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프랑스의 소설가]][[분류:프랑스 남성 작가]][[분류:1850년 출생]][[분류:1893년 사망]][[분류:센마리팀 출신 인물]][[분류:매독으로 죽은 인물]] [include(틀:프랑스 2 선정 위대한 프랑스인)] ---- ||<-2> '''{{{+1 기 드 모파상}}}[br]Guy de Maupassant'''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Maupassant_par_Nadar.jpg|width=100%]]}}} || || '''본명''' ||앙리 르네 알베르 기 드 모파상[* [[외래어 표기법]]을 원칙대로 적용하면 '드모파상'이 되지만 '모파상'으로 널리 알려져 있어서 관용적 예외가 인정된다.][br]Henri René Albert Guy de Maupassant|| ||<|2> '''출생''' ||[[1850년]] [[8월 5일]]|| ||[[프랑스 제2공화국]] [[노르망디]] 뚜흐빌르-슈흐-아흑끄|| ||<|2> '''사망''' ||[[1893년]] [[7월 6일]] (향년 42세)|| ||[[프랑스 제3공화국]] [[파리(프랑스)|파리]]||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프랑스)]|| || '''직업''' ||소설가, 시인, 단편 작가|| || '''장르''' ||[[사실주의]], [[자연주의]]|| || '''서명'''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파일:Guy_de_Maupassant,_signature.jpg|width=150]]}}}|| [목차] [clearfix] == 개요 == [[프랑스]]의 [[소설가]]. [[에드거 앨런 포]], [[안톤 체호프]], [[오 헨리]]와 함께 [[단편소설]]로 세계에서 손꼽히는 작가이다. 한국에선 일부 유명 작품들만 [[우려먹기]] 식으로 번역해온 탓에 알려진 단편《[[목걸이(소설)|목걸이]]》,《비곗덩어리》, 장편《어느 인생》정도만 알려져 있지만, 공포 소설들을 비롯한 다른 장르 소설들도 많이 다작했다. == 생애 == 초기에는 [[귀스타브 플로베르]]와 [[에밀 졸라]]의 영향을 받아 리얼리즘 형식의 글을 써서 인기를 끌었다. 그러나 그 후 '벨 아미'라고 이름붙인 자신의 요트로 전 세계를 여행하면서 성과 쾌락에 탐닉하다가 매독이 발병, 1877년경부터 시작된 [[매독]]의 증상으로 [[신경증]]을 앓으면서 점차 환상적인 색채가 강해진다. 전자의 대표적인 작품으로는《비곗덩어리》,《어느 인생》[* 2019년 출간된 백선희 역본을 제외하면 여자의 일생으로 번역되어왔다. 일제강점기에 처음 번역할때 영어판을 중역한 일어판을 삼중역하면서 여자의 일생으로 번역한 것이 굳어졌다. [[https://view.asiae.co.kr/article/2019110315194712053|기사]]. 귀족 잔느가 줄리앙(쥘리앵)과 결혼했지만 줄리앙이 하녀 로잘리와 바람을 피우는 걸 알게 되고, 이후 [[출산씬|아들을 낳고]], 딸도 얻으려 하지만 줄리앙이 다른 사람과 바람을 피우다가 그 사람의 남편에게 들켜 죽임을 당하고, 잔느는 딸을 사산하는 등 인생의 우여곡절에 대해 나온다.], 후자의 대표적인 작품으로는《오를라》가 있다.[* 오를라는 보이지 않는 괴생명체를 묘사하여 [[허버트 조지 웰즈]]의 [[투명인간]]을 구상하는데 영감을 주었으며 [[하워드 필립스 러브크래프트|러브크래프트]]의 [[크툴루 신화]]에 영향을 끼치기도 하였다. 문학 사상 처음으로 쓰여진 투명 괴생물체를 다룬 작품은 아니다. [[아일랜드계 미국인]] 작가 피츠제임스 오브라이언(1828~1862)이 쓴 [[그것은 무엇일까?]] What Was It? (1859)같은 소설이 훨씬 먼저 나왔지만, 오브라이언이 살아 생전 인정받지 못하고 남북전쟁에서 전사하면서 잊혀지며 1881년까지 출판조차 되지 않았고, 당시에는 변방이었던 미국에서 나온 책이 유럽에서 번역되어 나왔을 가능성은 매우 적고 위의 이야기 중 최초로 확인된 프랑스어 번역본은 1936년으로 모파상이 죽은 지 40여년이나 지난 후이다. 오브라이언의 작품은 역시 투명생물체를 다룬 작품에서 수작으로 평가받지만, 이도 1차대전 이후 미국 국력이 강해진 후의 일이다.] 이 밖에 모파상의 환상소설들은 우리나라에서 [[러브크래프트]]와 함께 공포특급류의 해적판으로 많이 묶여져서 나왔으며 이 중《모파상 괴기소설 광인?》이라는 단편집이 2007년 '우물이 있는 집'이라는 출판사에서《박제된 손》이라는 이름으로 개정출간되었다. [[에펠탑]]이 파리의 풍경을 해친다며 에펠탑 건설을 반대했던 사람이기도 했다.[* 그냥 반대만 한게 아니라 동료 소설가와 예술인, 건축계 종사자들을 모아 저런 백해무익한 쓰레기가 파리 시내에 세워지는데 경각심을 금할수가 없다며 신문에 투서까지 썼다고.] [[에펠탑]]이 세워진 후 어느 날 에펠탑에서 식사를 하고 있었는데, 그 이유를 물어보자''' "여기가 파리에서 에펠탑을 볼 수 없는 유일한 곳이니까."'''라고 대답했다고 한다.[* [[이연희]], [[정용화]] 주연의 JTBC 드라마 [[더 패키지]]에서 여행가이드를 하고 있는 이연희가 관광객들에게 이 내용을 이야기해줬다.] 다만, 진위는 파악되지 않은 내용이라고 한다. 말년은 비참했다. 앞서 말한대로 [[매독]]에 걸린 것이 문제였는데 20세기 초까지 매독은 사실상 치료가 불가능한 불치병이었기에 계속 진행되어 그의 뇌를 망가뜨렸고, 이후 자기 [[오줌]]을 성수라면서 모으기도 하는 등 발광이 심해져서 온갖 소동을 일으켰으며 1891년에는 자살까지 시도, 결국 [[정신병원]]에 수용되었고 2년 뒤 정신 병원에서 4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 작품 목록 == * 장편 * Une Vie [[https://blog.naver.com/bhjang3/221006871264|여자의 일생]] (1883) * Bel-Ami 벨아미 (1885) * Mont-Oriol 오리올 산 (1887) * Pierre et Jean 피에르와 장 (1888) * Fort comme la mort 죽음처럼 강한[* 1980년대 문고본으로 나온 방곤 교수 역본은 '사랑은 죽음보다'로 의역했고 90년대 김진욱 번역본은 '죽음보다 강한 사랑'으로 번역했다.] (1889) * Notre Cœur 우리의 마음 (1890) * L' Angelus 삼종기도 (1894) 미완성 장편 * L'âmé Entrangère 낯선 영혼 (1895) 미완성 장편 * 단편 * [[목걸이(소설)|목걸이]] 등 300여편 이외 희곡 5편, 기행문 3편, 시집 1권. == 기타 == 이런 일화도 있다. > 하루는 사람들이 '무엇이 제일 맛있는가'에 대한 토론을 벌이고 있었다. 모두들 자기들이 맛있게 먹었던 요리에 대해 얘기를 하고 있던 중, 갑자기 모파상이 "뭐니뭐니해도 사람고기만큼 맛있는 건 없지. 특히 가장 맛있는 건 여자의 고기 국물이라고 생각해." 라고 했다. 그러자 사람들이 놀라며 "아니, 식인을 했다는 말입니까?"라고 묻자 모파상은 태연하게 이렇게 대답했다고 한다.'''"[[모유|당신들도 먹어 본 적이 없다고는 못할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