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기본소득당)] [include(틀:관련 문서, top1=기본소득당/창당 과정, top2=기본소득당/2020년, top3=기본소득당/2021년)] [목차] == 개요 == 기본소득당의 2022년을 정리한 문서. 대통령 선거 관련 내용은 [[오준호/생애|여기]] 참고 == 1월 == * '''1월 2일''' : [[기대캠프|오준호 캠프]]의 슬로건 및 PI를 공개했다. 슬로건은 ''''누구나 나답게 기본소득 대한민국'''' * '''1월 12일''' : 오준호 캠프의 여성활동가들이 '''<여기 이대녀가 있다: 2022 서프레제트 선언>''' 기자회견을 열고 반페미니즘적 대선에 반대하며 실질적 참정권을 요구했다. * '''1월 16일''' : 기본소득 다만나 프로젝트로 [[오준호]] 후보가 [[녹색당(대한민국)|녹색당]]을 만났다. * '''1월 19일''' : 창당 2주년 기념 온라인 정당연설회 ‘좋아하는 일로 먹고 살 수 있다면'을 진행했다. [[https://youtu.be/G0BEJJSZDe4|#]] * '''1월 27일''' : 오준호 후보가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를 방문하고 정책협약을 맺었다. == 2월 == * '''2월 3일''' : 오준호 후보가 [[더불어민주당|4]][[국민의힘|개]] [[국민의당(2020년)|정]][[정의당|당]] 후보만 참여한 TV 토론회를 비판하며 ‘군소후보에게도 TV토론 기회 공정하게 보장하라' 1인 시위를 진행했다. * '''2월 9일''' : 오준호 후보가 생명안전국민약속식에 참석했다. * '''2월 15일''' : 오준호 후보가 ‘오답이 난무하는 대선, 오준호와 기본소득이 정답이다'라는 대선 [[골든벨]] 퍼포먼스로 본선을 시작했다. * '''2월 16일''' : 오준호 후보가구의역 9-4승강장을 방문하고 사고로 목숨을 잃은 [[구의역 스크린도어 정비업체 직원 사망사고|노동자]]를 추모했다. * '''2월 17일''' : 오준호 후보가 2월 17일 [[심상정]] 후보의 10대 공약에 시민최저소득이 빠져 있음을 지적했다. 가산디지털단지역에서 선거운동을 진행하며 [[기본소득]]과 노동시간 단축으로 [[과로사]]를 없애겠다는 캠페인을 진행했다. * '''2월 21일''' : 오준호 후보가 [[동물권]]·생태의제기구 어스링스와 함께 ‘반려동물 너머에 우리가 있다’ 기자회견을 열고 “각기 다른 모습을 한 모든 생명체들의 권리를 보장하고 공존할 수 있는 대한민국을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 '''2월 22일''' : 오준호 후보가 [[구글]] 코리아 본사 앞에서 '디지털 전환' 공약을 발표했다. 같은 날 밤 11시부터 이튿날 새벽 1시까지 진행된 소수정당 토론회에 참여했다. 오준호 후보는 토론회에서 "일할 수 있으면 일해서 먹고 살고, 일할 능력 없는 사람만 돕자, 이 방식은 시대에 맞지 않다"면서 기본소득 공약을 강조했다. [[https://youtu.be/k5uuMAeS1As|하이라이트 영상]] * '''2월 25일''' : 오준호 후보가 고 [[변희수]] 하사 1주기를 맞아 대구 동성로에서 진행한 추모제에 참석했다. 오준호 후보는 “차별과 혐오가 그 누구의 목숨도 위협하지 않는 사회”를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 3월 == * '''3월 5일''' : 오준호 후보가 [[메타버스]] 플랫폼 [[게더타운]]을 이용해 온라인 선거운동을 진행했다. * '''3월 8일''' : 홍대 상상마당 앞에서 오준호 후보의 마지막 선거운동을 진행했다. * '''3월 9일''' :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 18,105표(0.05%), 7위로 낙선했다. 오준호라는 정치 신인의 출마와 이재명과 기본소득 어젠다를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불리했으리라고 추측된다. * '''3월 17일''' : [[용혜인]] 의원이 지방자치단체별로 가능한 기본소득 도입방안을 모색하는 '''<기본소득 지방자치연합>'''을 제안했다. * '''3월 25일'''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광역자치단체장 후보를 공개했다. 서울시장 후보는 지난 보궐선거에 출마한 [[신지혜]], 경기도지사 후보는 [[서태성]], 인천시장 후보는 [[김한별(정치인)|김한별]], 대구시장 후보는 [[신원호(정치인)|신원호]], 광주시장 후보는 [[문현철]]이 줄마했다. == 4월 == * '''4월 4일''' : [[신지혜]] 대표가 “평등 서울을 위한 기본을 바로 세우겠다"며 서울시장 예비후보로 등록했다. * '''4월 5일''' : [[김한별]] 인천시당 위원장이 “당신이 웃는 인천, 당신이 꿈꾸는 인천을 만들겠다"며 인천시장 예비후보로 등록했다. * '''4월 6일''' : [[문현철]] 광주시당 위원장이 “인디뮤지션으로 활동한 제가 구태와 관성에 얽매이지 않는 인디정치인이 되겠다"면서 광주시장 예비후보로 등록했다. 기타도 쳤다. * '''4월 7일''' : [[서태성]] 경기도당 위원장이 “이재명 개혁의 핵심인 기본소득을 전 도민 기본소득으로 이어가겠다"면서 경기도지사 예비후보로 등록했다. * '''4월 8일''' : [[신원호]] 대구시당 위원장이 “대구형 기본소득으로 모든 시민을 지키는 대구를 만들겠다”면서 대구시장 예비후보로 등록했다. * '''4월 18일''' : [[용혜인]] 의원의 1호 법안 ‘청년 기탁금 인하'가 통과되었다. 용혜인 의원은 “더 많은 청년 정치인이 정치에 뛰어들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되었다"고 밝혔다. * '''4월 19일''' : 이창용 한국은행총재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용혜인 의원이 “[[추경호]] 경제부총리 후보자와 한덕수 국무총리 후보자,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까지 ‘론스타 경제팀'을 완성했다"면서 강도높게 비판했다. == 6월 == * '''6월 1일'''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모든 후보가 낙선하였다. == 8월 == * '''8월 31일''': 새로운 3기 지도부가 선출됐다. 공동대표는 오준호 전 후보, 용혜인 의원이 당선됐다 [[분류:기본소득당]][[분류:정당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