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전생했더니 슬라임이었던 건에 대하여)] ||<-2>
'''{{{#0088cc {{{+1 {{{#3f5070 극장판}}} {{{#0f234d 전생}}}}}}했더니 {{{+1 {{{#07558c 슬라임이}}}}}}었던 {{{+1 {{{#0f234d 건}}}}}}{{{-1 에 대하여}}}[br]{{{#731c21 홍}}}{{{#ca310e 련}}}{{{#a71b21 의}}} {{{#84272c 인}}}{{{#330000 연편}}} (2022)}}}'''[br]{{{#0088cc {{{#3f5070 劇場版}}} {{{#0f234d 転生}}}{{{-1 したら}}}{{{#07558c スライム}}}{{{-1 だった}}}{{{#0f234d 件}}}}}}[br]{{{#731c21 紅}}}{{{#ca310e 蓮}}}{{{#a71b21 の}}}{{{#84272c 絆}}}{{{#330000 編}}}[br]{{{#0088cc That {{{#0f234d Time}}} I Got {{{#0f234d Reincarnated}}} as a {{{#07558c Slime}}}}}} {{{#3f5070 The Movie}}}[br]{{{#731c21 Sc}}}{{{#ca310e ar}}}{{{#a71b21 let}}} {{{#84272c Bon}}}{{{#330000 ds}}}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극장판전슬라_키비주얼2탄.jpg|width=100%]]}}} || || '''{{{#ffffff 장르}}}''' ||{{{#!wiki style="margin: 0px 10px" [[이세계 전생물|이세계 전생]], [[액션]], [[판타지]], [[모험물|어드벤처]], [[영지물|영지]], [[마왕물|마왕]]}}} || || '''{{{#ffffff 감독}}}''' ||{{{#!wiki style="margin: 0px 10px" [[키쿠치 야스히토]]}}} || || '''{{{#ffffff 각본}}}''' ||{{{#!wiki style="margin: 0px 10px" [[후데야스 카즈유키]]}}} || || '''{{{#ffffff 원작}}}''' ||{{{#!wiki style="margin: 0px 10px" 후세(伏瀬)[br]밋츠바(みっつばー)[br]카와카미 타이키(川上泰樹)}}} || || '''{{{#ffffff 스토리 원안}}}''' ||{{{#!wiki style="margin: 0px 10px" 후세(伏瀬)}}} || || '''{{{#ffffff 주연}}}''' ||{{{#!wiki style="margin: 0px 10px" [[우치다 유우마]]}}} || || '''{{{#ffffff 캐릭터 디자인}}}''' ||{{{#!wiki style="margin: 0px 10px" 에바타 료마 (江畑諒真)}}} || || '''{{{#ffffff 모델링 디자인}}}''' ||{{{#!wiki style="margin: 0px 10px" [[키시다 타카히로]]}}} || || '''{{{#ffffff 총 작화감독}}}''' ||{{{#!wiki style="margin: 0px 10px" [[타나카 유이치]]}}} || || '''{{{#ffffff 컨셉아트}}}''' ||{{{#!wiki style="margin: 0px 10px" 토미야스 켄이치로(富安健一郎) {{{-2 (INEI)}}}}}} || || '''{{{#ffffff 미술 디자인}}}''' ||{{{#!wiki style="margin: 0px 10px" Rémy Boisseuil(ボワセイユ レミ)[br]사토 마사히로(佐藤正浩)}}} || || '''{{{#ffffff 미술 감독}}}''' ||{{{#!wiki style="margin: 0px 10px" 사토 아유무(佐藤歩)}}} || || '''{{{#ffffff 미술}}}''' ||{{{#!wiki style="margin: 0px 10px" 스튜디오 나야(スタジオなや)}}} || || '''{{{#ffffff 색채 설계}}}''' ||{{{#!wiki style="margin: 0px 10px" 사이토 마키(斉藤麻記)}}} || || '''{{{#ffffff 모니터 그래픽스}}}''' ||{{{#!wiki style="margin: 0px 10px" 하이바라 유지(生原雄次)}}} || || '''{{{#ffffff CGI 프로듀서}}}''' ||{{{#!wiki style="margin: 0px 10px" 마치다 마사야(町田政彌)}}} || || '''{{{#ffffff 편집}}}''' ||{{{#!wiki style="margin: 0px 10px" 진구지 유미(神宮司由美)}}} || || '''{{{#ffffff 촬영 감독}}}''' ||{{{#!wiki style="margin: 0px 10px" 사토 히로시(佐藤洋)}}} || || '''{{{#ffffff 촬영}}}''' ||{{{#!wiki style="margin: 0px 10px" 칩튠(チップチューン)}}} || || '''{{{#ffffff 음향 감독}}}''' ||{{{#!wiki style="margin: 0px 10px" [[아케타가와 진]]}}} || || '''{{{#ffffff 음악}}}''' ||{{{#!wiki style="margin: 0px 10px" 후지마 히토시(藤間 仁) {{{-2 ([[Elements Garden]])}}}}}} || || '''{{{#ffffff 음악 프로듀서}}}''' ||{{{#!wiki style="margin: 0px 10px" 오노 카오리(小野可織)}}} || || '''{{{#ffffff 프로듀서}}}''' ||{{{#!wiki style="margin: 0px 10px" 스기모토 노부아키(杉本紳朗)[br]시오야 요시유키(塩谷佳之)}}} || || '''{{{#ffffff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wiki style="margin: 0px 10px" 에구치 코헤이(江口浩平)}}} || || '''{{{#ffffff 애니메이션 제작총괄}}}''' ||{{{#!wiki style="margin: 0px 10px" 코스게 히데노리(小菅秀徳)}}} || || '''{{{#ffffff 애니메이션 제작}}}''' ||{{{#!wiki style="margin: 0px 10px" [[8-Bit]]}}} || || '''{{{#ffffff 제작}}}''' ||{{{#!wiki style="margin: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 white; border-radius: 4px; padding: 2px" '''{{{#0f234d 전}}}{{{#07558c 슬라}}}'''}}} [[제작위원회]][* [[반다이 남코 필름 워크스]], [[코단샤]], 마이크로매거진사(マイクロマガジン社), [[반다이 남코 뮤직 라이브]], [[반다이|BANDAI SPIRITS]], [[BS11]], [[ADK|ADK 마케팅 솔루션즈]], 소니 뮤직 솔루션즈(ソニー・ミュージックソリューションズ), [[8-Bit]], [[닛폰 테레비]]]}}} || || '''{{{#ffffff 수입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애니플러스]]}}} || || '''{{{#ffffff 배급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반다이 남코 필름 워크스]][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애니플러스]]}}} || || '''{{{#ffffff 개봉일}}}'''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22년]] [[11월 25일]][br][[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width=20]] [[2022년]] [[12월 8일]][br][[파일:대만 국기.svg|width=20]] [[2022년]] [[12월 9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3년]] [[2월 2일]]}}} || || '''{{{#ffffff 화면비}}}''' ||{{{#!wiki style="margin: 0px 10px" [[화면비율#1.77:1/1.78:1 (16:9)|1.78:1]]}}} || || '''{{{#ffffff 상영 시간}}}''' ||{{{#!wiki style="margin: 0px 10px" 109분}}} || || '''{{{#ffffff 제작비}}}''' ||{{{#!wiki style="margin: 0px 10px" ○○}}} || || '''{{{#ffffff 월드 박스오피스}}}''' ||{{{#!wiki style="margin: 0px 10px" '''$11,426,555''' ([[2023년]] [[2월 5일]] [[https://www.boxofficemojo.com/title/tt15467380/|기준]])}}} || || '''{{{#ffffff 북미 박스오피스}}}''' ||{{{#!wiki style="margin: 0px 10px" '''$1,588,491''' ([[2023년]] [[1월 22일]] [[https://www.boxofficemojo.com/release/rl3522724609/|기준]])}}} || || '''{{{#ffffff 일본 박스오피스}}}''' ||{{{#!wiki style="margin: 0px 10px" ''''''}}} || || '''{{{#ffffff 대한민국 총 관객 수}}}''' ||{{{#!wiki style="margin: 0px 10px" '''15,846명''' ([[2023년]] [[2월 13일]] 기준) }}} || || '''{{{#ffffff 스트리밍}}}''' ||{{{#!wiki style="margin: 0px 10px" [[TVING]] [[https://www.tving.com/contents/M000372744|▶]]}}} || || '''{{{#ffffff 상영 등급}}}''' ||{{{#!wiki style="margin: 0px 10px" '''[[15세 이용가|[[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width=30]] {{{#373a3c,#dddddd 15세 이상 관람가}}}]]'''}}} || || '''{{{#ffffff 공식 홈페이지}}}''' ||{{{#!wiki style="margin: 0px 10px" [[https://movie.ten-sura.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ten_sura_anime)] | [[https://www.instagram.com/tensura_official|[[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극장판 전생슬 홍련의 인연편 로고01.png|width=100%]]}}} || [[전생했더니 슬라임이었던 건에 대하여]]의 [[전생했더니 슬라임이었던 건에 대하여/애니메이션|애니메이션 시리즈]] 중 극장판을 다루는 문서. [[전생했더니 슬라임이었던 건에 대하여(애니메이션 2기)|TVA 2기]]의 최종화 방영 후 제작이 발표되었다.[[https://twitter.com/ten_sura_anime/status/1440321657944510475|#]] == 개봉 전 정보 == * [[리무루 템페스트|리무루]]의 옷을 보아 마왕이 된 이후의 스토리를 다루는 데 등장인물들이나 예고편 내용[* 원작에선 전혀 나오지 않는 스토리로만 구성되어 있다]을 보면 원작과는 별개의 오리지널 스토리로 갈 확률이 높다.[* 다만 [[원피스(만화)|원피스]]의 사례처럼 극장판 오리지널 스토리였다가 이후 원작에서 공식 스토리나 설정으로 편입될 확률도 있다.][* 소설 원작은 아니지만 코믹스 105화 초반부분 회상장면에서 히이로로 추정되는 인물이 한 컷 나오긴 했다.] * 일본에서는 2022년 [[https://animeanime.jp/article/2022/03/03/67929.html|11월]]에 개봉하였으며, 한국에서는 본래 2023년 1월 5일 개봉 예정이었으나 2022년 12월 21일, [[https://www.youtube.com/channel/UCciFL1bEM7JxsFX4W2HzqnA/community?lb=Ugkx3CZmLKMz9VfiTRV49F_SZ6oV2V4vC9TI|2023년 1월 5일 → 2월 2일]]로 변경 됐다는 공지가 올라오며 개봉이 연기되었다. 다만, [[메가박스|메가박스]] 단독 개봉인 건 그대로 적용.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mL4MfMSzdHI, width=100%)]}}} || || '''리무르역을 맡은 [[오카사키 미호|{{{#ffffff,#ffffff 오카사키 미호}}}]] 성우님의 축전 영상''' || == 포스터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극장판전슬라_티저포스터.jpg|width=100%]]}}}||{{{#!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극장판전슬라_키비주얼1탄.jpg|width=100%]]}}}|| || {{{#005cb1,#005cb1 '''티저 비주얼'''}}} || {{{#005cb1,#005cb1 '''키 비주얼1'''}}} ||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nJEGXG_vXbo, width=100%)]}}} || || '''예고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youtube(hXcUGe6cxcc, width=100%)]}}} || || '''애니플러스 예고편''' || == 시놉시스 == >동료를 구하기 위해 마왕으로 진화한 슬라임 [[리무루 템페스트]]. >그가 동료와 일으킨 마물의 나라 '[[전생했더니 슬라임이었던 건에 대하여/설정#s-1.5.1|마국연방(템페스트)]]'의 서쪽에 위치한 '라자 소아국'에서는 여왕이 가진 불가사의한 힘을 둘러싸고 장기간에 걸친 음모가 소용돌이치고 있었다. >그리고 리무루 앞에 갑자기 나타난 "대귀족(오거)의 생존자" [[전생했더니 슬라임이었던 건에 대하여/등장인물#s-35|히이로]]. >리무루의 동료 · [[베니마루(전생했더니 슬라임이었던 건에 대하여)|베니마루]]의 형뻘이었다고 하는 남자와의 재회. >끊어졌던 "홍련의 유대"가 지금, 새로운 싸움으로의 도화선이 된다--! >[템페스트]의 서쪽에 위치한 [라자 소아국]. >한때는 금 채굴로 번영했지만 지금은 번영의 그림자는 찾아볼 수조차 없고, 호수는 광산의 독에 오염되어 나라는 위기 상황에 처했다. >여왕 '토와'는 왕가에 대대로 전해 오는 왕관의 마력을 사용해 독을 제거하며 백성을 지키고 있었지만, >그 대가로 왕관에 걸려 있던 저주가 온몸에 퍼져 수명이 단축되고 있었다. >그러던 중, 템페스트에 갑자기 나타난 오거의 생존자 '히이로'. >베니마루 일행의 형님뻘이었다는 히이로는, 토와의 도움으로 살아남았던 것이었다. >자신을 구해 준 토와와 [라자 소아국]을 지키기 위해, >템페스트의 리무루에게 도움을 청하기 위해 온 히이로는 베니마루와 운명의 재회를 한다. >라자를 위기에서 구하기 위해, 그리고 토와에게 걸린 저주의 수수께끼를 풀기 위해, >리무루는 라자로 향하는데...... 그곳에는 놀라운 음모가 기다리고 있었다! == [[전생했더니 슬라임이었던 건에 대하여/등장인물|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전생했더니 슬라임이었던 건에 대하여/등장인물, 앵커=쥬라 템페스트 연방국(마국연방))]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전생했더니 슬라임이었던 건에 대하여/등장인물, 문단=17, 설명=극장판 캐릭터의 상세 정보에 관한)] == 설정 == === [[전생했더니 슬라임이었던 건에 대하여/설정|기본 설정]]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전생했더니 슬라임이었던 건에 대하여/설정)] === 오리지널 설정 === * '''라자 소아국'''(ラージャ小亜国)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극장판 전생슬: 홍련의 인연편 라쟈 소아국.jpg|width=100%]]}}} || '[[전생했더니 슬라임이었던 건에 대하여/설정#s-1.5.1|마국연방(템페스트)]]'의 서쪽에 위치한 나라. 극장판 오리지널 스토리라서 본편인 원작 라노벨에서는 등장하지 않는 나라다. == 줄거리 == == 음악 == === 주제가 === ||<-2>
'''{{{#ffffff,#ffffff 주제가[br]Make Me Feel Bett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ffffff,#ffffff Movie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r3xAis_5f_Q, width=100%)]}}} || ||<-2> '''{{{#ffffff,#ffffff M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s0rh2L5eTtk, width=100%)]}}} || ||<-2> '''{{{#ffffff,#ffffff Full ver.}}}''' || || '''노래''' || MindaRyn || || '''작사''' ||<|2> Misaki || || '''작곡''' || || '''편곡''' || 코야마 히사시(小山寿)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 === 삽입곡 === ||<-2>
'''{{{#ffffff,#ffffff 삽입곡[br]浄歌[br]정가}}}'''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ffffff,#ffffff Movie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35E13hqn_2I, width=100%)]}}} || ||<-2> '''{{{#ffffff,#ffffff Full ver.}}}''' || || '''노래''' || [[카라사와 미호|TRUE]] || || '''작사''' || [[카라사와 미호]] || || '''작곡''' ||<|2> 카토 유스케(加藤裕介) || || '''편곡'''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 초반에 나오는 삽입곡이다. ||<-2>
'''{{{#ffffff,#ffffff 삽입곡[br]SPARKLES}}}'''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 width=100%)]}}} || ||<-2> '''{{{#ffffff,#ffffff Movie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Qv2KUOkLMCM, width=100%)]}}} || ||<-2> '''{{{#ffffff,#ffffff Full ver.}}}''' || || '''노래''' || [[R・O・N|STEREO DIVE FOUNDATION]] || || '''작사''' ||<|3> [[R・O・N]] || || '''작곡''' || || '''편곡'''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僅かな声と残された欠片に 心乱されそうで 汚れた腕抱え胸を焦がした その痛み投げ出してただ救いに縋りたい 報われるように限りなき光たち まだ消えないで Don’t fade I want you back If I could come back to you Don’t fade I want you back If I could come back to you 叶えたい一筋の想い乗った奇跡を 信じて守ってきたんだ Always Always 望まない悲しみの代償を許してと 祈りは無数の光に包まれた I say hello もう一度君に ありがとう 色を失くして灰に消える前に 生命に触れたんだ 絆の形を指で描いて 瞬きの中で零れ落ちていく結晶を 儚き声が呼ぶ閃光を 心に合わせて確かめて Don’t fade I want you back If I could come back to you Don’t fade I want you back If I could come back to you 抱き締めたその生命鼓動打った証を 君のいない世界なんて No way No way 悲しみ洗い流す為の涙ならそう 光の粒子に変えていけるはずだって 退紅色に揺れる花びら踊る光景を 忘れられるわけなんてないんだ 何を手に入れたかよりも何を残せたか 巡る時の狭間で 叶えたい一筋の想い乗った奇跡を 信じて守ってきたんだ Always Always 望まない悲しみの代償を許してと 祈りは無数の光に包まれた I say hello もう一度君に ありがとう (원어 발음) 와즈카나 코에토 노코사레타 카케라니 코코로 미다사레소오데 요고레타 우데 카카에 무네오 코가시타 소노 이타미 나게다시테 타다 스쿠이니 스가리타이 무쿠와레루요오니 카기리나키 히카리타치 마다 키에나이데 디이온토 훼에도 아이 워토 유우 밧쿠 아이에후 아이 쿳도 카무 밧쿠 투우 유우 디이온토 훼에도 아이 워토 유우 밧쿠 아이에후 아이 쿳도 카무 밧쿠 투우 유우 카나에타이 히토스지노 오모이 놋타 키세키오 신지테 마못테키타다 오오루웨에즈 오오루웨에즈 노조마나이 카나시미노 다이쇼오오 유루시테토 이노리와 무스우노 히카리니 츠츠마레타 아이 세에 하로오 모오이치도쿤니 아리가토오 이로오 나쿠시테 하이니 키에루 마에니 세에메에니 후레타다 키즈나노 카타치오 유비데 에가이테 마바타키노 나카데 코보레오치테이쿠 켓쇼오오 하카나키 코에가 요부 센코오오 코코로니 아와세테 타시카메테 디이온토 훼에도 아이 워토 유우 밧쿠 아이에후 아이 쿳도 카무 밧쿠 투우 유우 디이온토 훼에도 아이 워토 유우 밧쿠 아이에후 아이 쿳도 카무 밧쿠 투우 유우 다키시메타 소노 세에메에코도오 웃타 아카시오 키미노 이나이 세카이난테 에누오오 우에에 에누오오 우에에 카나시미 아라이나가스 타메노 나미다나라 소오 히카리노 류우시니 카에테이케루 하즈닷테 타이코오쇼쿠니 유레루 하나비라 오도루 코오케에오 와스레라레루 와케난테 나이다 나니오 테니 이레타카요리모 나니오 노코세타카 메구루 토키노 하자마데 카나에타이 히토스지노 오모이 놋타 키세키오 신지테 마못테키타다 오오루웨에즈 오오루웨에즈 노조마나이 카나시미노 다이쇼오오 유루시테토 이노리와 무스우노 히카리니 츠츠마레타 아이 세에 하로오 모오이치도쿤니 아리가토오 미스가 앗타라 오시에테쿠다사이 (한국어 가사) || }}}}}}}}} || 막바지에 나오는 삽입곡이다. ||<-2>
'''{{{#ffffff,#ffffff 삽입곡[br]Kesshi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_WttglwrH-8, width=100%)]}}} || ||<-2> '''{{{#ffffff,#ffffff Full ver.}}}''' || || '''작곡''' || 후지마 히토시 || 중반에 흘러나오는 연주곡이다. [[리무루 템페스트|리무루]] 일행이 라자 소아국으로 비행하는 장면에서 흘러나오는 노래이다. 극장판 전생했더니 슬라임이었던 건에 대하여: 홍련의 인연편 OST 앨범의 16번 트랙이다.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that-time-i-got-reincarnated-as-a-slime-the-movie-scarlet-bond, critic=41, user=없음)]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that_time_i_got_reincarnated_as_a_slime_the_movie_scarlet_bond, tomato=58, popcorn=94)] [include(틀:평가/IMDb, code=tt15467380, user=6.8)]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that-time-i-got-reincarnated-as-a-slime-the-movie-scarlet-bond, user=3.0)] [include(틀:평가/알로시네, code=296550, presse=없음, spectateurs=3.4)] [include(틀:평가/mymovies.it, code=2022/that-time-i-got-reincarnated-as-a-slime-the-movie-scarlet-bond, MYMOVIES=없음, CRITICA=없음, PUBBLICO=없음)]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4873689, user=없음)]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379024, user=3.8)] [include(틀:평가/Filmarks, code=99191, user=3.5)]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35606534, user=없음)] [include(틀:평가/야후! 키모, code=14488, user=4.1)] [include(틀:평가/왓챠, code=mOVPDwN, user=2.4)]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117178, light=없음)]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224606, expert=4.00, audience=7.75, user=7.09)]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165998, user=없음)] [include(틀:평가/메가박스, code=22100300, user=8.9)] [include(틀:평가/TMDB, code=876792, user=79)] [include(틀:평가/무비파일럿, code=meine-wiedergeburt-als-schleim-in-einer-anderen-welt-der-film-feuerrote-bande, user=없음)] [include(틀:평가/씨네21, code=60066, expert=4.00, user=없음)] [include(틀:평가/ANIPLUS, code=<영화 코드>, user=없음)] [include(틀:평가/MyAnimeList, code=49877, user=7.40)] [include(틀:평가/라프텔, code=41064, user=4.9)] === [[영화 평론가]] 평 === > '''<전생슬>의 명쾌한 재미는 어디로 갔나''' > - [[이우빈]] ([[씨네21]]) (★★) > '''‘오리지널 스토리’라기엔 다소 궁색한 팬서비스''' > - [[송경원]] ([[씨네21]]) (★★) === 관람객 평 === 실관람객 평은 대체로 만족스러워 하는 느낌이다. 스토리는 아쉽지만 재밌는 영화였다는 평이 대부분. 또한 히이로와 토와의 캐릭터성도 마음에 든다는 얘기도 많다. 평론가들이야 해당 작품의 큰 특징과 매력 포인트 등등을 기준으로 냉정하게 평가하는 거겠지만, 실제로 이것을 보는 관람객들은 그런 포인트들도 중요하겠지만, 가장 중점으로 보는것이 보는 눈이 즐거울수 있는 액션을 보여줬느냐라서, 스토리가 아쉬워도 액션이 좋으면 사람들은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기 마련이다. == 흥행 == ||<-4>
출처: [[https://www.boxofficemojo.com/title/tt15467380/|박스오피스 모조]] || || 국가 || 개봉일 ||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 기준일 || || '''전 세계''' || [[2022년]] [[11월 25일]] || '''$11,426,555''' || '''[[2023년]] [[2월 5일]]''' || ||<-4>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 || '''[[북미]]''' || [[2023년]] [[1월 20일]] || '''$1,588,491''' || [[2023년]] [[1월 22일]] || || '''[[중국]]''' || 미정 || '''미개봉''' || 미정 || || [[일본]] || [[2022년]] [[11월 25일]] || $9,471,424 || [[2023년]] [[1월 1일]] || || [[홍콩]] || [[2022년]] [[12월 15일]] || $82,542 || [[2022년]] [[12월 18일]] || || [[네덜란드]] || [[2023년]] [[1월 19일]] || $41,994 || [[2023년]] [[1월 22일]] || || [[오스트레일리아]] || [[2023년]] [[1월 19일]] || $79,493 || [[2023년]] [[2월 5일]] || || [[영국]] || [[2023년]] [[1월 20일]] || $77,614 || [[2023년]] [[1월 22일]] || || [[아랍에미리트]] || [[2023년]] [[2월 2일]] || $6,135 || [[2023년]] [[2월 5일]] || || [[대한민국]] || [[2023년]] [[2월 2일]] || $78,862 || [[2023년]] [[2월 5일]] || === [[대한민국]] === ||<-7>
'''{{{#ffffff,#ffffff 대한민국 누적 관객 수}}}''' || || '''{{{#ffffff,#ffffff 주차}}}''' || '''{{{#ffffff,#ffffff 날짜}}}''' || '''{{{#ffffff,#ffffff 일일 관람 인원}}}''' || '''{{{#ffffff,#ffffff 주간 합계 인원}}}''' || '''{{{#ffffff,#ffffff 순위}}}''' || '''{{{#ffffff,#ffffff 일일 매출액}}}''' || '''{{{#ffffff,#ffffff 주간 합계 매출액}}}''' || || {{{#ffffff,#ffffff 개봉 전}}} || 개봉 전 || -명 || -명 || 미집계 || -원 || -원 || ||<|7> {{{#ffffff,#ffffff 1주차}}} ||2023-02-02. 1일차(목) || 3,397명 ||<|7> 11,507명 || 11위 || 33,473,089원 ||<|7> 118,023,582원 || ||2023-02-03. 2일차(금) || 1,437명 || 13위 || 15,204,607원 || ||2023-02-04. 3일차(토) || 2,752명 || 14위 || 28,923,032원 || ||2023-02-05. 4일차(일) || 2,065명 || 14위 || 21,765,203원 || ||2023-02-06. 5일차(월) || 735명 || 15위 || 7,214,785원 || ||2023-02-07. 6일차(화) || 679명 || 15위 || 7,001,583원 || ||2023-02-08. 7일차(수) || 442명 || 24위 || 4,441,283원 || ||<|7> {{{#ffffff,#ffffff 2주차}}} ||2023-02-09. 8일차(목) || 1,005명 ||<|7> -명 || 22위 || 9,635,283원 ||<|7> -원 || ||2023-02-10. 9일차(금) || 691명 || 23위 || 7,158,472원 || ||2023-02-11. 10일차(토) || 1,160명 || 21위 || 12,319,877원 || ||2023-02-12. 11일차(일) || 1,002명 || 23위 || 10,364,201원 || ||2023-02-13. 12일차(월) || 481명 || 20위 || 4,799,706원 || ||2023-02-14. 13일차(화) || -명 || -위 || -원 || ||2023-02-15. 14일차(수) || -명 || -위 || -원 || ||<|7> {{{#ffffff,#ffffff 3주차}}} ||2023-02-16. 15일차(목)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23-02-17. 16일차(금) || -명 || -위 || -원 || ||2023-02-18. 17일차(토) || -명 || -위 || -원 || ||2023-02-19. 18일차(일) || -명 || -위 || -원 || ||2023-02-20. 19일차(월) || -명 || -위 || -원 || ||2023-02-21. 20일차(화) || -명 || -위 || -원 || ||2023-02-22. 21일차(수) || -명 || -위 || -원 || ||<|7> {{{#ffffff,#ffffff 4주차}}} ||2023-02-23. 22일차(목) || -명 ||<|7> -명 || -위 || -원 ||<|7> -원 || ||2023-02-24. 23일차(금) || -명 || -위 || -원 || ||2023-02-25. 24일차(토) || -명 || -위 || -원 || ||2023-02-26. 25일차(일) || -명 || -위 || -원 || ||2023-02-27. 26일차(월) || -명 || -위 || -원 || ||2023-02-28. 27일차(화) || -명 || -위 || -원 || ||2023-03-01. 28일차(수) || -명 || -위 || -원 || || '''{{{#ffffff,#ffffff 합계}}}''' ||<-6> '''누적관객수 15,846명, 누적매출액 162,301,121원'''[* ~ 2023/02/13 기준] || *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 ## 1위를 차지할 시 순위에 볼드체를 적용해 주세요. 2023년 1월 5일에 개봉할 예정이었으나 2월 2일로 개봉일에 맞춰 [[메가박스]]에서 개봉하였으며, 2022년 12월 3일에 진행된 [[Anime X Game Festival 2022]]의 스페셜 스테이지에서 도입부 부분만 선행 공개하였다. 가장 먼저 개봉한 [[더 퍼스트 슬램덩크]]와 나중에 개봉한 [[스즈메의 문단속]]이 대흥행을 이어가는 가운데 다소 아쉽기는 하지만 [[라이트 노벨]] 원작 [[애니메이션]] 작품의 [[극장판]]치고는 그럭저럭 선방했다는 평을 받고 있다. === [[북미]] === [[2023년]] [[1월 20일]] [[북미]] [[영화 시장]]에 개봉하여 개봉 첫 주 북미 [[박스오피스]] 8위에 올랐다. [[https://www.boxofficemojo.com/weekend/2023W03/?ref_=bo_wey_table_1|링크]] [[제한적 상영]]이라 상영관이 매우 부족했고, 이벤트성 개봉이라 더 이상의 [[영화]] 상영 기록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 [[중국]] === 다른 지역 및 국가에서의 개봉 일정이 정해지는 가운데 중국에서의 개봉은 아직까지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덧붙여서 [[알리바바 그룹]], [[빌리빌리]] 등이 적극적인 [[일본 애니메이션]] 투자를 실시하고는 있으나 [[중국 영화]] 시장은 [[광전총국]]이 감독하고 있으므로 [[중화사상]] 및 [[국수주의]]와는 거리가 있는 작품은 배제하는 시스템이라 [[저작권]] 개념은 말아먹은 [[아이치이]]와 유사한 동영상 공유 플랫폼으로 비밀리에 공공연하게 상영되는 현상이 현실이다. === [[일본]] === [[2022년]] [[11월]] 말부터 [[2023년]] [[2월 19일]]까지 상영되었으며 [[극장판]] [[애니메이션]] 작품이 강세이며 영화 시장 3위인 [[일본 영화]] 시장에서 흥행에 성공하며 상당한 수익을 올렸다.[[https://www.crunchyroll.com/anime-news/2023/02/03/that-time-i-got-reincarnated-as-a-slime-scarlet-bond-anime-film-to-end-japanese-run-with-new-project-tease|#]] === [[영국]] === [[2023년]] [[1월 18일]]부터 극장에 걸리게 되었다. [[https://www.londonnet.co.uk/films/that-time-i-got-reincarnated-as-a-slime-the-movie-scarlet-bond/|#]] [[제한적 상영]]이라 상영관이 매우 부족했고, [[이벤트]]성 개봉이라 더 이상의 영화 상영 기록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 기타 국가 === * [[오스트레일리아]]: 2023년 1월 19일 * [[캐나다]]: 2023년 1월 20일 * [[아일랜드]]: 2023년 1월 18일 * [[멕시코]]: 2023년 1월 26일 * [[영국]]: 2023년 1월 18일 * [[미국]]: 2023년 1월 20일 [[https://game-news24.com/2022/12/16/tensura-scarlet-bond-movie-us-canada-uk-release-date-set-started-18-june-2005/amp/|#참고용 링크]] == 기타 == == 외부 링크 == * [[https://movie.daum.net/moviedb/main?movieId=165998|다음영화 홈페이지]] * [[https://m.megabox.co.kr/movie-detail?rpstMovieNo=22100300|메가박스 웹페이지]] == 둘러보기 == [[분류:전생했더니 슬라임이었던 건에 대하여/애니메이션]][[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일본의 애니메이션 영화]][[분류:2022년 애니메이션 영화]][[분류:2022년 4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라이트 노벨 원작 애니메이션 영화]][[분류:나무위키 영화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