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기능사]] ||<:> [[기계정비기능사]] || → || [[기계정비산업기사]] || |||| {{{+2 {{{#FFFFFF '''기계정비기능사'''}}}}}}[br]{{{#FFFFFF '''Craftsman Machinery Maintenance'''}}} || || 중분류 || 162. 기계장비설비ㆍ설치 || || 관련부처 || [[고용노동부]] || ||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 [목차][clearfix] == 개요 == 생산성 향상에 있어 산업현장의 기계에 대한 보수 및 정비는 매우 중요한 분야이며, 이에 산업현장에서 설비기계를 정비할 수 있는 숙련 기능 인력의 역할에 중요하게 요구되고 있다. 시험응시 및 관련 정보는 [[http://www.q-net.or.kr/crf005.do?id=crf00505&gSite=Q&gId=&jmCd=7121&examInstiCd=1|큐넷]] 홈페이지를 참조. 현재 정기 기능사 3회로 실시되고 있으며, 2025년부터는 [[공유압기능사]], 기계정비기능사, [[설비보전기능사]] 3개가 '설비보전기능사'로 통합된다. == 필기 == 객관식 4지 택일형 60문항 60분이다. 1.기계정비일반 2.공유압일반 3.산업안전 || 2020년 || 110 || 39 || 35.5% || || 2019년 || 157 || 55 || 35% || || 2018년 || 162 || 51 || 31.5% || || 2017년 || 228 || 102 || 44.7% || || 2016년 || 209 || 134 || 64.1% || || 2015년 || 238 || 95 || 39.9% || 필기 시험비용은 14,500원이다. == 실기 == || 2020년 || 33 || 30 || 90.9% || || 2019년 || 37 || 29 || 78.4% || || 2018년 || 34 || 23 || 67.6% || || 2017년 || 53 || 36 || 67.9% || || 2016년 || 100 || 85 || 85% || || 2015년 || 70 || 54 || 77.1% || 실기 시험비용은 46,400원이다. === 전기전자측정 === === 공유압 작업 === === 스케치 작업 === === 배관 작업 === == 관련 문서 == * [[자격증]] * [[국가기술자격]] * [[기능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