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기어링급 구축함)] [목차] == 개요 == [[기어링급 구축함]]의 함정들을 소개하는 문서. == DD-710 기어링 == |||| USS Gearing (DD-710) || || 함명의 유래 || 기어링 가문[* 헨리 C. 기어링, 헨리 C. 기어링 주니어, 헨리 C. 기어링 3세 총 3대가 미해군 장교로 복무했다. 이 중 헨리 C. 기어링 3세는 [[과달카날 해전]]에서 경순양함 [[애틀랜타급 경순양함|주노(CL-52)]]가 격침되면서 전사.] || || 진수 일자 || 1945/2/18 || || 취역 일자 || 1945/5/3 || || 퇴역 일자 || 1973/7/2 || || 최후 || 1974년 스크랩 || == DD-711 유진 A. 그린 == |||| USS Eugene A. Greene (DD-711) || || 함명의 유래 || 유진 A. 그린[* [[미드웨이 해전]] 당시 제6폭격기대대의 조종사. 해당 전투에서 전사. 사후 해군십자장 수여.] || || 진수 일자 || 1945/3/18 || || 취역 일자 || 1945/6/8 || || 퇴역 일자 || 1972/8/31 || || 최후 || 1972년 [[스페인]]에게 양도되어 추루카(Churruca)로 활동[br]1991년 표적함으로 소모 || == DD-712 기야트 == |||| USS Gyatt (DD-712) || || 함명의 유래 || 에드워드 E. 기야트[* [[과달카날 전역]]에 참전한 해병대 병사. 툴라기 섬에서 전사. 사후 은성훈장 수여.] || || 진수 일자 || 1945/4/15 || || 취역 일자 || 1945/7/2 || || 퇴역 일자 || 1969/10/22 || || 최후 || 1970년 표적함으로 소모 || == DD-713 케네스 D. 베일리 == |||| USS Kenneth D. Bailey (DD-713) || || 함명의 유래 || 케네스 D. 베일리[* 과달카날 전역에 참전한 해병대 장교. 피의 능선 전투에서 벌인 공로로 [[명예 훈장]]을 수여받았다. 과달카날에서 전사.] || || 진수 일자 || 1945/6/17 || || 취역 일자 || 1945/7/31 || || 퇴역 일자 || 1970/1/20 || || 최후 || 1975년 [[이란]]에 양도[br]부품 수급을 위해 스크랩 || == DD-714 윌리엄 R. 러시 == ||<-2> USS William R. Rush (DD-714) || || 함명의 유래 || 윌리엄 R. 러시[* [[멕시코 혁명]] 당시 전함 [[플로리다급 전함|플로리다(BB-30)]]의 함장. 여단을 이끌고 [[베라크루스(도시)|베라크루스]]에 직접 상륙해 지휘한 공로로 명예 훈장을 수여받았다.] || || 진수 일자 || 1945/7/8 || || 취역 일자 || 1945/9/21 || || 퇴역 일자 || 1978/7/1 || || 최후 || 1978년 [[대한민국]]에 양도되어 강원으로 활동 || === DD-922 강원 === ||<-2> ROKS 강원 (DD-922) || || 함명의 유래 || [[강원도]] || || 취역 일자 || 1978/7/1 || || 특이 사항 || 1980년 [[독도]]에서 간첩선 격침 || || 퇴역 일자 || 2000/12/29 || || 최후 || 2001년 7월 진해해양공원[* 현 창원해양공원.] 전시[br]2016년 11월 30일 창원시에서 해군에 반납.[br]2016년 12월 부산 [[다대포]]에서 스크랩 || == DD-715 윌리엄 M. 우드 == |||| USS William M. Wood (DD-715) || || 함명의 유래 || 윌리엄 M. 우드 || || 진수 일자 || 1945/7/29 || || 취역 일자 || 1945/11/24 || || 퇴역 일자 || 1976/12/1 || || 최후 || 1977년 스크랩 || == DD-716 윌치 == |||| USS Wiltsie (DD-716) || || 함명의 유래 || 어빙 D. 윌치[* 호위항모 [[카사블랑카급 호위항공모함|리스컴 베이(CVE-62)]]의 함장. 1943년 리스컴 베이가 일본군 잠수함 [[해대 6형|I-175]]에게 뇌격당하자 피해를 최소화하려고 시도했다. 하지만 이 노력은 실패해 리스컴 베이는 윌치 함장, 헨리 뮬리닉스 제독, 그리고 644명의 승조원과 함께 가라앉았다. 사후 해군십자장 수여.] || || 진수 일자 || 1945/8/31 || || 취역 일자 || 1946/1/12 || || 퇴역 일자 || 1976/1/23 || || 최후 || 1977년 [[파키스탄]]에 양도되어 타리크(Tariq)로 활동[br]1998년 파키스탄 해양경비대에 양도 || == DD-717 시어도어 E. 챈들러 == |||| USS Theodore E. Chandler (DD-717) || || 함명의 유래 || 시어도어 E. 챈들러[* 양차 세계대전에 참전했던 해군 장교. 1944년 제4순양전대(CruDiv 4) 제독으로 복무하던 중 일본군의 [[카미카제]] 공격으로 전사.] || || 진수 일자 || 1945/10/20 || || 취역 일자 || 1946/3/22 || || 퇴역 일자 || 1975/4/1 || || 최후 || 1975년 스크랩 || == DD-718 햄너 == |||| USS Hamner (DD-718) || || 함명의 유래 || 헨리 R. 햄너[* 구축함 [[플레처급 구축함|혼워스(DD-592)]]에서 복무하던 해군 장교. 1945년 혼워스가 일본군의 대규모 카미카제 공격을 받을 때 전사하였다.] || || 진수 일자 || 1945/11/24 || || 취역 일자 || 1946/7/12 || || 퇴역 일자 || 19??/?/? || || 최후 || 1980년 [[대만|중화민국]]에 양도되어 윤양(雲陽)으로 활동[br]2005년 잠수함 [[즈바르디스급 잠수함|하이후]]의 표적함으로 소모 || == DD-719 에퍼슨 == |||| USS Epperson (DD-719) || || 함명의 유래 || 해럴드 G. 에퍼슨[* 태평양 전쟁에 참전한 미해병대 병사. [[사이판 전투]] 당시 일본군이 던진 수류탄을 자신의 몸으로 덮어 전사하였다.] || || 진수 일자 || 1945/12/22 || || 취역 일자 || 1949/3/19 || || 퇴역 일자 || 1975/12/1 || || 최후 || 1977년 [[파키스탄]]에 양도되어 타이무르(Taimur)로 활동[br]2000년 표적함으로 소모 || == DD-742 프랭크 녹스 == |||| USS Frank Knox (DD-742) || || 함명의 유래 || [[프랭크 녹스|윌리엄 F. 녹스]] || || 진수 일자 || 1944/9/17 || || 취역 일자 || 1944/12/11 || || 퇴역 일자 || 1971/1/30 || || 최후 || 1977년 [[그리스]]에 양도되어 데미스토클리스(Θεμιστοκλής)로 활동[br]2001년 잠수함 [[209급 잠수함|네레우스]]와 어뢰정 키클론의 표적함으로 소모 || == DD-743 서덜랜드 == |||| USS Southerland (DD-743) || || 함명의 유래 || 윌리엄 H. H. 서덜랜드 || || 진수 일자 || 1944/10/5 || || 취역 일자 || 1944/12/22 || || 퇴역 일자 || 1981/2/26 || || 최후 || 1997년 표적함으로 소모 || == DD-763 윌리엄 C. 로우 == |||| USS William C. Lawe (DD-763) || || 함명의 유래 || 윌리엄 C. 로우[* 미드웨이 해전 당시 제8폭격기대대의 조종사. 해당 전투에서 전사. 사후 비행십자장 수여.] || || 진수 일자 || 1945/5/21 || || 취역 일자 || 1946/12/18 || || 퇴역 일자 || 1983/10/1 || || 최후 || 1999년 표적함으로 소모 || == DD-764 로이드 토머스 == |||| USS Lloyd Thomas (DD-764) || || 함명의 유래 || 로이드 토머스[* 미드웨이 해전 당시 제6폭격기대대의 조종사. 해당 전투에서 전사. 사후 해군십자장 수여.] || || 진수 일자 || 1945/10/5 || || 취역 일자 || 1947/3/21 || || 퇴역 일자 || 1972/10/12 || || 최후 || 1972년 [[대만|중화민국]]에 양도되어 당양(當陽)으로 활동[br]2002년 인공어초로 사용 || == DD-765 케플러 == |||| USS Keppler (DD-765) || || 함명의 유래 || 라인하트 J. 케플러[* 중순양함 [[뉴올리언스급 중순양함|샌프란시스코 (CA-38)]]에서 복무하던 수병. 과달카날 해전에서 치명상을 입고도 불을 끄고 부상자들을 보살피다 과다 출혈로 전사했다. 사후 명예 훈장 수여.] || || 진수 일자 || 1946/6/24 || || 취역 일자 || 1947/5/23 || || 퇴역 일자 || 1972/6/30 || || 최후 || 1972년 [[터키]]에 양도되어 트나즈 테페(Tınaztepe)로 활동[br]1985년 스크랩 || == DD-782 로완 == |||| USS Rowan (DD-782) || || 함명의 유래 || 스티븐 C. 로완 || || 진수 일자 || 1944/12/29 || || 취역 일자 || 1945/3/31 || || 퇴역 일자 || 1975/12/18 || || 최후 || 1977년 [[대만|중화민국]]에 양도되던 중 침몰 || == DD-783 거크 == |||| USS Gurke (DD-783) || || 함명의 유래 || 헨리 거크[* 태평양 전쟁에 참전한 미해병대 병사. [[부건빌 전역]] 당시 일본군이 던진 수류탄을 자신의 몸으로 덮어 전사하였다.] || || 진수 일자 || 1945/2/15 || || 취역 일자 || 1945/5/12 || || 퇴역 일자 || 1976/1/30 || || 최후 || 1977년 그리스에 양도되어 톰바지스(Τομπάζης)로 활동[br]? || == DD-785 헨더슨 == |||| USS Henderson (DD-785) || || 함명의 유래 || 로프턴 R. 헨더슨[* 태평양 전쟁에 참전한 미해병대 조종사. 미드웨이 해전에서 일본 항공모함 [[히류(항공모함)|히류]]를 공격하다 전사하였다. 사후 해군십자장 수여됨. 과달카날 전역의 헨더슨 비행장의 이름도 이 사람의 이름을 따서 지어진 것이었다.] || || 진수 일자 || 1945/5/28 || || 취역 일자 || 1945/8/4 || || 퇴역 일자 || 1980/9/30 || || 최후 || 1980년 [[파키스탄]]에 양도되어 토그릴(Tughril)로 활동[br]1998년 파키스탄 해양경비대에 양도되어 나짐(Nazim)으로 활동[br]2001년 퇴역 || == DD-786 리처드 A. 앤더슨 == |||| USS Richard B. Anderson (DD-786) || || 함명의 유래 || 리처드 B. 앤더슨[* 태평양 전쟁에 참전한 미해병대 병사. 콰잘레인 환초 전투 당시 자신이 떨어뜨린 수류탄을 자신의 몸으로 덮어 전사하였다.] || || 진수 일자 || 1945/7/7 || || 취역 일자 || 1945/10/26 || || 퇴역 일자 || 1975/12/20 || || 최후 || 1977년 [[대만|중화민국]]에 양도되어 카이양(開陽)으로 활동[br]1999년 퇴역 || == DD-787 제임스 E. 카이스 == |||| USS James E. Kyes (DD-787) || || 함명의 유래 || 제임스 E. 카이스[* [[대서양 전투]]에 구축함 [[평갑판형 구축함|리어리(DD-158)]]의 함장으로 참전한 미해군 장교. 독일 잠수함의 뇌격으로 리어리가 격침되자 배에서 탈출하지 못한 승무원이 있는지 찾아다녔다. 그러던 중 승무원 한 명이 입고있는 구명조끼가 손상된 것을 발견하자 자신의 구명조끼를 벗어주고 전사하였다. 사후 해군십자장 수여.] || || 진수 일자 || 1945/8/4 || || 취역 일자 || 1946/2/8 || || 퇴역 일자 || 1973/3/31 || || 최후 || 1973년 [[대만|중화민국]]에 양도되어 지안양(建陽)으로 활동[br]2004년 퇴역 || == DD-788 홀리스터 == |||| USS Hollister (DD-788) || || 함명의 유래 || 홀리스터 형제[*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미해군에서 복무한 삼형제. 장남인 라일 E. 홀리스터는 안치오 전투 당시 타고있던 구축함 [[글리브스급 구축함|플런켓(DD-431)]]이 폭격당하며 실종되었고 동생들인 리처드 홀리스터와 윌리엄 홀리스터는 호위항모 리스컴 베이(CVE-62)에서 근무하다 리스컴 베이가 격침되며 각각 전사, 실종되었다.] || || 진수 일자 || 1945/10/9 || || 취역 일자 || 1946/3/29 || || 퇴역 일자 || 1979/8/31 || || 최후 || 1983년 [[대만|중화민국]]에 양도되어 샤오양(邵陽)으로 활동[br]2004년 퇴역 || == DD-789 에버솔 == |||| USS Eversole (DD-789) || || 함명의 유래 || 존 T. 에버솔[* 미드웨이 해전 당시 제6폭격기대대의 조종사. 해당 전투에서 전사. 사후 해군십자장 수여.] || || 진수 일자 || 1945/1/8 || || 취역 일자 || 1946/3/10 || || 퇴역 일자 || 1973/7/11 || || 최후 || 1973년 [[터키]]에 양도되어 가이레트(Gayret)로 활동[br]1995년 퇴역[br]현재 [[이즈미르]]에서 전시 중 || == DD-790 셸턴 == ||<-2> USS Shelton (DD-790) || || 함명의 유래 || 제임스 A. 셸턴[* 미드웨이 해전 당시 제6정찰기대대의 조종사. 해당 전투에서 실종. 이후 해군십자장 수여.] || || 진수 일자 || 1946/3/8 || || 취역 일자 || 1946/6/21 || || 퇴역 일자 || 1973/3/31 || || 최후 || 1973년 [[대만|중화민국]]에 양도되어 라오양(萊陽)으로 활동[br]1999년 퇴역[br]2002년 인공어초로 사용 || == DD-791 시맨 == ||<-2> USS Seaman (DD-791) || || 함명의 유래 || 앨런 L. 시맨[* 태평양 전쟁 당시 해군항공대 조종사. 1944년 뉴기니의 일본군을 폭격하다가 자신의 초계기가 큰 손상을 입자 불시착하였다. 이로 인해 초계기 승무원 상당수를 살렸으나 시맨 본인은 실종되었다. 불시착에 대한 공로로 해군십자장을 수여받았고, 사망 선언이 난 후 능력을 기리며 두번째 해군십자장이 수여되었다.] || || 진수 일자 || 1946/5/29 || || 취역 일자 || -/-/- || || 특이 사항 || 마지막까지 미완성[br]태평양 예비함대에서 평생을 보냄 || || 퇴역 일자 || -/-/- || || 최후 || 1961년 스크랩 || == DD-805 셔벌리어 == ||<-2> USS Chevalier (DD-805) || || 함명의 유래 || 고드프리 D. 셔벌리어[* 초창기 미해군항공대 조종사. 항공모함 [[랭글리(항공모함)|랭글리(CV-1)]]의 비행갑판에 최초로 착함했다. 1922년 비행기 추락으로 사망.] || || 진수 일자 || 1944/10/29 || || 취역 일자 || 1945/1/9 || || 퇴역 일자 || 1972/7/1 || || 최후 || 1972년 [[대한민국]]에 양도되어 DD-95 충북으로 활동[br]DD-915 충북으로 함번변경 || === DD-915 충북 === ||<-2> ROKS 충북 (DD-915) || || 함명의 유래 || [[충청북도]] || || 취역 일자 || 1972/7/5 || || 퇴역 일자 || 2000/6/30 || || 최후 || 2000년 스크랩[br][[https://news.v.daum.net/v/20070813163210361|마스트는 군수사령부 국기게양대로 사용 중]] || == DD-806 힉비 == ||<-2> USS Higbee (DD-806) || || 함명의 유래 || 레나 H. S. 힉비[*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미해군 간호사. 최초로 살아서 해군십자장을 받은 여성이다.] || || 진수 일자 || 1944/11/13 || || 취역 일자 || 1945/1/27 || || 퇴역 일자 || 1979/7/15 || || 최후 || 1986년 표적함으로 소모 || == DD-807 베너 == ||<-2> USS Benner (DD-807) || || 함명의 유래 || 스탠리 G. 베너[* [[태평양 전쟁]] 당시 미해병대 부사관. [[과달카날 전역]]에서 전사. 사후 은성훈장이 수여되었다.] || || 진수 일자 || 1944/11/30 || || 취역 일자 || 1945/2/13 || || 퇴역 일자 || 1970/11/20 || || 최후 || 1975년 스크랩[* 1974년 [[대한민국]]에 판매를 시도했으나 거부됨.] || == DD-808 데니스 J. 버클리 == ||<-2> USS Dennis J. Buckley (DD-808) || || 함명의 유래 || 데니스 J. 버클리 주니어[* 구축함 [[글리브스급 구축함|에버를(DD-430)]]의 수병. 1943년 밀항선에 올라타려다가 밀항선 선원이 설치한 폭발물에 사망하였다. 사후 용기를 기려 은성훈장이 수여되었다.] || || 진수 일자 || 1944/12/20 || || 취역 일자 || 1945/3/2 || || 퇴역 일자 || 1973/7/2 || || 최후 || 1974년 스크랩 || == DD-817 코리 == ||<-2> USS Corry (DD-817) || || 함명의 유래 || 윌리엄 M. 코리 주니어[*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던 미해군항공대 장교. 전쟁이 끝난 후에도 군대에 남았으나 1920년에 타고가던 비행기가 추락했다. 당시 소령이었던 코리는 추락 당시에는 생존했지만 조종사를 구하기 위해 불타는 잔해를 뒤지다가 입은 화상으로 사망하였다. 그의 행위를 기리기 위해 사후 [[명예 훈장]]이 수여되었다.] || || 진수 일자 || 1945/7/28 || || 취역 일자 || 1946/2/27 || || 퇴역 일자 || 1981/2/27 || || 최후 || 1981년 [[그리스]]에 양도되어 크리에지스(Κριεζής)로 활동[br]2002년 스크랩 || == DD-818 뉴 == ||<-2> USS New (DD-818) || || 함명의 유래 || 존 D. 뉴[* [[태평양 전쟁]]에 참전한 미해병대 병사. [[펠렐리우 전투]] 당시 일본군이 던진 수류탄을 자신의 몸으로 덮어 전사하였다.] || || 진수 일자 || 1945/8/18 || || 취역 일자 || 1946/4/5 || || 퇴역 일자 || 1976/7/1 || || 최후 || 1977년 [[대한민국]]에 양도되어 DD-919 대전으로 활동. || === DD-919 대전 === ||<-2> ROKS 대전 (DD-919) || || 함명의 유래 || [[대전광역시]] || || 취역 일자 || 1977/3/25 || || 퇴역 일자 || 2000/3/31 || || 최후 || || == DD-819 홀더 == ||<-2> USS Holder (DD-819) || || 함명의 유래 || 랜돌프 M. 홀더[* [[미드웨이 해전]] 당시 제6뇌격기대대의 조종사. 해당 전투에서 전사. 사후 해군십자장 수여.] || || 진수 일자 || 1945/8/25 || || 취역 일자 || 1946/5/18 || || 퇴역 일자 || 1976/10/1 || || 최후 || 1977년 [[에콰도르]]에 양도되어 프레지덴테 엘로이 알파로(Presidente Eloy Alfaro)로 활동[br]1991년 스크랩 || == DD-820 리치 == ||<-2> USS Rich (DD-820) || || 함명의 유래 || 랄프 M. 리치[* [[태평양 전쟁]]에 참전했던 미해군항공대 비행사. 1942년 비행기 사고로 사망. 사후 미드웨이 전투 당시 보인 리더십을 기리는 의미로 해군십자장이 수여되었다.] || || 진수 일자 || 1945/10/5 || || 취역 일자 || 1946/7/3 || || 퇴역 일자 || 1977/11/10 || || 최후 || 1979년 스크랩 || == DD-821 [[존스턴]] == ||<-2> USS Johnston (DD-821) || || 함명의 유래 || 존 V. 존스턴[* [[남북전쟁]]에 참전했던 미해군 간부.] || || 진수 일자 || 1945/10/10 || || 취역 일자 || 1946/8/23 || || 퇴역 일자 || 1981/2/27 || || 최후 || 1981년 [[대만|중화민국]]에 양도되어 정양(正陽)으로 활동[br]2006년 표적함으로 소모 || == DD-822 로버트 H. 맥카드 == ||<-2> USS Robert H. McCard (DD-822) || || 함명의 유래 || 로버트 H. 맥카드[* [[태평양 전쟁]]에 참전했던 미해병대 부사관. [[사이판 전투]]에서 자신의 전차가 일본군 포대의 공격을 받자 응전하였지만 일본군 포대의 상대가 되지 않자 전차 밖으로 몸을 내밀고 수류탄을 던지며 다른 승무원들이 탈출할 시간을 벌어주었다. 이후 수류탄이 다 떨어지자 중상을 입은 몸으로 전차 기관총을 떼어내어 16명의 일본군을 사살하고 전사하였다. 이 공로로 사후 [[명예 훈장]]이 수여되었다.] || || 진수 일자 || 1945/11/9 || || 취역 일자 || 1946/10/23 || || 퇴역 일자 || 1980/6/5 || || 최후 || 1980년 [[터키]]에 양도되어 클르츠 알리 파샤(kılıçalipaşa)로 활동[br]2000년 스크랩 || == DD-823 새뮤얼 B. 로버츠 == ||<-2> USS Samuel B. Roberts (DD-823) || || 함명의 유래 || [[새뮤얼 B. 로버츠|새뮤얼 B. 로버츠 주니어]] || || 진수 일자 || 1945/11/30 || || 취역 일자 || 1946/12/22 || || 퇴역 일자 || 1970/11/2 || || 최후 || 1971년 [[A-6]]의 표적함으로 소모 || == DD-824 바실론 == ||<-2> USS Basilone (DD-824) || || 함명의 유래 || [[존 바실론]] || || 진수 일자 || 1945/12/21 || || 취역 일자 || 1949/7/26 || || 퇴역 일자 || 1977/11/1 || || 최후 || 1982년 표적함으로 소모 || == DD-825 카펜터 == ||<-2> USS Carpenter (DD-825) || || 함명의 유래 || 도널드 M. 카펜터[* 두 세계대전에 참전한 미해군 장교. 1940년 폐렴으로 사망.] || || 진수 일자 || 1945/9/28 || || 취역 일자 || 1949/12/15 || || 퇴역 일자 || 1981/2/20 || || 최후 || 1981년 [[터키]]에 양도되어 아느 테페(Anıttepe)로 활동[br]1999년 스크랩 || == DD-826 에이저홈 == ||<-2> USS Agerholm (DD-826) || || 함명의 유래 || 해럴드 C. 에이저홈[* [[태평양 전쟁]]에 참전한 미해병대 병사. [[사이판 전투]] 도중 부상자 구조 임무에 자원했다. 일본군의 총포화를 뚫고 3시간 동안 약 45명의 사상자를 데려오는데는 성공했으나 일본군이 쏜 소총에 맞아 전사하였다. 이 공로로 사후 [[명예 훈장]]이 수여되었다.] || || 진수 일자 || 1946/3/30 || || 취역 일자 || 1946/6/20 || || 퇴역 일자 || 1978/12/1 || || 최후 || 1982년 잠수함 [[스터전급 잠수함|기타로(SSN-665)]]의 표적함으로 소모 || == DD-827 로버트 A. 오웬스 == ||<-2> USS Robert A. Owens (DD-827) || || 함명의 유래 || 로버트 A. 오웬스[* [[태평양 전쟁]]에 참전한 미해병대 부사관. [[부건빌 전역]] 당시 아군 상륙정을 공격하는 일본군 75mm 포 진지의 정면으로 돌격해 일본군 병사들을 쫓아냈다. 오웬스는 이 행동을 통해 아군 상륙정에 가해지는 포격을 멈추고 수많은 미군을 살릴 수 있었지만 자신은 일본군의 반격으로 사망하였다. 이 공로로 사후 [[명예 훈장]]과 해군십자장이 수여되었다.] || || 진수 일자 || 1946/7/15 || || 취역 일자 || 1948/1/28 || || 퇴역 일자 || 1982/2/16 || || 최후 || 1982년 [[터키]]에 양도되어 알치 테페(Alçıtepe)로 활동[br]1999년 퇴역 || == DD-828 팀머만 == ||<-2> USS Timmerman (DD-828) || || 함명의 유래 || 그랜트 F. 팀머만[* [[태평양 전쟁]]에 참전한 미해병대 부사관. 보직은 전차장으로 [[사이판 전투]]에서 일본군이 열린 전차 해치를 노리고 던진 수류탄을 자신의 몸으로 막아 전사하였다. 이 공로로 사후 [[명예 훈장]]이 수여되었다.] || || 진수 일자 || 1951/5/19 || || 취역 일자 || 1952/9/26 || || 특이 사항 || 실험적 성격의 경량 구축함[br]시험 및 평가를 위해 진보된 설계를 채용함 || || 퇴역 일자 || 1956/7/27 || || 최후 || 1959년 스크랩 || == DD-829 마일즈 C. 폭스 == ||<-2> USS Myles C. Fox (DD-829) || || 함명의 유래 || 마일즈 C. 폭스[* [[태평양 전쟁]]에 참전한 미해병대 장교. 툴라기 전투에서 치명상을 입고도 지휘를 계속 하다 전사하였다. 이 공로로 사후 해군십자장이 수여되었다.] || || 진수 일자 || 1945/1/13 || || 취역 일자 || 1945/3/20 || || 퇴역 일자 || 1979/10/1 || || 최후 || 1980년 [[그리스]]에 양도[br]부품 수급을 위해 스크랩 || == DD-830 에버렛 F. 라슨 == ||<-2> USS Everett F. Larson (DD-830) || || 함명의 유래 || 에버렛 F. 라슨[* [[태평양 전쟁]]에 참전한 미해병대 병사. [[과달카날 전역]]에서 포화를 뚫고 부상을 입은 전우를 구하려다 전사하였다. 이 공로로 사후 은성훈장이 수여되었다.] || || 진수 일자 || 1945/1/28 || || 취역 일자 || 1945/4/6 || || 특이 사항 || 1949년 레이더 피켓 구축함(DDR)으로 재분류[br]1962년 구축함(DD)으로 재분류 || || 퇴역 일자 || 1972/10/30 || || 최후 || 1972년 [[대한민국]]에 양도되어 DD-96 전북으로 활동[br]DD-916 전북으로 함번 변경 || === DD-916 전북 === ||<-2> [[파일:sGewDWT.jpg|width=100%]] || ||<-2> ROKS 전북 (DD-916) || || 함명의 유래 || [[전라북도]] || || 취역 일자 || 1972/10/30 || || 특이 사항 || 1975년 [[가거도]]에서 간첩선 격침 || || 퇴역 일자 || 1999/4/30 || || 최후 || [[강릉통일공원]]에 전시 중 2021년 10월 15일 해채식 이후 해채 || == DD-831 굿리치 == ||<-2> USS Goodrich (DD-831) || || 함명의 유래 || 카스파 F. 굿리치[* [[미국-스페인 전쟁]]과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미해군 제독.][br]카스파 굿리치[* 카스파 F. 굿리치의 아들. 미해군 장교로 복무하던 중 1907년 발생한 전함 조지아(BB-15)의 포탑 폭발 사고로 사망했다.] || || 진수 일자 || 1945/2/25 || || 취역 일자 || 1945/4/24 || || 특이 사항 || 1949년 레이더 피켓 구축함(DDR)으로 재분류[br]1969년 구축함(DD)으로 재분류 || || 퇴역 일자 || 1969/11/30 || || 최후 || 1977년 스크랩 || == DD-832 핸슨 == ||<-2> USS Hanson (DD-832) || || 함명의 유래 || 로버트 M. 핸슨[* [[태평양 전쟁]]에 참전한 미해병대 조종사. 26기의 일본군 항공기를 격추한 [[에이스(전투조종사)|에이스]]로 26기 중 20기는 6일 동안 격추시킨 것이다. 이 공로로 [[명예 훈장]]과 해군십자장, 항공훈장을 수여받았다. 1944년 전투기 추락으로 사망.] || || 진수 일자 || 1945/3/11 || || 취역 일자 || 1945/5/11 || || 특이 사항 || 1949년 레이더 피켓 구축함(DDR)으로 재분류[br]1964년 구축함(DD)으로 재분류 || || 퇴역 일자 || 1973/3/31 || || 최후 || 1972년 [[대만|중화민국]]에 양도되어 랴오양(遼陽)으로 활동[br]2004년 퇴역 || == DD-833 허버트 J. 토머스 == ||<-2> USS Herbert J. Thomas (DD-833) || || 함명의 유래 || 허버트 J. 토머스 주니어[* [[태평양 전쟁]]에 참전한 미해병대 부사관. [[부건빌 전역]]에서 자신이 던진 수류탄이 덩굴에 튕겨 되돌아오자 수류탄을 몸으로 덮어서 전사하였다. 이 공로로 사후 [[명예 훈장]]이 수여되었다.] || || 진수 일자 || 1945/3/25 || || 취역 일자 || 1945/5/29 || || 특이 사항 || 1949년 레이더 피켓 구축함(DDR)으로 재분류[br]1964년 구축함(DD)으로 재분류 || || 퇴역 일자 || 1970/12/4 || || 최후 || 1974년 [[대만|중화민국]]에 양도되어 한양(漢陽)으로 활동[br]1999년 인공어초로 사용 || == DD-834 터너 == ||<-2> USS Turner (DD-834) || || 함명의 유래 || 대니얼 터너[* [[미영전쟁]]에 참전한 미해군 장교.] || || 진수 일자 || 1945/4/8 || || 취역 일자 || 1945/6/12 || || 특이 사항 || 1949년 레이더 피켓 구축함(DDR)으로 재분류[br]1969년 구축함(DD)으로 재분류 || || 퇴역 일자 || 1969/9/26 || || 최후 || 1969년 스크랩 || == DD-835 찰스 P. 세실 == ||<-2> USS Charles P. Cecil (DD-835) || || 함명의 유래 || 찰스 P. 세실[* [[태평양 전쟁]]에 참전한 미해군 제독. [[산타크루즈 해전]] 당시 제5구축함분대(Destroyer Division 5) 사령관이었으며 경순양함 [[세인트루이스급 경순양함|헬레나(CL-50)]]의 마지막 함장이었다. 무공을 세워 해군십자장과 금성훈장, 동성훈장을 수여받았지만 1944년 비행기 사고로 사망했다.] || || 진수 일자 || 1945/4/22 || || 취역 일자 || 1945/6/29 || || 특이 사항 || 1949년 레이더 피켓 구축함(DDR)으로 재분류[br]1963년 구축함(DD)으로 재분류 || || 퇴역 일자 || 1979/10/1 || || 최후 || 1980년 [[그리스]]에 양도되어 아포스톨리스(Αποστόλης)로 활동[br]2003년 스크랩 || == DD-836 조지 K. 맥켄지 == ||<-2> USS George K. MacKenzie (DD-836) || || 함명의 유래 || 조지 K. 맥켄지[* [[태평양 전쟁]]에 참전한 미해군 장교. 잠수함 트리톤(SS-201)의 마지막 함장이었다. 1943년 트리톤이 일본군 구축함들에게 격침되며 전사.] || || 진수 일자 || 1945/5/13 || || 취역 일자 || 1945/7/13 || || 퇴역 일자 || 1976/9/30 || || 최후 || 1976년 표적함으로 소모 || == DD-837 사스필드 == ||<-2> USS Sarsfield (DD-837) || || 함명의 유래 || 유진 S. 사스필드[*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미해군 장교. 구축함 [[글리브스급 구축함|매독스(DD-622)]]의 마지막 함장으로 1943년 매독스가 독일군 폭격기에 의해 격침되며 실종되었다. 이 공로로 사후 해군십자장이 수여되었다.] || || 진수 일자 || 1945/5/27 || || 취역 일자 || 1945/7/31 || || 퇴역 일자 || 1977/10/1 || || 최후 || 1977년 [[대만|중화민국]]에 양도되어 더양(德陽)으로 활동[br]현재 [[타이난]]에서 전시 중 || == DD-838 어니스트 G. 스몰 == ||<-2> USS Ernest G. Small (DD-838) || || 함명의 유래 || 어니스트 G. 스몰[*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미해군 제독. [[아오바(중순양함)#s-2.5|에스페란스 곶 해전]] 당시 [[펜사콜라급 중순양함|솔트레이크시티(CA-25)]]의 함장으로 무공을 세워 해군십자장을 수여받았으며 1943년에는 태평양 함대 작전장교로, 1944년에는 제5순양함분대 지휘관으로 복무했다. 1944년 [[브루클린]]에서 사망.] || || 진수 일자 || 1945/6/14 || || 취역 일자 || 1945/8/21 || || 특이 사항 || 1952년 레이더 피켓 구축함(DDR)으로 재분류[br]1969년 구축함(DD)으로 재분류 || || 퇴역 일자 || 1970/11/15 || || 최후 || 1971년 [[대만|중화민국]]에 양도되어 푸양(富陽)으로 활동[br]2003년 표적함으로 소모 || 한국전쟁 도중 흥남 앞바다에서 기뢰를 밟고 함수와 1번 포탑을 잃었지만 항행능력은 잃지 않아 그대로 [[구레지방대|구레 항]]으로 복귀, 임시 수리 후 본토로 귀환, 이후 미완성인 자매함 DD-767 세이모어 D. 오언스를 이용하여 수리한 뒤 DDR-838으로 재취역했다.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kancolle&no=2128064|참조 글]] == DD-839 파워 == ||<-2> USS Power (DD-839) || || 함명의 유래 || 존 V. 파워[*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미해병대 장교. 콰잘레인 환초 전투에서 일본군 특화점에 폭약을 설치하다가 배에 총을 맞았지만 굴하지 않고 폭약을 터뜨리고 M1 카빈을 사격하다가 한 발 더 맞고 전사하였다. 이 공로로 사후 [[명예 훈장]]이 수여되었다.] || || 진수 일자 || 1945/6/30 || || 취역 일자 || 1945/9/13 || || 퇴역 일자 || 1977/10/1 || || 최후 || 1977년 [[대만|중화민국]]에 양도되어 선양(瀋陽)으로 활동[br]2005년 퇴역 || == DD-840 글레넌 == ||<-2> USS Glennon (DD-840) || || 함명의 유래 || 제임스 H. 글레넌[* [[미국-스페인 전쟁]]과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미해군 제독. 아직 일개 장교였던 미국-스페인 전쟁 당시에는 전함 메사추세츠(BB-2)의 전방 포탑 지휘 장교로 스페인군 순양함 레이나 메르세데스를 격침시키는데 참가했다. 제1차 세계 대전 당시에는 제5전함분대의 지휘관으로 복무하며 해군십자장을 수여받았다. 1940년 [[워싱턴 D.C.]]에서 사망.] || || 진수 일자 || 1945/7/14 || || 취역 일자 || 1945/10/4 || || 퇴역 일자 || 1976/10/1 || || 최후 || 1981년 표적함으로 소모 || == DD-841 노아 == ||<-2> USS Noa (DD-841) || || 함명의 유래 || 러브맨 노아[* 19세기 말~20세기 초의 미해군 장교. 1901년 미국령 필리핀에서 밀수 조직을 찾다가 필리핀인들에게 살해되었다.] || || 진수 일자 || 1945/7/30 || || 취역 일자 || 1945/11/2 || || 퇴역 일자 || 1973/10/31 || || 최후 || 1971년 [[스페인]]에 양도되어 블라스 데 레조(Blas De Lezo)로 활동[br]1991년 스크랩 || 우주비행사인 [[존 글렌]] [[대령]]이 탑승한 로켓이 우주비행을 마치고 바다에 착수하자 존 글렌 대령을 구조했었다. == DD-842 피스크 == ||<-2> USS Fiske (DD-842) || || 함명의 유래 || 브래들리 A. 피스크[* 19세기 말~20세기 초의 미해군 제독 겸 발명가. 전기로 회전하는 군함 포탑, 전기 거리측정기, 뇌격기 등을 구상하였다.] || || 진수 일자 || 1945/9/8 || || 취역 일자 || 1945/11/28 || || 특이 사항 || 1952년 레이더 피켓 구축함(DDR)으로 재분류[br]1964년 구축함(DD)으로 재분류 || || 퇴역 일자 || 1980/6/6 || || 최후 || 1980년 [[터키]]에 양도되어 피얄레 파샤(Piyalepaşa)로 활동[br]1999년 스크랩 || == DD-843 워링턴 == ||<-2> USS Warrington (DD-843) || || 함명의 유래 || 루이스 워링턴[* [[미영전쟁]]에 참전한 미해군 장교. 슬루프 오브 워 피콕을 지휘해 영국군 브릭 에페르비에를 나포하는 등의 무공을 세웠다.] || || 진수 일자 || 1945/9/27 || || 취역 일자 || 1945/12/20 || || 퇴역 일자 || 1972/9/30 || || 최후 || 1973년 [[대만|중화민국]]에 양도[br]부품 수급을 위해 스크랩 || == DD-844 페리 == ||<-2> USS Perry (DD-844) || || 함명의 유래 || 올리버 해저드 페리[* [[1차 바르바리 전쟁]]과 [[미영전쟁]]에 참전한 미해군 장교. 이리호 해전 당시 기함이었던 브릭 로렌스가 격침되자 브릭 나이아가라로 옮겨탄 이후 전투를 계속 지휘해 승리하였다.] || || 진수 일자 || 1945/10/25 || || 취역 일자 || 1946/1/17 || || 퇴역 일자 || 1973/7/1 || || 최후 || 1974년 스크랩 || == DD-845 바우셀 == ||<-2> USS Bausell (DD-845) || || 함명의 유래 || 루이스 K. 바우셀[* [[태평양 전쟁]]에 참전한 미해병대 병사. [[펠렐리우 전투]]에서 일본군이 던진 수류탄을 몸으로 덮어 입은 부상으로 3일 후 전사하였다. 이 공로로 사후 [[명예 훈장]]이 수여되었다.] || || 진수 일자 || 1945/11/19 || || 취역 일자 || 1946/2/7 || || 퇴역 일자 || 1978/5/30 || || 최후 || 1987년 [[하푼]] 미사일의 표적함으로 소모 || == DD-846 오즈번 == ||<-2> USS Ozbourn (DD-846) || || 함명의 유래 || 조셉 W. 오즈번[* [[태평양 전쟁]]에 참전한 미해병대 병사. 티니안 전투에서 일본군이 던진 수류탄을 몸으로 덮어 전사하였다. 이 공로로 사후 [[명예 훈장]]이 수여되었다.] || || 진수 일자 || 1945/12/22 || || 취역 일자 || 1946/3/5 || || 퇴역 일자 || 1970/5/30 || || 최후 || 1975년 스크랩 || == DD-847 로버트 L. 윌슨 == ||<-2> USS Robert L. Wilson (DD-847) || || 함명의 유래 || 로버트 L. 윌슨[* [[태평양 전쟁]]에 참전한 미해병대 병사. 티니안 전투에서 일본군이 던진 수류탄을 몸으로 덮어 전사하였다. 이 공로로 사후 [[명예 훈장]]이 수여되었다.] || || 진수 일자 || 1946/1/5 || || 취역 일자 || 1946/3/28 || || 퇴역 일자 || 1974/9/30 || || 최후 || 1980년 [[하푼]] 미사일의 표적함으로 소모 || == DD-848 비텍 == ||<-2> USS Witek (DD-848) || || 함명의 유래 || 프랭크 P. 비텍[* [[태평양 전쟁]]에 참전한 미해병대 병사. [[제2차 괌 전투]]에서 분대가 위장하던 일본군 초소의 기습 사격을 받자 [[M1918 브라우닝]]을 사격해 8명을 사살하고 분대원들이 엄폐할 시간을 줬다. 이후 분대가 후퇴하자 들것을 든 병사들이 와서 중상을 입은 전우를 데려갈 때 까지 그 자리에 남아 일본군을 막았다. 같은 날 소대가 일본군 기관총에 제압되자 그대로 뛰쳐나가 기관총을 파괴하고 8명의 일본군을 사살했지만 운이 다 했는지 소총에 맞아 전사하였다. 이 공로로 사후 [[명예 훈장]]이 수여되었다.] || || 진수 일자 || 1946/2/2 || || 취역 일자 || 1946/4/23 || || 퇴역 일자 || 1968/8/19 || || 최후 || 1969년 표적함으로 소모 || == DD-849 리처드 E. 크라우스 == ||<-2> USS Richard E. Kraus (DD-849) || || 함명의 유래 || 리처드 E. 크라우스[* [[태평양 전쟁]]에 참전한 미해병대 병사. [[펠렐리우 전투]]에서 일본군이 던진 수류탄을 몸으로 덮어 전사하였다. 이 공로로 사후 [[명예 훈장]]이 수여되었다.] || || 진수 일자 || 1946/3/2 || || 취역 일자 || 1946/5/23 || || 특이 사항 || 1949년 기타 보조함(AG)으로 재분류[br]1954년 구축함(DD)으로 재분류 || || 퇴역 일자 || 1976/7/1 || || 최후 || 1977년 [[대한민국]]에 양도되어 DD-921 광주로 활동 || === DD-921 광주 === ||<-2> [[파일:external/www.roknavyveteransass.com/921.jpg|width=100%]] || ||<-2> ROKS 광주 (DD-921) || || 함명의 유래 || [[광주광역시]] || || 취역 일자 || 1977/3/25 || || 퇴역 일자 || 2000/12/29 || || 최후 || || == DD-850 조셉 P. 케네디 주니어 == ||<-2> USS Joseph P. Kennedy Jr. (DD-850) || || 함명의 유래 || 조셉 P. 케네디 주니어[*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미해군항공대 조종사. [[아프로디테 계획]]에 참가했다가 1944년 사고로 사망했다. 이 공로로 사후 해군십자장이 수여되었다. 참고로 [[존 F. 케네디]]의 형이다.] || || 진수 일자 || 1945/7/26 || || 취역 일자 || 1945/12/15 || || 퇴역 일자 || 1973/7/2 || || 최후 || 현재 [[매사추세츠]] 폴리버에서 전시 중 || == DD-851 루퍼터스 == ||<-2> USS Rupertus (DD-851) || || 함명의 유래 || 윌리엄 H. 루퍼터스[* [[태평양 전쟁]]에 참전한 미해병대 장군. 제1해병사단의 부사단장으로 복무하면서 툴라기, 가부투, 타남보고에 대한 공격을 성공적으로 계획하고 이끌어 해군십자장을 수여받았다. 1943년 7월부터는 제1해병사단의 사단장이 되어 뉴브리튼과 팔라우에서 사단을 지휘했다. 미해병대의 [[복무신조]]인 소총수의 신조를 쓴 인물이기도 하다. 1945년 심장마비로 사망.] || || 진수 일자 || 1945/9/21 || || 취역 일자 || 1946/3/8 || || 퇴역 일자 || 1973/7/10 || || 최후 || 1973년 [[그리스]]에 양도되어 코운토우리오티스(Κουντουριώτης)로 활동[br]? || == DD-852 레너드 F. 메이슨 == ||<-2> USS Leonard F. Mason (DD-852) || || 함명의 유래 || 레너드 F. 메이슨[* [[태평양 전쟁]]에 참전한 미해병대 병사. 제2차 [[괌 전투]]에서 일본군 기관총 두 정에 의해 치명상을 입었지만 이에 굴하지 않고 적 초소를 처리하고서 전사했다. 이 공로로 사후 [[명예 훈장]]이 수여되었다.] || || 진수 일자 || 1946/1/4 || || 취역 일자 || 1946/6/28 || || 퇴역 일자 || 1976/11/2 || || 최후 || 1978년 [[대만|중화민국]]에 양도되어 쉬양(綏陽)으로 활동[br]2000년 인공어초로 사용 || == DD-853 찰스 H. 론 == ||<-2> USS Charles H. Roan (DD-853) || || 함명의 유래 || 찰스 H. 론[* [[태평양 전쟁]]에 참전한 미해병대 병사. [[펠렐리우 전투]]에서 일본군이 던진 수류탄을 몸으로 덮어 전사하였다. 이 공로로 사후 [[명예 훈장]]이 수여되었다.] || || 진수 일자 || 1946/3/15 || || 취역 일자 || 1946/9/12 || || 퇴역 일자 || 1973/9/21 || || 최후 || 1973년 [[터키]]에 양도되어 마레샬 페브지 차크마크(Mareşal Fevzi Çakmak)로 활동[br]1995년 스크랩 || == DD-858 프레드 T. 베리 == ||<-2> USS Fred T. Berry (DD-858) || || 함명의 유래 || 프레드 T. 베리[*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미해군 장교. 구축함 맥콜(DD-28)의 함장으로 복무하면서 보인 업적으로 해군십자장을 수여받았다. 이후 비행선 장교로 전속, 비행선 로스앤젤레스(ZR-3)의 함장을 맡았다. 이후 [[공중항모]] 비행선인 아크론(ZRS-4)의 함장을 맡았으나 1933년 아크론이 추락하며 사망했다.] || || 진수 일자 || 1945/1/28 || || 취역 일자 || 1945/5/12 || || 특이 사항 || 1950년 호위구축함(DDE)으로 재분류 || || 퇴역 일자 || 1970/9/15 || || 최후 || 1972년 자침 || == DD-859 노리스 == ||<-2> USS Norris (DD-859) || || 함명의 유래 || 벤저민 W. 노리스[* [[태평양 전쟁]]에 참전한 미해병항공대 조종사. [[미드웨이 해전]]에서 전사했다. 이 공로로 사후 해군십자장이 수여되었다.] || || 진수 일자 || 1945/2/25 || || 취역 일자 || 1945/6/9 || || 특이 사항 || 1950년 호위구축함(DDE)으로 재분류[br]1962년 구축함(DD)으로 재분류 || || 퇴역 일자 || 1970/12/4 || || 최후 || 1974년 [[터키]]에 양도되어 코자테페(Kocatepe)로 활동[br]1993년 스크랩 || == DD-860 맥카페리 == ||<-2> USS McCaffery (DD-860) || || 함명의 유래 || 조셉 P. 맥카페리[* [[태평양 전쟁]]에 참전한 미해병대 장교. [[부건빌 전역]]에서 전사했다. 이 공로로 사후 해군십자장이 수여되었다.] || || 진수 일자 || 1945/4/4 || || 취역 일자 || 1945/7/26 || || 특이 사항 || 1950년 호위구축함(DDE)으로 재분류[br]1962년 구축함(DD)으로 재분류 || || 퇴역 일자 || 1973/9/30 || || 최후 || 1974년 스크랩 || == DD-861 하우드 == ||<-2> USS Harwood (DD-861) || || 함명의 유래 || 브루스 L. 하우드[* [[태평양 전쟁]]에 참전한 미해군항공대 조종사. [[동부 솔로몬 해전]]에서 보인 무공으로 해군십자장을 수여받았으며 이후 [[과달카날 전역]]에서 편대장으로써 보인 용맹함으로 금성훈장을 수여받는다. [[레이테 만 해전]]에서 경항모 [[인디펜던스급 경항공모함|프린스턴(CVL-23)]]이 일본군의 공습으로 격침되며 전사한다.] || || 진수 일자 || 1945/5/22 || || 취역 일자 || 1945/9/28 || || 특이 사항 || 1950년 호위구축함(DDE)으로 재분류[br]1963년 구축함(DD)으로 재분류 || || 퇴역 일자 || 1971/12/17 || || 최후 || 1971년 [[터키]]에 양도되어 코자테페(Kocatepe)로 활동[br]1974년 [[키프로스 전쟁]]에서 터키군 [[F-104]]에 의해 격침[* 조종사가 그리스군 함선으로 오해하고 폭격했다.] || == DD-862 포겔게상 == ||<-2> USS Vogelgesang (DD-862) || || 함명의 유래 || 칼 T. 포겔게상[*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미해군 제독.] || || 진수 일자 || 1945/1/15 || || 취역 일자 || 1945/4/28 || || 퇴역 일자 || 1982/2/24 || || 최후 || 1982년 [[멕시코]]에 양도되어 케찰코아틀(Quetzalcoatl)로 활동[br]2002년 인공어초로 사용 || == DD-863 슈타이네이커 == ||<-2> USS Steinaker (DD-863) || || 함명의 유래 || 도널드 B. 슈타이네이커[* [[태평양 전쟁]]에 참전한 미해병대 병사. [[과달카날 전투]]에서 밀려오는 일본군을 상대로 끝까지 항전하다가 전사했다. 이 공로로 사후 해군십자장이 수여되었다.] || || 진수 일자 || 1945/2/13 || || 취역 일자 || 1945/5/26 || || 특이 사항 || 1952년 레이더피켓구축함(DDR)으로 재분류[br]1964년 구축함(DD)으로 재분류 || || 퇴역 일자 || 1982/2/24 || || 최후 || 1982년 [[멕시코]]에 양도되어 네차후아코요틀(Netzahualcoyotl)로 활동[br]2014년 인공어초로 사용 || == DD-864 해럴드 J. 엘리슨 == ||<-2> USS Harold J. Ellison (DD-864) || || 함명의 유래 || 해럴드 J. 엘리슨[* [[태평양 전쟁]]에 참전한 미해군항공대 조종사. [[미드웨이 해전]] 당시 제8뇌격기대대의 조종사로 싸우다가 실종되었다. 이 공로로 사후 해군십자장이 수여되었다.] || || 진수 일자 || 1945/3/14 || || 취역 일자 || 1945/6/23 || || 퇴역 일자 || 1983/10/1 || || 최후 || 1983년 [[파키스탄]]에 양도되어 샤 자한(Shah Jahan)으로 활동[br]1994년 표적함으로 소모 || == DD-865 찰스 R. 웨어 == ||<-2> USS Charles R. Ware (DD-865) || || 함명의 유래 || 찰스 R. 웨어[* [[태평양 전쟁]]에 참전한 미해군항공대 조종사. [[미드웨이 해전]] 당시 제5정찰기대대의 조종사로 싸우다가 실종되었다. 이 공로로 사후 해군십자장이 수여되었다.] || || 진수 일자 || 1945/4/12 || || 취역 일자 || 1945/7/21 || || 퇴역 일자 || 1974/12/12 || || 최후 || 1981년 표적함으로 소모 || == DD-866 콘 == ||<-2> USS Cone (DD-866) || || 함명의 유래 || 허치 I. 콘[*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미해군 제독. 해외 미해군항공대 지휘를 담당했다.] || || 진수 일자 || 1945/5/10 || || 취역 일자 || 1945/8/18 || || 퇴역 일자 || 1982/10/1 || || 최후 || 1983년 [[파키스탄]]에 양도되어 아람기르(Alamgir)로 활동[br]1998년 스크랩 || == DD-867 스트리블링 == ||<-2> USS Stribling (DD-867) || || 함명의 유래 || 코넬리우스 K. 스트리블링[* [[미국-멕시코 전쟁]]과 [[남북전쟁]]에 참전한 미해군 제독.] || || 진수 일자 || 1945/6/8 || || 취역 일자 || 1945/9/29 || || 퇴역 일자 || 1976/7/1 || || 최후 || 1980년 표적함으로 소모 || == DD-868 브라운슨 == ||<-2> USS Brownson (DD-868) || || 함명의 유래 || 윌리엄 H. 브라운슨[* 초기 아시아함대를 지휘했던 미해군 제독.] || || 진수 일자 || 1945/7/7 || || 취역 일자 || 1945/11/17 || || 퇴역 일자 || 1976/9/30 || || 최후 || 1977년 스크랩 || == DD-869 아널드 J. 이즈벨 == ||<-2> USS Arnold J. Isbell (DD-869) || || 함명의 유래 || 아널드 J. 이즈벨[* [[태평양 전쟁]]에 참전한 미해군 장교. 조종사 출신으로 호위항모 [[보그급 호위항공모함|카드(CVE-11)]]의 함장으로 복무했다. 1945년 항공모함 [[에식스급 항공모함|요크타운(CV-10)]]의 함장으로 임명되었지만 승객으로 타고있던 항공모함 [[에식스급 항공모함|프랭클린(CV-13)]]이 일본군의 공습을 받을 때 실종되었다.] || || 진수 일자 || 1945/8/6 || || 취역 일자 || 1946/1/5 || || 퇴역 일자 || 1974/2/1 || || 최후 || 1974년 [[그리스]]에 양도되어 사크토우리스(Σαχτούρης)로 활동[br]2002년 스크랩 || == DD-870 펙틀러 == ||<-2> USS Fechteler (DD-870) || || 함명의 유래 || 어거스투스 F. 펙틀러[*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미해군 제독. 전쟁 당시 제6분대와 노퍽 조선소를 잘 관리한 공로로 해군십자장을 수여받았다.][br]프랭크 C. 펙틀러[* 어거스투스 F. 펙틀러의 아들로 미해군 장교.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조종사로 보직을 바꾸었다. 1922년 비행기 사고로 사망.] || || 진수 일자 || 1945/9/19 || || 취역 일자 || 1946/3/2 || || 특이 사항 || 1953년 레이더피켓구축함(DDR)으로 재분류 || || 퇴역 일자 || 1970/9/11 || || 최후 || 1972년 스크랩 || == DD-871 다마토 == ||<-2> USS Damato (DD-871) || || 함명의 유래 || 앤서니 P. 다마토[* [[태평양 전쟁]]에 참전한 미해병대 병사. 에니웨톡 환초 전투 당시 일본군이 던진 수류탄을 자신의 몸으로 덮어 전사하였다. 이 공로로 사후 [[명예 훈장]]이 수여되었다.] || || 진수 일자 || 1945/11/21 || || 취역 일자 || 1946/4/27 || || 퇴역 일자 || 1980/9/30 || || 최후 || 1980년 [[파키스탄]]에 양도되어 티푸 술탄(Tipu Sultan)으로 활동[br]1995년 스크랩 || == DD-872 포레스트 로열 == ||<-2> USS Forrest Royal (DD-872) || || 함명의 유래 || 포레스트 B. 로열[* [[태평양 전쟁]]에 참전한 미해군 제독. 상륙작전의 달인으로 레이테, 루존, 민다나오, 보르네오에서 상륙전단을 지휘해 공로 훈장을 수여받았다. 1945년 심장마비로 사망한 이후 그의 능력을 기리며 금성훈장이 수여되었다.] || || 진수 일자 || 1946/1/17 || || 취역 일자 || 1946/6/29 || || 퇴역 일자 || 1971/3/22 || || 최후 || 1971년 [[터키]]에 양도되어 아다테페(Adatepe)로 활동[br]1993년 스크랩 || == DD-873 호킨스 == ||<-2> USS Hawkins (DD-873) || || 함명의 유래 || 윌리엄 D. 호킨스[* [[태평양 전쟁]]에 참전한 미해병대 장교. [[타라와 전투]] 당시 휘하 병사들을 이끌고 6개 이상의 일본군 특화점을 격파하였다. 이 과정에서 가슴에 부상을 입었지만 물러나기를 거부하고 계속하여 특화점을 파괴하다가 전사한다. 이 공로로 사후 [[명예 훈장]]이 수여되었다.] || || 진수 일자 || 1944/10/7 || || 취역 일자 || 1945/2/10 || || 특이 사항 || 1949년 레이더피켓구축함(DDR)으로 재분류[br]1964년 구축함(DD)으로 재분류 || || 퇴역 일자 || 1979/10/1 || || 최후 || 1983년 [[대만|중화민국]]에 양도되어 지양(資陽)으로 활동[br]2000년 스크랩[br][[https://www.cna.edu.tw/tw/SchoolMapDetail.php?progId=SCH001&cms=cms_119|상부 구조물은 해군사관학교에 전시 중]] || == DD-874 던컨 == ||<-2> USS Duncan (DD-874) || || 함명의 유래 || 사일러스 던컨[* [[미영전쟁]]에 참전한 미해군 장교. 플래츠버그 해전 당시 기함인 초계함 새러토가의 승무원이었는데, 영국군의 집중포화로 오른팔을 잃으면서도 [[건보트]]들에게 퇴각 명령을 전달하였다.] || || 진수 일자 || 1944/10/27 || || 취역 일자 || 1945/2/25 || || 특이 사항 || 1949년 레이더피켓구축함(DDR)으로 재분류 || || 퇴역 일자 || 1971/1/15 || || 최후 || 1980년 표적함으로 소모 || == DD-875 헨리 W. 터커 == ||<-2> USS Henry W. Tucker (DD-875) || || 함명의 유래 || 헨리 W. 터커[* [[태평양 전쟁]]에 참전한 미해군 수병. [[산호해 해전]]에서 자신이 복무하던 유조선 네오쇼(AO-23)가 격침되자 부상자들을 치료하고 물에 빠진 승무원들을 구명보트 위로 올려보냈다. 하지만 자신은 구명보트에 오르지 못하고 사망하였다. 이 공로로 사후 해군십자장이 수여되었다.] || || 진수 일자 || 1944/5/29 || || 취역 일자 || 1945/3/12 || || 특이 사항 || 1949년 레이더피켓구축함(DDR)으로 재분류[br]1963년 구축함(DD)으로 재분류 || || 퇴역 일자 || 1973/12/3 || || 최후 || 1973년 [[브라질]]에 양도되어 마르실리오 디아스(Marcilio Dias)로 활동[br]1992년 표적함으로 소모 || == DD-876 로저스 == ||<-2> USS Rogers (DD-876) || || 함명의 유래 || 로저스 형제[* 잭 E. 로저스 주니어, 찰스 E. 로저스, 에드윈 K. 로저스로 이루어진 삼형제로 [[태평양 전쟁]]에 참전했다. 이들이 복무하던 중순양함 [[뉴올리언스급 중순양함|뉴올리언스(CA-32)]]가 [[타사파롱가 해전]]에서 어뢰에 맞아 큰 피해를 입을 때 세 명 모두 전사하였다.] || || 진수 일자 || 1944/11/20 || || 취역 일자 || 1945/3/26 || || 특이 사항 || 1949년 레이더피켓구축함(DDR)으로 재분류[br]1963년 구축함(DD)으로 재분류 || || 퇴역 일자 || 1981/2/19 || || 최후 || 1981년 [[대한민국]]에 양도되어 DD-925 전주로 활동 || === DD-925 전주 === ||<-2> ROKS 전주 (DD-925) || || 함명의 유래 || [[전주시]] || || 취역 일자 || 1981/8/11 || || 퇴역 일자 || 1999/12/30 || || 최후 || [[삽교호함상공원]]에 전시 중 || == DD-877 퍼킨즈 == ||<-2> USS Perkins (DD-877) || || 함명의 유래 || 조지 H. 퍼킨즈[* [[남북전쟁]]에 참전한 미해군 장교.] || || 진수 일자 || 1944/12/7 || || 취역 일자 || 1945/4/5 || || 특이 사항 || 1949년 레이더피켓구축함(DDR)으로 재분류[br]1962년 구축함(DD)으로 재분류 || || 퇴역 일자 || 1973/1/15 || || 최후 || 1973년 [[아르헨티나]]에 양도되어 코모도로 피(Comodoro Py)로 활동[br]1987년 잠수함 산타크루스의 표적함으로 소모 || == DD-878 베솔 == ||<-2> USS Vesole (DD-878) || || 함명의 유래 || 케이 K. 베솔[*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미해군 장교. 1943년 자신이 복무하던 수송선 [[리버티선|존 배스컴]]이 독일군 공습으로 격침되자 자신의 목숨을 바쳐서 다른 승무원들이 살아남을 수 있도록 하였다. 이 공로로 사후 해군십자장이 수여되었다.] || || 진수 일자 || 1944/12/29 || || 취역 일자 || 1945/4/23 || || 특이 사항 || 19??년 레이더피켓구축함(DDR)으로 재분류 || || 퇴역 일자 || 1976/12/1 || || 최후 || 1983년 표적함으로 소모 || == DD-879 리어리 == ||<-2> USS Leary (DD-879) || || 함명의 유래 || 클래런스 F. 리어리[*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미해군 장교. 1918년 자신이 복무하던 수송선 찰턴 홀에 화재가 발생하자 이를 진압하려다가 사망하였다. 이 공로로 사후 해군십자장이 수여되었다.] || || 진수 일자 || 1945/1/20 || || 취역 일자 || 1945/5/7 || || 특이 사항 || 1949년 레이더피켓구축함(DDR)으로 재분류[br]1964년 구축함(DD)으로 재분류 || || 퇴역 일자 || 1973/10/31 || || 최후 || 1978년 [[스페인]]에 양도되어 랑가라(Lángara)로 활동[br]1991년 스크랩 || == DD-880 다이스 == ||<-2> USS Dyess (DD-880) || || 함명의 유래 || 아퀼라 J. 다이스[* [[태평양 전쟁]]에 참전한 미해병대 장교. 콰잘레인 환초 전투에서 전사하였다. 사후 [[명예 훈장]]이 수여되었다.] || || 진수 일자 || 1945/1/26 || || 취역 일자 || 1945/5/21 || || 특이 사항 || 1949년 레이더피켓구축함(DDR)으로 재분류 || || 퇴역 일자 || 1981/2/27 || || 최후 || 1981년 [[그리스]]에 양도[br]부품 수급을 위해 스크랩 || == DD-881 보델론 == ||<-2> USS Bordelon (DD-881) || || 함명의 유래 || 윌리엄 J. 보델론[* [[태평양 전쟁]]에 참전한 미해병대 부사관. [[타라와 전투]]에서 네 개의 일본군 특화점을 폭파하고 전사하였다. 사후 [[명예 훈장]]이 수여되었다.] || || 진수 일자 || 1945/3/3 || || 취역 일자 || 1945/6/5 || || 특이 사항 || 19??년 레이더피켓구축함(DDR)으로 재분류 || || 퇴역 일자 || 1977/2/1 || || 최후 || 1977년 [[이란]]에 양도[br]부품 수급을 위해 스크랩 || == DD-882 퍼스 == ||<-2> USS Furse (DD-882) || || 함명의 유래 || 존 H. 퍼스[* 20세기 초의 미 해군 장교. 전함 일리노이(BB-7)에서 복무하던 중 폭풍으로 인해 사망하였다.] || || 진수 일자 || 1945/3/9 || || 취역 일자 || 1945/7/10 || || 특이 사항 || 1949년 레이더피켓구축함(DDR)으로 재분류 || || 퇴역 일자 || 1972/8/31 || || 최후 || 1978년 [[스페인]]에게 양도되어 그라비나(Gravina)로 활동[br]1991년 스크랩 || == DD-883 뉴먼 K. 페리 == ||<-2> [[파일:external/e3c3e45d3f87cbb7088e2147875403642b129f852c9a05d570b13f763ed5d54b.jpg|width=100%]] || ||<-2> USS Newman K. Perry (DD-883) || || 함명의 유래 || 뉴먼 K. 페리[* 20세기 초의 미 해군 장교. 건보트 베닝턴(PG-4)에서 복무하던 중 보일러 폭발로 인해 사망하였다.] || || 진수 일자 || 1945/3/17 || || 취역 일자 || 1945/7/26 || || 특이 사항 || 1950년 레이더피켓구축함(DDR)으로 재분류[br]1964년 구축함(DD)으로 재분류 || || 퇴역 일자 || 1981/2/27 || || 최후 || 1981년 [[대한민국]]에 양도되어 DD-923 경기로 활동 || === DD-923 경기 === ||<-2> ROKS 경기 (DD-923) || || 함명의 유래 || [[경기도]] || || 취역 일자 || 1981/2/27 || || 퇴역 일자 || 1998/8/31 || || 최후 || 1999년 스크랩 || == DD-884 플로이드 B. 파크스 == ||<-2> USS Floyd B. Parks (DD-882) || || 함명의 유래 || 플로이드 B. 파크스[* 미드웨이 해전 당시 제221해병전투기대대의 대대장. 해당 전투에서 전사. 사후 해군십자장 수여.] || || 진수 일자 || 1945/3/31 || || 취역 일자 || 1945/7/31 || || 특이 사항 || 1956년 중순양함 [[볼티모어급 중순양함|콜럼버스(CA-74)]]와 충돌 || || 퇴역 일자 || 1973/7/2 || || 최후 || 1984년 스크랩 || == DD-885 존 R. 크레이그 == ||<-2> USS John R. Craig (DD-885) || || 함명의 유래 || 존 R. 크레이그[* 탬버급 잠수함 그램퍼스(SS-207)의 마지막 함장. 1943년 그램퍼스가 격침되며 휘하 승무원 전원과 함께 전사했다. 사후 해군십자장 수여.] || || 진수 일자 || 1945/4/14 || || 취역 일자 || 1945/8/20 || || 특이 사항 || || || 퇴역 일자 || 1979/7/27 || || 최후 || 1980년 표적함으로 소모 || == DD-886 올렉 == ||<-2> USS Orleck (DD-886) || || 함명의 유래 || 조셉 올렉[* 예인선 너셋(AT-89)의 마지막 함장. 너셋이 1943년 살레르노 만에서 독일 폭격기에게 격침될 때 전사하였다. 카사블랑카 침공작전 당시 수행한 구조 작전으로 해군해병대훈장(Navy and Marine Corps Medal)을 수여받았으며 너셋이 격침될 때 승무원들을 살리기 위해 분투한 것을 인정받아 사후 해군 십자장이 수여되었다.] || || 진수 일자 || 1945/5/12 || || 취역 일자 || 1945/9/15 || || 특이 사항 || [[6.25 전쟁]] 당시 트레인 버스터 클럽[* 동해안 철도를 따라 달리는 북한군 열차를 파괴한 구축함에게 붙는 호칭.] 멤버 || || 퇴역 일자 || 1982/10/1 || || 최후 || 1978년 [[터키]]에 양도되어 유제테페(Yücetepe)로 활동[br]2010년 미국에 반환[br]현재 [[뉴올리언스]] 레이크찰스에서 전시 중 || == DD-887 브링클리 배스 == ||<-2> USS Brinkley Bass(DD-887) || || 함명의 유래 || 헨리 B. 배스[* [[태평양 전쟁]]에 참전한 미해군항공대 조종사. 1944년 격추되어 전사. 사후 비행십자장과 [[퍼플 하트]]가 수여되었다.] || || 진수 일자 || 1945/5/26 || || 취역 일자 || 1945/10/1 || || 특이 사항 || || || 퇴역 일자 || 1973/12/3 || || 최후 || 1973년 [[브라질]]에 양도되어 마리즈 에 바로스(Mariz e Barros)로 활동[br]2000년 표적함으로 소모 || == DD-888 스티켈 == ||<-2> USS Stickell(DD-888) || || 함명의 유래 || 존 H. 스티켈[* [[제2차 세계대전]]에 참전한 조종사. 미국이 참전하기도 전부터 캐나다 공군에 입대, 독일 본토 폭격 임무를 수행했다. 이 과정에서 영국군에게 비행십자장과 무공훈장을 수여받았다. 1943년부터는 미해군예비대의 요청을 받아들여 미해군항공대로 전속하였다. 이후 태평양에서 벌인 전과로 미해군 비행십자장과 항공훈장을 수여받았지만 1943년 12월 마셜 제도의 일본군 지하 연료탱크를 공습하다가 대공포화로 치명상을 입었다. 그럼에도 폭탄 한 발을 명중시키는데 성공하지만 6일 후 사망하였다. 사후 해군십자장이 수여되었다.] || || 진수 일자 || 1945/6/16 || || 취역 일자 || 1945/10/31 || || 특이 사항 || 1953년 레이더피켓구축함(DDR)으로 재분류[br]1964년 구축함(DD)으로 재분류 || || 퇴역 일자 || 1972/7/1 || || 최후 || 1973년 [[그리스]]에 양도되어 카나리스(Κανάρης)로 활동[br]2002년 스크랩 || == DD-889 오헤어 == ||<-2> USS O'Hare(DD-889) || || 함명의 유래 || [[에드워드 오헤어|에드워드 H. 오헤어]] || || 진수 일자 || 1945/6/22 || || 취역 일자 || 1945/11/29 || || 특이 사항 || 1953년 레이더피켓구축함(DDR)으로 재분류[br]1963년 구축함(DD)으로 재분류 || || 퇴역 일자 || 1973/10/31 || || 최후 || 1978년 [[스페인]]에 양도되어 멘데스 누녜스(Méndez Núñez)로 활동[br]1992년 스크랩 || == DD-890 메레디스 == ||<-2> USS Meredith(DD-890) || || 함명의 유래 || 조너선 메레디스[* [[1차 바르바리 전쟁]]에 참전한 미해병대 부사관. 함상 백병전 도중 중상을 입은 아군 장교를 보호하였다. 그로부터 5일 후 전사했다.] || || 진수 일자 || 1945/6/28 || || 취역 일자 || 1945/12/31 || || 특이 사항 || || || 퇴역 일자 || 1979/6/29 || || 최후 || 1979년 [[터키]]에 양도되어 사바쉬테페(Savaştepe)로 활동[br]1995년 스크랩 || [[분류:구축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