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기동전사 건담 수성의 마녀/설정/기체]] [include(틀:기동전사 건담 수성의 마녀)] [include(틀:기동전사 건담 수성의 마녀 기체)] [목차] == 개요 == 본 작품에 등장하는 모빌슈트는 여러 대기업에서 만들어졌으며, 기업에 따라 기체의 형태가 각기 다른 개성을 보여준다. 또, 각 기업마다 메카닉 디자이너도 나뉘어져 있는데, 그래슬리 사와 브리온 사는 [[에비카와 카네타케]], 제타크 사는 [[교부 잇페이]], 페일 사는 이나타 와타루(稲田 航)가 디자인을 담당했다. HG 건담 에어리얼의 조립 설명서에 따르면, 본작의 MS는 인체를 모방한 조인트(관절)를 EMT(전동 모터)에서 구동하는 구조를 갖고 있으며, 유니버설 규격을 채용한 것인지는 불명이나 개발·제작 기업이 달라도 기본적으로 전부 같은 규격을 공유한다. 작중 등장하는 기업들이 모두 베네리트 그룹의 회원사이다보니 서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아스티카시아 학원의 모빌슈트들은 교습용 내지 공용 기체인 데미 트레이너를 제외하면[* 사실 데미 트레이너조차도 결투에 쓸 경우엔 부가장비로 결투용 안테나를 따로 장착한다.] 공통적으로 헤드 파츠에 블레이드 안테나를 하나씩 달아놓고 있는데 이는 학원 내 모빌슈트를 사용한 결투에서 [[건담 파이트|상대 기체의 블레이드 안테나를 부러트리면 승리한다]]는 규칙 때문이다. 당연하겠지만 현지 실전용 모빌슈트들은 블레이드 안테나를 장비하고 있지 않다. 또한 학원용 모빌슈트는 밝은 원색 위주인 반면 실전용 모빌슈트는 시인성을 낮게하기 위함인지 칙칙한 색 위주인 것도 특징. 또한 HG 데미 트레이너의 조립 설명서에 따르면, 학원 내에서 운용되는 모빌슈트들은 모두 저출력 빔으로 세팅되어 있다고 한다. 본편에서 등장한 모든 모빌슈트의 빔 색깔이 프라모델이나 프롤로그에서 나오는 푸른색의 빔이 아닌 녹색으로 통일되어 있는 건 이런 이유에서 인 모양. 이는 12화에서 건담 에어리얼(개수형)이 건 비트 라이플로 쏘아올린 고출력 빔을 보고 올컷이 실전용 사양이 아닌데 저 정도 출력이냐는 말을 하면서 재확인되었다. 특이한 점이라면 이전 시리즈에서 흔히 사용했던 분홍색 빔은 거진 안나오다가 1쿨이 끝날 12화때 결투가 아닌 실전장면이 줄곳 나오면서 베네리트 그룹계열 소속의 MS들이 실전사양으로 운용하는 모습을 보인다. 도미니코스가 운용하는 베귀르펜테나 플랜트 수비대가 운용하는 데미 게리슨, 빔 제타크가 직접 몰고 나왔던 딜란자 솔 등. 프롤로그때도 그랬지만 건담 타입의 실전형 빔의 색은 하늘색, 그외 타입 MS들의 실전형 빔의 색은 대개 분홍색으로 사용하는 듯하다. 다릴 바르데와 미카엘리스의 경우는 실전형 빔의 색이 보라색이다. 이때까지 등장한 MS들을 보면 [[헤드 발칸]]까지 빔 병기로 탑재할 정도로 유난히 빔 병기에 치중된 무장구성을 하고 있다. 이것에 관한 설정이 12화에서 밝혀지는데, 폴드의 새벽 소속 기체가 구형 실탄 라이플을 들고 오는 것으로 처음으로 실탄 병기가 등장했으며 베네리트 그룹 파일럿들이 우주에서 실탄 병기를 사용하는 것을 보고 분노하는 장면으로 작중에서는 [[GUND]]와 마찬가지로 조약으로 인해 '''실탄 병기가 금기로 여겨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우주를 오염시킨다는 대사로 미루어 볼때 탄두와 탄피가 우주공간에서 사방팔방 튀어나가며 [[우주쓰레기]]가 되는 것을 경계하여 스페시언들 사이에선 실탄 병기를 금기시하고 빔 병기 위주로 발전한 것[* 이는 MS 규격의 중화기 뿐만 아니라 인간들이 사용하는 소화기도 해당되는지 니카는 주변에 탄피가 떠다니는 것을 보고 습격자들이 폴드의 새벽 소속임을 알았고, 슬레타를 구하기 위해 프로스페라 머큐리와 고도이가 폴드의 새벽 테러리스트를 사살할 때 빔 권총을 사용했다.]으로 추정된다. 물론 어시언으로 구성된 폴드의 새벽들 입장에선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정비 관리도 더 간단한 실탄 병기가 더 효율적이고 애초에 지구를 폐허로 만들어 놓고 우주에서 거들먹거리는 스페시언의 헛소리 취급하며 잘만 사용하고 있다. 다만 딜란자 솔 같이 일부 기체들이 사용하는 미사일이나 폭뢰같은 병기들도 실탄 병기에 해당되는지는 의문. 정황을 보면 실탄 병기라고 해도 단순한 탄환류만 금지하는 좁은 범위의 금지 사항인 것 같다. [[기동전사 건담 AGE]]와 마찬가지로 등장 기체들의 장갑 재질이나 동력원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퍼멧이 모빌슈트 제조에 필요한 물질인만큼 정황상 장갑재질과 동력원도 퍼멧을 이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AGE 시리즈는 나중에 플라스마 동력원이라는 설정을 풀어서 핵융합로 동력원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13화에서 건담 에어리얼의 배터리 팩 잔량에 대한 언급이 나왔는데, 이게 배터리를 메인 동력원으로 한다는 의미인지, 아니면 핵융합로의 에너지를 저장해둔 보조 동력원 역할의 배터리에 대한 언급인지는 현시점에서는 불명확하다. 에너지 잔량이 떨어지는 묘사는 핵융합로를 메인 동력원으로 삼는 우주세기의 퍼스트 건담 시절부터 종종 있어왔던 묘사이기 때문에, 이걸 배터리가 메인 동력원인 설정이라는 증거로 볼 수는 없다. 신건담은 [[기동전사 건담 SEED|SEED]] 시리즈부터 [[기동전사 건담 00|00]] 시리즈까지는 세계관 내 대부분의 MS 동력원은 배터리[* [[기동전사 건담 00|00]] 시리즈의 경우 1기에선 건담타입 기체 한정으로 [[GN 드라이브|태양로]]라는 독자적인 동력원을 사용했지만, 건담 쓰로네 시리즈와 2기에 등장한 기체에 탑재된 [[유사 태양로]]는 별도의 배터리를 달아 전력을 유사 태양로에 공급하는 방식이기에 더블오 세계관에선 MS의 동력원이 배터리라는 설정은 남았지만, 거의 퇴색되었다.]라는 설정을 채용했고, AGE 시리즈부터는 다시 전통적인 핵융합로 설정으로 회귀했다. 다만 이미 배터리 팩 언급이 나온 만큼 수성의 마녀 세계관의 MS는 배터리를 동력원으로 채택했을 가능성이 높다. [[제타 건담]]이나 [[건담 큐리오스]] 정도의 수준으로 변형하는 가변형 기체는 등장하지 않는다. 최신 기체들의 실드에는 안티 빔 필드 같은 것이 탑재되어 있는지, 빔 라이플 사격을 정면에서 받아도 실드가 파괴되는 경우는 좀처럼 없다. == 신세 개발 공사 == 디자이너는 [[JNTHED]], [[에비카와 카네타케]]{{{-2 (건드 노드)}}}, [[야나세 타카유키]]{{{-2 (콰이어트 제로)}}}. * XVX-016 [[건담 에어리얼]] * XVX-016RN [[건담 에어리얼#s-5|건담 에어리얼(개수형)]] * XGF-E3 [[건드 노드]] * [[콰이어트 제로]] == 그래슬리 디펜스 시스템즈 == 디자이너는 [[에비카와 카네타케]]. * CEK-040 [[베귀르베우]] * CCP-068 [[하인그라]] * CFK-029 [[미카엘리스]] * CFP-010 [[하인그라#하인드리|하인드리]] * CFP-013 [[하인그라#하인드리 슈트룸|하인드리 슈트룸]] * CEK-077 [[베귀르베우#베귀르펜테|베귀르펜테]] == 제타크 헤비 머시너리 == 디자이너는 [[교부 잇페이]]. * MD-0031 [[딜란자]] * MD-0032G [[딜란자#구엘 전용기|딜란자 구엘 전용기]] * MD-0031L [[딜란자#라우더 전용기|딜란자 라우더 전용기]] * MD-0031UL [[딜란자#딜란자 솔|딜란자 솔]] * MD-0064 [[다릴 바르데]] * MD-0021 [[데스루터]] * MDX-0003 [[건담 슈바르제테]] * '''웜 블러드''' [[파일:건담 수성의 마녀 함선2.jpg|width=500]] 플랜트 주역 순회 함대의 제타크사 소속 함선. 11화에서 빔 제타크의 계획에 따라 담당 순찰 영역을 벗어나 달 궤도상에 집결했다. == 페일 테크놀로지스 == 디자이너는 [[https://twitter.com/inaba_koh|이나타 와타루]](稲田 航)[* 이전에는 이나바 코우(稲葉コウ)로 활동했었다.] * FP/A-77 [[건담 파렉트]][* 파'''렉트'''라는 표기는 한국 건담베이스 인스타그램에 올라온 명칭이다. 일본어 원문과 영문 표기가 각각 ファ'''ラクト'''와 Pha'''ract'''인 것을 감안하면 외래어 표기법 상 파'''락트''' 혹은 파'''랙트'''가 더 정확하다.] * F/D-19 [[조워트]] * F/D-20 [[조워트#조워트 헤비|조워트 헤비]] * [[틱발랑(기동전사 건담 수성의 마녀)|틱발랑]] * '''페일 사 수송선''' [[파일:건담 수성의 마녀 함선4.jpg|width=500]] 페일 사에서 사용하는 수송선. 6화에서 건담 파렉트를 우주 주역으로 운송했다. 10화에서는 파렉트 개발부를 인수 합병한 주식회사 건담에 페일 측이 동형의 선박을 제공했다. 11화에서는 지구 기숙사 학생들이 수업 시간에 배운대로 함선을 조종해서 플랜트 쿠에타에 무사히 입항하는 연습을 했다. 8개의 덱을 가지고 있어서 MS를 총 8대 탑재할 수 있다. == 브리온 == 디자이너는 [[에비카와 카네타케]]. * 데미 시리즈 * MSJ-121 [[데미 트레이너]] * MSJ-105CC [[데미 트레이너#추추 전용기|데미 트레이너 추추 전용기]] * MSJ-OP121 [[데미 트레이너#데미 개리슨|데미 개리슨]] * MSJ-R122 [[데미 트레이너#데미 바딩|데미 바딩]] == 옥스 어스 코퍼레이션 == 디자이너는 [[JNTHED]]. * XGF-02 [[건담 르브리스]] * XGF-01 [[건담 르브리스#건담 르브리스 양산 시작 모델|건담 르브리스 양산 시작 모델]] * X-EX01 [[건담 캘리번]] == 폴드의 새벽 == 디자이너는 [[야나세 타카유키]]. * EDM-GA-01 [[건담 르브리스 울|건담 르브리스 울]][* '''울'''이라는 표기는 [[https://www.facebook.com/gundambase/posts/pfbid0YejfBJFnUJhb1GLoJ3wDpsMDxsnBC7rac5YNkWGa8Z3KfsRKbsCS5qQoBGKawbE7l|한국 건담베이스 SNS]]에 올라온 명칭이다. 가타카나 표기 우루ウル만을 가지고 번역하면서 [[건담 발바토스|기존에 하던 습관대로]] 루ル를 ㄹ받침으로 대충 집어넣은 것으로 보인다. 아래 표기된 대로 반다이 측에서 의도한 공식 영문 표기는 Ur이며, 본래라면 '''우르'''라고 번역해야 할 것이다.] * EDM-GA-02 [[건담 르브리스 손|건담 르브리스 손]] * EDM-GB [[건드 볼바]] * HU-45p 프로도로스(プロドロス, Prodoros) [[파일:프로도로스 작중 이미지 및 애니메이터 일러스트.jpg|width=500]] [[https://twitter.com/zzz_sakaz/status/1650056903505108993?t=sWT7Au0g5nEiIW5q-ZEDSQ&s=09|애니메이터 일러스트]] 전고: 18.6m, 중량: 74.3t. HMI(하누마트 매뉴팩처링 인더스트리)제의 모빌슈트. 각진 붉은 모노아이 센서를 가지고 있다. 몸체의 생김새나 특징은 [[릭 디아스]]를 닮았다. 주무장은 실탄 라이플, 1쌍의 실탄 체인 건, 히트 스피어다. 백팩에는 히트 스피어와 예비용 라이플, 체인건을 좌우에 거치할 수 있다. [[돔(MS)|호버링으로 지상 주행을 한다.]] * 무장형 트럭 험비를 닮은 군용 차량. 활강포와 미사일 런처 등 다양한 무장을 장착할 수 있다. * 수송 항공기(가칭) == 우주 의회 연합 == * [[ILTS]] * 카르고르(カラゴール, Cargore) [[파일:카르고르 일러스트(야나세 타카유키).jpg|width=500]] 우주 의회 연합이 운용하는 모빌슈트. 무장은 빔라이플과 그레네이드런쳐가 달린 실드. 묘하게 [[제간]]을 닮아있으나 21화에서는 데이터스톰으로 인해 건드 노드에게 터지는 [[야라레메카|폭죽 신세가 되는 것]]과 은폐를 위해 다시 투입되어 제타크 기체들을 상대하려는 찰라 데이터 스톰에 무력화 된거 빼고는 별활약이 없다. 디자이너는 [[야나세 타카유키]].[[https://twitter.com/yanase_t/status/1667811070550110208|#]] * 우주 의회 연합 모함(가칭) == 기타 학원 등장 엑스트라 모빌슈트 == 참고로 이들은 [[건담 빌드 파이터즈]]처럼 거의 대부분 주역들이 탑승하는 기체에게 썰리는 야라레메카로 등장한다. * 다이고 사(ダイゴウ社, Daigo company) * BTz-48 '''클리버리'''(クリバーリ, CLIBARRI) || [[파일:Clibarri_front_lineart_color.webp|width=100%]] || [[파일:수성의 마녀-클리버리 호버 포전형.jpg|width=100%]] || 5화에서 다이고 기숙사 학생 3명이 조종했다. 엘란의 조워트를 상대로 3대1 결투를 벌이나 패배하고 만다. 전고 17.8m, 중량 88.6t. 엉덩이에 대형 호버 크래프트 유닛을 장착하고 있으며, 양 다리 뒷면의 스러스터와 함께 사용해서 호버링 주행을 하며 다리를 변형 시킬수 있다. 양팔뚝에는 미사일 런처, 백백에는 빔 캐논을 장비하고 있고 빔 라이플을 사용한다. 디자이너는 테라오카 켄지. [[건탱크 R-44]] 내지는 [[로토(MS)|로토]] 같이 생긴 형태와 무장에서 알 수 있듯이 [[건캐논]], [[건탱크]]처럼 사용하는 중원거리 형태의 전투 타입. 그 때문인지 백병전에 취약하나 손목에 빔 사벨은 장비하고 있다. * BTz-50hv '''클리버리 둔'''(クリバーリ・ドゥン, CLIBARRI DAWON) || [[파일:BTz-50hv 크리바리 둔 작중 모습.png|width=400]] || [[파일:클리버리 둔 디자이너 일러스트.jpg|width=400]] || 전고 10.4m, 중량 91.1t. 위에있는 클리버리의 개량형으로 보이며 무장은 실드와 일체화된 클로우와 드럼통형태의 로켓런쳐 및 개틀링 같은게 달려있다. 배틀 로얄 방식의 결투 이벤트 "럼블링"에 참가했으며 14화에서 럼블링에서 한대가 등장하여 다른 엑스트라 MS들과 에어리얼을 잡으려 하다가 갑자기 학교에 난입한 [[건담 르브리스 손 | 르브리스 손]]의 빔에 조종석의 파일럿에게 직격당해 격추되면서 '''학원 결투 도중의 최초의 사망자'''를 만들게 된다. * 해머필드 사(ハンマー・フィールド社, Hammerfield company) * TKG-328 '''카펠 쿠'''(カペル・クゥ, KAPELL-KUU) [[파일:Kappel-kuu_front_lineart_color.webp|width=300]] [[파일:수성의 마녀 카펠 쿠 디자인화.jpg|width=500]] 1화에서 구엘 전용 딜란자와의 결투에서 패배한 기체. '해머필드 사'에서 제작한 모빌슈트로, 전고는 17.8m이며 중량 56.2t. 무장은 스파이크 달린 소형 실드와 태도 그리고 총검 달린 베요넷 라이플. 디자이너는 테라오카 켄지(寺岡賢司). * TKG-333 '''카펠 지오'''(カペル・ジオ, CAPELL-GEO) [[파일:TKG-333 카펠 지오 작중 모습.png|width=500]] 건담 에어리얼 (개수형)의 결투 5연전 마지막 상대. 전고 17.8m, 중량 58.7t. 무장은 너클형 빔머신건 멀리서 빔 공격을 하지만 단숨에 달려든 에어리얼의 빔 사벨 공격에 안테나가 잘리며 패배한다. * ???? [[파일:수성의 마녀 9화에서 딜란자에게 패배한 기체.jpg|width=500]] 9화에서 구엘의 딜란자에게 패배한 푸른색의 모빌슈트 [[갈루스 J]]처럼 넓적한 얼굴이 특징이다. * 파리사 로보틱스(ファリサ・ロボティクス, Farisa Robotics) * F06-12 '''아즐러원'''(アズラワン, AZRAWAN)[* 가타카나와 알파벳 표기 모두 액면 그대로 '''아즈라완'''이다.] [[파일:건담 수성의 마녀 아즐러원 디자인화.jpg|width=500]] [[파일:F06-12 아즐러원 작중 모습.png|width=500]] 건담 에어리얼 (개수형)의 결투 5연전 첫 상대. 전고 19.0m, 중량 72.2t. 파일럿은 에보니 보아스. 복부아머로 탈착가능한 가변형 실드가 있어 빔 라이플을 가볍게 튕겨낼 수 있다. 빔건으로 무장 근접 공격 및 빔 공격을 퍼붓지만 에어리얼이 연결부를 노려 실드를 해체한 후 반파 시킨다. 에비카와 카네타케 디자인.[[https://twitter.com/KANETAKE/status/1644980487398756354|#]] * 워블러 모티브(フォブラー・モーティブ, Wobbler Motiv) * FMS-v-3 '''호즐러 II'''(ホズラーII, HOSLER II) [[파일:건담 수성의 마녀 호즐러 II 디자인.jpg|width=500]] [[파일:FMS-v-3 호즐러 II 작중 모습.png|width=500]] 건담 에어리얼 (개수형)의 결투 5연전 두 번째 상대. 전고 20.1m, 중량 71.8t. 실드와 일체화된 것처럼 보이는 거대하고 둥근 양팔을 가지고 있으며, 손 부분은 대형 클로와 빔 건으로 구성되어 있다. 팔등 표면에 내장된 빔 사벨을 회전시켜서 ~~[[조로(MS)|빔 로터]]~~빔 쏘우로 사용하는 공격을 한다. 하지만 아즐러원과 마찬가지로 후방에서 쏘아진 건드 공격에 허무하게 패배한다. 교부 잇페이 디자인.[[https://twitter.com/ippeigyoubu/status/1644980500791197696?t=p0zpVjVNz1-CxhhzYreVcw&s=09|#]] * 바이호 테크니컬 랩(バイホー・テクニカルラボ, Baiho Technical Labs) * AX-B120 '''하이펠리스'''(ハイペリス, HIPELIS) [[파일:건담 수성의 마녀 하이펠리스.jpg|width=500]] [[파일:AX-B120 하이펠리스 작중 모습.png|width=500]] 건담 에어리얼 (개수형)의 결투 5연전 세 번째 상대. 전고 18.8m, 중량 88.9t. 파일럿이 둘 이상 타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버스|양팔과 양어깨의 히든 암을 이용한 빔 사벨 공격]]과 내장된 빔 포로 공격을 하지만 에어리얼의 실드에 막힌다. 직후 에어리얼의 라이플 공격에 양팔이 떨어져나가고 떨어져나간 오른팔이 오작동하여 자신의 안테나를 잘라내며 패배한다. 이나타 와타루 디자인. * 비엘런 시스템(ヴィーラン・システム, Vielan Systems) * MV-7 '''즈발비'''(ズヴァルヴィ, ZVALVI) [[파일:건담 수성의 마녀 즈발비 디자인화.jpg|width=500]] [[파일:MV-7 즈발비 작중 모습.png|width=500]] 건담 에어리얼 (개수형)의 결투 5연전 네 번째 상대. 전고 18.0m, 중량 69.2t. 월도와 사출장치의 복합형 무장으로 공중에서 빠른 스피드로 견제 공격을 날리지만 에어리얼이 산맥에 가려진 틈에 뒤를 잡혀 라이플 공격에 허무하게 패배하고 만다. 야나세 타카유키 디자인.[[https://twitter.com/yanase_t/status/1644980716642656256|#]] * R&W(류디 & 위스턴)(リューディ・アンド・ウィストン, Rudi & Whiston) * UM-HT-426 '''지네테'''(ジネーテ, JINETE) [[파일:지네테 디자이너 일러스트.jpg|width=400]] [[파일:UM-HT-426 지네테 작중 모습.png|width=400]] 전고 19.8m, 중량 78.7t. 무장은 빔 카빈 배틀 로얄 방식의 결투 이벤트 "럼블링"에 참가했으며 사진에는 다리가 없으나 실제로는 다리가 있다. 다만 실사용으로는 공중에서 스러스터로와 호버링으로만 움직이는지라 다리를 가동할 필요도 없는 [[다리 따위는 장식입니다|'''완전한 장식으로''']] 단순 지상용 [[자멜|랜딩기어 및 지지대로 밖에 안쓰고]] 이동할때는 다리를 탈거 해버린다. 에비카와 카네타케 디자인.[[https://twitter.com/KANETAKE/status/1647517214881484800|#]] * 글란츠 엔터프라이즈(グランツ・エンタープライズ, Glantz Enterprises) * GM-02R '''라코위'''(ラコウィー, RACOWY) [[파일:GM-02R 라코위 작중 모습.png|width=400]] 전고 19.1m, 중량 77.9t. 무장은 레이저사이트가 달린 빔 바주카 배틀 로얄 방식의 결투 이벤트 "럼블링"에 참가했으며 머리의 디자인은 [[데스트로이드]] 샤이안과 [[토마호크(마크로스 시리즈)|데스트로이드 토마호크]] 비슷한 외형. * 유자르(ユザール) [[https://twitter.com/ippeigyoubu/status/1675420915570724864|#]] 마지막화의 3년후 시점에서 비춰진 데미트레이너를 대신하는 걸로 보이는 교재용 모빌 슈트. 디자이너는 [[교부 잇페이]]. == MS외 엑스트라 메카닉 == * '''우주 궤도 건설용 모빌 크래프트'''(モビルクラフト, Mobile Craft) [[파일:수성의 마녀 모빌 크래프트 디자인화.jpg|width=500]] 아스티카시아 학원 내에서 학생들의 교보재로 사용되는 [[모빌슈트#s-4.1|쁘띠모빌 형태의 건설 및 정비용 중장비]]. 팔이 4개이며 전고는 6.6m, 중량은 18.8t. 디자이너는 테라오카 켄지[[https://twitter.com/kanatoko28/status/1581563989615849475|#]]. 3화에서 미오리네가 탑승해서 숨어있던 페르시와 페트라를 찾아내는데 사용되기도 했다. 이후 21화에서도 잔해를 치우는 모습으로 다른색상들이 등장 마지막화에서 로지와 츄츄가 탑승하여 작업하는 모습이 비춰진다 * '''대형 모빌 크래프트(가칭) ''' [[파일:건담 수성의 마녀 대형 모빌 크래프트.jpg|width=500]] 팔이 커다란 지상용의 모빌 크래프트. 팔을 몸체 안에 수납 가능하다 * '''소형 트랙터 (가칭)''' [[파일:건담 수성의 마녀 차량.jpg|width=500]] 운전석이 개방된 구조의 화물 운송용 [[ATV]]형태의 차량. 3화에서 대량의 소형 트레일러를 끌고 달리는 모습이 보여진다. 5화에서는 구엘이 탑승 및 조종하였다. * 소형 쇼벨(가칭) 로봇팔뒤에 덤프트럭같은 짐칸이 달린 운송건설용 차량 21화에서 첫등장 * '''율리시스'''(ユリシーズ, Ulysses) [[파일:건담 수성의 마녀 함선1.jpg|width=500]] 특수부대 도미니코스의 강습상륙함으로 탑재 MS로는 [[베귀르베우]], [[하인그라]]가 있다. 2개의 듀얼 캐터펄트, 모빌슈트 사출방식과 외형은 [[기동전사 Z 건담]]에 나오는 [[아가마(기동전사 건담 시리즈)|아가마]]와 [[아이리시급 전함]]을 연상시킨다. 프롤로그 당시에는 라잔 자히가 함장이었으며 본편 11화에서 재등장, 하인드리 슈투름 도미니코스 사양을 탑재하고 있으며, 현재 함장은 프롤로그에서 전직 베귀르베우의 파일럿이었던 케난지 에이버리가 이어 받았다. 8화와 13화에서 동일한 디자인의 함선들이 등장하는데 그래슬리의 로고가 있는 걸로 보아 그래슬리 디펜스 시스템즈에서 개발한 것으로 추정된다. * '''소형 우주정''' [[파일:건담 수성의 마녀 우주정.jpg|width=500]] 인근 우주 공간으로 공간할때 쓰는 우주정. 크기가 작은만큼 대여료도 저렴해 대형 함정을 운용하기 어려운 지구 기숙사에서 종종 빌리고 있다. * '''카슈탕카''' [[파일:건담 수성의 마녀 함선3.jpg|width=500]] 구엘이 밥이란 가명으로 입사한 운송회사의 운송선 * 수리용 위성(가칭) 건설용의 기둥형 우주선으로 16화에서 부서진 럼블링 장소의 외벽을 코팅하였다. * 모빌 크래프트 B 19화에서 어시언 측 병력이 운용한 전차. 디자이너는 테라오카 켄지.[[https://twitter.com/kanatoko28/status/1662740760595415040|#]] == 외전 등장 모빌슈트 == * [[건담 르브리스 지우]] * [[건담 르브리스 아녹타]]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기동전사 건담 수성의 마녀, version=1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