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음성학]] [include(틀:모음 분류)] [[파일:attachment/mo_eum_pyo_1.png|align=right]] [목차] [clearfix] == 개요 == {{{+2 [[近]][[高]][[母]][[音]] / Near-close vowel}}} 혀의 높이를 중고모음보다는 높고 고모음보다는 낮게 해서 발음하는 [[모음]]. 한국어에는 원칙상 해당하는 모음이 없지만 [[ㅡ]]의 발음으로 나오는 경우가 많다. == 조음 방법 == === 근전설 평순 근고모음[anchor(근전설평순)] === ||<-2> '''{{{#fff [ruby(근전설 평순 근고모음, ruby=near-close near-front unrounded vowel)]}}}''' || ||<-2>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30px" {{{#!html

ɪ

}}} }}} || || {{{#fff 혀 높이}}} || 근고모음 || || {{{#fff 혀 기울기}}} || 근전설모음 || || {{{#fff 입술 모양}}} || 평순모음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4/4c/Near-close_near-front_unrounded_vowel.ogg|들어보기]] 혀의 최고점을 전설모음보다 조금 뒤로 하고 입술을 평평하게 하면서 혀의 높이를 고모음보다는 낮고 중고모음보다는 높게 하여 발음하는 소리. 전 세계 언어의 15%가 이 음운을 보유하고 있다.[[https://phoible.org/parameters|출처]] 한국어 원어민의 관점에서 묘사해보자면 ㅔ가 약간 섞인 듯한 ㅣ로 들린다. 조음 위치상으로도 두 모음의 중간 즈음에 있다. [[영어]]에서는 [i]와 [ɪ]가 변별되며, sit, bit, fit 같은 단어의 [[I]]에서 발음된다. 한국어는 그렇지 않기 때문에 한글로는 두 모음이 모두 'ㅣ'로 표기되는데, 원어민과 영어로 대화할 때 [ɪ]를 한국식으로 [i]로 발음한다면 오해가 빚어질 수 있다.[* 몇 가지 예만 들어봐도 sick(아픈)-seek(찾다), pick(고르다, 따다)-peek(엿보다), shit(똥, 제기랄)-sheet(깔개), piss(오줌싸다)-piece(조각), pill(알약)-peel(껍질) 등 찾을 수 있는 쌍은 넘쳐난다. 문장 성분이 다르더라도 영어 원어민이 아니라 품사 정도는 헷갈렸겠거니 생각하는 경우가 있어 정말로 주의가 필요하다.] 그 외에는 [[독일어]]의 단모음 i, 장모음 e, [[우크라이나어]]의 и[* 우크라이나어의 и는 엄밀히는 근전설 평순 중고모음 [ɪ̞\]이다.]가 이 발음이 난다. === 근전설 원순 근고모음[anchor(근전설원순)] === ||<-2> '''{{{#fff [ruby(근전설 원순 근고모음, ruby=near-close near-front rounded vowel)]}}}''' || ||<-2>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30px" {{{#!html

ʏ

}}} }}} || || {{{#fff 혀 높이}}} || 근고모음 || || {{{#fff 혀 기울기}}} || 근전설모음 || || {{{#fff 입술 모양}}} || 원순모음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e/e3/Near-close_near-front_rounded_vowel.ogg|들어보기]] 혀의 최고점을 전설모음보다 조금 뒤로 하고 입술을 둥글게 하면서 혀의 높이를 고모음보다는 낮고 중고모음보다는 높게 하여 발음하는 소리. 전 세계 언어의 1%가 이 음운을 보유하고 있다.[[https://phoible.org/parameters|출처]] 단모음 [[ㅟ]]와 [[ㅚ]]의 중간 혀 높이에서 발음된다. 각각 [[스웨덴어]], [[독일어]]의 단모음 y, ü에서 이 발음이 난다. === 중설 평순 근고모음[anchor(중설평순)] === ||<-2> '''{{{#fff [ruby(중설 평순 근고모음, ruby=near-close central unrounded vowel)]}}}''' || ||<-2>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30px" {{{#!html

ɨ̞ / ɪ̈

}}} }}} || || {{{#fff 혀 높이}}} || 근고모음 || || {{{#fff 혀 기울기}}} || 중설모음 || || {{{#fff 입술 모양}}} || 평순모음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f/fe/Near-close_central_unrounded_vowel.ogg|들어보기]] 혀의 최고점을 후설모음이 되지 않을 만큼 뒤로 빼고 입술을 평평하게 하면서 혀의 위치를 고모음보다는 낮고 중고모음보다는 높게 하여 발음하는 소리. [[레위니옹]] [[크레올]] [[프랑스어]], 이룰라어, 우랄리어 등 극히 일부 언어만이 이 음운을 표준 발음으로 가지고 있다.[[https://phoible.org/parameters/8279E6E5716AE3B03F3EA84DC97B39B1#4/-4.39/67.74|출처]] 한국어의 [[ㅡ]]가 이 발음으로 나오는 경우가 많다. === 중설 원순 근고모음[anchor(중설원순)] === ||<-2> '''{{{#fff [ruby(중설 원순 근고모음, ruby=near-close central rounded vowel)]}}}''' || ||<-2>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30px" {{{#!html

ʉ̞ / ʊ̈

}}} }}} || || {{{#fff 혀 높이}}} || 근고모음 || || {{{#fff 혀 기울기}}} || 중설모음 || || {{{#fff 입술 모양}}} || 원순모음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e/e4/Near-close_central_rounded_vowel.ogg|들어보기]] 혀의 최고점을 후설모음이 되지 않을 만큼 뒤로 빼고 입술을 둥글게 하면서 혀의 위치를 고모음보다는 낮고 중고모음보다는 높게 하여 발음하는 소리. [[소말리어]], 이룰라어, [[한티어]][* 카짐 방언] 등 극히 일부 언어만이 이 음운을 보유하고 있다.[[https://phoible.org/parameters/1366933D0985174EB90E4FB5332D88F3#3/39.18/62.55|출처]] 또 [[영어]]에서 good,look 등의 'oo'나 put 등의 '[[U|u]]'에서 이 발음이 난다. === 근후설 평순 근고모음[anchor(근후설평순)] === ||<-2> '''{{{#fff [ruby(근후설 평순 근고모음, ruby=near-close near-back unrounded vowel)]}}}''' || ||<-2>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30px" {{{#!html

ɯ̽

}}} }}} || || {{{#fff 혀 높이}}} || 근고모음 || || {{{#fff 혀 기울기}}} || 근후설모음 || || {{{#fff 입술 모양}}} || 평순모음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c/cc/Near-close_near-back_unrounded_vowel.ogg|들어보기]] 혀의 최고점을 후설모음보다 조금 앞으로 하고 입술을 평평하게 하면서 혀의 높이를 고모음보다는 낮고 중고모음보다는 높게 하여 발음하는 소리. [[쿠르드어]][* 소라니어], [[한국어]][* [[서울 방언]]], [[가가우즈어]] 등 극히 일부 언어만이 이 음운을 보유하고 있다.[[https://phoible.org/parameters/51027A5C6A1BDEAEA15ADE8085D4FEF9#3/46.86/59.95|출처]] 한국어의 [[ㅡ]]/ɯ/가 이 발음으로 실현되는 경우가 많다. === 근후설 원순 근고모음[anchor(근후설원순)] === ||<-2> '''{{{#fff [ruby(근후설 원순 근고모음, ruby=near-close near-back rounded vowel)]}}}''' || ||<-2>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30px" {{{#!html

ʊ

}}} }}} || || {{{#fff 혀 높이}}} || 근고모음 || || {{{#fff 혀 기울기}}} || 근후설모음 || || {{{#fff 입술 모양}}} || 원순모음 ||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d/d5/Near-close_near-back_rounded_vowel.ogg|들어보기]] 혀의 최고점을 후설모음보다 조금 앞으로 하고 입술모양을 둥글게 하여 혀의 위치를 고모음보다 낮게 하여 발음하는 소리. 전 세계 언어의 14%가 이 음운을 보유하고 있다.[[https://phoible.org/parameters|출처]] 영어의 단모음 oo와 [[독일어]]의 단모음 u에서 이 발음이 난다. 1988년까지는 돼지코 모양의 발음기호가 쓰였으나, 1989년부터 현재의 말굽 모양 기호로 바뀌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