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일본국 제35-39대 중의원 의원[br]{{{+1 기시다 후미타케}}}[br]岸田文武 | Kishida Fumitak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기시다후미타케.jpg|width=100%]]}}} || ||<|2> '''출생''' ||[[1926년]] [[8월 19일]] || ||[[히로시마현]] [[히로시마시]] || || '''사망''' ||[[1992년]] [[8월 4일]] (향년 65세) || || '''학력''' ||[[구제고등학교|도쿄고등학교]] {{{-2 (졸업)[* 구제고등학교 중 제2차 고등학교령에 따라 설립된 7년제 관립고교의 일각이었다. 이 학교의 고등과는 [[도쿄대학]] 교양학부에 흡수되었고, 심상과는 현재의 도쿄대학 교육학부 부속 중등교육학교로, 한국의 [[서울사대부고]]와 비슷한 개념으로 보면 된다.]}}}[br][[도쿄대학]] [[법학부]] {{{-2 (정치학과 / 학사)[* 입학 당시에는 [[제국대학|도쿄제국대학]]이었다.]}}}|| || '''부모''' ||아버지 기시다 마사키[* 7선 중의원 의원 역임.] || || '''형제남매''' ||남동생 기시다 슌스케[* 대장성 증권국장, 히로시마은행 회장 역임.][br]여동생 기시다 레이코[* [[미야자와 기이치]] 전 내각총리대신의 동생 미야자와 히로시 전 참의원 의원의 아내이자 [[미야자와 요이치]]의 어머니.] || || '''자녀''' ||장남 '''[[기시다 후미오]]'''[br]차남 기시다 다케오[* [[미쓰비시 상사]] 근무. 보면 알겠지만 본인의 이름의 구성 글자인 후미(文)와 타케(武)를 두 아들에게 하나씩 나눠 붙였다.][br]장녀 기시다 준코[br]차녀 기시다 노리코 || || '''친척''' ||조카 [[미야자와 요이치]][br]손자 [[기시다 쇼타로]][br]손자 기시다 고시로[br]막내손자 || || '''정당'''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 '''의원 선수''' ||'''5''' (중) || || '''의원 대수''' ||35, [[제3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36]], [[제3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37]], [[제3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38]], [[제3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39]] || || '''지역구''' ||[[히로시마현 제1구(중선거구)|히로시마 1구]] || || '''악력''' ||[[경제산업성|통상산업성]] 관료[br]중소기업청 장관[br][[중의원]] 의원 {{{-2 (제35-39대 / 舊 히로시마현 제1구)}}}[br]총무 정무차관 {{{-2 ([[나카소네 야스히로|제2차 나카소네 내각]])}}}[br]문부 정무차관 {{{-2 (제3차 나카소네 내각)}}}[br][[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 도시국장[br]자유민주당 경리국장[br]중의원 내각위원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정치인. 총무정무차관, 문부정무차관, 5선 중의원 의원 등을 역임했다. [[기시다 후미오]] 제100·101대 [[일본국 내각총리대신|내각총리대신]]의 부친이다. == 생애 == 1926년 8월 19일, 일본 [[히로시마현]] [[히로시마시]]에서 태어났다. 부친 마사키는 만주에서 백화점 경영, 부동산 사업 등으로 막대한 재산을 모아[* 만주에서 고액납세자 1,2위를 다툴 정도였다고 한다.] 이를 바탕으로 7선 중의원 의원을 역임한 정치인이었고, 조부도 [[메이지 시대]]의 유능한 사업가였다. 1945년, [[도쿄대학|도쿄제국대학]]에 입학해 7월에 학도병으로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다. 그러나 한달 뒤 히로시마에 원자폭탄이 투하되어 자신의 집을 잃었고, 여러 지인들도 떠내보냈다. 재학 중 [[고등문관시험]]에 합격했고, 1948년 [[도쿄대학]] 법학부 정치학과를 졸업했다. 1949년, [[경제산업성|상공성]](현 [[경제산업성]])에 입성해 관료가 되었다. 이후 [[경제산업성|통상산업성]]의 요직인 대신관방 회계과장, 자원에너지청 공익사업부장, 무역국장을 거쳐 중소기업청 장관[* 대개 마지막의 마지막에 통산성 사무차관이 되지 못하고 밀려난 2인자가 가는 직위다. 재무성 관료의 승진 레이스의 최종 승자가 사무차관이 되고 마지막에 아깝게 패한 관료가 국세청 장관으로 가는 것과 비슷하다.]을 역임했다. 이후 1978년 퇴성했다. 1979년, 제35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히로시마 1구에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 당적으로 출마해 당선되어 정계에 입문했고, 이후 사망할 때까지 5선 의원을 지냈다. [[나카소네 야스히로|제2차 나카소네 내각]]에서 총무정무차관을, 제3차 나카소네 내각에서 문부정무차관을 역임하며 대신들을 보좌했고, 자민당 내에선 도시국장, 자원·에너지 대책조사회 부회장, 중소기업 조사회 부회장, 조사국 차장, 행·재정 조사회 부회장, 경리국장 등을 역임했다. 1992년 8월 4일 사망했다. 향년 65세. 고위 관료 출신이지만 정계 입문이 늦었고 일찍 사망하여 대신직을 역임하지 못했고, 아버지 기시다 마사키 역시 정무차관직만 지냈고 입각하지 못했다. 이처럼 기시다 가문은 [[아베 신조]]나 [[고노 다로]]와 같이 3대 세습 의원이지만 이들에 비해 가문의 후광이 달리는 편이다.[* 아베 가문은 조부 대에만 총리대신이 2명 있고([[기시 노부스케]]와 [[사토 에이사쿠]]), 아베 신조의 아버지 [[아베 신타로]]는 외무대신을 역임했다. 고노 가문은 가나가와의 명주 가문의 후예로 고노 다로의 조부 [[고노 이치로]]와 부친 [[고노 요헤이]] 모두 [[부총리]]를 역임한 거물이다.] == 저서 == * 에너지와 기술 여행(지요다 나가타 서방, 1982년 집필) == 소속 정당 == || '''{{{#fff 소속}}}''' || '''{{{#fff 기간}}}''' || '''{{{#fff 비고}}}'''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1979 - 1992 || 정계 입문[br]사망 || == 선거 이력 == ||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선거구}}}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1979 || 제3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5> [[히로시마현 제1구(중선거구)|히로시마 1구]] ||<|5>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91,380 (23.4%)''' || '''당선 (3위)''' || '''초선''' || || 1980 || [[제3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27,125 (24.7%)''' || '''당선 (2위)''' || '''재선''' || || 1983 || [[제3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09,223 (21.2%)''' || '''당선 (3위)''' || '''3선''' || || 1986 || [[제3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29,949 (22.9%)''' || '''당선 (2위)''' || '''4선''' || || 1990 || [[제3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54,494 (25.1%)''' || '''당선 (2위)''' || '''5선'''[* 1992.08.04. 사망.] || == 둘러보기 == [include(틀:기시다 가문)] [[분류:일본의 남성 정치인]][[분류:제35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36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37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38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제39대 일본 중의원 의원]][[분류:자유민주당(일본) 국회의원]][[분류:1926년 출생]][[분류:1992년 사망]][[분류:일본의 정치인 자녀]][[분류:히로시마시 출신 인물]][[분류:도쿄대학 출신]][[분류:공무원 출신 정치인]][[분류:기시다 후미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