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제22대 국회의원 선거/주요 변수/제3지대론)] ||<-5> [[대한민국의 단일쟁점정당|{{{#000,#fff '''대한민국의 단일쟁점정당'''}}}]] || || ''창당'' ||{{{+1 →}}}|| {{{#fff '''금융개혁당'''}}} || {{{+1 →}}} || ''현재'' || ||<-2> [[파일:금융개혁당 로고 고화질.png|width=80%]] || ||<-2> {{{#fff '''금융개혁당'''}}} || || '''약칭''' ||금혁당 || || '''등록일''' ||[[2024년]] [[3월 18일]] || || '''대표''' ||신미숙|| ||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85F 0%, transparent 0%) {{{#fff '''0석 / [include(틀:국회 의석수)]석 (0%)'''}}}}}} || || '''광역단체장'''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85F 0%, transparent 0%)" {{{#fff '''0석 / 17석 (0%)'''}}}}}} || || '''기초단체장'''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85F 0%, transparent 0%)" {{{#fff '''0석 / 226석 (0%)'''}}}}}} || || '''광역의원'''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85F 0%, transparent 0%)" {{{#fff '''0석 / 872석 (0%)'''}}}}}} || || '''기초의원'''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A85F 0%, transparent 0%)" {{{#fff '''0석 / 2,988석 (0%)'''}}}}}} || || '''당 색'''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9900cc; border: 1px #9900cc; border-radius: 3px; padding: 3px 4px;" {{{#fff 보라색 {{{-2 (Purple, #9900CC)}}}}}}}}}[* [[https://www.xn--h49al0bqyh7qzg3q.kr/kor/CMS/Contents/Contents.do?mCode=MN030|#]]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47/0002429472?sid=100|#]]] || || '''정치적 스펙트럼''' ||[[단일쟁점정당|단일쟁점]] (금융 개혁) || || '''주소''' ||[include(틀:지도, 장소=서울특별시 중구 다산로39길 25)][[서울특별시]] [[중구(서울특별시)|중구]] 다산로39길 25, 1층 (무학동) || || '''링크''' ||[[http://www.금융개혁당.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3]]]] | [[https://www.instagram.com/geumyunggaehyeogdan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3]]]] | [[https://www.youtube.com/@user-fq8ub3kx2r|[[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3]]]]||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단일쟁점정당]]. '대한민국의 금융 선진화'를 목표로 [[통화 정책|금융 정책]]에 초점을 맞춘 정당으로, 2023년 상반기 주식시장에서 2차 전지 관련주에 투자했다가 주가 하락으로 큰 손해를 본 개인 투자자들이 이를 '불법 공매도'로 규정하고 한국 금융 업계 개혁을 위해 창당하였다. == 상세 == 2차 전지 관련주 투자 열풍을 주도하며 '배터리 아저씨'라는 별명으로 불린 박순혁 작가(전 금양 홍보이사)와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위원이기도 한 [[선대인]] 선대인경제연구소 소장이 손잡고 금융개혁 신당을 추진하겠다고 선언하였으나, [[자본시장법]]상 미공개 정보 이용에 관해 [[금융감독원]] 자본시장특별사법경찰로부터 자택 압수수색을 받는 등 부담을 얻게 되자 신당 창당 추진을 포기하였다. 이후 박순혁 작가를 지지하는 이들로 구성된 인터넷 카페 '박순혁을 지키는 모임(박지모)'이 '박지모와 금융선진화'라는 이름으로 개칭하였으며, 무산되었던 창당 계획을 재추진해 [[창당준비위원회]]를 발족했다.[[https://naver.me/FOMyzfbA|#]] 그러나 추진 과정에서 박순혁 작가와의 의견 대립을 겪은 끝에 카페의 이름을 '금융개혁당'으로 바꾸었고, 최초 창당 추진 세력과는 별개인 독자적 창당 경로를 밟게 되었다. 창당발기인대회를 연 뒤 2024년 1월 15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창당준비위원회]]를 등록했고, 동년 3월 18일에 정식으로 창당하였다.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창당 후 한 달여 만인 2024년 4월 10일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 참여하였다. 지역구에는 후보를 내지 않았으며 비례대표에 신미숙 대표가 단독 출마하여 후보로 등록하면서 최종적으로 한 명의 후보만 내게 되었고, 기호 17번을 받았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금융개혁당 22대 총선 후보 및 공약.jpg|width=100%]]}}} || || '''제22대 총선 금융개혁당 온라인 포스터''' || 비례대표 정당 투표 개표 결과 정당 득표율 0.07%(20,548표)로 전체 38개 정당 중 20위에 올랐으나 [[봉쇄조항]] 3%에 미달하면서 유일한 후보인 신미숙 대표가 낙선하며 원내 입성에 실패했다. == 공약 == ||1. 전산화를 통한 불법 무차입 공매도 원천 차단 2. 상환 기간 연장없는 3개월로 무기한 공매도 차단 3. 외국인/기관/개인 담보비율 140% 로 통일 4. 금융투자소득세(약칭 금투세) 폐지 5. 상법 개정 및 기업 지배구조 개선 6. 조기 금융 교육 강화|| [youtube(7M2W_ahCaH8, start=150, end=1000)] [youtube(cW-0nHtS9xk?si, start=150, end=1000)] == 둘러보기 == [include(틀:대한민국의 정당)] [include(틀:대한민국의 원외정당)] [include(틀:대한민국의 단일쟁점정당)] [[분류:대한민국의 단일쟁점정당]][[분류:2024년 설립된 정당]][[분류:나무위키 정당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