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백제 국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6b6b, #008080 20%, #008080 80%, #016b6b)" {{{#fbe673 '''기루왕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백제의 왕자)] ---- [include(틀:역대 백제 태자)]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6b6b, #008080 20%, #008080 80%, #016b6b); color: #fbe673" '''백제 제3대 어라하[br]{{{+1 기루왕 | 己婁王}}}'''}}} || ||<|2> '''출생[br]{{{-3 (음력)}}}''' ||[[33년]] [[1월]] 이전[* 생애 문단 참조] || ||[[백제]] [[위례성]][br](現 [[서울특별시]] [[송파구]] [[풍납동]] [[풍납토성|일대]]) || ||<|2> '''사망[br]{{{-3 (음력)}}}''' ||[[128년]] [[11월]] (향년 95세 이상) || ||[[백제]] [[위례성]][br](現 [[서울특별시]] [[송파구]] [[풍납동]] [[풍납토성|일대]]) || || '''능묘''' ||미상 || ||<|4> '''재위기간[br]{{{-3 (음력)}}}''' ||'''{{{#fbe673 백제의 태자}}}''' || ||[[33년]] [[1월]] ~ [[77년]] [[9월]] {{{-2 (44년)}}} || ||'''{{{#fbe673 제3대 어라하}}}''' || ||[[77년]] [[9월]] ~ [[128년]] [[11월]] {{{-2 (52년)}}}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fbe673 성씨}}}''' ||부여(扶餘) / 해(解)(?) || || '''[[휘|{{{#fbe673 휘}}}]]''' ||기루(己婁) || || '''부왕''' ||[[다루왕]] || || '''왕후''' ||[[개루왕|개루]], 질의 모후 || || '''왕자''' ||[[개루왕|개루]][br]질[* 고이왕대에 숙부 질을 우보에 임명했다는 기록이 있는데 우씨 왕가설이 맞다면 전체 이름이 우질(優質)이 된다.] || || '''왕호''' ||'''기루왕(己婁王)''' ||}}}}}}}}} || [목차] [clearfix] == 개요 == [[백제]]의 제3대 군주이자 [[건길지]]. 제2대 [[다루왕]]의 장남. 《삼국사기》 <백제본기>의 백제 초기 기록에서 많이 드러나는 문제점이지만 재위 기간이 굉장히 길어 계보에 의심이 있기도 한다. 기루왕 혼자 길면 몰라도 앞뒤로 다들 40~50년 정도씩 재위한다고 써 있는데 계산해보면 아들을 가진 시기나 [[수명]]이 부자연스럽다. == 생애 == [[다루왕]]의 큰아들로 서기 33년에 [[태자]]로 책봉되고 다루왕이 서기 77년에 죽자 즉위하였다.[* 보통 왕이 즉위하면 대사면령이 내려지는게 일반적인데 기루왕이 [[왕위]]에 오르고 1달 뒤 엉뚱하게도 [[고구려]]에서 대사면을 하였다.] 44년 동안[* 재위 기간 52년을 생각하면 100살 가까이, 혹은 넘게 산 게 되는데 수명과 아들을 가진 시기가 부자연스럽다.]이나 태자 생활을 한 셈. 처음에는 다루왕 후반부 때처럼 [[신라]]의 변방을 때리다가 105년에 화친을 청해 사이좋게 지냈으며 113년에도 신라에 [[사신(외교)|사신]]을 보냈다. 이런 화친 정책의 결과물이 바로 신라를 침공한 [[말갈]][* [[만주]] 쪽의 말갈이 아니라 2번 단락의 [[가짜말갈]], [[동예]] 등 [[예맥]]계 집단을 말하는 것으로 추정.]을 저지하기 위해 보낸 5명의 장군과 지원군이다. 하지만 아들 [[개루왕]] 재위기인 155년에 신라 아찬 [[벼슬]]의 길선이 반란을 도모했다가 백제로 도망온 걸 받아준 것 때문에 신라와 백제 사이의 조약은 50여 년만에 깨지고 다시 으르렁거리게 된다.[* 신라는 [[경주시|경주]]가 중심지인 우리가 아는 신라가 아니라 나중에 신라로 흡수될 [[진한]] 계통 나라를 신라로 소급해 기록한 것이라는 학설도 있다. [[고고학]]적으로 보면 아직 [[서울특별시|한성]]의 백제와 경주의 신라가 서로 [[국경]]을 맞댈만큼 영토를 넓혔다고 보기 어렵기 때문이다.] 별다른 내용은 없으나 [[천재지변]] 등에 대한 기록이 상당수이다. 재위 13년에는 [[89년 서울 지진]]이 발생했으며, 심지어는 32년에 [[가뭄]]이 극심해 백성들이 서로 잡아먹었다고 했을 정도이다. 재위 21년에는 군주를 상징하는 동물인 [[용]]이 2마리씩이나 [[한강]]에 나타났다고 하는 걸로 보아 백제의 내부 사정이 힘들었으리라고 추측하기도 하는데 나라 내부의 변고를 천재지변에 빗대어 기록하는 케이스도 있기 때문에 뭔가 있었을 듯. 기루왕은 재위 21년에 죽고 두 [[왕자]]가 차기 국왕 자리를 두고 싸운 것에 대한 [[은유]]라는 설도 있다. 재위 52년만에 기루왕이 세상을 떠나자 아들 개루가 왕위를 이었다고 하는데 기록에 따르면 기루왕은 승하할 당시 최소 100살 이상이라는 이야기가 된다. 아들 개루왕도 38년씩이나 재위한 것을 보아 믿을만한 기록은 아니다. 제2대부터 제8대까지의 재위 기간이 비정상적으로 길기 때문에 실제로는 중간에 누락된 왕이 있을 것이라고 추정하는 [[학자]]도 있다. == 기타 == * 부여왕 해부루(비류 시조설에 따르면 비류의 아버지인 우태가 해부루의 서손이 된다), [[고구려]]의 제2대 왕인 [[유리왕]](해유류), 고구려의 제3대 왕인 [[대무신왕]](해주류) 등 婁(별이름 루), 留(머무를 류) 등을 [[왕명]]으로 쓰는 왕들이 모두 해씨였기 때문에(비류는 流(흐를 류)자를 쓰지만 역시 해씨이다.) 婁를 쓰는 다루왕, 기루왕, 개루왕을 모두 마찬가지로 해씨로 보고[* 해씨는 고구려 국성인 고씨와 동일시되고, [[부여]]계 성씨로 추정되며 한성백제 때부터 활동한 [[귀족]]으로 백제 [[개국공신]] [[해루]]도 있다. 후에 해씨는 [[대성팔족]] 중 하나가 된다.] [[해부루]] → [[우태]] → [[비류]] → [[다루왕]] → [[기루왕]] → 개루왕으로 이어지는 소위 해씨의 비류왕계 왕가로 보기도 한다. 이 경우 다루왕 및 '루'자 돌림 왕들은 온조왕계와는 다른 왕통이 되며 후에 초고왕이 즉위함으로써 비류왕계 왕가가 물러나고 부여씨의 온조-초고왕계 왕가의 시대가 열렸다고 본다.[* 노중국. 1988.《백제정치사연구》] 게다가 이후 고이왕이 집권한 뒤 초고왕계와 고이왕계가 [[권력]] 투쟁을 벌이다 근초고왕 대부터 초고왕계로 일원화되는데 고이왕 시기 우씨(우태를 통해 연관된다) 왕족의 대거 출현을 근거로 고이왕계를 비류왕계를 이은 우씨의 비류-고이왕계 왕가로 해석[* 천관우. 1976.《한국의 국가형성》, 노중국. 1988.《백제정치사연구》]하는 경우가 있다는 점에서 초기 백제를 비류왕계 - 초고왕계, 초고왕계 - 고이왕계의 [[권력]] 다툼으로 볼 수도 있을 듯하다. == 《[[삼국사기]]》 기록 == [include(틀:삼국사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42772&categoryId=49615&cid=49615|《삼국사기》 <기루왕 본기]]>''' 一年秋九月 기루왕이 즉위하다 九年春一月 신라의 변경을 공격하다 九年夏四月 객성이 자미로 들어가다 十一年秋八月 일식이 일어나다 十三年夏六月 [[89년 서울 지진|지진]]이 일어나서 많은 사람이 죽다 十四年春三月 큰 가뭄이 들어 보리가 나지 않다 十四年夏六月 큰 바람이 불어 나무가 쓰러지다 十六年夏六月一日 일식이 나타나다 十七年秋八月 횡악의 큰 바위 다섯 개가 땅에 떨어지다 二十一年夏四月 두 마리 용이 한강에 나타나다 二十三年秋八月 서리가 내려 콩이 죽다 二十三年冬十月 10월에 우박이 내리다 二十七年 한산에서 사냥하여 [[신록|신성한 사슴]]을 잡다 二十九年 신라에 사신을 보내 화친을 요청하다 三十一年 겨울에 얼음이 얼지 않다 三十二年 봄과 여름이 가물어 흉년이 들다 三十二年秋七月 말갈이 우곡에 침입하다 三十五年春三月 지진이 일어나다 三十五年冬十月 지진이 일어나다 三十七年 신라에 사신을 보내다 四十年夏四月 서울 성문 위에 황새가 둥지를 틀다 四十年夏六月 한강 물이 넘쳐 가옥이 유실되다 四十年秋七月 수해를 당한 논밭을 복구하다 四十九年 신라의 구원 요청을 받아 장수를 파견하다 五十二年冬十一月 기루왕이 죽다 보면 알겠지만 재위 기간 52년 중 기록은 고작 25줄. 그나마도 자연 재해를 제외하면 5줄밖에 안 남고 그조차 전부 <신라본기>에서 베껴온 것이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백제 왕실)] [[분류:128년 사망]][[분류:백제 국왕]][[분류:송파구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