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크레용 신짱 - 극장판)] ||<-2> '''[[크레용 신짱/극장판|{{{#!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a1c1c; font-size:16px" {{{#fff 극장판}}}}}} {{{+1 {{{#!wiki style="text-shadow: 1px 0px #fff, 0px 1px #fff, -1px 0px #fff, 0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display:inline-block" {{{#2c2cc4 짱구는}}} {{{#ea1c1c 못말려}}}}}}}}}]]{{{+1 {{{#fff :}}}}}}[br]{{{+1 {{{#!wiki style="text-shadow: 1px 0px #e8d611, 0px 1px #e8d611, -1px 0px #e8d611, 0px -1px #e8d611, 1px 1px #e8d611, 1px -1px #e8d611, -1px -1px #e8d611, -1px 1px #e8d611; color:#bf1717; display:inline-block" 격돌!}}} {{{#!wiki style="text-shadow: 1px 0px #fff, 0px 1px #fff, -1px 0px #fff, 0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color:#ca159d; display:inline-block" 낙서왕국}}}{{{#!wiki style="text-shadow: 1px 0px #e8d611, 0px 1px #e8d611, -1px 0px #e8d611, 0px -1px #e8d611, 1px 1px #e8d611, 1px -1px #e8d611, -1px -1px #e8d611, -1px 1px #e8d611; color:#bf1717; display:inline-block" 과}}} {{{#!wiki style="text-shadow: 1px 0px #bf1717, 0px 1px #bf1717, -1px 0px #bf1717, 0px -1px #bf1717, 1px 1px #bf1717, 1px -1px #bf1717, -1px -1px #bf1717, -1px 1px #bf1717; color:#e8d611; display:inline-block" 얼추 네 명의 용사들}}}}}}''' {{{#fff (202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a1c1c; font-size:13px" {{{#fff 映画}}}}}} {{{#!wiki style="text-shadow: 1px 0px #fff, 0px 1px #fff, -1px 0px #fff, 0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color:#2c2cc4;display:inline-block" クレヨン}}}{{{#!wiki style="text-shadow: 1px 0px #fff, 0px 1px #fff, -1px 0px #fff, 0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color:#ea1c1c;display:inline-block" しんちゃん}}}{{{#fff :}}}[br]{{{#!wiki style="text-shadow: 1px 0px #e8d611, 0px 1px #e8d611, -1px 0px #e8d611, 0px -1px #e8d611, 1px 1px #e8d611, 1px -1px #e8d611, -1px -1px #e8d611, -1px 1px #e8d611; color:#bf1717; display:inline-block" [ruby(激突, ruby=げきとつ)]!{{{#!wiki style="text-shadow: 1px 0px #fff, 0px 1px #fff, -1px 0px #fff, 0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1px 1px #fff; color:#ca159d; display:inline-block" ラクガキングダム}}}と}}} {{{#!wiki style="text-shadow: 1px 0px #bf1717, 0px 1px #bf1717, -1px 0px #bf1717, 0px -1px #bf1717, 1px 1px #bf1717, 1px -1px #bf1717, -1px -1px #bf1717, -1px 1px #bf1717; color:#e8d611; display:inline-block" ほぼ[ruby(四人, ruby=よにん)]の[ruby(勇者, ruby=ゆうしゃ)]}}}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짱구8월.jpg|width=100%]]}}} || ||<-2><^|1>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원판 메인 비주얼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격돌낙서왕국과대강네명의용사.jpg|width=100%]]}}} ||}}}}}}}}} || ||<-2> {{{#!wiki style="margin: -16px -11px; word-break: keep-all" ||<-5>
'''[[짱구는 못말려/극장판|짱구는 못말려 극장판]] 시리즈''' || ||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신혼여행 허리케인 ~사라진 아빠~|극장판 짱구는 못말려:[br]신혼여행 허리케인 ~사라진 아빠~]] || → ||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br]격돌! 낙서왕국과 얼추 네 명의 용사들''' || → ||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수수께끼! 꽃피는 천하떡잎학교|극장판 짱구는 못말려:[br]수수께끼! 꽃피는 천하떡잎학교]] || ||<-5> ||}}} || || '''{{{#fff 감독}}}''' ||[[쿄고쿠 타카히코]] || || '''{{{#fff 각본}}}''' ||타카다 료(高田 亮), 쿄고쿠 타카히코 || || '''{{{#fff 원작}}}''' ||[[우스이 요시토]] || || '''{{{#fff 주연}}}''' || {{{#!wiki style="margin: -16px -11px; word-break: keep-all"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코바야시 유미코]], [[나라하시 미키]], [[모리카와 토시유키]], [[코오로기 사토미]], [[마시바 마리]], [[하야시 타마오]], [[이치류사이 테이유우]], [[사토 치에]] 外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박영남]], [[강희선]], [[김환진]], [[여민정]], [[정유미(성우)|정유미]], [[정혜옥]] 外 ||}}} || || '''{{{#fff 음악}}}''' ||아라카와 토시유키(荒川敏行), 후지사와 요시아키(藤澤慶昌) || || '''{{{#fff 제작사}}}''' ||[[신에이 동화]][br][[테레비 아사히]][br][[ADK]][br][[후타바샤]] || || '''{{{#fff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px]] [[CJ ENM]] || || '''{{{#fff 배급사}}}'''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px]] [[도호]][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px]] [[CJ ENM MOVIE]] || || '''{{{#fff 개봉일}}}'''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20년]] [[9월 11일]][* 본래 [[2020년]] [[4월 24일]]에 개봉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여파로 인해 개봉 연기되었다.[[https://twitter.com/crayon_official/status/1245984383724470272?s=19|#]]][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px]] [[2021년]] [[9월 15일]][* 본래 [[2021년]] [[7월]]에 개봉할 예정이었으나 8월로 한 차례 연기되었다. 그러나 [[코로나19]] 등의 상황을 고려할 때 8월에도 개봉하지 못하게 되었고, 결국 2021년 9월 15일로 최종 결정되었다.] || || '''{{{#fff 상영 시간}}}''' ||약 103분 || || '''{{{#fff 수익}}}''' ||약 11.8억엔 || || '''{{{#fff 대한민국 총 관람객}}}''' ||''' 199,726명 ''' ([[2021년]]) (최종) || || '''{{{#fff 국내 스트리밍}}}''' ||[[TVING]] [[https://www.tving.com/contents/M000363740|▶]][br][[네이버 시리즈온]] [[https://serieson.naver.com/v2/mcode/205968|▶]] || || '''{{{#fff 상영 등급}}}'''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영상물 등급 제도/일본|[[파일:영륜 G 로고.svg|height=30]]]]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전체 이용가|[[파일:영등위_전체관람가_2021.svg|width=30]] {{{#000000,#dddddd 전체 관람가}}}]]''' || || '''{{{#fff 공식 홈페이지}}}''' ||[[https://www.shinchan-app.jp/anime/detail/movie-028/|[[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4]]]] {{{-2 (영화 정보)}}} || || '''{{{#fff 엠블럼}}}''' ||[[파일:격돌! 낙서왕국과 대강 네명의 용사 이미지.jpg|width=60]] || [목차] [clearfix] == 개요 == >'''世界を救え、クレヨンで。''' >'''크레용으로 세계를 구하라!''' [[크레용 신짱/극장판|크레용 신짱 극장판 시리즈]]의 28번째 작품이다. 일본에서는 2020년 4월 24일에 개봉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로 연기되었다가 9월 15일로 확정되었다. 이번 극장판의 감독은 [[쿄고쿠 타카히코]]이며, 소재는 [[핸더랜드의 대모험|4기]], [[엄청난 태풍을 부르는 금창의 용사|16기]] 이후로 오랜만에 용사 판타지를 소재로 했다.[* 정확히 말하면 4기는 용사 판타지에 휘말린 것이고, 16기는 신짱이 진짜 선택받은 용사가 되는 것.] 또한 이 극장판이 개봉한 년도인 2020년에 1대 [[노하라 히로시]]의 성우인 [[후지와라 케이지]]가 암 투병 끝에 사망하자 [[모리카와 토시유키]]로 영구교체된 극장판이다.[* 성우교체는 2017년도 극장판인 [[습격!! 외계인 덩덩이]]에서부터 교체되었다.]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r9hd4xUmJxI)]}}} || || '''{{{#fff 티저}}}'''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Kiu0xWhEGJ0)]}}} || || '''{{{#fff 1차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ztEdU4Tnfro)]}}} || || '''{{{#fff 2차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N9Zu42Bcg6M)]}}} || || '''{{{#fff 국내 티저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kvppzK4Xog0)]}}} || || '''{{{#fff 국내 메인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zacog_tHX_g)]}}} || || '''{{{#fff 국내 2차 예고편}}}''' || == 시놉시스 == >지상의 아이들이 자유롭게 그려내는 낙서를 에너지로 삼아 하늘에 떠있는 왕국, 그 이름은 '''낙서왕국(ラクガキングダム)'''.[* 원문은 라쿠가키(일본어로 낙서)+킹덤을 합친 말장난.] >그러나 시대가 흐르면서 지상의 사람들이 낙서를 그리는 일이 줄어들자[* 작중에서는 허공에 낙서를 그릴 수 있는 VR기술이 개발되면서 굳이 직접 낙서를 그릴 필요가 없었기 때문.] 낙서왕국은 붕괴의 위기를 맞게 된다. >이에 낙서왕국군에서는 아이들을 한 데 모아 강제로 낙서를 그리게 하여 왕국을 존속시키는 '우키우키 카키카키'[* 해석하면 '신나게 그려그려', 더빙판은 '룰루랄라 그려그려'로 나온다.] 대작전을 개시한다. >그렇게 왕국 바로 아래에 있던 카스카베를 시작으로 지상의 아이들을 잡아가기 시작한다. >그런 혼란 속에서 낙서왕국의 공주는 지구상에서 단 한 사람, 그려낸 것은 무엇이든 실체화시키는 낙서왕국의 보물 '미라클 크레용(ミラクルクレヨン)'[* 참고로 낙서왕국의 왕족 출신 인물들이나 선택받은 용사가 아닌 일반인이 이 미라클 크레용을 사용하면 그 크레용이 인식을 하질 못해 아무것도 그려내질 못한다.(작중에서 보오를 통해 알려진다) 그래서 궁정화가가 신짱을 찾기 전까지 선택받은 용사를 찾아다니느라 별 고생을 했다.]으로 세계를 구할 용사로 [[노하라 신노스케]]를 택하고, 신짱은 공주의 명령을 받든 낙서왕국의 궁정화가로부터 미라클 크레용을 받게 되는데... >과연 신짱은 미라클 크레용으로 세계를 구할 수 있을 것인가? == 등장인물 == [include(틀:스포일러)] === 카스카베(떡잎마을) === * [[노하라 신노스케]]/신짱구 - CV.[[코바야시 유미코]]/[[박영남]] 주인공. 미라클 크레용에 선택받은 용사가 되면서 미라클 크레용으로 낙서왕국과 맞서게 된다. * [[노하라 미사에]]/봉미선 - CV.[[나라하시 미키]]/[[강희선]] 짱아와 함께 액션마트에 가다가 납치됐다. 집에 가야겠다고 하자 낙서왕국 군에 의해 낙서로 변해버렸다. * [[노하라 히로시]]/신영식 - CV.[[모리카와 토시유키]]/[[김환진]] 술에 취해 귀가하던 중에 낙서왕국 병사들에게 검문 당할 때 그린 그림이 낙서 같아 다른 어른들과 같이 낙서로 변하지 않고 병사들에게 끌려간다.[* 작중에선 유일하게 낙서가 되지 않는 어른이다. 이와 반대는 어린이임에도 낙서가 된 철수가 있다.] 그래도 후반부에 짱아를 붙잡은 롤러 병사들에게 물불 안 가리고 덤비는 부성애를 보이기도. * [[노하라 히마와리]]/신짱아 - CV.[[코오로기 사토미]]/[[여민정]] * [[시로(크레용 신짱)|시로]]/흰둥이 - CV.[[마시바 마리]]/[[정유미(성우)|정유미]] * [[카자마 토오루]]/김철수 - CV.[[마시바 마리]]/[[여민정]] 유치원에 감금 당해 낙서를 그리던 도중 항의하다가 낙서로 변한다.[* 유일하게 낙서가 된 어린이다.] 낙서 안 그리고 편하게 쉰다며 네네한테 얻어 듣는다. 이후 짱구에 의해 풀리게 된다. * [[사토 마사오]]/이훈이 - CV.[[이치류사이 테이유우]]/[[정혜옥]] * [[사쿠라다 네네]]/한유리 - CV.[[하야시 타마오]]/[[정유미(성우)|정유미]] * [[보오]]/맹구 - CV.[[사토 치에]]/[[강희선]] * [[오오하라 나나코]]/유이슬 - CV.[[이토 시즈카]]/[[정혜옥]] * [[요시나가 미도리]]/채성아 - CV.[[나나오 하루히]]/[[이용신]] 성이 무너져 내릴때 아이들이 낙서를 하게하고 직접 나서서 다른 어른들에게 낙서를 해달라고 외친다. * [[마츠자카 우메]]/나미리 - CV.[[토미자와 미치에]]/[[한채언]] * [[아게오 마스미]]/차은주 - CV.[[미츠이시 코토노]]/[[윤여진]] * [[타카쿠라 분타]]/권지옹 - CV.[[모리타 준페이]]/[[현경수]] * [[칸다도리 시노부]]/박광자 - CV.오츠카 미즈에/[[김율]] * [[키타모토(크레용 신짱)|키타모토]]/남춘애 - CV.[[스즈키 레이코]]/[[김현심]] * [[카자마 미네코]]/철수 엄마 - CV.[[타마가와 사키코]]/[[이용신]] * [[카와무라 야스오]]/치타 - CV. 오츠카 토모코/[[김율]] * [[사이타마 붉은 전갈대|류코]]/김용숙 - CV. [[이쿠라 카즈에]]/[[정혜원(성우)|정혜원]] * [[사이타마 붉은 전갈대|오긴]]/이은혜 - CV. [[호시노 치즈코]]/[[박리나]] * [[사이타마 붉은 전갈대|마리]]/최마리 - CV. [[무타 아키코]]/ [[김율]] * 오니가와라 치쿠조/나견고 - CV. [[츠지 신파치]]/[[김기흥]] * 단 라자야/뉴스 앵커 - CV. [[챠후린]]/[[김동현(CJ ENM 성우)|김동현]] * 오니가와라 칸나/나한나[*A 대사는 없다.] * [[우리마 쿠리요]]/사주라[*A ] * [[히토시 & 테루노부]]/준호 & 광태[*A ] * [[사쿠라다 모에코]]/정혜선[*A ] * [[마사오 엄마]]/훈이 엄마[*A ] * [[하토가야 요시린 & 하토가야 밋치]]/정훈 & 민희[*A][* 영화 후일담에 등장.] === 조력자 === [include(틀:짱구는 못말려 극장판의 조력자)] ※ 낙서로 생겨난 존재는 이름 뒤에 ★을 표시함. * [[부리부리자에몽]]★/부리부리용사 - CV.[[카미야 히로시]][* 2000년 시오자와 카네토 사후 한동안 캐스팅이 없었으나, 2016년부터 부리부리자에몽의 2대 성우를 맡았다.]/[[시영준]] 신짱이 항상 낙서로 그려온 미덥지 못한 구원의 히어로. 이번에는 미라클 크레용의 힘으로 실체화되었다. 하지만 평소 성격은 여전해서, 아니나 다를까 초반부터 낙서왕국 병사들에게 들러붙어 몇번이고 신짱을 배신한다. 그리고 적이 물러가면 다시 동료로 돌아오면서 '계산대로군'라고 말한다. 이 때문에 작중 내내 동료들에게 질타당하고 쫓긴다. 소환되자마자 굶주린 상태로 등장하거나, 게으름을 피우거나, 툭하면 배신했다가 동료로 돌아오는 등 한심한 모습의 개그 캐릭터 기질을 보이다, 브리프의 미라클 크레용이 낙서왕국에서 가장 중요한 보물이라는 말을 듣고 마지막 조각을 줍고 낙서왕국의 방위대신에게 크레용 조각을 넘기려한다. 하지만, 양심에 찔렸는지[* 이후 신짱에게는 자기에게 겨우 2인자 자리를 주려고 해서 그랬다고 말하지만 유마를 보고는 태도가 바뀐 걸 보아 사적인 욕망 때문은 아닌 게 확실하다.] 결국 똥을 싼다는 핑계를 대며 주의를 돌린 후 숨어있던 유마에게 크레용을 넘겨줘서 유마가 어머니를 구할 수 있게 도와줬다. 이후 바이크를 타고 도망치다 잡혀서 거꾸로 매달린다. 부리부리자에몽이 미라클 크레용을 넘기지 않을 것 같자 방위대신이 방치하고 떠난 후 장맛비가 와서 육체가 녹아버린다.[* 미라클 크레용의 낙서로 생겨난 존재는 육체 혹은 사물이 물에 닿아버리면 몸이 녹아버리다 못해 소멸한다.] 마지막에는 본인이 녹아내린 물웅덩이 속에서 완전히 사라지기 직전 신짱과 이야기를 나누고 결국 소멸했으나, 클라이맥스에서 신짱과 마을 사람들이 그린 초대형 낙서로서 다시 소환된다. 카스카베시로 떨어지는 낙서 왕국을 주민들의 응원을 들으며 막아낸 후 늘 치던 사례비 대사를 말하며 소멸한다.[* 이후 짱구가 낙서로 그린 [[10억을 받았습니다|10억엔]]을 받는것도 킬링포인트.] 가짜 나나코와 그림의 요정과 함께 원작에서도 등장했던 인물 중 한 명. 참고로 부리부리자에몽의 원 성우 [[시오자와 카네토]]가 별세한 후 정말 오래도록 성우가 붙지 않았는데 이번 극장판에서 드디어 2대 부리부리자에몽의 성우로 [[카미야 히로시]]가 배정되었다. || [[파일:낙서왕국_브리프.png|width=400]] || * [[브리프]]★ - CV.[[토미나가 미나]]/[[강새봄]] 신짱이 미라클 크레용으로 실체화시키면서 생명을 얻은 삼각팬티. 입은지 이틀은 된 상태다. 유일하게 낙서왕국과 관련된 정보를 알고있어서 이것저것 설명하는 장면이 많다. 작중에서는 [[츳코미]] 및 해설 포지션. 마지막에 라인기의 분말이 떨어져 그림을 완성할 수 없는 상황에서 스스로를 한계까지 늘려 그림의 일부가 되는 희생을 통해 거대한 부리부리자에몽 그림을 그려내 카스카베 마을을 구해냈다.[* 브리프 본인이 미라클 크레용으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스스로 낙서의 일부가 된다면 새로운 낙서를 미라클 크레용의 힘이 담긴 그림으로 재탄생하여 실체화시키는 게 가능하다. 그리고 실제로 실체화가 되었으나 미라클 크레용의 비율 문제인지 부리부리자에몽이 낙서왕국을 밀어낸 이후 바로 사라지고 말았다.] || [[파일:낙서왕국_유우마.png|width=400]] || * 유마/유민 - CV.[[쿠로사와 토모요]]/[[이새벽]] 배고픈 신짱이 냄새에 이끌려 도착한 카레가게의 6살 소년.[* 신짱과 나이차이는 1살 더 많다. 더빙판에서는 짱구가 유민이 형이라고 부른다.] 원래 카스카베 밖에 살지만 카스카베의 할머니집에 갔다가 돌아오지 못하게 된 엄마[* 마찬가지로 낙서왕국의 병사들에게 당해서 낙서로 변해있었다. 이후 미라클 크레용의 마지막 조각을 사용해서 구해냈다.]를 구하기 위해 신짱과 동행하게 되었다. 미라클 크레용으로 탱크랑 비행기를 만드는 신짱을 보고 놀라면서 전설의 용사라며 믿는다. 가지고 있는 태블릿은 현지 상황을 파악하거나 정보를 수집하는데 쓰는 등 여러모로 유용한 물건. 중후반부에 와서 엄마를 발견하고 공주랑 같이 부리부리자에몽이 넘겨준 마지막 미라클 크레용 조각으로 엄마를 구출해낸다.[* 부리부리자에몽이 급똥인 척 하고 도주하는 사이에 낙서왕국의 공주랑 같이 어머니를 구해낸다.] 썼다는것만 털어 놨을땐 '''[[패드립|왜 썼냐]]''' 는 등 욕을 먹다가 [[탈룰라|엄마를 구출하는데 썼다고 하자 조용해진다.]] 결말부에서 낙서를 계속하면 낙서왕국의 추락을 막을 수 있음에도 이젠 다 틀렸다, 쓸떼없는 곳에 크레용을 써서 위기가 찾아왔다 등등 불평만 하며 도망치는 사람들에게 "'''신노스케한테 도움 받았음에도 고마워하기는 커녕 자기를 도와준 사람을 탓하고 도망이나 치는 비겁자들이다'''"라고 방송실에서 안내용 확성기로 설교하며, 카스카베를 구하기 위해 힘쓰는 신짱을 제발 도와달라는 부탁을 하여, 그 말에 반응한 마을의 아이들이 가장 먼저 신짱을 돕기 위해 돌아가고, 그 뒤를 따라서 마을의 어른들이 다시 돌아오게 하는 활약을 선보인다. 이후 공주와 플래그가 섰는지 계속 함께 모습을 비추며[* 패드로 그림판에 낙서하는 기능까지 소개할 정도로 사이가 좋아진 걸로 보인다. 덕분에 공주는 낙서가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는 희망을 얻었다.], 결말부에 신짱과 마지막으로 인사를 나누고 카레가게로 돌아왔을 때 스케치북에 신노스케가 그린 영웅상들 4명 중 자신이 포함되어있는 걸 보고 눈물을 흘리며 고맙다고 말한다.[* 이 때문에, 한국판 영화 제목 역시 '''얼추''' 네 명의 용사들이며, 어림잡아 4명이라 생각했지만 사실은 유민까지 포함해 다섯명의 용사들이 활약해주었다.] [include(틀:짱구는 못말려 극장판의 히로인)] || [[파일:낙서왕국_낙서나나코.png|width=400]] || * 가짜 [[오오하라 나나코|나나코]]★/가짜 유이슬 - CV.[[이토 시즈카]]/[[정혜옥]] 신짱이 이상형인 나나코 누나를 미라클 크레용으로 그려내 실체화시킨 존재. 하지만 신짱의 그림 실력이 안 좋은지라, 입술이 두껍고 눈이 작다. 신짱이 그림을 그릴 때 같이 쓴 말 때문에 중저음의 목소리로 "짱구야, 좋아해[* 원작 번역본에선 "신짱, 사랑해!"](しんちゃん、好きよ)"라는 말만 한다. 실물과 똑같은 크기로 실체화시키기 위해 종이 3장을 좀 더 이어붙여 그려냈기에 키가 크며 운동신경은 제일 좋다.[* 처음 등장하고나서 신짱이 무서워서 도망치다가 절벽에 떨어지는데, 절벽에 뛰어들어 한 팔로 신짱을 업고, 다른 한쪽 손으로 신짱이 떨어트린 신발을 캐치해내는 위엄을 보여준다. 또 전투력도 상당한 지 홀몸으로 낙서왕국 세력들을 물리치고 밧줄로 포박하기도 했다.] 신짱을 단순히 말뿐 아니라 진심으로 좋아하며 여러모로 챙겨주는 모습을 보인다. 최후반부에 신짱이 위기에 처하자 비에 젖어 자기 몸이 지워질 위기에도 신짱을 구하기 위해 빗속으로 뛰어들었다. 마지막에는 녹아가는 팔을 최대한 늘려 신짱에게 낙서 왕국의 무기인 낙서화 카메라를 던져주고 소멸한다.[* 이때 가짜 이슬이의 최후를 지켜보는 짱구의 얼굴에 빗물이 흘러내리는데 마치 눈물을 흘리는것 같은 구도이다.] 그림의 요정과 부리부리자에몽과 함께 원작에서 등장했던 인물 중 한 명. === 낙서왕국 === || [[파일:낙서왕국.jpg|width=400]] || 아이들이 그리는 낙서의 힘을[* 극중에서는 낙서에너지라고 불린다.] 원천으로 존속되는 하늘의 왕국. 시대가 흘러 전자기기의 대량 보급으로 인해 아이들이 낙서를 그리지 않고, 낙서가 있을법한 공공장소는 깨끗하게 관리되고, 아이들이 행여나 낙서를 그리려고 하면 어른들에 의해 제지되는 상황이 빈번해지자 왕국이 붕괴될 위기에 처해있다. ==== 왕족 및 관계자 ==== || [[파일:낙서왕국_공주.jpg|width=400]] || [include(틀:짱구는 못말려 극장판의 조력자)] * 공주 - CV.[[캬리 파뮤파뮤]][* 크레용신짱 애니 오프닝 '너에게 100%'와, 극장판 22기 엔딩 [[ファミリーパーティー|패밀리 파티]]를 불렀다.]/[[박시윤(성우)|박시윤]][* 전작에서도 [[가면족 공주]]로 출연했었다.] 낙서왕의 딸로, 우키 카키카키 작전 실행과 동시에 아버지인 낙서왕이 방위대신과 휘하 대신들에 의해 구속되자, 추격해오는 낙서왕국 병사들을 피해 성 꼭대기에있는 '미라클 크레용'을 가지고선, 궁정 화가에게 이를 쥐여주며 용사(신노스케)를 찾아달라고 하며 그를 지상으로 내려보낸다. 이후 국왕, 궁정화가와 함께 잡혀있다 낙서에너지의 부족으로 낙서왕국이 추락하기 시작하자, 몇몇 낙서왕국 병사들의 도움을 받아 지상으로 내려온다. 유마를 만나 용사(신노스케)를 찾아다니다 미라클 크레용이 사라져버려 왕국의 추락을 막을수 없는 상황이 되자, 피난중인 카스카베시 주민들에게 낙서를 그려달라고 호소하나 주민들은 매정하게 떠나버린다. 하지만 유마의 호소로 카스카베시 주민들이 신노스케의 거대 부리부리자에몽 낙서를 같이 그리기 시작하자, 그녀도 합세하여 즐겁게 낙서를 그린다. 결말에서는 유마와 함께 낙서를 그리다 유마가 보여준 태블릿 속 낙서를 보고 아직 낙서가 사라지지 않았음을 궁정 화가에게 전하며 희망이 남아있음을 알아낸다. || [[파일:낙서왕.jpg|width=400]] || * 낙서왕 (ラクガキング)/낙서킹 - CV.[[나카타 조지]]/[[온영삼]][* [[태풍을 부르는 장엄한 전설의 전투|10기 극장판]]의 강림 영주, [[초시공! 태풍을 부르는 나의 신부|18기 극장판]]의 ~~역대 짱구 극장판 사상 최악의 빌런~~ [[카네아리 마스조|황금왕]],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정면승부! 로봇아빠의 역습|22기 극장판]]의 황고집 등 짱구 극장판을 대원방송에서 녹음하던 시절 자주 출연했다.] 낙서왕국을 통치하는 국왕. 극중 초반부 신노스케가 그리는 낙서를 찬미하는 장면으로 첫등장한다. 그러나 직후 신노스케가 낙서를 제지당하는 장면을 보고서 분노한 방위대신이 어른들을 배제하고 낙서를 그리게 해야 한다고 주장하자 만약 그럼에도 아이들이 낙서를 그리지 않으면 어찌할 것이냐며 우려를 표하고, 이에 방위대신이 그럴 경우엔 강제로 그리게 하면 그만이라고 대답하자, 강압적인 방법으로 낙서를 그리게 하는 것은 옳지 않다며 방위대신을 제지하려 들지만 회의결정에 반대하는 자는 국왕이라도 체포할 수 있다는 방위대신의 말과 함께, 왕좌에 앉은채로 구속당해 버린다. 구속당한 이후에도 방위대신과 다른 대신들에게 지금하는 행동은 올바르지 않다며 계속 설득하려는 모습을 보이나, 자신은 이 나라를 지키고 싶은 것 뿐이며 설교는 지긋지긋하다는 방위대신에 의해 묵살되어 버린다. {{{#!folding [ 스포일러 주의 ] || [[파일:낙서왕_진모습.jpg|width=345]] || || '''{{{#000 낙서왕의 본모습}}}''' ||}}} 결말부 부리부리자에몽의 희생으로 낙서왕국의 추락을 막아내고, 이후 죽을 죄를 지었다며 사죄하는 방위대신에게 자신의 본모습으로 돌아온 뒤 "왕국을 생각해서 한 일이지?" 라는 말과 함께 그를 용서한다. 몰락하기 직전인 낙서왕국의 왕족이라는 중요한 설정이 있어 꽤나 비중있게 다뤄질 것 같았지만 초반에 약간 나온 것과 후반부를 제외하면 비중이 거의 없다. 거의 흰둥이 수준... 게다가 작중에서 신노스케와의 접점이 전무하다. 대화 한마디 있을까 말까한 정도. 하지만 이런 부분과는 별개로 귀여운 디자인과 대인배스러운 면모 덕분에 인기가 많다. || [[파일:낙서왕국_궁정화가.jpg|width=500]] || * 궁정 화가 (宮廷画家) - CV.[[히라타 히로아키]][* 23기 극장판에서 즈야카오 에라이를 맡은 성우이다.]/[[최한]][* [[MBC]]에서 방영한 [[폭풍을 부르는 정글|8기 극장판]]에서 단역으로 참여했던 적이 있다. [[https://m.cafe.daum.net/CastingBank/2ytu/190|#]]] 극중 초반 킹의 초상화를 그리는 장면으로 처음 등장한다. 이후 공주의 부탁으로 지상으로 내려와, 용사를 찾아다닌다. 그러던 중 공원에서 돌을 그리고 있던 보오에게 크레용을 건네주나 미라클 크레용의 힘을 발휘하지 않아 곤란해하던 중, 귀가중이던 신노스케에게 미라클 크레용을 쓰게 하고 이내 미라클 크레용의 힘으로 낙서가 실체화 됨으로써 신노스케가 용사임을 알게 된다. 하지만 이내 낙서왕국 병사들이 들이닥치고, 신노스케와 미라클 크레용을 지키기 위해 낙서왕국 병사가 사용하던 카메라[* 해당 카메라는 일반적인 카메라가 아니라 렌즈에 찍인상대를 낙서처럼 만들어 찍힌 대상의 뒤에 있는 물체와 동일화 시키는 물건이다.]를 사용해 신노스케와 미라클 크레용을 스케치북에 집어 넣은 뒤 종이비행기로 접어 탈출시킨다. 이후 붙잡혀서 국왕, 공주와 같이 감금되었으나 낙서왕국이 완전히 붕괴될 위기에 처하자 공주만이라도 탈출시킨다. 이때 다른 낙서 병사들이 도와준 것으로 보아 방위대신의 계획에 동의하지 않는 이들도 있던 모양. 원작에서는 그림의 요정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했으며, 가짜 나나코와 부리부리자에몽과 함께 원작에서 등장했던 인물 중 한 명이다. ==== 대신들과 휘하인물들 ==== [include(틀:짱구는 못말려 극장판의 최종보스)] || [[파일:낙서왕국_방위대신.jpg|width=400]] || * 방위대신/국방장관 - CV.[[야마다 유키(배우)|야마다 유키]]/[[김다올]] 극중 초반, VR기기를 활용한 가상공간에서의 그림그리기 유행으로 굳이 낙서를 그릴 필요가 없어진 아이들이 일반적인 낙서를 그리지 않고, 일반 낙서는 그리지 못하게 하는 어른들, 그리고 깔끔하게 관리되는 공원등의 시설과, 태블릿을 활용한 수업이 성행함으로서 낙서가 없어져 감에 따라 왕국이 붕괴할 위기에 처하자, 어른들을 배제하고 아이들에게 낙서를 강제로 그리게 하는 이른바 우키우키 카키카키(더빙판은 룰루랄라 그려그려) 작전을 위해 다른 대신들과 낙서왕국군을 이끄는 인물이다. 낙서는 강압적인 방법이 아닌, 자연스러운 마음에서 그려져야 한다고 하는 낙서왕을 회의결정에 따르지 않는 자는 [[쿠데타|국왕이라도 체포할 수 있다며 구속하는 등]] 왕국의 존속을 위해 급진적인 행동을 벌인다. 그래도 기본적으로는 킹덤의 존속을 중요하게 여기는 인물. 킹덤의 붕괴에 대한 공포로 킹덤이 추락하는 악몽을 꾸기도 한다. 결말부에는 강제로 낙서를 그리게 했음에도 왕국의 붕괴를 막지 못하자[* 낙서는 그리고 싶어서 그려야 낙서인 것인데 강제로 그리게 하면 그것은 더 이상 낙서가 아니기 때문. 그래서 처음에는 아이들이 대신들이 반항하는 어른들과 카자마를 낙서로 만들어 공포감을 주고 마사오랑 네네를 '그림그리는 삼바'라고 불리는 가마에 억지로 태우고 낙서를 그려낼 때까지 계속 흔들어 제끼며 협박했기 때문에 겁을 먹고 억지로나마 그려내다보니 어떻게든 낙서 에너지가 왕국에 공급되었으나 나중에는 그 아이들마저 슬슬 지쳐가자 낙서 에너지 공급이 끊겼다.], 추락하는 왕국을 바라보며 낙서왕에게 말하듯 "왕국의 붕괴를 지켜보겠습니다"라며 말하는 것에서 그가 가진 압박감을 알 수 있다. 마지막에는 미라클 크레용이 완전히 사라졌다는 것을 알고 절망하나, 신노스케와 카스카베시 모두가 즐겁게 초대형 부리부리자에몽을 그림으로서 낙서 에너지가 생성되는 것을 보고 본인도 즐겁게 부리부리자에몽을 그리는데 가담한다. 이후 초거대 부리부리자에몽의 힘으로 낙서왕국의 추락을 막아낸 뒤, 낙서왕국의 병사들에 의해 체포당한다. 스스로가 벌인 일을 후회하며 처벌도 각오한다는 태도를 보이나 "왕국을 생각해서 한 일이지?"라는 낙서왕의 용서에 눈물을 흘린다. 그가 벌인 사건들과 방위대신이라는 직위덕에 최종보스로 여겨질 수 있지만, 사실상의 최종보스는 카스카베시로 추락하는 낙서왕국 그 자체라고 볼 수 있다.[* 정확히는 지저분한 것을 싫어하는 인간의 결벽증과 낙서왕국이 붕괴되어 떨어지고 있음에도 막을 방법을 듣지 않고 무시한 채로 도망만 치려는 어른들의 이기심.] 극중 장면을 종합해서 보았을 때, 다른 목적이 아닌 오로지 왕국만을 위해 행동하며, 그 방식이 카스카베 주민들의 행복을 짓밟으며 이룬 성과인 만큼 방위대신 또한 이기적인 어른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선데이 고로네스키 이후로 오랜만에 악당이 아닌 반동 인물인 최종보스인데, 주인공과 대립하여 왕국을 위해서 악행을 저지른 인물이지만 결말부에는 자신이 지금까지 저지른 행동을 후회하며 조력자로 돌아서면서도 스스로의 목표를 달성한 최종보스가 되었다. || [[파일:낙서왕국_식품대신(형).png|width=300]] || * 식품대신(형) - CV.[[토비타 노부오]]/[[황동현(성우)|황동현]] 빵의 모습을 하고 있는 장관. 극중 초반부 방위대신의 작전에 동의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 [[파일:낙서왕국_식품장관.jpg|width=300]] || * 식품대신(동생) - CV.레키시(レキシ)[* 본 극장판의 엔딩곡을 불렀다.]/[[이우리]] 핫도그 모습을 하고 있는 장관. 극중 초반부 방위대신의 작전에 동의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 [[파일:낙서왕국_석기시대인.png|width=400]] || * 석기시대인[* 시대인(時代人)의 대인(代人)과 대신(大臣)의 발음이 똑같다.(だいじん).] - CV.[[이노우에 키쿠코]]/[[박이서]] 작은 매머드를 사육하고 있는 원시인 모습의 여성이다. 극중 초반부 방위대신의 작전에 동의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다리털이 수북한것이 특징이다. || [[파일:낙서왕국_에너지대신.png|width=400]] || * 에너지 대신 - CV.[[코스기 주로타]]/[[김동현(CJ ENM 성우)|김동현]] 수염이 난 모습이며 뒤에 에너지 통을 메고있다. 극중 초반부 방위대신의 작전에 동의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반역에 가담했지만 충성심은 확실한 듯 낙서왕국이 추락하기 직전에도 국왕과 최후를 함께한다는 태도를 보였다. || [[파일:낙서왕국_마법사.png|width=400]] || * 마법사 - CV.[[미츠야 유지]]/[[김윤기(성우)|김윤기]] 컬러 코디네이터로 고양이 모습을 하고 있다. 극중 초반부 방위대신의 작전에 동의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 [[파일:낙서왕국_교관.png|width=400]] || * 근육중사 - CV.[[겐다 텟쇼]][* 본작에서 [[액션가면]]을 맡고있다.]/[[황동현(성우)|황동현]] 근육질 몸과 스킨 헤드, 그리고 몸 구석구석에 칠해진 페인트 자국과 방향을 바꿀 수 있는 삼각자 눈이 특징이다. 중요부위는 3갈래로 나뉜 세척 양동이로 가려져있다.[* 참고로 결말부에선 낙서를 그리기 위해 그 양동이 안에서 물감들을 막 뿌리고 다닌다.] 극중 초반 우키우키카키카키 작전의 실행과 함께 휘하 낙서왕국 병사들과 내려가 행동한다. 극중 후반부에는 직접 지상으로 내려온 방위대신과 동행하며, 미라클 크레용이 사라졌다는 말에 같이 절망하나 신노스케 일행과 카스카베시 주민들이 낙서왕국 추락을 막기 위해 낙서를 그리는 모습을 보고 방위대신과 함께 동참한다. [include(틀:짱구는 못말려 극장판의 중간보스)] || [[파일:링고_멜론_이치고.jpg|width=400]] || * 사과, 딸기, 멜론 - CV.링고쨩(りんごちゃん)[* 트렌스젠더 여성, 개그도 하고있다]/[[이상호(성우)|이상호]] 우키 카키카키 작전의 실행과 동시에 지상으로 내려와, 지상의 인간들에게 억지로 낙서를 그리게 시키는 지도관 3인방. 좋아하는 건 뭐든지 그려도 괜찮다며 낙서를 장려하는 친절한 지도관이지만, 반항하거나 낙서 이외의 것[* 예를 들어 마사오가 후부키마루를 모작했을 때.]을 그리면 성격이 돌변하는 모습을 보인다. 후반부 유치원에 있던 한명은 신짱 일행에게 붙잡혔고, 액션 마트에 있던 나머지 둘은 나나코를 찾던 신짱을 유도해서 몰아넣은 뒤 낙서왕국의 무기인 카메라로 신짱을 낙서로 만들려다가 가짜 나나코의 희생으로 역으로 낙서가 되어 벽에 박혔다. 여담으로, 유일하게 악역같은 모습을 보이고 직접적으로 떡잎마을 사람들을 괴롭힌 삼총사지만, 이들 역시 상관(방위대신)의 명령대로 움직인 낙서왕국 병사일 뿐이다. || [[파일:낙서왕국_스프레이병사.png|width=400]] || * 스프레이 병사[*A 대사는 없다] 허리에 스프레이를 감은 군인. 액션 마트로 찾아온 용사 일행들을 지하에서 공격했다. 대사는 없고 요상한 음악과 움직임으로 신노스케 일행을 밀어붙이나, 카자마의 물총 공격에 백기를 들며 항복한다. 이후 낙서왕국의 추락이 임박하자 거대한 낙서를 그리는 신노스케를 도와 함께 낙서를 그린다. 그리고 낙서왕국이 다시 제대로 떠있게 되자 롤러 병사와 함께 낙서가 되어 하늘로 올라간다. 가슴에 가타카나로 스프레이를 뜻하는 스 자가 적혀있는데, 화면 수정에 목숨거는 투니버스도 이 부분은 수정하지 않았다. --우리나라의 ㅈ과 비슷해 보여서일듯-- || [[파일:낙서왕국_롤러병사.png|width=400]] || * 롤러 병사 - CV.[[스와베 준이치]]/[[이우리]] 거대한 롤러 스케이트를 탄 2명의 녹색의 낙서왕국 군. 대사는 거의 붉은 머리끈을 한 녀석만 말한다.[* 다만 히로시의 발냄새 공격에 푸른 머리끈을 한 녀석도 짧게나마 단말마를 외치긴 했다.~~~냄새!!~~~] 백화점 내부 에스컬레이터 앞에서 히마와리를 인질로 삼아 신노스케 일행들을 막아섰다. 하지만 시로와 [[발냄새|히로시의 활약]]으로 리타이어하고 쓰러진 채로 백기를 꺼낸다. 이후 낙서왕국의 추락이 임박하자 "왕국을 지키고 싶은 마음은 동일하다"라며 거대한 낙서를 그리는 신노스케를 도우기 위해 미사에와 히로시를 거대한 롤러 스케이트에 태워 함께 낙서를 그린다. 그리고 낙서왕국이 다시 제대로 떠있게 되자 스프레이 병사와 함께 낙서가 되어 하늘로 올라간다. * 낙서 병사 페인트 병사와 연필 병사가 있다. 악역이긴 하지만 아이들의 낙서에서 태어난 만큼 아이들에게는 최대한 친절하게 대한다. === 기타 인물 === || [[파일:낙서왕국_유우마엄마.png|width=500]] || * 유마 엄마/유민 엄마 - CV.[[노토 마미코]]/[[유혜지]] 본의 아니게 구속되어 있던 자신을 풀어주는데 마지막 미라클 크레용을 사용하는데 일조해버렸다. 물론 남아 있던 양으로는 떨어지는 낙서왕국을 막을 능력이 안 되었던 만큼 큰 문제는 되지 않았고, 마을 주민들이 짱구에게 공격적으로 덤벼들고 유마 탓으로도 돌릴 때 자신 때문에 크레용을 다 쓴거라고 말하며 옹호하며 이후의 짱구의 활동에도 신경을 썼던 바른 사람. * 유마 할머니[*A ] || [[파일:짱구_자위대.jpg|width=500]] || * '''[[자위대]]'''/'''[[대한민국 육군]]''' 카스카베시에서 어른들이 대량으로 실종되는 등 이상현상이 발생하는 상황을 알아보기 위해 카스카베시로 투입된 자위대 육군 병력들이다. 이들이 카스카베시로 통하는 모든 길을 차단해버린지라 신노스케 일행이 일반적인 방법으론 카스카베시로 들어갈 수 없었던 상황이었으나, 유마의 친구들이 자위대 차량 행렬이 지나가고 있다는 것을 신노스케 일행에게 알려주어 일행이 전차수송 트레일러에 몰래 탑승, 카스카베시로 들어갈 수 있었다. 자위대 자체는 카스카베시를 둘러싼 수수께끼의 안개 때문에 주변을 포위하기만 했다. 마지막에는 도시 밖으로 나가있던 나나코를 자위대 트럭이 데려다다 줬다. 극장판 7기, 13기 이후 오랜만에 등장. 출연 분량은 극히 짧았지만 이전처럼 깨알같은 고증을 보여주었다. || [[파일:짱구_82식.jpg|width=500]] || || [[파일:짱구_코마츠.jpg|width=500]] || || [[파일:짱구_74식.jpg|width=500]] || [[74식 전차]]부터 [[82식 장갑차]], [[코마츠 LAV]] 등등의 병기가 등장했다. ==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격돌! 낙서왕국과 얼추 네 명의 용사들/줄거리|줄거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격돌! 낙서왕국과 얼추 네 명의 용사들/줄거리)] == 주제가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오프닝, rd1=マスカット)] ||<-2>
'''{{{#fff OP[br]マスカット[br]머스캣}}}'''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YoLQPuIdGks, width=100%)]}}} || ||<-2> '''{{{#fff MV ver.}}}''' || || '''노래''' || [[유즈(가수)|유즈]] || || '''작사''' ||<|2> [[키타가와 유우진]] || || '''작곡''' || || '''편곡''' || TeddyLoid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가사) || }}}}}}}}} || ||<-2>
'''{{{#fff ED[br]ギガアイシテル[* 제목의 ギガ는 GIGA와 조수회화(鳥獸戯画(ぎが))의 중의적 표현 ][br]GIGA AISHITERU}}}'''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TSQx9lyMnug, width=100%)]}}} || ||<-2> '''{{{#fff MV ver.}}}''' || || '''노래''' || 레키시(レキシ)[* 이케다 타카후미가 만든 유닛명이자 예명이며 [[게게게의 키타로 6기]] 두번째 엔딩곡을 불렀다.] || || '''작사''' ||<|2> 이케다 타카후미 || || '''작곡''' || || '''편곡''' || 이케다 타카후미[br]야마구치 히루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はじめの一筆 走り出したその時 僕らの世界で 何かがはじける このまま壁に 床に 襖に 屏風に ウサギとカエルも踊りだす さぁ巻物広げよう 物語が今はじまる キミのその落書きも いつか誰かの宝物 消さないで 離さないで 残しておいて その思いを Giga, Baby 鳥獣戯画  I love you Don`t give up to love 鳥獣戯画 I told you (원어 발음) 하지메노 히토후데 하시리다시타 소노토키 보쿠라노 세카이데 나니카가 하지케루 코노마마 카베니 유카니 후스마니 뵤-부니 우사기토 카에루모 오도리다스 사아 마키모노 히로게요- 모노가타리가 이마 하지마루 키미노 소노 라구가키모 이츠카 다레카노 타카라모노 케사나이데 하나사나이데 노코시테오이테 소노오모이오 Giga, Baby 쵸오쥬우기가 I love you Don`t give up to love 쵸오쥬우기가 I told you (한국어 가사) 첫 붓필이 달리기 시작한 그 때 우리들의 세계에서 뭔가가 튀어 이대로 벽에 바닥에 장지에 병풍에 토끼와 개구리도 춤추고 자 두루마기를 펼치자 이야기가 지금 시작돼 너의 그 낙서도 언젠가 누군가의 보물 지우지 말아줘 놓지 말아줘 남겨줘 그 마음을 Giga, Baby 조수회화 I love you Don`t give up to love 조수회화 I told you <2절> (원어 가사) 真面目なフリして いたずらに笑うキミ ふたりの世界は 墨色に染まる そのまま蔵の 二階も つづらの 中に キツネと お猿も 遊びだす さぁ巻物広げよう 今宵も宴がはじめる キミのその落書きも いつか誰かの宝物 消さないで 離さないで 残しておいて その想いを 夢の世界を創造 してるあの人は鳥羽の僧正? はるか未来を想像 してる僕らの期待も相当 どのぐらい その蔵 残れば Don`t know cry 瞳の奥の風景が キミの鳥獣戯画 僕は何を描けばいいの 涙のあとは自由なんだ 恐れず走り出そう 物語が今はじめる キミのその落書きも いつか誰かの宝物 消さないで 離さないで 残しておいて その想いを 時が過ぎいつかまた キミに会いたくなったら 宝物 見つけ出すよ ふたりで描いだ絵巻物 Giga, Baby 鳥獣戯画  I love you Don`t give up to love 鳥獣戯画 I told you (원어 발음) 마지메나 후리시테 이타즈라니 와라우 키미 후타리노 세카이와 스미이로니 소마루 소노마마 쿠라노 니카이노 츠즈라노 나카니 키츠네토 오사루모 아소비다스 사아 마키모노 히로게요- 코요이모 우타게가 하지마루 키미노 소노 라쿠가키모 이츠카 다레카노 타카라모노 케사나이데 하나사나이데 노코시테오이테 소노 오모이오 유메노 세카이오 소-조- 시테루 아노히토와 토바노 소-죠-? 하루카 미라이오 소-조- 시테루 보쿠라노 키타이와 소-토- 도노쿠라이 소노쿠라 노코레바 Don`t know cry 히토미노 오쿠노 후-케이가 키미노 쵸오쥬우기가 보쿠와 나니오 에가케바 이이노 나미다노 아토와 지유-난다 오소레즈 하시리다스 모노가타리가 이마 하지마루 키미노 소노 라쿠가키모 이츠카 다레카노 타카라모노 케사나이데 하나사나이데 노코시테오이테 소노 오모이오 토키가 스기 이츠카 마타 키미니 아이타쿠낫타라 타카라모노 미츠케다스요 후타리데 에가이타 에마키모노 Giga, Baby 쵸오쥬우기가 I love you Don`t give up to love 쵸오쥬우기가 I told you (한국어가사) 성실한 척하며 장난에 웃는 너 두 사람의 세계는 묵색으로 물들고 그대로 창고 2층 농 속에서 여우와 원숭이도 놀고 자 두루마리를 펼치자 오늘밤도 잔치가 시작돼 너의 그 낙서도 언젠간 누군가의 보물 지우지 말아줘 놓지 말아줘 남겨둬 그 기억을 꿈의 세계를 창조 하는 저 사람은 토바의 승정? 먼 미래를 상상 하는 우리들의 기대도 상당 어느정도 그 창고를 남기면 Don`t know cry 눈동자 속의 풍경이 너의 조수희화 나는 무얼 그리면 될까 눈물 뒤에 자유야 두려워말고 달려나가자 이야기가 지금 시작돼 너의 그 낙서도 언젠간 누군가의 보물 지우지 말아줘 놓지 말아줘 남겨둬 그 기억을 시간이 지나 언젠가 다시 널 만나고 싶어지면 보물을 찾아낼게 둘이서 그렸던 그림 두루마리 Giga, Baby 조수회화 I love you Don`t give up to love 조수회화 I told you || }}}}}}}}} || == 평가 == [include(틀:평가/IMDb, code=tt12850062, user=7.0)]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crayon-shin-chan-movie-28-gekitotsu-rakugaki-kingdom-to-hobo-yonin-no-yuusha, user=없음)]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영화 코드>, user=없음)]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369619, user=4.24)] [include(틀:평가/Filmarks, code=86092, user=3.8)]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영화 코드>, user=없음)]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영화 코드>, user=없음)] [include(틀:평가/왓챠, code=md6l3KZ, user=4.3)]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영화 코드>, light=없음)]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영화 코드>, expert=없음, audience=없음, user=없음)]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144508>, expert=없음, user=8.1)] [include(틀:평가/CGV, code=<84813>, egg=97)] [include(틀:평가/라프텔, code=<영화 코드>, user=없음)] [[쿄고쿠 타카히코]] 특유의 아름다운 미학의 연출이 잘 발휘되고, 극장판 시리즈의 소소한 클리셰 파괴[* 한가지 예시로 이번에는 가족이나 방범대 친구들 그 어느 쪽도 주역이 아니다.]라던가 스토리도 과거 극장판 5~10기를 담당했던 [[하라 케이이치]] 스타일에 영향을 받은 것 같다는 소감도 있을 만큼 커다란 호평을 받았다. 초반에는 최근 극장판 성향처럼 저연령층을 타깃으로 한 분위기를 이어가다가 후반부로 갈수록 스토리의 무게감이 상당히 커지고 작품의 주제의식도 뚜렷하게 드러나며 역대 극장판에서도 손에 꼽을 명장면이 많이 나왔다는 평. 특히 모두의 낙서를 모아 만들어진 거대한 부리부리자에몽이 낙서왕국을 들어올려 모두를 구하는 장면은 이전 극장판의 여러 오마주를 연상시킨다.[* 6기의 결말부에서 모두를 구하고 희생한 부리부리자에몽과 매칭되는 부분이 많다. 큰 덩치는 2기의 부리부리자에몽의 모티브가 된 부리부리마신을 연상시킨다.] 다만 비판받는 부분은 캐릭터 활용이 꽤 부족했다는 점인데 주연 이외에도 등장인물이 많았지만 정작 대다수가 존재 의의 자체를 알 수 없을 정도로 비중이 없이 난잡했다. 낙서왕국의 대신들은 여태껏 극장판의 악역들 분위기와 매우 닮았으면서 방위대신의 옆에서 모습을 보이느라 혼란만 주었다. 초반 계기를 주는 역할인 궁정화가도 후반 등장이 전무한 데에 비해 초반 비중을 크게 잡아먹어 앞뒤전개가 불균형하다. 그래도 비교적 호평이 우세한 수작. 특히 후반부의 현실적이면서도(정확히는 절망과 단념, 도피, 불신, 파괴만을 현실이라고 단정하는) 이기적인 어른들과 희망적이며 순수한 아이들을 대조시킨 부분과 유민이 백화점 방송을 통해 비판하는 모습에 아이들을 시작으로 마을 사람들 모두가 발 벗고 나서서 낙서를 하는 장면은 상당한 호평을 받고 있다. 잘 만들어진 수작임에도 불구하고 [[코로나 19]]로 인해서 아쉽게도 흥행은 전작과 비슷한 이유로 많이 낮아진 편이다. 개봉일을 매번 노리던 4월 골든 위크 성수기에서 크게 어긋난 것도 있고, 가족 애니메이션은 부모들이 아이를 극장에 데려가는 걸 꺼린 것이 원인으로 보인다. 그래서 이 극장판뿐만 아니라 2020년 개봉 가족 애니메이션은 [[도라에몽]], [[포켓몬스터]]를 포함 전부 전작에 비해서 흥행 부진을 겪었다. == 흥행 == === [[대한민국]] === ||<-7>
'''{{{#ffffff,#ffffff 대한민국 누적 관객 수}}}''' || || '''{{{#ffffff,#ffffff 주차}}}''' || '''{{{#ffffff,#ffffff 날짜}}}''' || '''{{{#ffffff,#ffffff 일일 관람 인원}}}''' || '''{{{#ffffff,#ffffff 주간 합계 인원}}}''' || '''{{{#ffffff,#ffffff 순위}}}''' || '''{{{#ffffff,#ffffff 일일 매출액}}}''' || '''{{{#ffffff,#ffffff 주간 합계 매출액}}}''' || || {{{#ffffff,#ffffff 개봉 전}}} || || -명 || -명 || 미집계 || -원 || -원 || ||<|7> {{{#ffffff,#ffffff 1주차}}} ||2021-09-15. 1일차(수) || 4,010명 ||<|7> 75,060명 || 9위 || 37,193,260원 ||<|7> 710,124,650원 || ||2021-09-16. 2일차(목) || 2,857명 || 9위 || 26,659,930원 || ||2021-09-17. 3일차(금) || 3,849명 || 9위 || 38,141,580원 || ||2021-09-18. 4일차(토) || 19,148명 || 5위 || 178,523,040원 || ||2021-09-19. 5일차(일) || 18,503명 || 5위 || 173,309,250원 || ||2021-09-20. 6일차(월) || 13,907명 || 6위 || 132,474,700원 || ||2021-09-21. 7일차(화) || 12,747명 || 6위 || 123,588,890원 || ||<|7> {{{#ffffff,#ffffff 2주차}}} ||2021-09-22. 8일차(수) || 19,869명 ||<|7> 56,349명 || 6위 || 189,952,500원 ||<|7> 538,100,100원 || ||2021-09-23. 9일차(목) || 3,368명 || 7위 || 31,139,750원 || ||2021-09-24. 10일차(금) || 3,377명 || 7위 || 33,502,030원 || ||2021-09-25. 11일차(토) || 13,468명 || 4위 || 128,163,420원 || ||2021-09-26. 12일차(일) || 12,722명 || 5위 || 121,421,980원 || ||2021-09-27. 13일차(월) || 1,601명 || 6위 || 15,387,370원 || ||2021-09-28. 14일차(화) || 1,944명 || 7위 || 18,533,050원 || ||<|7> {{{#ffffff,#ffffff 3주차}}} ||2021-09-29. 15일차(수) || 1,157명 ||<|7> 24,909명 || 8위 || 10,154,480원 ||<|7> 245,499,240원 || ||2021-09-30. 16일차(목) || 900명 || 8위 || 8,359,870원 || ||2021-10-01. 17일차(금) || 1,114명 || 8위 || 10,968,470원 || ||2021-10-02. 18일차(토) || 6,467명 || 5위 || 61,767,660원 || ||2021-10-03. 19일차(일) || 7,031명 || 6위 || 66,685,190원 || ||2021-10-04. 20일차(월) || 8,696명 || 4위 || 80,727,920원 || ||2021-10-05. 21일차(화) || 701명 || 9위 || 6,618,650원 || ||<|7> {{{#ffffff,#ffffff 4주차}}} ||2021-10-06. 22일차(수) || 387명 ||<|7> 21,993명 || 19위 || 3,749,040원 ||<|7> 212,174,150원 || ||2021-10-07. 23일차(목) || 322명 || 17위 || 2,999,000원 || ||2021-10-08. 24일차(금) || 676명 || 13위 || 6,965,110원 || ||2021-10-09. 25일차(토) || 5,574명 || 4위 || 54,045,090원 || ||2021-10-10. 26일차(일) || 6,736명 || 4위 || 65,521,780원 || ||2021-10-11. 27일차(월) || 7,781명 || 4위 || 74,009,130원 || ||2021-10-12. 28일차(화) || 517명 || 15위 || 4,885,000원 || ||<|7> {{{#ffffff,#ffffff 5주차}}} ||2021-10-13. 29일차(수) || 159명 ||<|7> 10,590명 || 22위 || 1,441,140원 ||<|7> 102,061,630원 || ||2021-10-14. 30일차(목) || 155명 || 30위 || 1,432,000원 || ||2021-10-15. 31일차(금) || 456명 || 11위 || 3,831,800원 || ||2021-10-16. 32일차(토) || 4,390명 || 5위 || 42,743,650원 || ||2021-10-17. 33일차(일) || 5,005명 || 5위 || 48,649,240원 || ||2021-10-18. 34일차(월) || 203명 || 23위 || 1,926,700원 || ||2021-10-19. 35일차(화) || 222명 || 18위 || 2,037,100원 || ||<|7> {{{#ffffff,#ffffff 6주차}}} ||2021-10-20. 36일차(수) || 158명 ||<|7> 7,032명 || 26위 || 1,396,400원 ||<|7> 65,535,730원 || ||2021-10-21. 37일차(목) || 149명 || 27위 || 1,455,770원 || ||2021-10-22. 38일차(금) || 305명 || 20위 || 2,570,600원 || ||2021-10-23. 39일차(토) || 2,786명 || 7위 || 26,987,500원 || ||2021-10-24. 40일차(일) || 3,259명 || 6위 || 31,595,960원 || ||2021-10-25. 41일차(월) || 160명 || 26위 || 1,563,500원 || ||2021-10-26. 42일차(화) || 218명 || 20위 || 1,840,140원 || ||<|7> {{{#ffffff,#ffffff 7주차}}} ||2021-10-27. 43일차(수) || 143명 ||<|7> 1,408명 || 36위 || 1,081,500원 ||<|7> 13,132,500원 || ||2021-10-28. 44일차(목) || 58명 || 49위 || 557,500원 || ||2021-10-29. 45일차(금) || 55명 || 46위 || 520,700원 || ||2021-10-30. 46일차(토) || 401명 || 18위 || 3,891,000원 || ||2021-10-31. 47일차(일) || 631명 || 13위 || 5,958,800원 || ||2021-11-01. 48일차(월) || 59명 || 39위 || 558,000원 || ||2021-11-02. 49일차(화) || 61명 || 42위 || 565,000원 || ||<|7> {{{#ffffff,#ffffff 8주차}}} ||2021-11-03. 50일차(수) || 21명 ||<|7> 481명 || 53위 || 191,000원 ||<|7> 4,294,850원 || ||2021-11-04. 51일차(목) || 12명 || 71위 || 106,000원 || ||2021-11-05. 52일차(금) || 18명 || 67위 || 171,000원 || ||2021-11-06. 53일차(토) || 245명 || 14위 || 2,061,500원 || ||2021-11-07. 54일차(일) || 146명 || 20위 || 1,418,000원 || ||2021-11-08. 55일차(월) || 14명 || 65위 || 129,000원 || ||2021-11-09. 56일차(화) || 25명 || 64위 || 218,850원 || ||<|7> {{{#ffffff,#ffffff 9주차}}} ||2021-11-10. 57일차(수) || 2명 ||<|7> 70명 || 96위 || 16,000원 ||<|7> 667,500원 || ||2021-11-11. 58일차(목) || 0명 || -위 || -원 || ||2021-11-12. 59일차(금) || 0명 || -위 || -원 || ||2021-11-13. 60일차(토) || 33명 || 68위 ||331,000 원 || ||2021-11-14. 61일차(일) || 34명 || 67위 ||312,500 원 || ||2021-11-15. 62일차(월) || 0명 || -위 || -원 || ||2021-11-16. 63일차(화) || 1명 || 123위 || 8000원 || ||<|7> {{{#ffffff,#ffffff 10주차}}} ||2021-11-17. 64일차(수) || 0명 ||<|7> 458명 || 62위 || -원 ||<|7> 2,586,500원 || ||2021-11-18. 65일차(목) || 0명 || -위 || -원 || ||2021-11-19. 66일차(금) || 0명 || -위 || -원 || ||2021-11-20. 67일차(토) || 420명 || 22위 || 2,223,500원 || ||2021-11-21. 68일차(일) || 38명 || 62위 || 363,000원 || ||2021-11-22. 69일차(월) || 0명 || -위 || -원 || ||2021-11-23. 70일차(화) || 0명 || -위 || -원 || || '''{{{#ffffff,#ffffff 합계}}}''' ||<-6> '''누적 관객수 199,726명, 누적 매출액 1,896,872,490원'''[* ~ 2021/11/22기준] || *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 2021년 9월 15일에 개봉할 것으로 공식 발표되었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상황에 따라 더 늦어질 가능성도 고려해야 할 듯 한다. 현재까지 세 번이나 늦추었다고 한다.[* 2020년 8월 → 2021년 7월 → 2021년 8월 → 2021년 9월] 원래는 2020년 8월에 개봉할 예정이었으나 [[2019년 일본 상품 불매운동|일본 불매운동]] 등으로 인해 [[신혼여행 허리케인~ 사라진 아빠!|전작]]과 함께 계속 연기되었다고 한다. 2021년 7월 또는 8월에 개봉할 것으로 알려졌으나 코로나19로 인하여 9월 15일로 연기되었다. 8월 5일로 개봉일이 최종 확정된 [[진구의 신 공룡|신작 도라에몽 극장판]]보다 한 달 여 더 늦게 개봉하게 되었다. 1주차는 [[신혼여행 허리케인 ~사라진 아빠~|전작]]보다 약간 적은 수의 관객들을 불러모았으나 2주차가 끝나기도 전에 [[신혼여행 허리케인 ~사라진 아빠~|전작]]의 총 관객 수를 뛰어넘었다.[* 전작의 총 관객 수는 123,329명이다.] 이후 4주차가 끝나기 전에 [[엉덩이 폭탄|15기 극장판]]과 [[정면승부! 로봇아빠의 역습|22기 극장판]]의 관객 수를 뛰어넘었다. 코로나 시국을 감안했을 때 국내 흥행 실적은 상당히 선전했다고 보여진다. 전 작의 관객수도 넘었고, 사실 짱구 극장판의 경우 배급권이 CJ로 넘어오기 이전에는 20만명도 상위권에 해당하는 수준의 성적이였다. 특히 기타 메이저 TVA 극장판의 흥행 실적과 비교했을 때, 코로나 시국 이전까지 기본 40만, 잘하면 60만까지도 찍던 코난의 경우 최근 극장판이 20만명 수준에 그쳤고, 포켓몬스터 극장판 역시 20만명 수준에 그쳤다. 짱구 극장판 자체의 흥행력은 오히려 상승했다고 볼 수도 있을 정도. 이후 2022년 5월 5일 어린이날, [[투니버스]]에서 방영했다. 이번에는 오프닝곡을 잘라먹는 평상시와 달리 도호 로고와 일본 오프닝 노래가 처음으로 투니버스에 나왔다. 이번 투니버스 방영때 일본 엔딩곡과 크레딧이 처음으로 나왔지만, 엔딩 도중 끊어버린다. 2022년 8월, [[대원방송]]에서 방영했다. [[애니박스]]는 8월 6일 오전 10시, [[애니원]]은 8월 10일 오후 8시, [[챔프TV]]에서는 8월 15일 오전 10시에 방영했다. 이후 이듬해 5월에 챔프TV가 폐국하게 되면서 챔프TV에서 마지막으로 방영한 극장판이 되었다. === [[일본]] === ||<-5>
{{{#ffffff '''일본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2020년 36주차 ||<|2> → || '''2020년 37주차''' ||<|2> → || 2020년 38주차 || || [[사고물건 무서운 방]] || {{{#bc002d '''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br] 격돌! 낙서왕국과 얼추 네 명의 용사들'''}}} || [[테넷]] || ||<-5> [[http://www.kogyotsushin.com/archives/weekend/|흥행통신]] [[https://www.boxofficemojo.com/weekend/by-year/?area=JP|박스오피스 모조]] || 개봉 첫 주에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하였다. 참고로 3위는 같은 [[신에이 동화|제작사]]에서 제작하고, 같은 배급사에서 배급한 도라에몽 극장판 [[진구의 신 공룡]]이다. == 해석 == >결국 이 무너져가는 세상을 바로잡은 건 미사일을 외쳐 대는 어른들이 아니라 희망을 믿자는 아이들이었다. >---- >네이버 영화 평점 베스트 댓글 1위. 본 작에서의 핵심 키워드는 바로 '''아이들의 꿈'''이다. 작중 낙서는 어린이의 꿈과 희망임을 암시하는 장면은 신노스케가 자신의 꿈을 말하며 나나코를 그리기도 하고 모두의 바람을 이뤄주는 도우미 용사인 부리부리자에몽을 그리는 씬에서 명확하게 드러난다. 또한 낙서왕국이 하늘에 위치한 곳이며 궁정화가가 설명한 낙서를 그리지 않으면 사라지고 결국엔 추락한다라는 설정 자체로 본작을 통해 전달하고자 했던 메세지를 해석해보자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꿈(이상, 희망)의 부재 혹은 상실''' 현대 문명이 발전할수록 낙서를 그리는 어린이가 적어진다는 것은 과거에 비해 창의적인 미래를 꿈꾸는 어린이의 장래희망이 적어진다는 것을 풍자한다. 어른들에 의해 꿈을 꾸는 것은 꾸짖음을 듣고 하지 말아야 할 나쁜 행동이며, 그 행위의 판단은 어른으로부터 영향을 받음을 보여준다. '''두 번째 현실과의 타협''' 어른의 경험으로는 현실에서 자신의 가치를 지키는 것을 중요시하며 책임을 돌리려한다. 카스카베 마을 사람들은 자신의 목숨과 가족은 끔찍히 여기나 인간과 마을을 위해 누구도 희생하지 않으려한다. 오히려 자신들을 구해준 어린이에게 책임을 돌리며 스스로를 정당화시키는 모습과 자신의 짐을 넣은 캐리어는 챙겨가면서 낙서는 한 장도 해주지 않고 추악하게 도망치고 피난하는 모습은 현대 사회의 꿈을 잃은 인간이 만드는 이기주의 폐해를 여과없이 꼬집는다. '''세 번째 극복''' 유마의 진심어린 설득과 비판에 카스카베 주민들은 다시 돌아와 어린이와 어른 세대를 구분짓지 않고 모두 낙서를 그린다. 생존이라는, 겉으로는 현실성 있어 보이지만 결국 근시안에다가 이기적인 선택을 하던 와중 어른들도 누군가의 도움을 받는다는 진실을 깨닫고 돌아가는 모습은 본 작 최고의 명장면. 브리프의 도움을 통해 마지막 낙서를 완성시키는 전개는 개인의 능력은 부족함이 있으며 누구나 타인이라고 부르는 동족의 도움을 받고 살아가며 나 또한 누군가에게 도움을 줄 수 있음을 보여주는 방식으로 인간 본인들을 내부에서 파괴하는 이기주의를 극복할 수 있고 조금씩 극복해야만 한다는 메세지를 내포한다. 또한 후반부에서의 어른들은 신짱에게 '미사일과 전투기를 그리라' 는 등 현대 사회에 있어 파괴를 상징하는 첨단 무기들을 고집하지만 정작 일을 해결한 원동력은 아이들의 꿈과 희망, 상상이 담긴 낙서이며 네이버 영화 평점 베스트 댓글에서 '결국 이 무너져가는 세상을 바로잡은 건 미사일을 외쳐대는 어른들이 아니라 희망을 믿자는 아이들이었다'처럼 결국 미래를 이루는 것은 어른들이 정해주는 이기심이 아닌 아이들의 자유로운 상상력, 꿈, 희망이라는 것을 내포하고 있다. 그리고 크레용과 낙서가 뜻하는 것이 "꿈과 희망"인 것과 연결되는 또다른 해석이 존재한다. 클라이막스에서 크레용으로 미사일을 그리라고 어른들이 화를 내는 장면에서 크레용은 아이의 꿈, 미사일은 어른들이 강요하는 꿈, 짱구가 그걸 잃어버렸다고 하자 어른들이 다그치는 것처럼 보이지만 결국 어리석은 언사만 지껄이는 모습은 자기들이 원하는 꿈을 꾸지 않는 아이들을 도구로 취급하는 어리석은 근시안 어른들의 모습을 표현한 것이라는 것. 하지만 조금 현실적인 시선으로 본다면 어른들의 행동은 근시안이면서도 합리적인 판단인 것도 분명한 사실이다. 낙서왕국 붕괴 원인들과 전후사정을 전혀 모르는 채로 살아온 그들 자신 시선으로는 아이들을 고문하듯 낙서를 강요한 것은 어른들이 아닌 국방장관을 포함한 이기적인 악당들이며(정확히는 자신들 왕국을 지키기 위한 신념으로 했지만, 반대파 궁정화가가 짱구한테 낙서왕국을 설명하면서 그들은 막나가고 있다고 쐐기를 박았다.), 카스카베의 어른들 또한 엄연히 왕국에 의한 피해자이기 때문이다. 또한 어른들은 다른 무엇보다도 재난으로부터 자신들의 '''아이'''를 포함한 [[부모|가족을 지키기 위해서 움직이는데]] 이는 "낙서를 해서 왕국을 올려보내자!" 같은 허무맹랑한 꿈같은 이야기보다는 당장 눈앞에 마주한 재난이라는 현실을 직시한 어른들의 선택이라 할 수 있다. 감독과 작가들, 연출진들은 미화를 선택하지 않는 대신, 크레용을 다 쓴 유마를 탓하다가도 엄마를 위해 사용했다는 말에 숙연해지는 어른들, 낙서에 트라우마가 생긴 자식을 보호하는 부모, 아이를 안전하게 지키기 위해 오랫동안 살아온 마을을 떠나는 부모의 모습과 짱구를 탓하는 어른들을 교차해서 보여주는 연출을 통해 단편적인 이기심만으로 해석할 수 없는 대상임을 꾸준히 상기시켜준다. 따라서 어른들이 상징하는 상반성 가치는 이기심을 포함하여 아이들의 꿈(희망, 가능성, 상상력, 믿음, 끈기, 칠전팔기)과 대비되는 '''어른들이 바라보고 단정짓는 현실 요소(절망, 단념, 파괴, 불신, 도피, 근시안, 비겁함)'''이다. 하지만 공주와 유민이 비겁자라고 비판하는 연설에도 꿈쩍않던 어른들은 결국엔 아이들이 다시 한번 낙서를 하러 가장 먼저 돌아가자 아이들을 위해서 비현실적인 과정에 동참한다. 이는 결국 현실도피적인 이기심에 가려져 있던 아이를 위한 이타심이 드러나며 어른들 또한 언제든지 아이들과 그 꿈을 위해서 동참하는 비합리적인 선택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는 같은 어른을 소재로 삼은 어른제국의 역습에서 아이들을 위해 동심에서 현실로 돌아오는 어른들의 역할을 뒤집었으며(그 과정이 악역 부하 전향이었다. 이를 보여주는 장면 연출이 기억과 인격이 퇴행한 원장 선생이 신형만을 밟고 유치원 버스에 올라가서 오만하게 외치다가 오산 표지판에 부딪혀 추락하는 모습, 그 신형만과 봉미선이 발냄새를 맡고 다시 기억과 인격을 되찾는데 성공한 모습이 바로 그 예시다.), 아이들과 가족을 위해 행동한다는 점에서, 가족애라는 가치를 공유하면서도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성공했다고 할 수 있다. == 명대사 == > 브리프 : 제 몸을 길게 늘여서 그림에 연결해주세요. 전 비록 팬티지만 미라클 크레용으로 그려졌잖아요. 제가 그림의 일부가 되면 미라클 크레용 그린 것처럼 돼요 > 신짱 : 그림과 일부가 된다니 무슨 소리야... > 브리프 : 자 빨리요! > 신짱 : 싫어! > 브리프 : 전 괜찮아요! 어서 하세요! > 신짱 : 싫다고! > 브리프 : 그래야 떡잎마을을 구할 수 있어요. > 신짱 : 글쎄 싫다니까! > 브리프 : 싫긴 뭐가 싫다는 거예요. 고집 부리지마세요! > 신짱 : 난 더 이상 누구랑 헤어지기 싫단 말야! >---- > 이미 이별이란 걸 2번이나 겪은 신노스케가 더 이상의 이별을 두려워하는 대목 > 유마 : 모두들 비겁해요! 다 같이 힘을 모아서 마을을 지켜야죠. '''여러분 모두 도움을 받았잖아요! 신노스케와 친구들이 여러분을 구했잖아요. 그래놓고선 이제 도망가는 거예요? 비겁해요! 비겁하다고요.'''돌아와서 신노스케를 도와주세요. 아직 안 늦었어요. 낙서를 하면 왕국과 떡잎마을도 무사할 수 있다고요! 그림 그리는 신노스케를 도와주세요! >---- > 유마가 신노스케에게 도움을 받았지만 비겁하게 도망치는 어른들에게 한 마디하는 대목 > 나나코 : 신짱... > 신짱 : 나나코 누나...! 맞아... 크레용...! ...[* 이후 브리프가 신짱을 가망이 없다는 듯 아무 말 없이 바라본다.] >---- > 가짜 나나코가 희생하여 링고를 막고 녹아버리기 전 한 대화. == 기타 == * [[정면승부! 로봇아빠의 역습]]처럼 이례적으로 정보가 일찍 공개되었다.[* [[8월 30일]] 즈음에 공개되었다.] * [[흑부리 마왕의 야망|3기]] 이후로 '''25년''' 만에 원작의 내용을 사용한 극장판이다. * 스토리의 소재는 원작인 [[크레용 신짱]] 23권의 특별편 '미라클 마커 신짱'에서 차용했다. 예고편에서 신짱의 동료로 추정되는 [[부리부리자에몽]]을 포함한 3인은 원작 특별편에서 신짱이 미라클 마커로 그려내 실체화시킨 그림이며[* 참고로 원작에서 신짱이 그려낸 건 똥, [[부리부리자에몽]], [[초코비]], 그리고 [[오오하라 나나코]]다.], 메인 예고편에서는 원작에서 신짱에게 마커를 준 화가도 등장했다. 그리고 극장판 오리지널 캐릭터인 브리프와 유마도 같이 신짱의 편에서 활약한다. * 그러나 원작과 차이점이 대단히 많다. 원작은 딱 6페이지 분량으로, 내용은 신짱이 그림을 못 그렸다고 버리는데 어떤 화가가 나타나서 자기 그림을 아껴줘야 한다면서 미라클 마커를 주고, 그 후 신짱이 그린 것들이 실체화되며 한바탕 소동이 벌어진 뒤 신짱이 다시 그림을 되찾아 집으로 돌아가는 것으로 내용이 끝난다. * 이 극장판의 핵심인 낙서 왕국은 원작에 등장하지 않는 설정으로, 원작이 극장판 한 편으로 만들기에는 너무 짧다보니 원작 설정을 기반으로 하여 오리지널 요소를 넣게 되었다. 영화 [[브로크백 마운틴]]처럼 단편인 원작에 살을 붙여 이야기를 불려나간 케이스라고 볼 수 있다. * [[요시나가 미도리]]가 처음으로 제대로 된 활약을 보인 극장판이다. * 여태까지 극장판을 보면 떡잎유치원 선생들은 도드라진 역할은 없고 비중도 적은 편이었다. 그나마 나미리는 14기에서 활약했지만 채성아는 그런 부분도 없었다. 이번 극장판에선 초반 맹구를 몸바쳐 감싸는 모습이나 후반부 아이들을 위해 나서는 모습이 있어 참교사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 묘하게 전 극장판들과 비슷한 전개들이 하나씩 보인다. 극장판이 나온 순서대로 나열하자면, * [[핸더랜드의 대모험|4기]]에서는 짱구가 어떤 도구[* 4기의 굉장해 엄청나 트럼프와 28기의 미라클 크레용.]의 힘을 빌려 자신을 도와줄 동료들을 소환한다는 점이다.[[https://www.animatetimes.com/news/details.php?id=1598674714|게다가 4기에서나 이 작품에서나 부리부리자에몽이 짱구의 동료로서 소환된다.]] 그리고 후술할 16기와 함께 용사 판타지라는 것도 공통점이다. * 최후반부의 거대 부리부리자에몽이 추락하는 낙서왕국을 온몸으로 받쳐 밀어올려 버리고 공중으로 올라가며 사라지는 장면은 [[전격! 돼지발굽 대작전|6기]] 최후반부에서의 부리부리자에몽이 이륙하는 비행선을 밀어내고 폭발 속으로 떨어지면서 사라지는 장면과 상당히 유사하다.[* 그리고 두 극장판(28기에선 브리프, 가짜나나코, 유마까지 그려낸다) 모두 결말부에선 짱구가 낙서로 그려내는데, 이를 '''자신의 영웅'''이라며 소개해주는 장면도 똑같다. 돼지발굽 대작전에선 세이기에게 영웅이라며 그려주었으니 거의 오마주 수준.][* 물론 초반부, 중반부까지의 행적은 4기 극장판에서 보인 행적과 유사. 배신때리는 씬이 특히 그렇다.] * [[엄청난 태풍을 부르는 금창의 용사|16기]]처럼 짱구가 선택받은 자로 나온다. 다만 이 작품에서는 짱구가 선택된 이유가 그나마 납득할 수 있을 만한데[* 작중에서 선택받은 용사를 판별해내는 기준이 '''주변의 틀에 얽매이지 않은 굉장히 자유로운 낙서를 그리는 자'''로 묘사가 되기에, 궁정화가가 이를 찾기 위해 맨 처음엔 맹구를 잡고 시험해 봤을 정도였다. 그 이후 짱구가 그린 명란젓 그림을 보고 짱구가 선택받은 용사임을 알게 된다.] 비해, 이쪽은 그렇다 하는 자세한 묘사가 없다. 마찬가지로 이쪽도 용사 판타지이다.[* 금창의 용사에서는 어째서인지 비디오를 잘 고른것으로 선택받은 용사가 되었으나, 이 극장판에서는 명분을 잘 부여해줬다.] * [[태풍을 부르는 나와 우주의 프린세스|20기]] 이후로 '''2번째로 악역이 등장하지 않는 극장판'''이기도 하다. 작중 국방장관이 보여주는 모습도 20기 짱아별 행성의 국왕 [[선데이 고로네스키]]가 보여준 모습과 상당히 비슷하면서도 다른데, 선데이 뒹굴리우스는 태양계의 미래를 위해 그 누구보다도 태양계를 구해낼 짱아를 지켜내며, 그런 짱아를 데려갈려는 짱구 가족을 제지하는 모습을 보여줬지만 정작 그 문제에 대한 대답을 짱구의 선택에 맡기며 상당히 존중하는 태도를 보이는 한편, 국방장관은 낙서왕국을 지키기 위해 우키우키 카키카키 작전을 실행하려 했었고 이를 반대한 낙서왕과 그를 따르던 궁정 화가와 공주까지 가두는 짓을 했었다. 그렇게 보여준 두 행동의 과정과 결과 역시 서로 정반대라는 것도 포인트이다. 마침 이 둘 성격도 거의 정반대이니.[* 국왕 선데이 뒹굴리우스의 선택은 결국 태양계를 구하게 되는 결과를 가져왔지만, 국방장관의 작전은 초반부터 낙서왕, 궁정 화가, 공주를 포함한 반대파가 비판하고 쐐기를 박은대로 결국 낙서왕국과 떡잎마을의 파멸을 불러일으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두 극장판 역시 진정한 최종보스이자 악역은 결국 이기심 강한 인간이라는 공통된 주제이기도 하다.[* 공통된 주제를 비롯한 묘사도 다르다. 20기에서는 선데이 뒹굴리우스가 일어날 수 있다는 극단적인 예시의 가상 영상이였을 뿐, 실제로 벌어지지는 않았지만, 이번 극장판은 선데이 뒹굴리우스가 경고한 예시를 어느정도 반영하듯이 처음엔 주인공인 짱구에게 자신들을 구해준 감사를 표하던 이기적인 인간들의 이기심이 실제로 드러났고, 실제로 짱구 가족과 일행들을 '''위협까지 했다.'''] * [[엄청 맛있어! B급 음식 서바이벌!|21기]]처럼 초반부에서 카스카베로부터 멀리 떨어진 산속에서 조난당하는 전개가 등장한다.[* 단 21기에서는 근처엔 먹을 수 있을 만한 나무열매조차도 없었기에 훈이가 가져온 비스킷이라도 먹으며 버텨야 했었지만, 이 극장판에선 음식이 주요 소재가 아니다보니, 작중에는 도중에 산속에 나온 열매를 먹는 장면이나 유마로부터 카레를 얻어먹는 장면이 등장한다.] 그리고 짱구 일행을 제외한 나머지 카스카베시 사람들이 적들로부터 무언가를 강제적으로 강요당했는데, 이는 8기 극장판도 해당된다.[* 21기에선 예절을 지키는 식사법을, 28기에선 낙서를 강제로 그리는 것을, 8기 극장판에서는 원숭이들을 대신해 일하는것을 강요받았다.] * 스토리와는 전혀 관계없는 일반인(유민)이 개입한 몇 안되는 극장판이다. 이제까지 이런 사례는 [[암흑마왕 대추적]]의 [[히가시마츠야마 요네]], [[영광의 불고기 로드]]의 [[드라이버(크레용 신짱)|드라이버]], [[습격!! 외계인 덩덩이]]의 [[야오(크레용 신짱)|야오]]뿐. * 최초로 짱구가 최종보스격 캐릭터랑 '''직접적으로 대치하지 않은''' 극장판이기도 하다. 좀 더 엄밀히 따지자면 직접적으로 싸우지 않은 극장판까지 포함한다면 [[어른제국의 역습|9기]]와 [[태풍을 부르는 나와 우주의 프린세스|20기]]까지 꽤 되지만, 여전히 간접적으로 서로간의 의견이 충돌하였다. 28기에서는 고작해봐야 신짱이 큰 그림을 그리던 도중 우연히 좌절하고 있던 국방장관을 잠깐 스쳐지나가듯이 봤던 게 첫만남이였고, 그마저도 '같이 그리자'라는 말 한마디를 던지고 간 정도이다. 거기다 이에 그대로 따르고 협력하는 모습은 역대 극장판 최종보스들을 비교해봐도 꽤 이질적인 모습이다. 하지만 오히려 이러한 모습 덕분에 작품을 통해 전달하는 의도가 제대로 잘 전달되었다는 평. ~~오히려 떡잎마을 시민들이 더 악당 같았다는 평이 더 많았다... 하긴 그동안 비중을 어느정도 얻고 행동한 횟수를 세어보면...~~ * 신노스케가 노하라 일가 또는 카스카베 방위대 중 그 어떤 그룹과도 여정을 함께하지 않은 극장판이다. 엄마를 찾는다는 목적으로 함께한 유민도 잠시 떨어져야 했다. * [[2021년]] [[2월 10일]] 일본에서는 [[Blu-ray Disc|블루레이]] 및 [[DVD]]로 기록 매체가 발매되었다. * 원작과 같이 실루엣의 여성이 나나코라면 비록 실제가 아니라 낙서이긴 하지만 크레용 신짱 극장판 역사상 처음으로 조연이 주연이 되는 극장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부리부리자에몽과 나나코 외에 나머지 하나는 선공개된 만화판에서 [[http://webaction.jp/manga_town/201912/rakugaki.jpg|팬티]]라는게 밝혀졌다. * 크레용 신짱이 연재되는 [[http://webaction.jp/manga_town/|월간 만화타운]](망가타운)에서 2019년 9월 5일부터 만화로 연재된다. 작화는 타카다 미레이(高田ミレイ).[* 크레용 신짱을 원작으로 한 학습 만화와 극장판의 만화판을 여럿 그려왔다. [[https://twitter.com/TAKATAMIREI/status/1171037323259076608|트위터]]] * 극장판 시리즈 최초로 옆동네 도라에몽, 명탐정 코난 극장판처럼 '''[[수수께끼! 꽃의 하늘떡잎 학원]]의 예고편'''을 공개했다. 학교 종소리가 들리며 [[가쿠란]]을 입고 있는 신짱의 모습을 담은 짧은 영상. 다만 국내 방영시에는 쿠키 영상이 나오지 않았다. * 작중에서 마사오가 그린 낙서로 [[크레용 신짱/등장인물#s-8|요시이 우스토]] 선생님의 소년 닌자 [[후부키마루]]가 언급된다. * TV판에서 나오는 깐돌이는 못말려의 깐돌이가 나오는 최초의 극장판이다. 그 깐돌이는 오프닝 장면의 마사오가 그린 낙서로 나온다. * 작중에 등장하는 아이들의 수많은 낙서는 실제 [[카스카베시]] 유치원생, 초등학생들이 그린 것이다. * 1기부터 27기까지 전통적으로 오프닝 곡이 나오는 장면에는 짱구가 항상 나왔지만, 이 영화는 오프닝 곡이 나오는 장면에 짱구가 나오지 않고 훈이와 다른 아이들만이 나온다. * 이 극장판에 한해서 1기부터 26년 간 이어진 오프닝 방식에 변화가 생겼다. TV판 오프닝 곡과 함께 제작진 크레딧이 나왔던 기존 오프닝 시퀀스를 없애고 오프닝 곡은 [[도호]] 인트로 영상 나오자마자 흘러나와 영화의 맨 처음 시퀀스 내내 재생된다. 제작진 크레딧은 이후 초반부 스토리 진행과 함께 나온다. * 이 극장판에 한해서 오프닝 시퀀스가 없어지면서 2기부터 모든 극장판 오프닝에 들어갔던 이시다 타쿠야의 [[클레이 애니메이션]]이 [[엔딩 크레딧]]의 배경으로 변경됐다. * 한국에서 우리말 더빙의 경우 2021년으로 개봉이 미루어지면서 낙서왕국 관련자들의 성우가 대부분 2021년에 갓데뷔한 성우들로 구성되어 있다. [[분류:짱구는 못말려/극장판|격돌! 낙서왕국과 얼추 네 명의 용사들]][[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20년 애니메이션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