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서구(광주)의 공동주택]][[분류:1993년 건설]][[분류:라인아파트]] [Include(틀:광주광역시의 공동주택)]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금호라인20.jpg|width=100%]]}}}|| ||<#0072E0> '''{{{#fff 단지 전경}}}''' || ||<-2><#fff> [[파일:라인 심볼(1978-1998).svg|width=50]] || ||<-2>{{{#!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금호동라인아파트, 너비=100%)]}}}|| || '''명칭''' || 금호동 라인아파트 || || '''영문 명칭''' || Geumho-dong LINE Apt || || '''종류''' || [[아파트]] || || '''주소''' || [[광주광역시]] [[서구(광주광역시)|서구]] [[금부로]] 100 ([[금호동(광주광역시 서구)|금호동]]) || || '''최초 입주''' || [[1993년]] [[12월]] || || '''동수''' || 6개동 || || '''층수''' || 지하 2층, 지상 12~20층 || || '''세대수''' || 462세대 || || '''면적''' || 105㎡, 123㎡, 136㎡, 190㎡ || || '''주차대수''' || 480대 || || '''시공사''' || [[라인아파트|[[파일:라인 로고(1978-1998).svg|height=20]]]] || [목차] [clearfix] == 개요 == [[광주광역시]] [[서구(광주광역시)|서구]] [[금호동(광주광역시 서구)|금호동]]에 위치한 [[아파트]]. 31평형 150세대, 37평형 196세대, 41평형 87세대, 57평형 29세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용 85㎡ 이상 대형면적 위주로 구성된 아파트다. 31평은 그 시절 흔했던 2bay 3room 구조고, 37평과 41평은 3bay 4room 구조로 둘이 구조는 거의 동일하고 크기만 차이난다. 가장 큰 57평형은 4bay 5room 구조로 104,105동에 딱 한 라인씩만 존재해서 희소성이 있는데다가 금호동에서 [[코아루]] 59평형 다음으로 넓은 집이다. 주차장은 지상과 지하에 마련되어 있으며 세대 당 1대씩 주차할 수 있다. == 연혁 == 90년대 초, 광주시의 산발적인 택지개발이 한창이던 시절에 [[서구(광주광역시)|서구]] 중심부[* 개발 당시에는 [[광산구]]였다가 나중에 서구로 편입되었다.]에 조성된 [[금호동(광주광역시 서구)|금호지구]]에서 첫번째로 입주한 민영 아파트이다. 금호라인이 입주했던 1994년도 1월 당시의 금호동은 시범적으로 지은 금호시영 1, 3단지만 막 완공되어 입주 중인 상태였고, 다른 아파트들은 물론이고 학교나 관공서 같은 기반시설들도 아직 공사 중인 상황이었기 때문에 낮이고 밤이고 [[유령도시]]에 가까웠다.[* 이때는 [[상무지구]]와 금호2지구도 개발되기 전이라 현재는 시청앞 계수교차로부터 풍금사거리까지 뻗은 [[운천로]]가 상무지구입구사거리(당시엔 삼거리)와 [[금호시영5단지아파트|시영5단지]] 앞에서 끊겼다. 당연히 도로 끝 너머로는 개발이 전혀 안된 논밭이었고. --지금은 상상도 안가는 모습--] 그러다 1995년 즈음 되니 기반시설들이 점차 자리잡기 시작했고[* 이때 금호2지구도 착공했다.] 2000년대 초중반에 들어서는 개발이 거의 완료되어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 특징 및 시설 == 37평 이상 대형평형이 많고 PVC 창호[* 지금은 거의 모든 아파트가 사용하고있는 하얀색 플라스틱 재질의 창틀인데 '하이샤시'라고도 부른다. 2000년대 중반부터 많이 쓰였고 그 전까지는 주로 알루미늄으로 된 창호를 사용했는데, 당장 대부분의 금호동 아파트들은 알루미늄 샷시를 사용했다. --물론 나중에 리모델링으로 교체한 집은 제외--], 원목 마감재 같은 고급자재와 홈시큐리티 기능을 갖춘 비디오 인터폰[* [[대우전자]]의 제품이 들어갔다.], 주방 빌트인 라디오같은 첨단전자장비가 들어갔으며, 입주민들의 연령대도 주변 아파트에 비해 높은 편이고 고위직에 있거나[* 대표적으로 [[서대석]] 전 서구청장이 이곳에 오랫동안 거주하고 있다.] 소득이 높은 사람들이 많이 거주해서 당시 매우 드물었던 [[외제차]]들이 주차장에 꽤 있었고 [[쏘나타|중형차]] 이상 고급 차량들의 비중이 매우 많았다. 하지만 2000년대 후반에 [[금호동 쌍용예가|쌍용예가]]와 [[진흥 더 루벤스]]같은 대형평형 아파트들이 새로 지어지면서 라인에서 살다가 그쪽으로 옮겨간 사람들이 많다. 그리고 최근에는 [[위파크 마륵공원]]도 지어지고 있어 한번 더 갈아타기 수요가 일어날 가능성이 크다. 지하주차장이 지하 2층까지 내려가는게 특징으로, 금호1지구에선 라인이 유일하다. 다만 보편적인 형태의 지하 2층은 아니고 경사진 지형을 이용해서 데크(Deck) 구조로 지상층을 높혀서 지하 1층을 만든 형태로, 지대가 높은 104~106동 쪽에만 지하주차장 입구 및 지하 1층이 있고 그 깊이도 반지하 정도로 얕다. 지하 2층부터는 완전히 땅 밑으로 들어가있고 각각 101~103동 쪽까지 연결돼 있어서 꽤 넓다. 덕분에 지상보다 지하에 주차공간이 더 많은, 당시로선 보기 드문 아파트였다. 하지만 각 동 엘리베이터가 지하로 연결되지 않아서 무조건 옥외계단을 통해 걸어가야 한다. 금호지구에서 가장 오래된 아파트지만 노후시설 정비 및 교체나 외벽 재도색을 자주하는 등 관리가 매우 잘되고 있다. === 주민시설 === 주민시설로 어린이놀이터 두 곳과 관리사무소 건물에 경로당과 탁구장이 있다. === 상업시설 === 101동 옆에 대로변으로 단지내 상가가 있으며, 지하층까지 있는 꽤 규모가 큰 상가이다. 세탁소, 카페, 분식점, 미용실, 떡집, 내과 및 치과, 약국 등 각종 생활 시설들이 입접해있다. 주변 상가로는 CBS 방송국 정류장 근처 상가들과 비교적 최근에 생긴 G-플레이스가 있고 남쪽으로는 무지개아파트상가에 [[롯데슈퍼]]와 풍금사거리 상권이 있다. == 주변 환경 == === 위치 === [[금호동(광주광역시 서구)|금호동]] 초입에 있어 [[상무지구]]와 가장 가깝고, [[기독교방송|CBS]] 인근 상권이 바로 앞이고 금호동 먹거리촌도 멀지않다. 서구문화센터,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 광주학생독립운동기념회관 등등 문화 시설도 가깝다. 금호동 주민들이 '뒷산'이라고 부르는 이름없는 산[* 산을 넘어 백일지구의 지명을 따서 '백일산'이라고 부르는 사람들도 있는데 '백일'이라는 지명 자체가 친일파 [[김백일]]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 밝혀지면서 지명 바꾸기 작업으로 사실상 사라졌고 에초에 백일산이라는 이름은 주민들만 부르는 이름일뿐 공식 명칭도 아니었다. 시에서는 산이라고 하기엔 살짝 높은 언덕 수준이라 이름을 붙이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이 가깝다. 이 산을 넘어가면 광주학생독립운동기념회관이 나온다. === 교통 === 단지 북쪽으로 CBS방송국정류장[* [[광주 버스 순환01|순환01번]], [[광주 버스 금호36|금호36번]], [[광주 버스 금호46|금호46번]], [[광주 버스 지원45|지원45번]], [[광주 버스 매월61|매월61번]], [[광주 버스 송암72|송암72번]], [[광주 버스 서구760|마을760번]], [[광주 버스 대촌270|대촌270번]], [[광주 버스 진월77|진월77번]]이 정차한다.]이 있다. [[광주 도시철도 2호선|도시철도 2호선]] [[금호역(광주)|205 금호역]](가칭)이 단지에서 3분거리인 무지개아파트상가([[롯데슈퍼]]) 앞에 생길 예정이라 추후 [[역세권]]이 된다. [[운천로]]를 따라 [[빛고을대로]]나 [[광주제2순환도로]]에 진입할 수 있어 [[호남고속도로]]나 광주 전역으로 이동이 용이하다. 단지 입구 앞 [[금부로]]가 터널을 통해 [[서광주로]]와 직통연결될 예정으로 운천로를 통하지 않고도 [[상무지구]]로 이동할 수 있을것으로 보인다. === 교육 === 단지 바로 옆에 금호중학교가 있고 도보 10분 거리에 있는 금호초등학교로 배정 받는다. 통학 환경은 초등학교의 경우 좁은 골목길을 따라 꽤 오래 걸어야 하므로 그리 좋지 않고, 중학교는 바로 옆이니 그나마 낫다. 금호동 학원가가 자리잡은 만호초 앞 사거리도 도보 20분 거리로 그리 가깝지는 않다. --그렇다고 버스타기도 애매하다..-- == 여담 == * 104동 앞쪽에 제3 지하주차장 안쪽으로 들어가다보면 다시 지상으로 올라가는 경사로가 있고 그 끝은 담장으로 막혀있는 --쓸모없는-- 구조를 볼 수 있는데, 원래 후문 용도로 만들었다가 104동 주민들이 차량통행 소음 및 외부차량 진입, 보안 등을 이유로 문제를 제기하자 막아버린 것이다. 그 옆에 철문도 같이 잠궈버린 탓에 단지로 들어가려면 무조건 정문까지 빙 돌아가야 한다. 그래서 철조망까지 감아져 있음에도 빨리가려고 담을 넘는 아이들이 많다. * 그 전까지 2~30평대를 주로 지었던 라인건설이 나름 고급아파트로 지었던 곳임에도 불구하고 [[부실공사]] 때문에 시끄러웠던 적이 있다.[*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당시 시국]]을 생각하면...] 31평로 구성된 101동이 설계도와 다르게 시공된 탓에 벽에 금이 가고 건물이 기우는 문제가 일어나면서 101동 입주민들이 시공사인 라인건설을 상대로 하자보수 소송을 걸었고 끝내 승리하면서 일단락되었다. [[https://m.mk.co.kr/news/all/1700179|관련기사 1]]/[[https://www.donga.com/news/Society/article/all/20001121/7611663/1|2]] * [[라인건설]]의 부활을 주제로 한 기사에서 참고사진으로 등장했다. [[http://www.mcnews.co.kr/sub_read.html?u_ip=122.37.167.64&uid=35047#|해당기사]] == 관련 문서 == * [[아파트]] * [[금호동(광주광역시 서구)]] * [[라인아파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