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카드캡터 사쿠라)] ||<-2>
{{{#ffffff,#fafafa '''{{{+2 극장판 카드캡터 사쿠라 봉인된 카드}}}''' (2000)[br]카드캡터 체리: 봉인된 카드[br]''Cardcaptor Sakura: The Sealed Card''[br]''カードキャプターさくら 封印されたカード''}}}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mhiiHzHFSOjZ3VMxwGJKdxFBxCE.jpg|width=100%]]}}} || || '''장르''' ||[[애니메이션]], [[모험]], [[가족물|가족]] || || '''감독''' ||[[아사카 모리오]] || || '''총작화감독''' ||아베 히사시(阿部恒) || || '''각본''' ||[[CLAMP|오오카와 나나세]][* CLAMP 멤버] || || '''콘티''' ||[[아사카 모리오]][br][[카와지리 요시아키]], [[카네모리 요시노리]][br]아베 히사시, 사카타 준이치(坂田純一)[br][[미즈노 카즈노리]], [[타카야나기 시게히토]] || || '''원작''' ||[[CLAMP]] || || '''제작''' ||미야시마 슈지, 와타나베 시게루 || || '''주연''' ||[[탄게 사쿠라]], [[히사카와 아야]], [[쿠마이 모토코]] || || '''음악''' ||네기시 타카유키 || || '''제작사'''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매드하우스]][br][[반다이 남코 아츠|반다이 비주얼]] || || '''수입사'''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크런치롤]][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온미디어]] || || '''배급사'''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쇼치쿠]][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크런치롤]][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온미디어]] || || '''개봉일'''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00년]] [[7월 15일]][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2003년]] [[11월 18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03년 12월 25일 || || '''화면비''' ||1.85:1 || || '''상영 시간''' ||79분 || || '''제작비''' ||- || || '''월드 박스오피스''' ||- || || '''북미 박스오피스''' ||- ||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 || || '''상영 등급''' ||'''[[전체 이용가|[[파일:영등위_전체관람가_2021.svg|width=30]] {{{#373a3c,#dddddd 전체 관람가}}}]]''' || || '''공식 홈페이지''' || || [목차] [clearfix] == 개요 == [[2000년]] 제작된 [[일본 영화|일본]]의 [[애니메이션 영화]]. [[카드캡터 사쿠라]]의 2번째 [[극장판]]이다. == 예고편 == [youtube(0IEjp42Mspk)] == 시놉시스 == >토모에다 초등학교 4학년생인 [[키노모토 사쿠라]](유체리)는 어느 날 지하 서재에서 우연히 엄청난 마력을 지닌 마법사 [[크로우 리드]]가 만든 마력을 지닌 카드인 '[[크로우 카드]]'가 봉인되어 있던 마법서를 펼치게 되고,그 안에 봉인되어 있던 카드들을 일깨워 모두 곳곳으로 흩어지고 만다. 그와 동시에 봉인의 마수 [[케르베로스(카드캡터 사쿠라)|케르베로스]]가 깨어나게 된다. 케르베로스의 말에 의하면, 크로우 카드는 그 봉인이 풀리는 날 이 세상에 재앙이 찾아온다고 한다. 케르베로스는 사쿠라(유체리)가 마력을 지녔기 때문에 카드캡터로 임명하게 되고, 결국 사쿠라(유체리)는 이 세상에 도래할 재앙을 막기 위해 봉인의 마수 케르베로스와 함께 실체화된 카드들을 다시 봉인하기 위해서 모으러 다니게 된다. >---- >출처 - [[Laftel]] == 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카드캡터 사쿠라/등장인물)] == 평가 ==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cardcaptor_sakura_the_movie_2_the_sealed_card_2000, tomato=없음, popcorn=92)] [include(틀:평가/IMDb, code=tt0301083, user=7.8)]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cardcaptor-sakura-the-sealed-card, user=3.9)] [include(틀:평가/알로시네, code=188878, presse=없음, spectateurs=3.5)]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53052, user=7.5)]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161260, user=4.4)] [include(틀:평가/Filmarks, code=7053, user=4.0)]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107977, user=없음)]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3117778, user=9.0)] [include(틀:평가/왓챠, code=m5rNnj5, user=3.8)]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68279, light=100.00)]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36670, expert=없음, audience=없음, user=없음)]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39162, user=9.5)] [include(틀:평가/TMDB, code=31347, user=82)] [include(틀:평가/무비파일럿, code=cardcaptor-sakura-der-film-die-versiegelte-karte, user=없음)] [include(틀:평가/라프텔, code=14434, user=4.3)] [include(틀:평가/MyAnimeList, code=372, user=8.20)] 팬 사이에선 매우 평이 좋은 작품으로 팬을 위한 최고의 영상이란 소리를 듣는다. 다만 이 영화만 봐서는 줄거리를 이해하기 힘들고 TVA나 만화를 봐야 줄거리를 이해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이 영화로 처음 입문한 사람들에겐 박한 평을 듣기도 했다. 작화가 거의 [[매드하우스]] 올 스타즈 라고 해도 될 정도로 엄청난 인력이 투입되어 매드하우스 작품 중에서도 역대급 영상을 보여준다. 애니메이터로 아베 히사시, [[하마다 쿠니히코]], [[카와지리 요시아키]], [[카네모리 요시노리]], [[카와사키 히로츠구]], [[노다 타쿠오]], [[하마사키 히로시]], [[사토 유조]], [[우에다 히토시]], [[미노와 유타카]], [[코이케 타케시]], [[나카 모리후미]], [[오오하시 요시미츠]], [[스가누마 에이지]], [[후지타 시게루(애니메이터)|후지타 시게루]], [[엔도 마사아키(애니메이터)|엔도 마사아키]], [[오치 신지]], [[호리우치 히로유키]], [[나가노 노부아키]], [[야마다 카츠야]], [[타사키 사토시]] 등 S급 애니메이터는 총동원되었다. 그리기 어려운 고난이도 작화가 많이 나오므로 그 부분도 체크해볼 점이다. == 흥행 == === [[북미]] === [[2003년]] [[11월 18일]] [[DVD]]로 출시되었다. 그런데, [[2018년]] [[1월 31일]] [[제한적 상영]]으로 [[미국]] [[영화관]]에 실제 상영되었다! === [[대한민국]] === 전작인 [[극장판 카드캡터 사쿠라]]처럼 [[영화관]] 개봉은 하지 못했다.[* 당시 [[일본 대중문화 개방]]은 3차 단계로 해외(일본제외) 영화제 수상작에 한해 극장용 애니메이션 개봉이 가능했지만, 본 작품은 해외 수상내역이 없었기에 개봉이 불가능했다.] [[온미디어]]에서 수입하여 2003년 12월 25일에 [[투니버스]]에서 '카드캡터 체리 TV스페셜 2기 봉인된 카드'라는 제목으로 한국어 더빙되어 방영했다. 연출은 외주 PD인 디지틀온미디어 소속의 김은주 PD가 맡았다. 그래서인지 전작에서 변경되었던 일부 배역이 [[SBS]]판 성우로 복귀하였다. 이후 2018년 TVA 재더빙 및 2019년 클리어카드편 방영을 위해 2019년 1월 30일 오후 9시에 투니버스를 통해 재더빙되어 방송되었다.[* 단, 전작인 [[극장판 카드캡터 사쿠라]]는 국내 판권 관련 문제로 재더빙되지 않았다.] 최초 방송 때와는 달리 '극장판 케로에게 맡겨줘'까지 더빙되어 방영되었다. 그 외 극장 상영 기록은 없다. === [[일본]] === 현지 극장상영 당시 '극장판 케로에게 맡겨줘!(ケロちゃんにおまかせ!)'가 연달아 상영되었다. [[https://ciatr.jp/movie/30201|흥행수입은 8억 엔.]] == 수상 == ||<-5>
'''[[애니메이션 고베|{{{#e5d85c 역대 애니메이션 고베}}}]]''' || ||<-5> [[파일:external/i1.wp.com/kobe-2.png|width=200]] || ||<-5> {{{#e5d85c '''작품상 - 극장 부문'''}}} || || '''제4회[br]([[1999년]])''' || {{{+1 →}}} || '''제5회[br]([[2000년]])''' || {{{+1 →}}} || '''제6회[br]([[2001년]])''' || || [[극장판 카드캡터 사쿠라#수상|극장판 카드캡터 사쿠라]] || {{{+1 → }}} || 극장판 카드캡터 사쿠라[br]봉인된 카드 || {{{+1 → }}} ||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 ||<-5> || == 기타 == * 주제가는 CHAKA[* 본명 야스노리 마미(安則眞実)]가 부른 [[https://youtu.be/PQucY1Piqdw|'내일로의 멜로디(明日へのメロディー)']]. [[사기스 시로]]가 작곡했다. * 감독 인터뷰에 따르면 원래 『카드캡터 사쿠라』는 TVA 제70화를 끝으로 마무리 지을 생각이었다고 한다. 이름 없는 카드도 사실 사쿠라의 마음을 표현한 것이지, 딱히 극장판에 대한 복선 같은 건 아니었다고.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카드캡터 사쿠라, version=1226)] [[분류:카드캡터 사쿠라/애니메이션]][[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00년 애니메이션 영화]][[분류:일본의 애니메이션 영화]][[분류:일본의 모험 영화]][[분류:일본의 가족 영화]][[분류:매드하우스]][[분류:쇼치쿠]][[분류:나무위키 영화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