣는 형태의 저독성 농약이 있지만 효과는 그리 크지 않고 그거 쓰면 무농약 농산물 같은 친환경 인증은 당연히 못받는다. 그나마도 배지를 쓰는 균상식에서나 쓸 수 있고 발이 이후 생기는 피해를 막기는 불가능한 것은 덤. 그 때문에 사실 잘 안쓰인다.] 톱밥파리가 발생하면 피해가 많다. 그런 이유로 버섯농장은 외부인의 출입을 자제하고 있으며, 부득이하게 출입할 때도 반도체 공장과 비슷한 에어워시를 거친 다음 출입한다. 버섯농장이 아닌 일반농장에서는 대개 [[바킬루스 투링기엔시스|Bt]]를 이용해 박멸한다. 톱밥파리는 성충이 균사의 냄새에 유인되어 농장으로 침입하여 알을 까고, 부화된 유충이 균사 및 자실체, 배지를 [[식해]]해 버섯 수량감소, 품질저하를 가져온다. 성충은 또 버섯병원균과 응애, 선충류의 매개충으로 2차 피해도 준다. 톱밥파리를 막기 위해서는 위생적인 관리와 청소가 제일 중요하다. 첫째도 둘째도 예방! 또 장수풍뎅이,사슴벌레 집에 꼬이는 파리로는 톱밥파리 말고 [[초파리]]도 있다. [[분류:긴수염버섯파리속]][[분류:해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