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부산광역시의 기초자치단체)] [include(틀:기장군의 읍면)] ||<-4> '''[[부산광역시|{{{#000000,#dddddd 부산광역시}}}]]의 [[군(행정구역)/대한민국|{{{#000000,#dddddd 자치군}}}]]'''[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파일:기장군 CI.svg|height=35]]}}}||{{{#!wiki style="margin: -5px 0" '''{{{+1 기장군}}}'''[br]機張郡[br]{{{-1 Gijang-gun}}}}}}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부산광역시 기장군, 너비=100%, 높이=100%)]}}} || ||<-2> [[기장군청|{{{#000 '''군청 소재지'''}}}]] ||<-2> 기장읍 기장대로 560 (신천리) || ||<-2> '''광역자치단체''' ||<-2> [[부산광역시]] || ||<-2> '''하위 행정구역''' ||<-2> 4[[읍(행정구역)|읍]] 1[[면(행정구역)|면]] || ||<-2> '''면적''' ||<-2> 218.30㎢ || ||<-2> '''인구''' ||<-2> 179,084명[* 2023년 10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2> '''인구밀도''' ||<-2> 818.20명/㎢ || ||<-2> '''군수'''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정종복(1954)|정종복]] {{{-2 (초선)}}} || ||<|2><-2> '''군의회'''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6석[* 기장군 가선거구 (기장읍): 박기조 [br] 기장군 나선거구 (일광읍, 철마면): [[박홍복]] [br] 기장군 다선거구 (장안읍, 정관읍): 구본영, 박우식, 맹승자 [br] 비례대표: 구혜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3석[* 기장군 가선거구 (기장읍): 허준섭 [br] 기장군 나선거구 (일광읍, 철마면): 황운철 [br] 기장군 다선거구 (장안읍, 정관읍): 김원일] || ||<-2> '''시의원'''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2석[* 기장군 제1선거구 (기장읍, 일광읍, 철마면): 박종철 (초선) [br] 기장군 제2선거구 (장안읍, 정관읍): [[이승우(1961)|이승우]] (초선)] || ||<-2> [[기장군(선거구)|{{{#000 '''국회의원'''}}}]]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정동만]] {{{-2 (초선)}}} || ||<|5> '''상징''' || '''군화''' ||<-2> [[진달래]] || || '''군목''' ||<-2> [[소나무|해송]] || || '''군조''' ||<-2> [[갈매기]] || || '''군어''' ||<-2> [[멸치]] || || '''군가''' ||<-2> [[http://www.gijang.go.kr/index.gijang?menuCd=DOM_000000105003006000|기장군민의 노래]] || ||<-2> '''지역번호''' ||<-2> '''051''' || ||<-4> [[http://www.gijang.go.kr/index.gijang|[[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3]]]] | [[https://www.facebook.com/kijanggun|[[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3]]]] | [[https://www.instagram.com/gijang_official/|[[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3]]]]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kijanggun, 크기=23)] | [[https://blog.naver.com/bskijang|[[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3]]]] || [목차] [clearfix] == 개요 == [[부산광역시]]의 동북부에 위치한 [[군(행정구역)/대한민국|군]].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유일한 군(郡)이다. [[대한민국]]에서 인구밀도가 가장 높은 [[군(행정구역)/대한민국|군]]이다. 절대적 인구 수로 따질 경우 기장군은 [[달성군]](428.36㎢), [[울주군]](758.1㎢) 다음으로 3위를 차지하지만 이 둘은 기장군보다 훨씬 면적이 넓은지라 인구밀도는 기장군이 더 높을 수밖에 없다. 달성군(6읍 3면)과 더불어 읍이 면보다 더 많은 지역이기도 한데 기장군은 4읍 1면으로 달성군보다도 읍 편중도가 높다.[* 과거까지 포함한다면 고양군이 시 승격 직전 행정구역이 6읍 1면이었던 적이 있다.] [[1995년]]에 [[직할시]]가 [[광역시]]로 개편됨과 동시에 [[경상남도]] [[양산시|양산군]] 동부출장소가 새로 출범한 부산광역시에 편입되면서 지금의 기장군이 되었다. == 상징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dj9fajeifwef.jpg|width=100%]]}}}|| || {{{#black '''기장군청'''}}}[* 앞에 보이는 부비([[부산광역시]] [[마스코트]]) 조형물은 현재 철거된 상태][* 부비가 횃불을 들고있는 걸 보니 [[2002 부산 아시안게임]] 개최 시기로 추정된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기장군 CI(2000-2010).svg|width=80%]]}}} || || {{{#black '''2000년부터 2010년까지 사용한 로고'''}}}[* 현재 사용하는 로고는 [[1995년]] 기장군이 신설되면서 제정한 것이다. 최현돌 군수가 재임했을 당시인 2000년부터 2010년까지 10년간은 위 로고를 제정하여 사용했다가, 2010년에 오규석 군수가 취임하면서 원래대로 복구했다.] || == 역사 == [[신라]] 시대에는 '갑화양곡현(甲火良谷縣)'이었으며, [[757년]] [[경덕왕]] 때 '기장현'으로 개칭되었을 정도로 지명의 역사가 오래되었다. '차성(車城)'이라는 이칭(異稱)이 있었으며, [[마을버스]] 업체 '[[차성교통]]', [[도로명주소|도로명]] '[[차성로]]' 등에 그 흔적을 남기고 있다. [[조선]] 시대까지 기장현→기장군으로 존재하다가 [[일제강점기]]의 [[1914년]] [[4월 1일]]에 [[부군면 통폐합]] 때 기장군이 [[동래군]]에 편입되면서 사라졌다. [[1963년]] 이후의 동래군은 동래구 해운대출장소(현 [[해운대구]])에 편입된 기장면 송정리, [[울주군]]에서 편입한 서생면을 제외하고[* 울주군 서생면은 1963년 동래군에 편입되었고 1973년 동래군이 폐지되고 양산군에 병합되면서 함께 양산군에 딸려왔다가, 1983년 울주군으로 환원되었다.] 현재의 기장군의 영역과 같게 되었다.[* 심지어 동래군청도 기장으로 이전하지 않고 부산시내([[동래구]])의 원래 위치를 그대로 유지했다! 수안동에 있는 동래부동헌이 1973년까지 동래군청으로 쓰였다. '''조선시대 건축물'''이 현대에까지 현역 관공서 건물로 쓰인 특이한 케이스. 심지어 1973년 이후에도 동래부동헌 건물은 '''[[양산시|양산군]]보건소 동부지소'''로 쓰였다고 한다.] 그러다가 [[1973년]] 최종적으로 동래군을 폐지하고 양산군에 병합하였다. [[1986년]] 11월 1일 지금의 기장군 영역 그대로 양산군 동부출장소가 설치되었으며, [[1995년]] 기장군이 폐지된 지 81년만에 부활함과 동시에 [[부산광역시]]에 편입되어 부산광역시 산하 자치군이 되었다. 양산군에 편입된 이후에는 오히려 부산시내(동래구)에 있던 옛 동래군청(동래부동헌)보다 양산군청이 기장 지역에서 더 멀리 떨어져 있었으며, 덩달아 기존 양산군과 기장 지역은 지리적으로도 산으로 분리되어 있었다.[* 이는 아직도 양산 동부([[웅상]])에서는 현재진행형이다.] 하다 못한 양산군에서 1986년 기장 지역을 관할하는 동부출장소를 설치하긴 했지만, 지속적으로 불편을 느낀 기장 주민들은 동래군 부활(사실상 옛 기장군 부활)을 주장해 왔다.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4022400209129001&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4-02-24&officeId=00020&pageNo=29&printNo=22438&publishType=00010|#]] 결국 1995년 부활되었으니 기장 주민들의 숙원이 이루어진 셈. 다만 편입 초기에는 광역행정이 완전히 통합되지 않아서 부산시내를 왕래하는 시내버스들이 여전히 시외요금을 받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고 한다.[[http://news.joins.com/article/3030615|기사]] == 지리 == 일단은 '군'이다 보니 일부 신도시 지역을 제외하면 부산시 시가지와 대비되는 농어촌 풍경을 면치 못하고 있으나, [[정관신도시]] 개발 등으로 인구가 대폭 늘면서 [[기장읍]]도 웬만한 중소도시 시가지보다 커졌고 그 외에 [[일광신도시]]도 개발 중에 있다.[* 2021년 6월 기준 전국의 읍면 중 정관읍이 7위, 기장읍이 17위로 광역시 산하만 아니었다면 분동의 압박을 받을 만큼 인구가 많다.] 그 결과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부터는 단독으로 국회의원 선거구를 구성하고 있다. 시가지로 가득 찬 부산시 중심지에 비해 미개발지역이 많고 개발 잠재성이 무궁무진하다 보니 각종 개발계획 등의 떡밥이 뿌려지고 있는 곳이기도 하다. 대표적으로 [[오시리아관광단지]].[* 정작 주민들은 반대가 심하다. 반대가 심한 이유는 골프장.] 부산 시가지에 비하면 한적한 시골 느낌이지만, 몇몇 지역을 찬찬히 보면 이건 낭비다 싶을 정도로 인프라가 잘 갖추어져 있기도 하다. 기본적으로 [[고리 원자력 발전소]]를 끼고 있기 때문에 보상 격으로 예산을 넉넉하게 받기 때문. 그렇다고 아주 낭비도 아닌게, 울주군, 해운대구와 워낙 가깝기에 부산시내와 울산서 관광과 쇼핑을 위해 오기 때문이다.[* 모두 차량을 이용하면 30분내로 방문할 수 있을 정도로 가까이 있다.] 기장읍 대부분, 일광, 장안에서는 부산 황령산 전파가 높은 산에 가로막히는 반면 울산 무룡산 방면으로는 산이 낮기 때문에 부산보다 울산 라디오가 더 잘 들린다. 반면 기장읍 최남단(오시리아관광단지 일대)과 철마에서는 두 전파가 비슷하게 잡히거나 오히려 부산 방송이 더 잘 들린다. 2000~2010년대에 일광산과 정관에 중계소가 설치되어 황령산 전파 난청 지역에서도 부산 방송[* KBS 부산 1/2라디오, 부산MBC 표준FM, KNN 파워/러브FM, 부산영어방송 한정]을 깨끗하게 들을 수 있게 되었다. == 인구 == || [[파일:기장군 CI.svg|height=10]] '''{{{#000 부산광역시 기장군}}} {{{#000 인구 추이}}}''' [br] {{{-3 (1995년~현재)}}} || || [[1995년]] [[3월 1일]] [[경상남도]] [[양산군]] 동부출장소[* 기장읍, 장안읍, 일광면, 정관면, 철마면] → [[부산광역시]] 편입 및 '''기장군''' 승격 분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a00 36.04%, #888 0%, #888 100% , #AAA 0%)" {{{#000 1995년 72,07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a00 37.16%, #888 0%, #888 100% , #AAA 0%)" {{{#000 2000년 74,32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a00 40.05%, #888 0%, #888 100%, #AAA 0%)" {{{#000 2005년 80,10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a00 51.28%, #888 0%, #888 100%, #AAA 0%)" {{{#000 2010년 102,55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a00 76.55%, #888 0%, #888 100%, #AAA 0%)" {{{#000 2015년 153,09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a00 87.27%, #888 0%, #888 100%, #AAA 0%)" {{{#000 2020년 174,54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a00 89.59%, #888 0%, #888 100%, #AAA 0%)" {{{#000 '''2023년 10월 179,084명'''}}}}}} ||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0만 명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000 읍면별 인구 통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a00 100%, #888 0%, #888 100%, #AAA 0%)" {{{#000 정관읍 80,65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a00 65.4775%, #888 0%, #888 100%, #AAA 0%)" {{{#000 기장읍 52,38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a00 36.94625%, #888 0%, #888 100%, #AAA 0%)" {{{#000 일광읍 29,55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a00 11.09375%, #888 0%, #888 100%, #AAA 0%)" {{{#000 장안읍 8,87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a00 9.63875%, #888 0%, #888 100%, #AAA 0%)" {{{#000 철마면 7,711명}}}}}} || ||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2 2023년 9월 기준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o.kr|주민등록 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8만 명}}}}}} || }}}}}}}}} || 부산 [[강서구(부산광역시)|강서구]]와 같이 부산광역시에서 몇 안되는 인구 증가 지역이다. 이유는 근처 도시인 울산으로 통근하는 사람과 은퇴한 노년층이 [[정관신도시]]나 [[일광신도시]]에 주거지를 두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 읍면별 인구 #=== ||
[[파일:기장군 CI.svg|height=20]] '''[[기장읍|{{{#000 기장읍}}}]] {{{#000 인구 추이}}}''' [br] {{{-3 (1966년~현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a00 20.927%, #888 0%, #888 100%, #AAA 0%)" {{{#000 1966년 11,51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a00 25.533%, #888 0%, #888 100%, #AAA 0%)" {{{#000 1970년 14,04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a00 35.895%, #888 0%, #888 100%, #AAA 0%)" {{{#000 1975년 19,74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a00 41.804%, #888 0%, #888 100%, #AAA 0%)" {{{#000 1980년 22,992명}}}}}} || || [[1980년]] [[12월 1일]] 기장면 → '''기장읍''' 승격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a00 36.067%, #888 0%, #888 100%, #AAA 0%)" {{{#000 1985년 19,83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a00 40.506%, #888 0%, #888 100%, #AAA 0%)" {{{#000 1990년 22,27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a00 59.516%, #888 0%, #888 100%, #AAA 0%)" {{{#000 1995년 32,73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a00 66.816%, #888 0%, #888 100%, #AAA 0%)" {{{#000 2000년 36,74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a00 86.589%, #888 0%, #888 100%, #AAA 0%)" {{{#000 2005년 47,62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a00 94.958%, #888 0%, #888 100%, #AAA 0%)" {{{#000 2010년 52,22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a00 99.453%, #888 0%, #888 100%, #AAA 0%)" {{{#000 2015년 54,69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a00 96.782%, #888 0%, #888 100%, #AAA 0%)" {{{#000 2020년 53,23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a00 95.24%, #888 0%, #888 100%, #AAA 0%)" {{{#000 '''2023년 9월 52,382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5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파일:기장군 CI.svg|height=20]] '''[[장안읍|{{{#000 장안읍}}}]] {{{#000 인구 추이}}}''' [br] {{{-3 (1966년~현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a00 62.39%, #888 0%, #888 100%, #AAA 0%)" {{{#000 1966년 12,47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a00 60.82%, #888 0%, #888 100%, #AAA 0%)" {{{#000 1970년 12,16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a00 72.65%, #888 0%, #888 100%, #AAA 0%)" {{{#000 1975년 14,53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a00 97.495%, #888 0%, #888 100%, #AAA 0%)" {{{#000 1980년 19,49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a00 89.06%, #888 0%, #888 100%, #AAA 0%)" {{{#000 1985년 17,812명}}}}}} || || [[1985년]] [[12월 1일]] 장안면 → '''장안읍''' 승격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a00 63.695%, #888 0%, #888 100%, #AAA 0%)" {{{#000 1990년 12,73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a00 60.525%, #888 0%, #888 100%, #AAA 0%)" {{{#000 1995년 12,10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a00 48.505%, #888 0%, #888 100%, #AAA 0%)" {{{#000 2000년 9,70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a00 41.315%, #888 0%, #888 100%, #AAA 0%)" {{{#000 2005년 8,26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a00 52.52%, #888 0%, #888 100%, #AAA 0%)" {{{#000 2010년 10,504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a00 45.445%, #888 0%, #888 100%, #AAA 0%)" {{{#000 2015년 9,08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a00 43.285%, #888 0%, #888 100%, #AAA 0%)" {{{#000 2020년 8,65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a00 44.375%, #888 0%, #888 100%, #AAA 0%)" {{{#000 '''2023년 9월 8,875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파일:기장군 CI.svg|height=20]] '''[[정관읍|{{{#000 정관읍}}}]] {{{#000 인구 추이}}}''' [br] {{{-3 (1966년~현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a00 6.748%, #888 0%, #888 100%, #AAA 0%)" {{{#000 1966년 5,73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a00 5.904%, #888 0%, #888 100%, #AAA 0%)" {{{#000 1970년 5,01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a00 5.846%, #888 0%, #888 100%, #AAA 0%)" {{{#000 1975년 4,96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a00 5.368%, #888 0%, #888 100%, #AAA 0%)" {{{#000 1980년 4,56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a00 5.308%, #888 0%, #888 100%, #AAA 0%)" {{{#000 1985년 4,51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a00 7.394%, #888 0%, #888 100%, #AAA 0%)" {{{#000 1990년 6,285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a00 8.827%, #888 0%, #888 100%, #AAA 0%)" {{{#000 1995년 7,50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a00 8.279%, #888 0%, #888 100%, #AAA 0%)" {{{#000 2000년 7,03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a00 5.807%, #888 0%, #888 100%, #AAA 0%)" {{{#000 2005년 4,93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a00 27.997%, #888 0%, #888 100%, #AAA 0%)" {{{#000 2010년 23,797명}}}}}} || || [[2015년]] [[9월 23일]] 정관면 → '''정관읍''' 승격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a00 84.898%, #888 0%, #888 100%, #AAA 0%)" {{{#000 2015년 72,16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a00 96.505%, #888 0%, #888 100%, #AAA 0%)" {{{#000 2020년 82,02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a00 94.882%, #888 0%, #888 100%, #AAA 0%)" {{{#000 '''2023년 9월 80,650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8.5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파일:기장군 CI.svg|height=20]] '''[[일광읍|{{{#000 일광읍}}}]] {{{#000 인구 추이}}}''' [br] {{{-3 (1966년~현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a00 34.793%, #888 0%, #888 100%, #AAA 0%)" {{{#000 1966년 10,43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a00 36.053%, #888 0%, #888 100%, #AAA 0%)" {{{#000 1970년 10,81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a00 42.01%, #888 0%, #888 100%, #AAA 0%)" {{{#000 1975년 12,60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a00 46.4%, #888 0%, #888 100%, #AAA 0%)" {{{#000 1980년 13,92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a00 41.977%, #888 0%, #888 100%, #AAA 0%)" {{{#000 1985년 12,59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a00 38.06%, #888 0%, #888 100%, #AAA 0%)" {{{#000 1990년 11,41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a00 35.033%, #888 0%, #888 100%, #AAA 0%)" {{{#000 1995년 10,51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a00 31.397%, #888 0%, #888 100%, #AAA 0%)" {{{#000 2000년 9,41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a00 25.557%, #888 0%, #888 100%, #AAA 0%)" {{{#000 2005년 7,66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a00 29.56%, #888 0%, #888 100%, #AAA 0%)" {{{#000 2010년 8,86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a00 30.53%, #888 0%, #888 100%, #AAA 0%)" {{{#000 2015년 9,15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a00 75.163%, #888 0%, #888 100%, #AAA 0%)" {{{#000 2020년 22,549명}}}}}} || || [[2022년]] [[4월 1일]] 일광면 → '''일광읍''' 승격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ea00 98.523%, #888 0%, #888 100%, #AAA 0%)" {{{#000 '''2023년 9월 29,557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파일:기장군 CI.svg|height=20]] '''[[철마면|{{{#000 철마면}}}]] {{{#000 인구 추이}}}''' [br] {{{-3 (1966년~현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73785 71.475%, #888 0%, #888 100%, #AAA 0%)" {{{#fff 1966년 5,71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73785 70.7%, #888 0%, #888 100%, #AAA 0%)" {{{#fff 1970년 5,65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73785 88.85%, #888 0%, #888 100%, #AAA 0%)" {{{#fff 1975년 7,10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73785 92.075%, #888 0%, #888 100%, #AAA 0%)" {{{#fff 1980년 7,366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73785 84.4625%, #888 0%, #888 100%, #AAA 0%)" {{{#fff 1985년 6,75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73785 76.5875%, #888 0%, #888 100%, #AAA 0%)" {{{#fff 1990년 6,127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73785 71.1125%, #888 0%, #888 100%, #AAA 0%)" {{{#fff 1995년 5,68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73785 64.8625%, #888 0%, #888 100%, #AAA 0%)" {{{#fff 2000년 5,18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73785 56.7625%, #888 0%, #888 100%, #AAA 0%)" {{{#fff 2005년 4,54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73785 89.5125%, #888 0%, #888 100%, #AAA 0%)" {{{#fff 2010년 7,16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73785 99.7875%,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7,983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73785 100%,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8,08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73785 96.3875%,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9월 7,711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8천 명 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 [[기장군/교통|교통]]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기장군/교통)] == 경제 == [[강서구(부산)|강서구]]의 신도시와 산업단지, [[동구(부산)|동구]], [[중구(부산)|중구]] 일대의 [[북항재개발]]과 함께 부산에서 대규모 개발이 진행되는 곳이다. 부산으로 편입된 지도 얼마되지 않았고, 편입 이전에는 말 그대로 '군' 단위의 시골이었기 때문에 앞으로의 발전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 [[정관읍]]의 '''[[정관신도시]]'''는 개발이 마무리 되었고, [[기장일광도시개발사업]]([[일광신도시]])과 더불어 최대 규모의 테마파크 [[오시리아관광단지]]가 들어설 예정이다. === 금융 === ||<-4> '''{{{#ffffff 기장군에 위치한 금융기관}}}'''[*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 ||<-4> '''{{{#1d1e23 제1금융권}}}'''[*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 ||<-4> '''{{{#1d1e23 국가기관 }}}''' || ||<-4> [[우정사업본부|{{{#ffffff '''기장우체국 (6)'''}}}]] || ||<-4> '''{{{#1d1e23 국책은행 }}}''' || ||<-4> [[기업은행|{{{#ffffff '''중소기업은행 (1)'''}}}]] || ||<-4> '''{{{#1d1e23 특수은행 }}}''' || ||<-4> [[농협은행|{{{#ffffff '''농협은행(중앙회) (3)'''}}}]] || ||<-4> '''{{{#1d1e23 시중은행 }}}''' || ||<-2> [[신한은행|{{{#ffffff '''신한은행 (1)'''}}}]] ||<-2> [[우리은행|{{{#ffffff '''우리은행 (2)'''}}}]] || ||<-2> [[하나은행|{{{#ffffff '''하나은행 (1)'''}}}]] ||<-2> [[KB국민은행|{{{#ffffff '''국민은행 (2)'''}}}]] || ||<-4> '''{{{#1d1e23 지방은행 }}}''' || ||<-2> [[부산은행|{{{#ff0000 '''부산은행 (5)'''}}}]] ||<-2> [[경남은행|{{{#ff0000 '''경남은행 (1)'''}}}]] || ||<-4> '''{{{#ffffff 제2금융권(상호금융)}}}'''[*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 ||<-4> '''{{{#ffffff 농업협동조합 }}}''' || ||<-2> [[농협|{{{#fcaf16 '''동부산농협 (14)'''}}}]] ||<-2> [[농협|{{{#fcaf16 '''양산기장축산농협 (2)'''}}}]] || ||<-4> '''{{{#ffffff 수산업협동조합 }}}''' || ||<-4> [[수협|{{{#00a5e3 '''기장수협 (5)'''}}}]] || ||<-4> '''{{{#ffffff 새마을금고 }}}''' || || [[새마을금고|{{{#afeeee '''정관새마을금고 (1) '''}}}]] || [[새마을금고|{{{#afeeee '''기장새마을금고 (1) '''}}}]] ||<-2> [[새마을금고|{{{#afeeee '''신앙촌새마을금고 (1) '''}}}]] || == 관광 == [include(틀:기장8경)] * [[기장-현대차 드림 볼파크]] (일광읍 동백리) * [[오시리아관광단지]] ([[기장읍]] 당사리, 시랑리) * [[일광해수욕장]] (일광읍 삼성리) * [[임랑해수욕장]] (장안읍 임랑리) * [[국립부산과학관]] (기장읍 석산리) * 대변항 (기장읍 대변리) * 아홉산숲 (철마면 웅천리) * 토암 도자기 공원 (기장읍 대변리) * [[오랑대]] (기장읍 연화리) * 기장읍성 (기장읍 서부리, 동부리, 대라리) * 칠암 [[붕장어]] 마을 (일광읍(구 일광면) 칠암리): 기장 칠암마을. 칠암 붕장어로 유명하다. * [[죽성성당]] (기장읍 죽성리): 실제 종교시설은 아니고, 드라마 촬영을 위해 지어졌다가 현재는 관광자원으로 이용되고 있는 건물이다. * [[롯데월드 어드벤처 부산]] (기장읍 시랑리) === 특산물 === 여러가지가 있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유명한 것은 단연 기장미역. 다른 지역들에서 나는 여느 미역들과는 차원이 다른 종류인데, 이게 단순히 말린 평범한 [[미역]]이 아니라 과거에는 [[군주]]의 [[수라상]]에도 올랐을 만큼 옛부터 특산품으로 인정받아 온 종류이다. 미역과 다시마 특구인 이 지역의 청정해역에서의 거친 물살을 이겨내고 해풍으로 키워낸 것이라서 특히 더 품질이 좋고 맛있기로 유명하다. 제철에는 미역회 같은 음식도 먹을 수 있다. 미역 외에도 유명한 것은 [[다시마]]이며, 또 [[멸치]]로도 유명해서 말린 멸치 뿐 아니라 멸치젓갈과 멸치회도 먹을 수 있다. 매년마다 멸치 축제를 개최하지만, 해당 지역의 길이 좁은 특성상 앞뒤로 꽉 막힌 도로만 보고 오게 될 수 있으니 정 멸치 요리를 먹거나 사 오고 싶다면 그 전후인 3월 ~ 5월에 방문하는 게 낫다. 공수마을의 짚불로 구운 [[먹장어]](꼼장어)와 일광면 칠암리의 [[붕장어]] 구이, 철마면의 [[한우]]도 유명하다. 우리나라에서 거의 먹지 않는 [[말미잘]]을 이용한 [[매운탕]]을 파는 가게도 있다. [[지리적 표시제/대한민국|지리적 표시제]]에는 기장미역과 기장다시마가 등록되어 있다. == 교육 == [include(틀:부산광역시 기장군의 초등학교)] [include(틀:부산광역시 기장군의 중학교)] [include(틀:부산광역시 기장군의 고등학교)] 기장군의 고등학교는 총 6개이지만 시온식품과학고등학교는 죽성리 [[신앙촌]] 내에 위치해있는 [[대안학교]]였는데 2016년에 설립인가가 취소되어 서류상으로는 폐교조치 되면서 2018년 기준으로 학생 모집을 하지 않고 있으며 '''사실상 없는 거나 마찬가지라''' 5개로 간주한다. 이중 기장읍에 위치한 [[기장고등학교]]를 제외하면 전부 북쪽의 [[정관읍]]이나 [[장안읍]]에 위치해있어서 [[사상구]]와 마찬가지로 [[고등학교]]가 매우 부족한 지역에 속한다. 심지어 '''[[철마면]]에는 고등학교는 커녕 중학교조차 하나도 없다.''' 따라서 이들 지역에서 통학을 하려면 기장읍이나 정관읍, 금정구로 가야 한다.[* 철마면은 각종 규제로 개발이 불가한 전형적인 농촌지역이라 학생 수가 거의 없다. 특히 철마면 서부(송정리, 임기리)는 철마면소재지와 산을 경계로 떨어져 있어 금정구가 훨씬 가깝다.] 일광면 역시 농어촌지역으로 중학교가 전무하였으나 [[일광신도시]] 개발로 인해 인구가 급증하여 일광중학교가 개교되었다. 다만 일광면내 고등학교는 2021년 5월 현재까지 없기 때문에 대부분 기장읍이나 장안읍으로 장거리 통학을 하고 있으며, [[부산장안고등학교]]가 일광대성베르힐 건너편의 학교부지로 2027년 3월까지 이전할 예정이다. 따라서 기장고등학교는 전교생이 1,000여명이 넘어가는 과밀 현상이 항상 발생하여 기장읍에서 저 멀리 정관신도시나 장안읍으로 원정가야 하는 상황이 부지기수하게 발생한다.[* 이러한 이유로 기장읍 거주 학생들은 고등학교를 지망할 때 [[해운대구]] [[좌동]]에 위치한 [[양운고등학교]]나 [[부흥고등학교(부산)|부흥고등학교]] 등의 학교에 지망하여 가는 경우도 꽤 있다.] 대학교는 한 군데 있다. * [[한국폴리텍대학|한국폴리텍Ⅶ대학]] 동부산캠퍼스 (정관읍 달산리 938-40) 특수학교는 아래와 같다. * --기장문화예절학교 (장안읍 월내리 579)--[*청소년수련시설] * 부산국제외국인학교 (기장읍 내리 798) * 부산해마루학교 (정관읍 모전리 678) == [[기장군/정치|정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기장군/정치)] == [[기장군/행정|하위 행정구역]]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기장군/행정)] [[파일:철마만 남겨진 군지도.png]] [include(틀:기장군의 읍면)] 4읍 1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1995년 부산광역시 편입 당시에는 2읍 3면이었으나, 2015년 정관면이 정관읍으로, 2022년 일광면도 일광읍으로 승격되면서, 철마면을 제외한 모든 지역이 읍이 되었다. 다른 지역과 달리 [[우체국소포]] 관할 지역이 부산우편집중국이 아닌 울산우편집중국에서 담당한다. == 사건사고 == [youtube(SVP9ONjUvoQ)] * 2023년 10월 27일 기장군의 주택 소유주 박만조씨에 따르면 지난 달 9월 추석을 맞아 집을 찾아갔는데 집이 사라져있었고 그 자리에 도로 아스팔트 포장공사가 진행중이었다고 한다. 문제는 박씨가 철거에 반대했음에도 철거가 되버린 상황인 것이다. 원래 기장군에서 주택과 대지를 편입하여 도로를 신설할 계획을 세웠으나 박씨가 주택 철거에 반대하여 주택은 두고 대지만 편입하여 도로 신설을 하기로 했는데 기장군에서 이를 어기고 지난 해인 2022년 12월 주택을 철거해버린 것이다. 주택을 철거하면서도 해당 사실을 주택 소유주인 박씨에게 미리 알리지도 않았는데 이에 대해 기장군은 '행정실수였다. 업무담당자가 바뀌고 시간이 지나다보니 전달이 잘못된 거 같다. 주택 소유주와 협의해 보상할 계획이나 담당공무원은 현재 다른부서로 옮겨갔으며 그 공무원에 대한 징계여부는 징계담당부서에서 판단할 부분이다' 주장했다. 박씨는 이에 대해 "집 안에 있던 가재도구도 흔적도 없이 사라져버렸고 집 안의 물건들을 보상받으려면 직접 주택 내에 있었다는 걸 증명하라고 했으며 토지에 대해서도 박씨가 잔여지 매수 신청을 해야 보상이 가능하다고 기장군 측에서 이야기했는데 이런 복잡한 행정절차에 대한 이해가 쉽지 않다."며 어려움을 호소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5/0003317485?sid=102|중앙일보,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5/0001100934?sid=102|SBS]],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2/0001238801?sid=102|부산일보]] == [[나무위키]]에 등록된 출신 인물 == * [[김두봉]]: 독립운동가, 북한 초대 국가원수 * [[김만복]] * [[김수근(정치인)]] * [[김약수]] * [[김창현(1962)|김창현]] * [[김한선(군인)]] * [[노병준]] * [[박순천]]: 前 [[정치인]] * [[박태준]]: 前 [[국무총리]] 및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 前 [[포스코]] 명예회장 * [[박홍복]] * [[오규석]]: 前 기장군수 * [[이승우(1961)|이승우]] * [[이일수]]: 前 [[기상청]]장 * [[이택근]]: [[야구선수]] * [[이하영(1858)]] * [[우성빈]]: 前 기장군의원 * [[정동만]]: 제21대 [[기장군(선거구)|기장군]] 국회의원 * [[정용환]] * [[정종복(1954)|정종복]]: 現 기장군수 * [[정해문]]: 전 외교관, 前 주 그리스, 태국 대사, [[문재인 정부]] 경제정책 [[인사혁신처]] 자문의원 * [[최백호]]: [[가수]] * [[최원봉]] * [[최현돌]] * [[킹치메인]]: [[래퍼]] * [[머드 더 스튜던트]] == 자매결연 및 우호도시 == * [[전라북도]] [[무주군]] * [[일본]] [[사가현]] 히가시마츠우라군 [[겐카이초]] == 같이 보기 == * [[동부산]] * --[[천부교]]--[* 해당 항목 참조. 위에서 언급한 시온식품과학고등학교가 이 종교의 기장지파 소속이었다.][* 여담으로 [[신천지]]가 여기서 갈라져나왔다.] * [[명예의 전당#s-2.2.2|KBO 명예의 전당]] [[분류:기장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