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Key 애니메이션)] [include(틀:리틀 버스터즈!)] ||<-2>
{{{#ffffff,#ffffff '''{{{+1 쿠드 와후타}}}''' (2021)[br]''クドわふたー''}}}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kud_wafter_kv.jpg|width=100%]]}}} || ||<-2><^|1> {{{#ffffff,#fff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기타 키 비주얼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kud_wafter_kv2.jpg|width=100%]]}}}}}}}}}}}} || || '''{{{#373a3c,#373a3c 장르}}}''' ||{{{#!wiki style="margin: 0px 10px" 드라마}}} || || '''{{{#373a3c,#373a3c 기획}}}''' ||{{{#!wiki style="margin: 0px 10px" [[바바 타카히로]]}}} || || '''{{{#373a3c,#373a3c 원작}}}''' ||{{{#!wiki style="margin: 0px 10px" [[Key(브랜드)|Key]]}}} || || '''{{{#373a3c,#373a3c 캐릭터 원안}}}''' ||{{{#!wiki style="margin: 0px 10px" [[Na-Ga]][br][[히노우에 이타루]]}}} || || '''{{{#373a3c,#373a3c 감독}}}''' ||<|3>{{{#!wiki style="margin: 0px 10px" [[스즈키 켄타로]]}}} || || '''{{{#373a3c,#373a3c 그림 콘티}}}''' || || '''{{{#373a3c,#373a3c 연출}}}''' || || '''{{{#373a3c,#373a3c 각본}}}''' ||{{{#!wiki style="margin: 0px 10px" [[오카모토 마나부(작가)|카이]](魁)}}} || || '''{{{#373a3c,#373a3c 캐릭터 디자인}}}''' ||<|2>{{{#!wiki style="margin: 0px 10px" [[이이즈카 하루코]]}}} || || '''{{{#373a3c,#373a3c 캐릭터 감수}}}''' || || '''{{{#373a3c,#373a3c 설정 클린업}}}''' ||<|2>{{{#!wiki style="margin: 0px 10px" 코다마 히카루(兒玉ひかる)}}} || || '''{{{#373a3c,#373a3c 프롭 디자인}}}''' || || '''{{{#373a3c,#373a3c 총작화감독}}}''' ||{{{#!wiki style="margin: 0px 10px" 타니가와 마사키(谷川政輝)}}} || || '''{{{#373a3c,#373a3c 색채 설계}}}''' ||<|2>{{{#!wiki style="margin: 0px 10px" 이시카와 쿄스케(石川恭介)}}} || || '''{{{#373a3c,#373a3c 색 설정}}}''' || || '''{{{#373a3c,#373a3c 미술 감독}}}''' ||{{{#!wiki style="margin: 0px 10px" 이와세 에이지(岩瀬栄治)}}} || || '''{{{#373a3c,#373a3c 촬영 감독}}}''' ||{{{#!wiki style="margin: 0px 10px" 타카하시 아키히로(高橋昭裕)[br]히로세 유키(廣瀬唯希)}}} || || '''{{{#373a3c,#373a3c 편집}}}''' ||{{{#!wiki style="margin: 0px 10px" 콘도 유우지(近藤勇二)}}} || || '''{{{#373a3c,#373a3c 음향 감독}}}''' ||{{{#!wiki style="margin: 0px 10px" 모토야마 사토시(本山哲)}}} || || '''{{{#373a3c,#373a3c 음악}}}''' ||{{{#!wiki style="margin: 0px 10px" [[Key(브랜드)|Key]] / [[비주얼 아츠]]}}} || || '''{{{#373a3c,#373a3c 음악 제작 디렉터}}}''' ||{{{#!wiki style="margin: 0px 10px" [[오리토 신지]][br][[돈마루]]}}} || || '''{{{#373a3c,#373a3c 배경 음악 제작}}}''' ||{{{#!wiki style="margin: 0px 10px" 시미즈 준이치(清水淳一)[br]오리토 신지[br]PMMK[br]돈마루[br][[미즈츠키 료]][br][[마에다 준]]}}} || || '''{{{#373a3c,#373a3c 프로듀서}}}''' ||{{{#!wiki style="margin: 0px 10px" [[텐쿠모 겐키|오카노 토야]](丘野塔也)[br][[마츠쿠라 유지]]}}} || || '''{{{#373a3c,#373a3c 애니메이션 제작[br]프로듀서}}}''' ||{{{#!wiki style="margin: 0px 10px" 마츠오 코스케(松尾洸甫)}}} || || '''{{{#373a3c,#373a3c 애니메이션 제작}}}''' ||{{{#!wiki style="margin: 0px 10px" [[J.C.STAFF]]}}} || || '''{{{#373a3c,#373a3c 제작}}}''' ||{{{#!wiki style="margin: 0px 10px" [[비주얼 아츠]]}}} || || '''{{{#373a3c,#373a3c 배급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KADOKAWA]]}}} || || '''{{{#373a3c,#373a3c 발매일}}}''' ||{{{#!wiki style="margin: 0px 10px" [[애니메이션/2020년 10월|2020년 11월 28일]] {{{-2 (펀딩)}}}[br]2022년 05월 25일 {{{-2 ([[Blu-ray Disc|Blu-ray]] 일반 판매)}}}}}} || || '''{{{#373a3c,#373a3c 극장 개봉일}}}'''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21년]] [[7월 16일]]}}} || || '''{{{#373a3c,#373a3c 상영 시간}}}''' ||{{{#!wiki style="margin: 0px 10px" 50분}}} || || '''{{{#373a3c,#373a3c 상영 등급}}}''' ||{{{#!wiki style="margin: 0px 10px" 심의 없음}}} || || '''{{{#373a3c,#373a3c 공식 홈페이지}}}''' ||{{{#!wiki style="margin: 0px 10px" [[https://kud-wafter.jp/|[[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그것은, "if"의 이야기''' >'''(それは、"if"の物語。)''' [[리틀 버스터즈!]]의 [[팬디스크]]인 [[쿠드 와후타]]의 [[극장판|극장판 애니메이션]]. 리틀 버스터즈! 10주년 기념 프로젝트인 '쿠드 와후타 애니메이션 제작 프로젝트'로 처음 공개되었다. 감독은 [[리틀 버스터즈!/애니메이션|리틀 버스터즈!]] 애니판에도 참여해왔던 [[스즈키 켄타로]]. 그동안의 [[제작위원회]] 방식이 아닌, 크라우드 펀딩으로 자금조달을 하여 [[Key(브랜드)|Key]]의 모회사 [[비주얼 아츠]]가 단독으로 제작한 첫 애니메이션 작품이다. == 상세 == ||
<#ffffff>[[파일:kudwafter_animeproject.jpg|width=100%]]|| 처음 공개됐을 때 정보는 애니메이션 제작사는 [[리틀 버스터즈!/애니메이션|리틀 버스터즈! 시리즈]]를 담당했던 [[J.C.STAFF]]이며, 감독은 [[야마카와 요시노부]], 작화 감독도 [[이이즈카 하루코]]로 기존과 동일했었다. 애니메이션 제작을 위해 크라우드 펀딩을 진행했으며, 약 50시간 만에 목표 금액 달성에 성공하였다.[[https://camp-fire.jp/projects/view/36314|#]] 펀딩이 완료된 7/21일 목표 금액 펀딩에 성공하였다. 7/31일 기존 펀딩 금액의 50%(총 150%)가 더 모이는 것으로 30분의 OVA와 추가곡 목표를 달성하였다. 그리고 9월 26일 6천만엔(200%)을 달성하면서 40분의 극장판 애니메이션 제작이 결정되었다. [[https://otakumode.com/projects/kudwafter?utm_source=Youtube&utm_medium=movie&utm_campaign=youtube_kudwafter_1025|해외 펀딩]]도 진행하였다. 300만엔 목표에 898만엔 펀딩을 달성하여 영어자막 및 전세계 배급이 확정되었다. 2019년 3월 26일, [[J.C.STAFF]]의 제작 스케줄 관련 문제로, 개봉일이 2019년 9월에서 2020년 9월로 1년 연기되었다. 또한 감독도 야마카와 요시노부에서 [[살육의 천사/애니메이션|살육의 천사]]를 감독한 [[스즈키 켄타로]]로 변경되었다.[[http://key.visualarts.gr.jp/kudo/info/|#]] 각본은 원작의 기획 및 시나리오 감독을 맡은 [[오카모토 마나부(작가)|카이]]가 직접 맡았다. 카이로서는 애니메이션 각본 데뷔작. 그동안 Key 원작 게임을 애니화할 때 Key측 스태프가 각본을 직접 맡는 경우가 없었기에 상당히 이례적이다.[* 각본에 개입해 도움을 주는 경우는 있었다. 예를 들면 리틀 버스터즈! 애니메이션도 Key 스태프인 [[토노카와 유우토]]가 각본에 도움을 주었지만 각본을 직접 담당하진 않았다.] 2020년 9월 14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여파로 개봉일이 11월 하순으로 다시 연기되었다. 밝혀진 바로는 리틀 버스터즈 대부분의 멤버가 등장하지 않았던 원작에 비해, 리틀 버스터즈 멤버들이 학교에 남아 스토리라인에서 어느 정도의 비중을 차지할 것이라고 한다. 이 외 정보도 크라우드 펀딩 참가자라면 펀딩 홈페이지의 활동 보고를 통해 접할 수 있다. 극장 개봉과는 별도로 펀딩 OVA 배송이 2020년 11월 28일 시작되었다. 일본 거주자부터 순차적으로 발송했으며 해외 거주자는 별도 공지가 올라오지 않았다. 이후 해외 펀딩을 진행한 TOM(Tokyo Otaku Mode)측에서 배송 지연에 대해 사과문을 올리고 해외 지원자들에게 배송을 순차 진행했다.[* 비주얼 아츠 [[바바 타카히로]] 사장에게 배송 지연으로 여러 차례 문의가 있었다. 이후 직접 알아본 결과 담당자가 바뀐 탓에 착오가 있어 배송이 진행되지 않았다고 한다.] 2021년 3월 8일, 극장 개봉일과 함께 공식 홈페이지를 공개했다. 본래는 5월 14일 개봉 예정이었으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급격한 확산으로 긴급 사태가 발령되면서 7월 16일로 개봉일이 연기되었다.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FI6r5ecS2wY, width=100%)]}}} || || '''극장 애니메이션화 프로젝트 PV'''[* PV에 사용된 장면 상당수가 본편에서 수정되거나 아예 빠졌다. 대표적으로 PV에는 등장했던 [[아리즈키 우이]]는 지나가는 컷씬에 딱 한 컷 나오고 짤렸다. 이렇게 본편과 PV가 다른 이유는 PV가 나올 때까지도 전면적인 각본 수정을 위해 원작자와 협의 중이었기 때문.][* PV에서 등장인물들이 대사를 하지 않는 이유는 시청자들에게 장면에 대한 기대감을 주기 위함이라고 한다. 또한 영상의 속도감을 살리기 위한 판단이었다고.]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tV2XQDKqJYs, width=100%)]}}} || || '''정식 PV''' || == 시놉시스 == >'''"저 하늘 너머"를 목표로——— 이그니션!''' > >그것은 "if"의 이야기. [[노우미 쿠드랴프카]]와 [[나오에 리키]]는 연인사이로, [[리틀 버스터즈]] 멤버와 즐거운 매일을 보내고 있었다. 그러던 어느 날, 남자 기숙사에 수도 사고가 일어나 방을 쓸 수 없게 된다. 「룸메이트 씨, 지금도 모집중, 인, 거예요……」 쿠드의 제안에 응해 여자 기숙사에서 함께 생활하기로 한다. 그리고 맞이한 여름방학, 모두와 함께 페트병 로켓을 만들게 되고………. 『로켓킹』 칭호를 걸고 미션 스타트!? == 주요 등장인물 == * [[노우미 쿠드랴프카]] - [[와카바야시 나오미]] * [[나오에 리키]] - [[호리에 유이]] * [[나츠메 린]] - [[타미야스 토모에]] * [[나츠메 쿄스케]] - [[미도리카와 히카루]] * [[이노하라 마사토]] - [[칸나 노부토시]] * [[미야자와 켄고]] - [[오다 유우세이]] * [[카미키타 코마리]] - [[야나세 나츠미]] * [[쿠루가야 유이코]] - [[타나카 료코]] * [[사이구사 하루카]] - [[스즈키 케이코]] * [[니시조노 미오]] - [[카와라기 시호]] * [[후타키 카나타]] - [[스즈키 케이코]] * [[아짱 선배]] - [[히라이 리코]] * [[히무로 유우키]] - 미쿠미쿠미 * [[아리즈키 시이나]] - 나카노 나나에 == OST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음반, rd1=Key Sounds Label/음반 목록/리틀 버스터즈!&쿠드 와후타, anchor1=[KSLA-0174~0175] Animation Kud-Wafter Original Soundtrack)] * Light a Way (주제가) 작사 : [[오카모토 마나부(작가)|카이]] / 작곡 : [[타케시타 토모히로]] / 편곡 : [[나카자와 토모유키]] · 타케시타 토모히로 / 노래 : [[스즈유]] * 星守歌 (삽입곡) 작사 : 시로키리 치카(城桐央) / 작곡 · 편곡 : 시미즈 준이치(清水淳一) / 노래 : [[노우미 쿠드랴프카]] * 星屑 (엔딩곡) 작사 : 시로키리 치카 / 작곡 · 편곡 : 시미즈 준이치 / 노래 : [[시모츠키 하루카]] * Over The Summer (엔딩곡) 작사 : [[오카모토 마나부(작가)|카이]] / 작곡 :[[오리토 신지]] / 편곡 : 모리후지 쇼지(森藤晶司) / 노래 : 노우미 쿠드랴프카 * Puppy Dreams[* 오리지널 사운드 트랙 수록곡] 작사 : 카이 / 작곡 : 시미즈 쥰이치 / 편곡 : [[미즈츠키 료]] / 노래 : [[키타자와 아야카]]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 critic=, user=)]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 tomato=, popcorn=)] [include(틀:평가/IMDb, code=tt13091238, user=)]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kud-wafter, user=)]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 user=)]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361910, user=4.29)]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 user=)]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 user=)] [include(틀:평가/왓챠, code=, user=)]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 light=)]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 expert=, audience=, user=)]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 expert=없음, user=)] [include(틀:평가/CGV, code=, egg=)] [[오카모토 마나부(작가)|카이]]가 기존 팬디스크 시나리오를 전면적으로 개작한 스토리는 리틀 버스터즈 원작 팬들을 중심으로 상당히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자세한 평가는 [[노우미 쿠드랴프카#s-6.3|노우미 쿠드랴프카 문서의 해당 문단]] 참조. 작화 또한 수려하게 나왔다는 호평이 많다. 본작의 감독인 [[스즈키 켄타로]]는 전작인 [[살육의 천사/애니메이션|살육의 천사]]에서도 소설판, 코믹스판보다 캐릭터 디자인을 더 좋게 뽑았고 작화 퀄리티도 미려하게 꾸준히 유지하여 팬서비스가 충실하다는 호평이 있었는데, 이번에도 작화 관리력이 정점에 달해 캐릭터들의 매력이 살아났다는 반응이 많다. 다만 원거리 작화에서는 TVA에 비해 무너지는 장면이 몇 번 나오는데, 일체의 스폰서 없이 크라우드 펀딩으로 조달한 한정된 재원으로 제작됐고, [[코로나19]] 시국까지 겹쳤다는 점에서 팬들도 너그럽게 이해해 주는 편. 이번 작품은 카이의 애니메이션 각본 데뷔작이기도 한데, 첫 각본임에도 상대적으로 짧은 러닝 타임 동안 짜임새 있는 구성과 전개를 보여 줬다는 평가를 많이 받았다. 때문에 [[키빠|키 팬덤]]에서는 향후 애니메이션을 제작할 때 마침 동시기 방영된 [[신이 된 날]] 각본으로 혹평을 받고 있는 [[마에다 준]] 대신 카이를 전면에 내세우자는 의견이 호응을 얻고 있다. == 흥행 == == 기타 == * 마찬가지로 Key의 크라우드 펀딩 애니메이션인 [[planetarian/애니메이션#OVA: 스노 글로브|플라네타리안: 스노 글로브]]와 한때 동시 상영을 하고자 했다. 다만 반대 의견을 수렴해 동시 상영은 무산되었다. * 엔딩 스태프롤을 통해 펀딩 서포터 리스트가 표기되는데 본편 네타인 [[(21)]]을 붙인 닉네임이 아주 많다. * 이번 작품은 팬디스크인 쿠드 와후타를 플레이하지 않고 리틀 버스터즈! 본편만 즐긴 팬들도 무리 없이 작품을 즐길 수 있도록 의식하며 만들었다. 감독인 스즈키 켄타로도 극장판을 보기 전 쿠드 와후타가 아닌 본편인 리틀 버스터즈!의 복습을 권했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쿠드 와후타, version=129, paragraph=5.1)] [[분류:리틀 버스터즈!/애니메이션]][[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20년 4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2021년 애니메이션 영화]][[분류:일본의 애니메이션 영화]][[분류:게임 원작 애니메이션 영화]][[분류:J.C.STAF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