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나무위키 천문학 프로젝트]][[분류:천문학]][[분류:별자리]] [include(틀:별자리)] ||<-2><:> {{{#FFFFFF {{{+3 '''기린자리'''}}}[br]Camelopardalis / Cam}}}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0px" [[파일:external/www.botproductions.com/chart_cam.gif|width=100%]]}}} || || {{{#FFFFFF '''학명'''}}} ||Camelopardalis|| || {{{#FFFFFF '''약자'''}}} ||Cam|| || {{{#FFFFFF '''주요 별 수'''}}} ||2,8|| || {{{#FFFFFF '''가장 밝은 별'''}}} ||β Cam(4.03 등급)|| || {{{#FFFFFF '''가장 가까운 별'''}}} ||글리제 445 (17.6 [[광년]])|| || {{{#FFFFFF '''인접 별자리'''}}} ||[[세페우스자리]], [[카시오페이아자리]], [[페르세우스자리]], [[마차부자리]], [[살쾡이자리]], [[큰곰자리]], [[용자리]], [[작은곰자리]]|| || {{{#FFFFFF '''관측 가능 여부'''}}} ||'''O(항상 관측 가능)'''|| [목차] [clearfix] == 개요 == '''Camelopardalis, Cam''' 북쪽 하늘에서 볼 수 있는 [[별자리]]이다. [[카시오페이아자리]]와 [[큰곰자리]]의 사이에 위치해 있다. 혹은 [[마차부자리]]의 북쪽에서 찾아도 보인다. == 상세 == 후대에 만들어진 별자리로, 1613년 독일의 야콥 바르트쉬가 낙타자리(Camel)로 발표했다가, 이후 기린자리로 이름이 바뀌었다는 설이 유력하다. 그리스 신화에 기반한 별자리가 아니어서 다른 별자리에 비해 별자리 신화도 없고 인지도도 상당히 낮다. [[북극성]] 근처에 있어 국내에서 사계절 내내 볼 수 있는 별자리지만, 가장 밝은 별이 4등성일 정도로 매우 어두워 도시 지역에서는 거의 볼 수 없다. 하늘이 맑고 광해가 없는 시골로 가야 겨우 볼 수 있는 정도이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대중적으로 많이 알려져 있지 않은 별자리이다. 하지만 넓이는 별자리 중 18번째로 넓어 꽤나 큰 축에 속하며, 많은 은하들과 은하수 내 천체들도 다수 포함하고 있다. == 항성 == *β Cam: 베타성이지만 기린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로, 4.03등급이다. 분광형은 G1 Ib~IIa 로 밝은 G형 거성에 속하며, 나이는 6,000만 년 정도이다. 그 밖에도 빠른 자전 속도를 보이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지구와의 거리는 약 870광년이다. *CS Cam: 4.19~4.23등급의 별로, 백조자리 α 형 변광성에 속한다. 분광형 B9 Ia형의 초거성이며, 지구와의 거리는 약 3,000광년이다. *α Cam: 4.29등급의 O9 Ia형 초거성으로, 질량이 [[태양]]의 '''37.2배''', 반지름은 32.5배에 광도는 무려 '''676,000배'''에 달하는 매우 거대하고 육안으로 보이는 별들 가운데에서는 매우 희귀한 별이다. 지구와의 거리는 약 '''6,000광년'''으로 육안으로 볼 수 있는 별들 중 가장 먼 편에 속한다. *BE Cam: 4.35~4.48등급의 변광성으로, M2 II형의 거성이다. 지구와의 거리는 약 800광년이다. *7 Cam: 4.45등급의 [[A형 주계열성|A1형 주계열성]]으로, 4개의 별들로 이루어진 다중성계이다. 지구와의 거리는 370광년이다. *BD Cam: 밝기 약 5.11의 S3.5형[* S형 별이란 스펙트럼상에 일산화[[지르코늄]](ZnO) 선을 보이는 별로, 보통 장주기 변광성인 것이 많다. 탄소나 산소 또한 많이 포함하고 있어 [[탄소별]]의 성질도 가지고 있다](M4형) 거성으로, 가장 밝은 S형 별이기도 하다. 또한 596일을 주기로 공전하는 동반성을 가진 분광 [[쌍성]]이기도 하다. 지구와의 거리는 약 520광년이다. *11, 12 Cam: 밝기 각각 5.22, 6.08등급의 항성으로[* 11 Cam은 B3형 주계열성, 12 Cam은 K0형 거성이다.]두 별은 사이 거리가 3'밖에 떨어져 있지 않은 겉보기 [[쌍성]]이다, 두 별까지의 거리는 약 710광년, 700광년이다. *U Cam: 7.55등급의 [[탄소별]]로, 약 400일의 주기로 7~9등급 사이로 변하는 준규칙 변광성이기도 하다. 지구와의 거리는 약 3,000광년이다. *Z Cam: 밝기가 9.8~14.5까지 변하는 변광성으로, G1형 별이다. 기린자리 Z형 변광성의 원형 별이기도 하다. 대부분의 경우 밝기 범위 중간인 11등급대를 유지하며, 종종 짧은 주기로 큰 밝기 변화를 보이다가 아주 가끔 [[신성(별)|신성]][* 보통의 신성보다 어둡고 자주 나타나는 신성으로, 강착원반의 불안정 상태에서 발생한다]을 일으켜 눈에 보일 정도로 밝아지기도 한다. 지구와의 거리는 약 735광년이다. *TX Cam: 559일을 주기로 7.8등급에서 16등급 가까이까지 변하는 [[미라(항성)|미라]]형 변광성이다. M8형 거성으로, 지구와의 거리는 약 1,100광년이다. *글리제 445: 지구와의 거리가 17.14광년밖에 떨어지지 않은 가까운 항성으로, 적색왜성이다. 밝기는 10.8등급이다. [[보이저 1호]]가 40,000년 후에 1.6광년 거리까지 가까워질 예정인 별이기도 하다. *Kamble's Cascade: 5~10등급의 다채로운 별들 20여 개가 3도에 걸쳐 보이는 성군으로, 후술할 NGC 1502가 포함된다. [[파일:캠벨의 케스케이드.jpg|width=60%]] == 심원천체 == * [[NGC 2403]]: 8.9등급의 SAB(s)cd형의 [[정상나선은하]]로, [[메시에 81|M81]]은하군에 속하는 은하이다. 생김새는 [[삼각형자리 은하]]와 매우 유사하며, 크기도 비슷하다. NGC 2404라는 거대한 [[전리수소영역]][* 직경이 무려 940광년이나 된다.]을 가지고 있다. 지구와의 거리는 약 800만 광년이다. 지금까지 2개의 [[초신성]]이 관측되었으며, 그중 하나인 2004dj는 11.2등급으로 매우 밝았다. * NGC 1502: 6.0등급의 산개성단으로, Kamble's Cascade의 남쪽 끝 부분에 있다. SZ Cam 등의 몇몇 변광성들이 위치하고 있다. 지구와의 거리는 약 3,500광년이다. * [[IC 342]]: 9.1등급의 SAB(rs)cd 형 [[정상나선은하]]로, 지름이 75,000광년에 별 개수가 1,000억 개가 넘는 비교적 큰 은하다. 지구와의 거리 또한 1,070만 광년으로 비교적 가깝지만, 은하수와 가까워 성간 물질의 방해로 어둡게 보인다. [[콜드웰 목록]]의 5번이기도 하다. * NGC 1569: 11.9등급의 불규칙 은하로, IC 342 은하군에 속하며, 매우 빠른 항성 생성을 일으키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특이하게 외부 은하임에도 불구하고 [[청색 편이]]를 띄고 있다[* 거의 모든 은하는 우주 팽창에 의해 적색 편이를 띄며 지구로부터 멀어지고 있다.].지구와의 거리는 약 1,100만 광년으로 비교적 가깝다. * NGC 2655: 10.1등급의 SAB(s)0/a 형 [[세이퍼트 은하]]로, 지름이 20만 광년에 달한다. 천구의 북극과 10도 정도밖에 떨어져 있지 않다. 지구와의 거리는 약 6,300만 광년이다. * NGC 2336: 10.3등급의 거대한 막대나선은하로[* 은하 분류상으로는 SAB(r)bc형이다.], 지름이 20만 광년에 이른다. 지구와의 거리는 9,070만 광년이다. * IC 3568: 레본 조각 성운으로도 불리는 [[행성상성운]]으로, 밝기는 12.3등급이다. 지구와의 거리는 약 4500광년이다. * MACS J0647.7+7015[[https://en.wikipedia.org/wiki/MACS_J0647.7%2B7015|#]]: 지구에서 60~90억 광년 떨어진 곳에 있는 은하단이며, 이 은하단에 의한 [[중력 렌즈 효과]]로 MACS0647-JD라는 우주 초기 은하가 발견되기도 하였다. [[분류:별자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