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1 기생나비}}}[br]Wood whites}}}'''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기생나비.webp|width=100%]]}}} || || [[학명|{{{#000 '''학명'''}}}]] || ''' ''Leptidea amurensis'' '''[br]Ménétriès, 1859 || ||<-2> {{{#000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절지동물문(Arthropod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곤충강(Insecta) ||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나비목(Lepidoptera)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흰나비과(Pieridae) ||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기생나비속(''Leptidea'') || ||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기생나비(''L. amurensis'')''' || [목차][clearfix] == 개요 == 나비목 흰나비과 기생나비속에 속하는 소형 나비의 일종이다. 이름에 들어가는 '기생'은 고려~조선 시대의 [[기생]]처럼 아름답다는 데서 [[석주명]]이 지은 것인데, 처음 보는 사람은 기생(parasite) 습성이 있는 것에서 따온 것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많다. 북한에서는 북한애기흰나비로 불린다. == 형태적인 특징 == 수컷은 앞날개 끝 부분에 흑색의 얼룩무늬가 있고 앞가장자리를 따라 흑색의 비늘가루가 퍼져 있다. 그에 반해, 암컷은 암회색의 줄무늬가 퍼져있으며 앞날개 끝은 좀 더 부드러운 곡선 형태를 보인다. == 생태 및 생활사 == 연 2~3회 발생한다. 봄형은 4월부터 5월, 여름형은 6월부터 7월에 발생한다. 우리나라와 일본을 포함한 유라시아에 분포한다. 성충의 경우 숲 가장자리나 초지대에서 천천히 날아다닌다. 제비꽃, 꿀풀, 국화과 잡초 등의 꽃에서 꿀을 빤다. 알은 유충의 기주인 갈퀴나물, 등갈퀴나물, 벌노랑이 등 콩과 식물의 줄기나 새순의 뒷면에 알을 한 개 씩 낳는다. [* 유충은 어린 잎을 식해한다.] 번데기로 월동한다. == 출처 == * 국립생물자원관(2011),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https://species.nibr.go.kr/index.do]] [[분류:흰나비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