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일반 함정]] [목차] == 개요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일반 함정 카드. == 설명 == [[파일:やぶ蛇.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긁어 부스럼, 일어판명칭=やぶ(へび), 영어판명칭=Waking the Dragon, 효과1=①: 세트되어 있는 이 카드가 상대 효과로 필드에서 벗어나\,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또는 제외되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 / 엑스트라 덱에서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약칭 긁부. 이름 그대로 '[[긁어 부스럼]]'이라는 뜻을 효과로 잘 나타낸 카드다. 자체 발동 효과는 전혀 없지만, 세트된 상태에서 상대 효과로 묘지로 보내지거나 제외되면 덱 / 엑스트라 덱에서 아무 몬스터 하나를 특수 소환시켜준다. 이게 얼마나 강력한 효과인지 감이 안 온다면, '''5000 LP를 까고 엑덱에서 융합 몬스터를 즉시 소환하는 [[데블 프랑켄]]은 모든 유희왕 공식 작품의 리미트 레귤레이션에서[*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OCG, TCG]], [[유희왕 마스터 듀얼|마스터 듀얼]], [[유희왕 듀얼링크스|듀얼링크스]]] 금지 리스트에 올려진 몬스터다.''' 그러니 싱크로, 엑시즈, 링크 몬스터까지 소환 가능한 이 효과가 얼마나 대단한지는 더 설명할 필요가 없다. 단, 의식 몬스터가 명시되어 있지 않은 관계로 의식 몬스터는 소환하지 못한다. 물론 파격적인 효과를 가진 만큼 단점도 많다. * 가장 큰 문제는 자신이 능동적으로 발동할 수단이 거의 없는, 철저히 상대에게 의존하는 효과라는 것이다. 상대가 이 카드를 건드려주지 않으면 마법 & 함정 존 하나가 봉인되는 꼴이 돼버린다. * 덱 특소를 포함하는 효과 특성상 국민 패 트랩인 [[하루 우라라(유희왕)|하루 우라라]]에게 막힌다. * 묘지로 보내지거나 제외되는 것만이 조건이기 때문에, 패 / 덱으로 돌아가거나 [[트릭스터(유희왕)#트릭스터 라이트스테이지|트릭스터 라이트스테이지]] 같은 플레이어 명령형 효과로 제거되면 발동할 수 없다. * 비정규 특수 소환인 관계로 이 효과로 특수 소환된 몬스터는 소생 제약을 만족하지 못해, 묘지로 보내지거나 제외되면 재활용하기 어렵다. * 엑스트라 덱에서 펜듈럼 / 링크 몬스터를 소환할 경우에도 엑스트라 몬스터 존이나 링크 앞에 소환해야 하는 룰은 똑같이 적용되므로, 몬스터 배치 상태에 따라서는 원하는 펜듈럼 / 링크 몬스터를 소환하지 못할 수 있다. 이런저런 단점이 있긴 해도 일단 상황만 맞아 떨어지면 게임에 매우 큰 변수를 주고, 상대 입장에서 세트된 카드를 내버려두고 전개하거나 공격하기에는 거슬리는 것도 사실이므로 발동 조건이 마냥 빡빡하다고 볼 수만은 없다. 또한 [[트랩트릭]], [[트랩트랙]] 같은 일반 함정 카드를 세트하는 카드가 있다면 상대 [[해피의 깃털]], [[라이트닝 스톰]] 등에 체인해서 이 카드를 세트함으로써 능동적인 활용이 가능하다. 단, 함정 위주 덱에서 많이 쓰이는 [[천옥의 왕]]과 효과가 어느 정도 충돌하고 무엇보다 상술한 큰 수동성은 어쩔 수 없는지라, 필수 카드라고 보기는 어렵고 넣더라도 사이드 덱에 들어가는 경우가 많다. 일어판 명칭은 '긁어 부스럼'에 해당하는 일본 속담 '藪をつついて蛇を出す(덤불을 쑤셔서 뱀을 나오게 하다)'의 약어. 일러스트에는 제초작업 중인 [[갑부 고블린]]을 [[킬러 스네이크]]가 눈을 번뜩이며 노려보고 있다. 이미 [[구경거리 고블린]]에서 둘이 엮인 걸 보면, 어찌저찌 포획에 성공한 모양이다. == 참조 몬스터 일람 == 전부 엑스트라 덱 몬스터들, 준수한 타점 그리고 효과 내성 혹은 퍼미션 효과가 달린 몬스터들이다. 메인 덱 몬스터는 패 말림 등의 이유로 서술하지 않는다.[* 다만 진짜 특정 상황에서는 메인 덱에 있는 몬스터를 꺼내는 것도 나쁘지 않을 때도 있다. 긁어 부스럼 때문에 메인 덱에 평소에 쓰지도 못하는 카드를 채용하는 것은 무리지만, 패에 파츠가 부족했을 때 때마침 상대가 긁어 부스럼으로 덱에서 퍼올 수 있다. 특히 파괴돼서 효과를 발동하는 카드나 상대 턴에도 효과를 발동할 수 있는 카드를 내서 전개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주로 혹성의 마지막 전사, 나츄르 엑스트리오, RR-얼티미트 팔콘[* RR-라이징 리벨리온 팔콘으로 완벽한 상위호환 대체가 가능하다.] 정도가 사용되고 있지만 본인의 선택에 따라, 그리고 메타에 따라서 사용할 수 있는 카드들이 있으니까 잘 생각해보고 투입하자. * 융합 몬스터 * '''[[나츄르 엑스트리오]]''': 준수한 타점을 가진 융합 몬스터이다. 마법 / 함정을 묘지 1장과 덱탑 1장으로 턴제약 없이 무효화시킨다. 단점으로는 몬스터 효과는 못 막는 것. * '''[[혹성의 마지막 전사]]''': 세트 제외 모든 소환을 막는다. 단 소환시 자신 몬스터 존만 클린하고 상대는 하지 않으니 주의. 내성도 없는 것도 또다른 단점. * [[환주의 화가성블룸 디바]]: 전투 / 효과 파괴 내성이 있으며 아마조네스의 검사와 유사한 전투 데미지 반사 효과까지 지니고 있는 뛰어난 전투요원으로 활약할 수 있다. * '''[[궁극의 푸른 눈의 아룡]]''': 4500의 무식한 공격력과 효과 대상 지정 및 효과 파괴 내성에 공격 대신에 상대 카드 1장을 파괴할 수도 있는, 얼팔 못지않게 강력한 몬스터. * 싱크로 몬스터 * [[크리스탈윙 싱크로 드래곤]]: 최고급 타점, 레벨 5 이상 타점강화, 몬스터 퍼미션을 가진 몬스터이다. 다만, 바렐로드 드래곤, 바렐스워드 드래곤에게 취약하니 주의. * [[카디언-오광-]]: 5000의 타점, 마법 / 함정 1턴에 1번 무효화, 전투시 상대 몬스터 무효화를 갖춘 대형몬스터이다. 단점은 싱크로 소환된 상태가 아니라서 특수 소환 효과는 사용할 수 없고, [[유령토끼]]에게 무력하다. * [[월화룡 블랙 로즈]]: [[푸른 눈의 정령룡]] 쓰는 느낌으로 뽑자. 바운스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니다. * [[마왕초룡 베에르제우스]]: 4000의 타점, 효과, 전투 파괴 내성을 보유하고있다. LP 회복은 덤이다. 단 제외, 되돌리기에는 무력하다. * [[PSY프레임로드 Ω]]: 패털이, 제외 존 되돌리기, 묘지 자가 회수를 가진 몬스터다. 단점이라면 타점이 3000을 안넘는다. * [[세이비어 스타 드래곤]]: 효과 퍼미션 후,상대 필드 클린, 효과 복사. 로망 카드이지만 꽤나 강력하다. 타점은 괜찮지만 엑스트라 덱으로 되돌아가는 디메리트가 너무 크다.[* 긁어 부스럼이 왠만하면 성대턴에 발동하기 때문에 상대가 그대로 턴 엔드 해버리면 아무것도 못하고 돌아간다.] * [[초중증귀 테츠도-O]]: 묘지 마법 / 함정 견제와 필드 마법 / 함정 파괴, 타점이다. 크리스트론-피니키시온 쓰는느낌으로 쓰자. * [[염마룡 레드 데몬 어비스]]: 타점, 필드 효과 견제이다. * [[BF-풀아머드 윙]]: 효과 완전 내성에 쐐기 카운터로 상대 몬스터 강탈, 파괴까지 가능하다. * [[시계신조 불가타]]: 시계신 공통의 전투/효과 파괴 내성에 강력한 비대상 전체 제외효과. 이쪽도 앞선 [[궁극의 푸른 눈의 아룡]]처럼 의외일수는 있지만 조건은 맞는다. * [[플뢰르 드 바로네스]]: 1회에 한해서 퍼미션, 1턴에 1번 카드 1장 파괴, 그리고 자신을 바운스하고 묘지에서 레벨 9이하 카드 소생 등 여러모로 만능카드. 싱크로 소환으로 소환하기 쉬워서 간과할 수 있지만 이상의 효과 모두 싱크로 소환했을 때만 적용하는 것이 아니고, 바로네스 본인도 소환 제한이 없다. 타점은 3000 밖에 안되나 효과는 분명히 강력하기 때문에 채용할 여지는 있다. * 엑시즈 몬스터 * [[RR-얼티미트 팔콘]]: 완전 내성에 3500의 고타점의 몬스터다. 다만 최근에는 [[액세스코드 토커]]를 비롯한 범용 고타점 어태커가 너무 유행하여 3500은 가볍게 돌파하기 때문에 다른 몬스터를 쓰는 쪽도 나쁘지 않다. * '''[[RR-라이징 리벨리온 팔콘]]''': [[팬텀 나이트메어]]에서 새롭게 공개된 완전 내성 + 4000의 초고타점 몬스터로, 얼팔의 완벽한 상위호환.[* 그러나 2링크 이상을 소재로 쓴 액토커에게 뚫리는 건 이 카드도 마찬가지임을 유의하자.] * [[No.38 희망괴룡 타이타닉 갤럭시]]: 엑시즈 소재 소모 없이 마법 퍼미션을 건다. * [[크샤트리라 어라이즈하트]]: 묘지로 가는 카드를 전부 제외시키고, 2번 효과로 엑시즈 소재를 충당할 수 있으며, 소재를 세 개 제거하는 것으로 필드의 카드 1장을 뒷면 표시로 제외하는 효과를 가진 카드. * 링크 몬스터 * [[무한기동#무한기동요새 메가톤게일|무한기동요새 메가톤게일]]: 타점 4000, 엑시즈 몬스터 이외의 몬스터 효과 내성 및 전투 내성을 지니고 있다. * [[바렐로드 드래곤]]: 상대 몬스터 공격력 / 수비력 약화, 전투하는 상대 몬스터 컨트롤 탈취. * [[바렐스워드 드래곤]]: 링크계의 죽창이자 얼티미트 팔콘의 천적. * [[바렐엔드 드래곤]]: 전투 파괴/효과 파괴 내성에 몬스터 대상 지정 내성의 탄탄한 벽이자 3500의 최상급 어태커. 바렛이 없다면 퍼미션 효과는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이 아쉬운 점이다. * [[강귀#강귀 더 자이언트 오우거|강귀 더 자이언트 오우거]]: 전투 파괴, 공격력 3000 이하 몬스터 효과 내성, 대상 지정 효과에 조건부 퍼미션, 프리체인 타점 상승이 붙어있는 몬스터. 단, 파괴효과 체인 불가에 공격력이 무조건 3천이 넘어가는 토커에게는 매우 무력하다. == 수록 팩 일람 == ||<-5>수록 시리즈 || ||<(> 2018-01-1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FLOD-JP080 | '''[[플레임즈 오브 디스트럭션|FLAMES OF DESTRUCTIO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9-08-0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DBMF-JP045 | [[미스틱 파이터즈|デッキビルドパック - ミスティック・ファイターズ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 2021-12-04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D43-JP040 | [[알버스트라이크|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ALBA STRIKE-]]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8-04-10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FLOD-KR080 | '''[[플레임즈 오브 디스트럭션]]'''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9-11-15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DBMF-KR045 | [[미스틱 파이터즈|덱 빌드 팩 - 미스틱 파이터즈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 2022-03-16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D43-KR040 | [[알버스트라이크]]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8-05-04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FLOD-EN080 | '''[[플레임즈 오브 디스트럭션|FLAMES OF DESTRUCTION]]'''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8-08-17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OP08-EN012 | OTS TOURNAMENT PACK 8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19-08-30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MP19-EN053 | 2019 GOLD SARCOPHAGUS TIN MEGA PACK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9-11-22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MYFI-EN060 | [[미스틱 파이터즈|MYSTIC FIGHTER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19-12-06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BTK-EN045 | SPEED DUEL: TRIALS OF THE KINGDOM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2-03-10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TP3-EN014 | SPEED DUEL TOURNAMENT PACK 3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SR)] || ||<(> 2022-04-15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DAZ-EN040 | [[알버스트라이크|STRUCTURE DECK: ALBAZ STRIKE]]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긁어 부스럼, version=72, paragraph=2)][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제초야수, version=94, paragraph=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