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국회 상임위)] ||<-4> [br][[파일:기획재정위원회 로고.svg|width=60%]][br][br] || ||<-4><:>'''[[대한민국 국회|{{{+1 {{{#FFF 대한민국 국회 기획재정위원회}}}}}}]]'''[br]{{{#FFF 企劃財政委員會 | Strategy and Finance Committee}}}|| || '''약칭''' ||<-3>기재위|| || '''위원장''' ||<-3>[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김상훈(정치인)|김상훈]] ,,(3선, [[서구(대구 선거구)|{{{#000,#fff 대구 서구}}}]]),, || ||<|2> '''간사''' ||<-3>[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유동수]] ,,(재선, [[계양구 갑|{{{#000,#fff 인천 계양구 갑}}}]]),,|| ||<-3>[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류성걸]] ,,(재선, [[동구 갑|{{{#000,#fff 대구 동구 갑}}}]]),,|| ||<|4> '''구성''' ||<-3>위원 26인/26인, 3개 소위원회|| ||<|2> 교섭단체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15인 || || [include(틀:국민의힘)] || 10인 || || 비교섭단체 || [include(틀:정의당)] || 1인 || || '''공식 사이트''' ||<-3>[[http://finance.na.go.kr/| [[파일:국회휘장.svg|width=20]] {{{#373a3c,#dddddd 기획재정위원회}}}]]||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 국회]]의 [[상임위원회]]. 약칭은 '''기재위'''이다. == 상세 == 기획재정위원회는 [[국회법]] 제37조에 의해 설치된 국회의 16개 [[상임위원회]] 중 하나로 26인의 의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재정·경제 정책에 관한 국회의 의사 결정 기능을 실질적으로 수행하는 국회의 내부 기관이다. [[기획재정부]], [[한국은행]] 소관에 속하는 사항을 담당한다([[국회법]] 제37조 제1항 제4호). 보통 경제관료나 상경계 [[교수]] 출신 등 각 당의 대표 [[경제통]]들이 활동해 왔다. 특히 타 상임위에 비해 전문성이 상당히 중요한 상임위이기 때문에 시장경제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지면 기재위에서 업무를 원활히 수행하기 힘들다. 다만 경제통이라고 해서 무조건 기재위로 가지는 않고, [[공정거래위원회]]와 [[금융위원회]]를 담당하는 [[정무위원회]]로 가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박덕흠]] 국회의원[* 여기는 기업인 출신이다.], [[조경태]] 국회의원, [[유의동]] 국회의원의 사례와 같이 경제 관료[* [[기획재정부]] [[차관]], 기획재정부 소속 관료.], 상경계 교수 출신의 각 당의 대표 경제통까지는 아닌데 진출한 예외적인 사례들도 있을 수 있다. 현재 기재위 [[윤후덕]] 위원장[* 직전 회기인 20대 후반기에도 기재위에 보임되었다.] 및 민주당 [[고용진]] 간사[* 기재위에 처음 보임된 사람.] 모두 경제 관료 출신도, 기업인 출신도 아닌 예외적인 케이스. 심지어 윤후덕 위원장은 경제학을 석사 과정에서라도 배웠지만, 고용진 간사는 학부부터 대학원까지 [[언론정보학]] 전공이다. 반대로 20대 후반기 민주당 간사였던 [[김정우(1968)|김정우]] 의원은 기재부 과장급 겸 대학 교수 출신으로, 당 내 대표 예산통 중 하나였다. 21대 전반기 [[미래통합당]] 간사 [[류성걸]] 의원은 기재부 차관 출신. [[제21대 국회]] 전반기 기획재정위원장은 [[더불어민주당]] [[윤후덕]](경기 [[파주 갑]])이다. 20대 국회 후반기 이전까지 역대 위원장은 [[대한민국의 보수정당|보수정당]] 출신이 전부 맡았다. [[이승만]], [[윤보선]], [[박정희]], [[최규하]], [[전두환]] 등의 [[권위주의]] 정권의 [[제헌 국회]]부터 [[12대 국회]]까지도 [[대한민국의 보수정당|보수정당]]인 [[자유당]], [[민주공화당]], [[민주정의당]] 출신이 재정경제위원장, 재무위원장 등을 맡은 것은 물론, [[민주주의]] 이후 [[노태우 정부]]와 [[문민정부]]였던 [[김영삼 정부]]에서의 [[13대 국회]]부터 [[15대 국회]]까지도 모두 재무위원장, 재정경제위원장은 보수정당 출신인 [[민주자유당]], [[신한국당]]이 맡았다. 심지어 [[김대중 정부]]가 출범한 후 [[한나라당]]이 야당으로 변한 후에도 [[16대 국회]]에서도 재정경제위원장을 한나라당 출신이 위원장을 맡았다. [[노무현 정부]] 당시 탄핵 역풍으로 [[17대 국회]]에서 한나라당이 원내 2당이던 시절에도 한나라당 의원인 [[김무성]]과 [[박종근(1937)|박종근]]이 재정경제위원장을 맡았을 정도로 보수정당이 계속 재정경제위원장을 맡았다. 이후 [[이명박 정부]] 출범 후 한나라당이 여당으로 변한 뒤에도 [[박근혜 정부]]까지 [[18대 국회]], [[19대 국회]]에서도 [[한나라당]]-[[새누리당]] 출신이 기획재정위원장을 맡았다. [[제20대 국회]]에서도 여전히 [[자유한국당]] 출신이 기획재정위원장을 맡고 있었다. 기획재정위원장은 다른 국회 상임위원장과 다르게 보수정당이 여당 시절에도 계속 독점했고, 야당 시절에도 계속 독점했고 심지어 원내 제1당 시절은 물론, 원내 제2당 시절에도 보수정당 출신이 위원장을 맡는 게 관례였다. 실제로 민주화 운동권 출신이 많은 [[민주당계 정당]]의 특성상 기재부 출신 관료 혹은 경제통이라고 불릴 만한 인물이 많지 않아 그런 면이 컸다. 그러나 20대 국회 하반기 원구성 협상에서 원내 1당이자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에서 기획재정위원장을 맡게 되었으므로 관례는 깨졌다. 21대 국회 전반기에서도 여당이자 제1당인 더불어민주당이 계속 가져갔었다. 하지만 21대 국회 후반기에서는 다시 국민의힘이 기획재정위원장을 맡았다. [[기획재정부]]가 행정부 내에서도 대단한 파워를 자랑하는 것과 달리 기재위는 국회 내에서 크게 권력 있는 위원회는 아닌데, 그 이유는 기획재정부 권력의 핵심인 예산 기능이 국회에서는 [[예산결산특별위원회]]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이다. 기재위에도 예산결산기금심사소위원회라는 소위원회가 있어 예산 기능이 없는 것은 아니나, 타 상임위에 있는 소위원회와 같이 기획재정부와 외청의 예산 및 결산을 심사하는 기능만 수행한다. 예결위는 전 중앙부처 및 헌법기관의 예산안을 심사하는데, 예결위에서 의결한 예산안은 그대로 본회의에 올라가므로 예결위원회, 특히 과거 계수조정소위라고 불렀던 예결위 예산소위의 권한이 어마어마하다.[* 다만 예결위는 예결산 시즌에만 열리는데다 구성원들이 1년마다 바뀌는 데 반해, 기재위는 '''언제든 회의를 열어''' [[기재부장관]] 및 [[한국은행]] 총재를 불러내 갈굴 수 있으므로 가벼이 여길 상임위는 절대 아니다.] 국회 내에서 힘 있는 위원회로는 예산권을 쥔 [[예산결산특별위원회]]와 체계·자구심사권을 쥔 [[법제사법위원회]], 국회 내 행정권을 쥔 [[국회운영위원회]]가 꼽힌다. == 소관 기관 == * [[기획재정부]] * [[한국수출입은행]] * [[한국조폐공사]] * [[한국투자공사]] * [[한국재정정보원]] * [[국세청]] * [[관세청]] * [[한국원산지정보원]] * [[조달청]] * [[통계청]] * [[한국은행]] == 소위원회 == * 조세소위원회(13인, 위원장 [[류성걸]]) * 경제재정소위원회(10인, 위원장 [[신동근]]) * 예산결산기금심사소위원회(5인, 위원장 [[정태호(정치인)|정태호]]) * 청원심사소위원회(5인, 위원장 [[윤영석]]) == 소속 위원 == === 21대 국회 === ||<-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width=30px]]]] {{{#a86913 {{{+2 '''기획재정위원회'''}}}}}} || || {{{#ffffff '''구성'''}}} || {{{#ffffff '''의원'''}}}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선수'''}}} || {{{#ffffff '''지역구'''}}} || || '''위원장''' || [[김상훈(정치인)|김상훈]] || [[국민의힘|{{{#ffffff '''국민의힘'''}}}]] || 3선 || [[서구(대구 선거구)|대구 서구]] || || '''간사''' || [[유동수]] || [[더불어민주당|{{{#ffffff '''더불어민주당'''}}}]] || 재선 || [[계양구 갑|인천 계양구 갑]] || || '''간사''' || [[류성걸]] || [[국민의힘|{{{#ffffff '''국민의힘'''}}}]] || 재선 || [[동구 갑|대구 동구 갑]] || || 위원 || [[강준현]] || [[더불어민주당|{{{#ffffff '''더불어민주당'''}}}]] || 초선 || [[세종 을|세종 을]] || || 위원 || [[고용진]] || [[더불어민주당|{{{#ffffff '''더불어민주당'''}}}]] || 재선 || [[노원구 갑|서울 노원구 갑]] || || 위원 || [[김주영(1961)|김주영]] || [[더불어민주당|{{{#ffffff '''더불어민주당'''}}}]] || 초선 || [[김포시 갑|경기 김포시 갑]] || || 위원 || [[김태년]] || [[더불어민주당|{{{#ffffff '''더불어민주당'''}}}]] || 4선 || [[성남시 수정구(선거구)|경기 성남시 수정구]] || || 위원 || [[박광온]] || [[더불어민주당|{{{#ffffff '''더불어민주당'''}}}]] || 3선 || [[수원시 정|경기 수원시 정]] || || 위원 || [[서영교]] || [[더불어민주당|{{{#ffffff '''더불어민주당'''}}}]] || 3선 || [[중랑구 갑|서울 중랑구 갑]] || || 위원 || [[양경숙]] || [[더불어민주당|{{{#ffffff '''더불어민주당'''}}}]] || 초선 || [[비례대표]] || || 위원 || [[양기대]] || [[더불어민주당|{{{#ffffff '''더불어민주당'''}}}]] || 초선 || [[광명시 을|경기 광명시 을]] || || 위원 || [[이수진(1969년 11월)|이수진]] || [[더불어민주당|{{{#ffffff '''더불어민주당'''}}}]] || 초선 || [[동작구 을|서울 동작구 을]] || || 위원 || [[정태호(정치인)|정태호]] || [[더불어민주당|{{{#ffffff '''더불어민주당'''}}}]] || 초선 || [[관악구 갑|서울 관악구 갑]] || || 위원 || [[진선미]] || [[더불어민주당|{{{#ffffff '''더불어민주당'''}}}]] || 3선 || [[강동구 갑|서울 강동구 갑]] || || 위원 || [[한병도]] || [[더불어민주당|{{{#ffffff '''더불어민주당'''}}}]] || 재선 || [[익산시 을|전북 익산시 을]] || || 위원 || [[홍성국]] || [[더불어민주당|{{{#ffffff '''더불어민주당'''}}}]] || 초선 || [[세종 갑|세종 갑]] || || 위원 || [[홍영표]] || [[더불어민주당|{{{#ffffff '''더불어민주당'''}}}]] || 4선 || [[부평구 을|인천 부평구 을]] || || 위원 || [[김영선(1960)|김영선]] || [[국민의힘|{{{#ffffff '''국민의힘'''}}}]] || 5선 || [[창원시 의창구(선거구)|경남 창원시 의창구]] || || 위원 || [[박대출]] || [[국민의힘|{{{#ffffff '''국민의힘'''}}}]] || 3선 || [[진주시 갑|경남 진주시 갑]] || || 위원 || [[박진]] || [[국민의힘|{{{#ffffff '''국민의힘'''}}}]] || 4선 || [[강남구 을|서울 강남구 을]] || || 위원 || [[배준영]] || [[국민의힘|{{{#ffffff '''국민의힘'''}}}]] || 초선 || [[중구·강화군·옹진군|인천 중구·강화군·옹진군]] || || 위원 || [[송언석]] || [[국민의힘|{{{#ffffff '''국민의힘'''}}}]] || 재선 || [[김천시(선거구)|경북 김천시]] || || 위원 || [[윤영석]] || [[국민의힘|{{{#ffffff '''국민의힘'''}}}]] || 3선 || [[양산시 갑|경남 양산시 갑]] || || 위원 || [[조해진]] || [[국민의힘|{{{#ffffff '''국민의힘'''}}}]] || 3선 || [[밀양시·의령군·함안군·창녕군|경남 밀양시·의령군·함안군·창녕군]] || || 위원 || [[주호영]] || [[국민의힘|{{{#ffffff '''국민의힘'''}}}]] || 5선 || [[수성구 갑|대구 수성구 갑]] || || 위원 || [[장혜영]] || [[정의당|{{{#000000 '''정의당'''}}}]] || 초선 || [[비례대표]] || == 역대 위원장 == ||<-2> '''회기''' || '''성명''' || '''정당'''[* 선출 당시 기준] || '''선수''' || ||<|2> [[제9대 국회|9대]] || 전반 || [[신형식]][* [[신중식]] 前 통합민주당 의원의 큰 형.] ||<|2> [include(틀:민주공화당)] ||<|2> 3선 || || 후반 || [[김임식]] || ||<|2> [[제11대 국회|11대]] || 전반 || [[박태준]] ||<|4> [include(틀:민주정의당)] ||<|2> 초선 || || 후반 || [[정재철]] || ||<|2> [[제12대 국회|12대]] || 전반 || [[김용태(1936)|김용태]] ||<|2> 재선 || || 후반 || [[신상식]] || ||<|2> [[제13대 국회|13대]] || 전반 || [[정순덕]] ||<|3> [include(틀:민주자유당)] ||<|7> 3선 || || 후반 || [[김영구(1940)|김영구]] || ||<|2> [[제14대 국회|14대]] || 전반 || [[노인환]] || || 후반 || [[심정구]] ||<|2> [include(틀:신한국당)] || ||<|2> [[제15대 국회|15대]] || 전반 || [[황병태]] || || 후반 || [[김동욱(1934)|김동욱]] ||<|5>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4> [[제16대 국회|16대]] ||<|2> 전반 || [[최돈웅]] || ||<|2> [[나오연]] ||<|2> 4선 || ||<|2> 후반 || || [[안택수]] ||<|8> 3선 || ||<|3> [[제17대 국회|17대]] ||<|2> 전반 || [[김무성]] ||<|5> [include(틀:한나라당)] || || [[박종근(1937)|박종근]][* 2008년 2월 탈당 후 [include(틀:미래희망연대)] 입당.] || || 후반 || [[정의화]] || ||<|2> [[제18대 국회|18대]] || 전반 || [[서병수]] || || 후반 || [[김성조]][* 2012년 2월 탈당] || ||<|2> [[제19대 국회|19대]] || 전반 || [[강길부]] ||<|3>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 후반 || [[정희수]] || ||<|3> [[제20대 국회|20대]] || 전반 || [[조경태]] || 4선 || ||<|2> 후반 || [[정성호(정치인)|정성호]] ||<|3>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6> 3선 || || [[이춘석]] || ||<|4> [[제21대 국회|21대]] || 전반 || [[윤후덕]] || ||<|3> 후반 || [[박대출]] ||<|3> [include(틀:국민의힘)] || || [[윤영석]] || || [[김상훈(정치인)|김상훈]] || [[분류:대한민국 국회 상임위원회 및 특별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