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대운동회의 등장인물, rd1=미스터 미라클)] [include(틀:연천 미라클/로스터)] ---- ||
'''{{{#fff 금민철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키움 히어로즈 개막전 선발 투수)] ---- ||
'''{{{#fff 금민철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fff [[두산 베어스|{{{#ffffff 두산 베어스}}}]] 등번호 58번}}}''' || || 김성환[br](1997~2004) || {{{+1 →}}} || '''{{{#000 금민철[br](2005~2009)}}}''' || {{{+1 →}}} || [[이현승(야구선수)|이현승]][br](2010~2011) || ||<-5> '''{{{#fff [[넥센 히어로즈|{{{#fff 넥센 히어로즈}}}]] 등번호 48번}}}''' || || [[이현승(야구선수)|이현승]][br](2008~2009) || {{{+1 →}}} || '''{{{#ffffff 금민철[br](2010~2011)}}}''' || {{{+1 →}}} || [[전민수|전동수]][br](2012) || ||<-5> '''{{{#fff [[넥센 히어로즈|{{{#fff 넥센 히어로즈}}}]] 등번호 58번}}}''' || || [[김성진(1994년 3월)|김성진]][br](2013) || {{{+1 →}}} || '''{{{#ffffff 금민철[br](2014~2017)}}}''' || {{{+1 →}}} || [[김성택(야구)|김성택]][br](2018) || ||<-5> '''{{{#fff [[kt wiz|{{{#ffffff kt wiz}}}]] 등번호 58번}}}''' || || [[정성곤]][br](2015~2017) || {{{+1 →}}} || '''{{{#fff 금민철[br](2018~2020.8.12.)}}}''' || {{{+1 →}}} || [[박준혁(1999)|박준혁]][br](2020.8.18.~2020) ||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금유성미라클.jpg|width=100%]]}}} || ||<-2> '''연천 미라클 No.58''' || ||<-2> '''{{{+2 금민철 }}}[br]Keum Min-cheol'''[* 2022년에 금유성으로 개명했으나 개명한 이름이 와닿지 않아서 2023년에 다시 원래 이름으로 돌아갔다. 대신 이전 이름과 달리 이름의 한문을 바꿨다.] [br] || ||<|2> '''출생''' ||[[1986년]] [[11월 7일]] ([age(1986-11-07)]세) || ||[[경기도]] [[부천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부천북초등학교|부천북초]] - [[부천중학교(경기)|부천중]] - [[동산고등학교 야구부|동산고]] || || '''신체''' ||181cm, 87kg || || '''포지션''' ||[[투수]] || || '''투타''' ||[[좌투좌타]] || || '''프로입단''' ||[[한국프로야구/2005년/신인드래프트#s-3.2|2005년 2차 4라운드]] (전체 26번, [[두산 베어스|두산]]) || || '''소속팀''' ||'''[[두산 베어스]] (2005~2009)'''[br][[넥센 히어로즈]] (2010~2017)[br][[kt wiz]] (2018~2020) [br] [[가평 웨일스|시흥 울브스]] (2021) [br] [[연천 미라클]] (2021~) || || '''병역''' ||[[사회복무요원|공익근무요원]] (2012~2013) || || '''기록''' ||'''[[무결점 이닝]] (2009.05.27)''' || [목차] [clearfix] == 개요 == 前[[두산 베어스]], [[넥센 히어로즈]], [[kt wiz]] 소속 좌완 투수. 별명은 성이 "금"씨인 것에 빗대어 잘할 때는 금동이, 못할 때는 납레기(...)으로 격하당한다. == [[금민철/선수 경력|선수 경력]] == ||
'''금민철의 선수 경력'''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0> '''통합 선수 경력''': '''[[금민철/선수 경력]]''' || ||<-4> [[KBO 리그|[[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width=110]]]] || || [[금민철/선수 경력#s-1|'''{{{#fff 두산 시절}}}''']] || [[금민철/선수 경력#s-2.1|'''{{{#fff 2010년}}}''']] || [[금민철/선수 경력#s-2.2|'''{{{#ffffff 2011년}}}''']] || [[금민철/선수 경력#s-2.3|'''{{{#ffffff 군 복무}}}''']] || || [[금민철/선수 경력#s-2.4|'''{{{#ffffff 2014년}}}''']] || [[금민철/선수 경력#s-2.5|'''{{{#ffffff 2015년}}}''']] || [[금민철/선수 경력#s-2.6|'''{{{#ffffff 2016년}}}''']] || [[금민철/선수 경력#s-2.7|'''{{{#ffffff 2017년}}}''']] || || [[금민철/선수 경력#s-3.1|'''{{{#ffffff 2018년}}}''']] || [[금민철/선수 경력#s-3.2|'''{{{#ffffff 2019년}}}''']] || [[금민철/선수 경력#s-3.3|'''{{{#ffffff 2020년}}}''']]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2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b0b61 45%, #2f3081 65%)" [[금민철/선수 경력#s-4|{{{#white '''독립 리그 시절'''}}}]]}}} || }}}}}}}}} || == 피칭 스타일 == [youtube(XWWHBQ4DZeM, width=560, height=315)] 금민철의 불펜 투구 모습. 금민철의 투구폼은 오른쪽 다리를 끌고 나가 내딛는 스트라이드는 너무 좁고, 피칭 후 몸과 고개는 3루 쪽으로 쏠려버린다. 스윙하는 팔은 고개가 3루로 돌아가고 나서 뒤늦게 튕겨져 넘어온다. 스트라이드는 포수쪽으로 최대한 끌고 나가고, 공을 던지는 순간까지 시선은 포수 미트를 향하며, 팔을 몸의 회전과 함께 앞으로 쭉 끌고 나와서 던진다'는 피칭 교본과는 정반대다. 그렇기 때문에 금유성의 폼으로는 밸런스를 잡기가 어렵다. [[윤석환]] 전 두산 투수 코치와 투구폼을 바꿔보려고 무단히 시도했으나 공에 힘을 넣지 못하자 선택한 방법은 그냥 이 폼으로 하체를 고정시키고 발 뒷꿈치부터 딛게 해 밸런스를 잡는 것.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44&oid=076&aid=0002006691|출처]] [[파일:attachment/금민철/금동이.jpg]] 금민철의 커터 그립. 보통 커터와는 달리 검지와 중지를 붙여 잡는다. 한 가지 신기한 점이 있다면, 패스트볼 자체가 컷 패스트볼이다. 예전부터 패스트볼은 그런 그립을 잡아서 던지는게 일반 패스트볼 그립보다 더 편해서 계속 그렇게 던지고 있다고. 그래서 패스트볼 평균 구속은 140이 되지 않지만, 패스트볼을 상대하기가 생각보다 까다롭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구속이 매우 느리고, 구종도 커터와 커브로 사실상 투피치이며 홈플레이트 근처에서의 무브먼트를 무기로 타자들을 상대하다 보니 타자들에게 좋은 공이 커트당하게 되고, 투구 패턴도 단조로운데다 제구가 칼제구인 것도 아니라서 많은 피안타와 볼넷 수에 기반하는 whip 역시 매우 높은 편이다. 결국 구위가 타자를 이겨내지 못하기 때문에 정면승부를 하면 얻어맞고 피해가는 승부를 하면 볼넷을 주는 투수. 자연적으로 던지는 컷 패스트볼이라 그런지 스탯티즈에는 슬라이더 구사율 70%가 나온다. 그런 특성으로 인해 좌투수인데도 우타자에 강하다.우타자 몸쪽으로 파고 드는 컷패스트볼이 우타자 입장에서 대응하기 난처하다.대신 좌투수인데 좌타자에 강점이 없다. KT로 이적한 이후로 구속이 조금 더 떨어져 평균구속이 130 초반대이다. 커터임을 감안하더라도 느린 구속. == 여담 == [[파일:attachment/goldmc.jpg]] * 공식 마스코트--, [[아재개그|웃으면 당신은 아재.]]--[* '''금'''을 '''민 철'''. [[최의민]](필명 최불암)이 [[불암콩콩코믹스]]에서 그렸다.] * [[오승환]]만큼 돌부처다. 물론 기량 말고 표정만. 일례로 [[소녀시대]]의 [[윤아|임윤아]]에게 시구를 직접 지도했는데 그 때 무뚝뚝한 표정을 보여서 윤아가 무서워할 정도였다고 한다. 그래도 덕아웃에 보이는 모습을 보면 환하게 웃기는 하는데, 마지못해 웃는 표정같다. * 2010년 올스타전 당시 당일 홈런 레이스에서 한 개의 홈런도 치지 못했던 [[양준혁]]에게 7회 쓰리런 홈런을 맞음으로써 양신의 장장 18년에 걸친 프로 생활에 좋은 마무리를 짓게 해준 것으로 인해, 삼성팬 한정 까방권을 얻게 되었다. 2001년 [[박찬호]]가 마지막 시즌을 보내던 [[칼 립켄 주니어]]에게 올스타전 홈런을 선사했던 것과 비슷한 상황. * [[등번호]]는 두산에서 데뷔한 이래로 쭉 '''58번'''을 썼다. 넥센으로 트레이드된 직후에 잠시 48번을 썼던 것이 유일한 예외. * [[동산고등학교 야구부|동산고]] 3학년 때는 한 해 후배인 [[류현진]]이 팔꿈치 수술 후 재활에 매달리느라 거의 혼자 팔 빠지게 던지기도 했다. [[마산용마고등학교 야구부|용마고]]와 맞붙었던 2004년 [[대붕기 전국고교야구대회|대붕기]] 결승에서 [[조정훈(야구선수)|조정훈]]과 벌인 투수전이 압권. 이틀 연속 승부를 가리지 못하면서 공동 우승.[* 수정 전 둘 다 이틀 연속 연장 12회 완투를 했다고 기재되어 있었으나, 이튿날에 펼쳐진 재경기에선 5회 1사 1, 3루 상황에서 비로 경기가 취소되어 주최측에서 공동 우승으로 처리하였다.[[http://sports.new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076&aid=0000006525|관련 기사]]] * [[강윤구(야구선수)|강윤구]]와 같이 점점 퇴보하는 실력에도 오랜 기간 [[넥센 히어로즈]]에 남았던 이유는 팀내에 1군급 토종 좌완 자체가 적기 때문이다. 팀내 오재영[* [[오주원]]으로 개명.]과 함께 가을야구도 경험해 볼 정도로(두산에서) 1군 경력도 꽤 긴 편이고, 박종윤, 김택형은 어린데다가 경력이 일천하다. 게다가 원 포인트밖에 못하는 [[박성훈(야구)|박성훈]]과 달리 금민철은 선발, 불펜이 일단은 가능한 스윙맨이라는 것도 큰 요인. 그런 이유인지 강윤구와 김택형마저 팀을 떠난 2017년 시즌에도 넥센에서 선발과 불펜을 오가며 활약하고 있다. 하지만 [[넥센 히어로즈]]가 이후 신예급 좌완들을 여럿 긁어모은 것의 여파인지 결국 2018 시즌을 앞두고 [[kt wiz]]로 이적하게 되었다.[* 여담으로 kt가 2018년 2차 드래프트에서 지명한 선수들은 2라운드에서 지명한 금민철을 포함해 1라운드에서 지명한 [[조현우(야구선수)|조현우]], 3라운드에서 지명한 [[김용주(야구선수)|김용주]]까지 전부 좌완 투수다.] * 유독 [[삼나쌩 클럽|삼성을 만나면 강한 편]]이다. 15년도에는 460일 만의 선발승을 포함해, 3경기 11이닝 4실점 4자책이였고, 선발승을 따낼 때, 상대팀 선발이 [[알프레도 피가로]]였다. 16년에는 1경기 2.1이닝 무실점이다. 17년에도 같은 모습을 보여줬다. * KBS1/KBS N Sports에서 방영한 [[청춘야구단: 아직은 낫아웃]]에 투수로 출연하였다. == 연도별 주요 성적 == ||<-17> '''{{{#131230,#d0cfed 역대 기록}}}'''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이닝}}} || {{{#ffffff 승}}} || {{{#ffffff 패}}} || {{{#ffffff 세}}} || {{{#ffffff 홀}}} || {{{#ffffff 승률}}} || {{{#ffffff ERA}}} || {{{#ffffff 피안타}}} || {{{#ffffff 피홈런}}} || {{{#ffffff 4사구}}} || {{{#ffffff 탈삼진}}} || {{{#ffffff 실점}}} || {{{#ffffff 자책점}}} || {{{#ffffff WHIP}}} || || 2005 ||<|5> [[두산 베어스|두산]] || 39 || 51⅓ || 0 || 3 || 0 || 6 || 0.000 || 4.79 || 45 || 5 || 26 || 44 || 28 || 27 || 1.266 || || 2006 || 38 || 58 || 3 || 2 || 0 || 2 || 0.600 || 4.66 || 51 || 2 || 50 || 42 || 33 || 30 || 1.603 || || 2007 || 53 || 59 || 1 || 4 || 0 || 6 || 0.200 || 3.97 || 57 || 2 || 34 || 43 || 30 || 26 || 1.458 || || 2008 || 44 || 59⅓ || 2 || 0 || 0 || 3 || 1.000 || 2.28 || 54 || 1 || 33 || 49 || 20 || 15 || 1.399 || || 2009 || 36 || 83⅓ || 7 || 2 || 0 || 0 || 0.778 || 4.43 || 74 || 7 || 61 || 55 || 44 || 41 || 1.512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이닝}}} || {{{#ffffff 승}}} || {{{#ffffff 패}}} || {{{#ffffff 세}}} || {{{#ffffff 홀}}} || {{{#ffffff 승률}}} || {{{#ffffff ERA}}} || {{{#ffffff 피안타}}} || {{{#ffffff 피홈런}}} || {{{#ffffff 4사구}}} || {{{#ffffff 탈삼진}}} || {{{#ffffff 실점}}} || {{{#ffffff 자책점}}} || {{{#ffffff WHIP}}} || || 2010 ||<|8> [[넥센 히어로즈|넥센]] || 24 || 120⅔ || 6 || 11 || 0 || 0 || 0.353 || 4.40 || 118 || 10 || 86 || 86 || 63 || 59 || 1.566 || || 2011 || 8 || 32⅓ || 2 || 5 || 0 || 0 || 0.286 || 5.29 || 31 || 3 || 35 || 16 || 28 || 19 || 1.918 || || 2012 ||<-15><|2> 군복무([[사회복무요원|공익근무요원]]) || || 2013 || || 2014 || 11 || 41⅔|| 3 || 5 || 0 || 0 || 0.375 || 6.05 || 51 || 4 || 37 || 24 || 35 || 28 || 1.944 || || 2015 || 7 || 22 || 1 || 1 || 0 || 0 || 0.500 || 4.50 || 25 || 2 || 16 || 11 || 11 || 11 || 1.77 || || 2016 || 14 || 26⅓ || 1 || 1 || 0 || 0 || 0.500 || 5.13 || 36 || 2 || 10 || 16 || 16 || 15 || 1.71 || || 2017 || 36 || 54 || 4 || 4 || 0 || 3 || 0.500 || 6.33 || 81 || 3 || 36 || 42 || 40 || 38 || 2.11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이닝}}} || {{{#ffffff 승}}} || {{{#ffffff 패}}} || {{{#ffffff 세}}} || {{{#ffffff 홀}}} || {{{#ffffff 승률}}} || {{{#ffffff ERA}}} || {{{#ffffff 피안타}}} || {{{#ffffff 피홈런}}} || {{{#ffffff 4사구}}} || {{{#ffffff 탈삼진}}} || {{{#ffffff 실점}}} || {{{#ffffff 자책점}}} || {{{#ffffff WHIP}}} || || 2018 ||<|3> [[kt wiz|kt]] || 29 || 156⅓ || 8 || '''12''' [br] (3위) || 0 || 0 || 0.421 || 5.41 || '''{{{#ff0000,#ff0000 212}}}''' [br] (1위) || 19 || 75 || 79 || 104 || 94 || 1.79 || || 2019 || 14 || 57 || 1 || 4 || 0 || 0 || 0.200 || 5.05 || 66 || 5 || 32 || 26 || 38 || 32 || 1.60 || || 2020 || 3 || 2⅓ || 0 || 0 || 0 || 0 || 0.000 || 15.43 || 6 || 0 || 2 || 2 || 4 || 4 || 3.00 || ||<-2> '''[[KBO 리그|KBO]] 통산''' [br] (13시즌) || 356 || 823⅔ || 39 || 54 || 0 || 20 || 0.419 || 4.77 || 901 || 65 || 531 || 533 || 493 || 439 || 1.65 ||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 [[두산 베어스/선수단]] * [[키움 히어로즈/선수단]] * [[kt wiz/선수단]]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부천시 출신 인물]][[분류:1986년 출생]][[분류:2005년 데뷔]][[분류:2020년 은퇴]][[분류:좌완 투수]][[분류:좌투좌타]][[분류:OB-두산 베어스/은퇴, 이적]][[분류:우리-서울-넥센-키움 히어로즈/은퇴, 이적]][[분류:kt wiz/은퇴, 이적]][[분류:동산고등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불교 신자]][[분류:봉화 금씨]][[분류:사회복무요원 출신]][[분류:개명한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