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소드 아트 온라인)] ||<-2>
{{{#ffffff,#ffffff {{{#!wiki style="text-shadow: 0 -.5px 0 #57ade6, .5px 0 #57ade6, 0 .5px #57ade6, -.5px 0 #57ade6, -.5px -.5px #57ade6, .5px -.5px #57ade6, .5px .5px #57ade6, -.5px .5px #57ade6, 0 0 2px #57ade6, 0 0 6px #57ade6" '''{{{+1 극장판 소드 아트 온라인 -프로그레시브-[br]별 없는 밤의 아리아}}} (2021)'''[br]劇場版ソードアート・オンライン-プログレッシブ-[br]星なき夜のアリア[br]Sword Art Online the Movie: -Progressive-[br]Aria of a Starless Night}}}}}}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극장판 소아온 프로그레시브 한글화 포스터 02.jpg|width=100%]] {{{#!folding 기타 키 비주얼 ▼ [[파일:극장판 소아온 프로그레시브 한글 포스터.jpg|width=100%]] '''{{{#010101,#010101 한국어 포스터}}}'''[br][[파일:극장판소아온프로그레시브_키비주얼.jpg|width=100%]] '''{{{#010101,#010101 티저 비주얼}}}'''[br][[파일:극장판소아온프로그레시브_키비주얼2.jpg|width=100%]] '''{{{#010101,#010101 티저 비주얼}}}'''[br][[파일:1616826921.jpg|width=100%]] '''{{{#010101,#010101 키 비주얼 3}}}'''[br][[파일:별 없는 밤의 아리아 IMAX 포스터.jpg|width=100%]] '''{{{#010101,#010101 IMAX 포스터}}}'''[br][[파일:소아온 이터널스 콜라보 포스터.jpg|width=100%]] '''{{{#010101,#010101 [[이터널스(영화)|이터널스]] 콜라보 포스터}}}'''}}}}}} || || '''{{{#57ade6,#57ade6 장르}}}''' ||[[액션]], [[사이언스 픽션|SF]] || || '''{{{#57ade6,#57ade6 감독}}}''' ||코노 아야코(河野亜矢子)[* [[사랑은 비가 갠 뒤처럼/애니메이션|사랑은 비가 갠 뒤처럼]] 조감독, 액셀월드 설정담당] || || '''{{{#57ade6,#57ade6 각본}}}''' ||키자와 유키토(木澤行人) || || '''{{{#57ade6,#57ade6 원작}}}''' ||[[카와하라 레키]] || || '''{{{#57ade6,#57ade6 캐릭터 원안}}}''' ||[[abec]] || || '''{{{#57ade6,#57ade6 제작}}}''' ||SAO-P Project || || '''{{{#57ade6,#57ade6 주연}}}''' ||[[마츠오카 요시츠구]] [br] [[토마츠 하루카]][br] [[미나세 이노리]] || || '''{{{#57ade6,#57ade6 촬영 감독}}}''' ||오오시마 유키(大島由貴) || || '''{{{#57ade6,#57ade6 색채 설계}}}''' ||히로세 키요시 || || '''{{{#57ade6,#57ade6 CG디렉터}}}''' ||오다 켄고(織田健吾)[br] 나카지마 히로시(中島 宏) || || '''{{{#57ade6,#57ade6 2D 작업}}}''' ||[[미야하라 요헤이]][br] 세키 카오리(関 香織) || || '''{{{#57ade6,#57ade6 편집}}}''' ||히로세 키요시(廣瀬清志) || || '''{{{#57ade6,#57ade6 총 작화감독}}}''' ||<|2>토야 켄토(戸谷賢都) || || '''{{{#57ade6,#57ade6 캐릭터 디자인}}}''' || || '''{{{#57ade6,#57ade6 액션 디렉터}}}''' ||<|2>[[카이 야스유키]] || || '''{{{#57ade6,#57ade6 몬스터 디자인}}}''' || || '''{{{#57ade6,#57ade6 액션 작화감독}}}''' ||[[카이 야스유키]][br][[토리이 타카시]][br][[칸노 요시히로]] || || '''{{{#57ade6,#57ade6 원화}}}''' ||[[카이 야스유키]], [[스기타 슈]], [[타나카 히로노리]], [[TOMATO(애니메이터)|TOMATO]] 등 || || '''{{{#57ade6,#57ade6 프롭 디자인}}}''' ||히가시지마 히사시(東島久志) || || '''{{{#57ade6,#57ade6 프로듀스}}}''' ||[[EGG FIRM]][br] 스트레이트 에지(ストレートエッジ) || || '''{{{#57ade6,#57ade6 음향 효과}}}''' ||코야마 야스마사(小山恭正) || || '''{{{#57ade6,#57ade6 음향 제작}}}''' ||소니루도(ソニルード) || || '''{{{#57ade6,#57ade6 음향 감독}}}''' ||[[이와나미 요시카즈]] || || '''{{{#57ade6,#57ade6 음악}}}''' ||[[카지우라 유키]] || || '''{{{#57ade6,#57ade6 주제곡}}}''' ||[[LiSA(1987)|LiSA]] || || '''{{{#57ade6,#57ade6 제작총괄}}}''' ||카시와다 신이치로(柏田真一郎)[br]카토 준(加藤 淳) || || '''{{{#57ade6,#57ade6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시부야 아키나오(渋谷晃尚) || || '''{{{#57ade6,#57ade6 제작사}}}'''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A-1 Pictures]] || || '''{{{#57ade6,#57ade6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애니플러스]] || || '''{{{#57ade6,#57ade6 배급사}}}'''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애니플렉스]] [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애니플러스]] || || '''{{{#57ade6,#57ade6 개봉일}}}'''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21년]] [[10월 30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1년]] [[12월 9일]][br][[파일:싱가포르 국기.svg|width=20]] [[2022년]] [[1월 6일]] || || '''{{{#57ade6,#57ade6 화면비}}}''' ||○○ || || '''{{{#57ade6,#57ade6 상영 시간}}}''' ||97분 || || '''{{{#57ade6,#57ade6 제작비}}}''' ||○○ || || '''{{{#57ade6,#57ade6 월드 박스오피스}}}''' ||'''$14,037,060''' || || '''{{{#57ade6,#57ade6 북미 박스오피스}}}''' ||○○ || || '''{{{#57ade6,#57ade6 일본 박스오피스}}}''' ||'''15억엔 돌파''' || || '''{{{#57ade6,#57ade6 대한민국 총 관객 수}}}''' ||40,128명 || || '''{{{#57ade6,#57ade6 스트리밍}}}''' ||[[애니플러스]] [[https://www.aniplustv.com/items/2571|▶]][br][[Laftel]] [[https://laftel.net/item/40563|▶]] || ||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57ade6,#57ade6 상영 등급}}}]]''' ||'''[[12세 이용가|[[파일:영등위_12세이상_2021.svg|width=40]] {{{#000000,#57ade6 12세 이상 관람가}}}]]'''[* [[https://www.kmrb.or.kr/kor/CMS/TotalSearch/gradeResultView.do?mCode=MN143&rcv_no=2286973|영상물등급위원회]]] || || '''{{{#57ade6,#57ade6 공식 홈페이지}}}''' ||[[https://sao-p.net/aria/|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3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sao_anime)] | [[https://www.instagram.com/sao_anime_official|[[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30]]]] || [목차] [clearfix] == 개요 == ||
[[파일:소드 아트 온라인 프로그레시브.png|width=100%]] || [[파일:소드 아트 온라인 프로그레시브 별 없는 밤의 아리아 한국 로고.png|width=100%]] || || '''{{{#ffffff {{{#!html 일본 로고}}}}}}''' || '''{{{#ffffff {{{#!html 한국 로고}}}}}}''' || >'''すべてはここから始まった''' >---- >'''모든 건 여기서 시작됐다!''' [[소드 아트 온라인]]의 1부 리부트작 [[소드 아트 온라인 프로그레시브]]를 원작으로 하는 극장판 [[소드 아트 온라인/애니메이션|애니메이션]] 1부. 감독은 코노 아야코. 개봉 후 하루 지나 바로 2부 스토리의 극장판이자 프로그레시브 4권(아인크라드 5층) 부제목인 [[극장판 소드 아트 온라인 -프로그레시브- 짙은 어둠의 스케르초]]의 제작이 결정되었다. == 개봉 전 정보 == 2020년 9월 20일 [[소드 아트 온라인 앨리시제이션: War of Underworld]]가 종영된 직후 곧바로 애니메이션화가 발표되었다. 원작 프로그레시브는 1부 리메이크 격의 작품으로, 본 애니메이션화는 [[프리퀄]]이자 애니메이션 1기 1, 2화의 [[리부트]]라고 볼 수 있다. 작가인 [[카와하라 레키]]도 1권인 아인크라드 편이 10년도 더 넘은 작품이기에, 최근의 온라인 게임보다 뒤떨어지는 면이 존재한다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레키는 앞서 말한 문제점의 해결과, 키리토와 아스나의 본편에서 스킵된 모험에 대한 집필 욕구를 위해 프로그레시브를 탄생시켰다. 기존 아인크라드편에서는 1층 후에 외전들을 거쳐 74, 75층으로 바로 전개가 넘어간다면, 프로그레시브는 1층부터 주인공 [[키리토(소드 아트 온라인)|키리토]]와 메인 히로인인 [[아스나(소드 아트 온라인)|아스나]]가 함께 아인크라드를 오르는 전개로 진행된다. 상세 내용은 2021년 9월 현재까지 출판된 프로그레시브 1권부터 8권까지를 참고할 것. 프로그래시브 애니화를 통해 시간벌이를 했으니 5부 유니탈링 애니화도 기대해볼 수 있을 듯 하다. 2020년 11월 8일에 공개된 PV로 2021년에 극장판으로 개봉한다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동시에 스태프가 공개되었다. 감독인 카와노 아야코는 연출 경력이 길지 않지만 [[사랑은 비가 갠 뒤처럼/애니메이션|사랑은 비가 갠 뒤처럼]]의 조감독을 맡아 좋은 반응을 얻었으며, 액션 디렉터로 [[카이 야스유키]]가 투입되었는데 액션을 잘 하는 애니메이터이다. 2012년에 방영된 [[소드 아트 온라인(애니메이션 1기)|1기]]의 2화에서 프로그레시브 일부가 애니화 되었던걸 생각하면 9년만의 리메이크라고도 할 수 있다. 더구나 그 탓인지, 1기때의 인기와 명성으로 인해 이번 극장판은 많은 기대를 모으는 중이다. 2021년 3월 27일, 2차 PV와 키비주얼이 공개되었으며, 개봉 예정일이 2021년 10월 30일로 결정되었다. === 예고편 및 PV === ||
{{{#!wiki style="margin: -4.8px -10px -6px" [youtube(sUK3mTipqFk, width=100%)]}}} || || '''{{{#ffffff {{{#!html 국내 메인 예고편}}}}}}'''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공식 PV 영상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2>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2ZRgT2U11Y, width=100%)]}}} || ||<-2> '''{{{#ffffff {{{#!html 1차 PV (한글화)}}}}}}''' || ||<-2>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ynYYsjYH2s, width=100%)]}}} || || '''{{{#ffffff {{{#!html 2차 PV}}}}}}''' || ||<-2>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ZRkxrsE9MeU, width=100%)]}}} || || '''{{{#ffffff {{{#!html 2차 PV (30초 버전)}}}}}}''' || ||<-2>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nElmZnJBr7A, width=100%)]}}} || || '''{{{#ffffff {{{#!html 3차 PV (30초 버전 한글화)}}}}}}''' || ||<-2>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r_pmJ3LmTy4, width=100%)]}}} || || '''{{{#ffffff {{{#!html 3차 PV (15초 버전)}}}}}}''' || ||<-2>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XvJRE6Sm-lM, width=100%)]}}} || || '''{{{#ffffff {{{#!html 4차 PV (2분 버전)}}}}}}''' || ||<-2>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bqIzNz8WEU8, width=100%)]}}} || || '''{{{#ffffff {{{#!html 5차 PV (1분 버전)}}}}}}''' || ||<-2>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DFVSVrcGUY, width=100%)]}}} || || '''{{{#ffffff {{{#!html 6차 PV (공개 직전 영상 / 우정편)}}}}}}''' || ||<-2>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FqVs9yxUIDo, width=100%)]}}} || || '''{{{#ffffff {{{#!html 7차 PV (공개 직전 영상 / 세계편)}}}}}}''' || ||<-2>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scVPdE1c7E, width=100%)]}}} || || '''{{{#ffffff {{{#!html 8차 PV (공개 직전 영상 / 전투 편)}}}}}}''' || ||<-2>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dy0N1eYpiJo, width=100%)]}}} || || '''{{{#ffffff {{{#!html 세계 40개국 및 지역 상영 결정}}}}}}''' || ||<-2>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xZwWfirncS0, width=100%)]}}} || || '''{{{#ffffff {{{#!html 본 CM 30초}}}}}}''' || ||<-2>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EbGsk_DG6_M, width=100%)]}}} || || '''{{{#ffffff {{{#!html 국내 PV}}}}}}''' || ||<-2>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QFdLb_P744, width=100%)]}}} || || '''{{{#ffffff {{{#!html 국내 개봉 기념 성우들 인사 영상}}}}}}''' || ||<-2>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sx5dWUlOV-Y, width=100%)]}}} || || '''{{{#ffffff {{{#!html 아스나의 SAO 입문기 편}}}}}}''' || ||<-2>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bw2hrCOHZ6E, width=100%)]}}} || || '''{{{#ffffff {{{#!html 아스나 × 미토 우정 여행편 국내판}}}}}}''' || ||<-2>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nt0OQsrsOZY, width=100%)]}}} || || '''{{{#ffffff {{{#!html 4DX 예고편 영상}}}}}}''' ||}}}}}}}}} || == 제작 및 개봉 정보 == === 제작비화 === 당초 애니팀에서는 프로그레시브를 그대로 애니화할 생각이었다. 하지만 원작측인 미키 편집자는 이미 애니화한 1층이 있고 그대로 반복할 뿐인 것은 누구나 회의적일 거라 생각해서, 전작이 키리토 시점이라면 이번에는 아스나 시점에서 아스나를 주인공으로 한 프로그레시브가 탄생하였다. 원작자 카와하라 레키는 아스나의 캐릭터성이 부족하다 생각하였고 키리토처럼 주인공으로서 이야기를 끌고 갈 수 없다고 하였다. 그 부분을 보충하기 위해 그녀가 SAO에 로그인하기까지의 일을 그릴 필요가 있다 생각하였고 그렇게 해서 추가된 캐릭터가 바로 [[미토(소드 아트 온라인)|미토]]다. 생초보인 아스나가 그렇게 성장할 때까지 누군가 이끌어 주는 존재가 없었으면 말이 안되기에 그런 이미지를 부풀려 가며 만들었다. 아스나의 머리 모양은 특징적이니까 이런 머리모양이 된 데에도 분명 이유가 있을 거라 생각하여 미토가 그 역할을 하게 되었고, 이번엔 미토도 같은 머리모양을 함으로서 두 사람의 인연을 표현하였다. 처음 원작자 사이드는 원작과 패러렐 월드로 만드셔도 된다 생각했는데 만들어진 영상을 보니 애니팀 측의 배려로 원작과 같은 노선을 타고, TV시리즈에 미토가 없었던 이유는 프레임 밖에 비춰져 안보였던 것뿐이라는 인식으로 되게 되었다. 아스나 시점에서 만들기로 정한 뒤부터 감독으로 카와노 감독을 선출하였고 역시 여성시점이라 여성 감독의 시야에서 만드는 게 좋다 생각한 인선인 모양이라고 한다. 리틀 네펜트와의 전투에서 미토가 도망쳐버리는 부분이 가장 어려웠다고 한다. 어떻게 하면 시청자 분들에게 "이건 아스나를 두고 도망쳐도 어쩔 수 없네……"라고 받아들일 수 있을까 다 같이 고민했다고. 원작에선 목욕 장면에서 아르고가 출연하였지만 이번에는 아스나 시점의 이야기라서 그릴 수 없었다고 한다.(카와하라 레키) 그림체는 전작보다 좀 더 어른스러운 분위기로, 하지만 등신대는 14살이라는 걸 알 수 있게 의식하며 만들었다고 한다. 액션 디렉터인 카이는 묘사가 힘들다고 미토의 무기를 낫으로 하는 데에 회의적이었지만, 카와노 감독이 미토의 고독감을 표현하려면 낫 이외에 무기는 있을 수 없다 하여 결국 그 액션이 탄생하였다. 미토는 키리토의 여자아이 버전이란 이미지로서, 미토가 아스나를 가르치는 장면과 키리토가 클라인을 가르치는 장면은 의도적으로 겹치게 하였다. 미토의 아저씨 아바타는 초기에 다크계열의 미남이라는 설정이었다. 그 설정을 듣고 abec가 조금 두꺼운 느낌으로 만들었는데, 편집자 미키의 개입으로 지금의 기괴한 모습으로 완성되었다. 성우를 [[나카오 류세이]]로 하는 건 감독의 희망사항이었다. 보스전은 방전체를 3DCG 플로어를 사용하여 만들었고, 이런 화면은 좀처럼 다른 애니에서 볼 수가 없다. 보스전의 그 엄청난 앵글은 이 기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끝에 나온 것. 아스나가 미토의 머리를 땋아주는 장면은 로토스콥[* 실사영상을 트레이스하여 그려내는 기법] 기법을 사용해 그려졌다. 그 장면의 작화를 담당한 건 여성 애니메이터. 아스나를 이끌기에 키리토 혼자로는 무리기에 미토에게 역할을 분담하였다. 당초에 오리지널 전개 반, 원작 그대로를 반으로 할당하였다. 그 정도 되지 않으면 미토를 내는 의미가 없고 전에 했던 걸 반복할 뿐인 영화가 되기 때문에 리부트의 의의를 잃지 않기 위해서라고 한다. === 정식 개봉 국가 === ||<-2>
'''{{{#ffffff {{{#!html 개봉 국가 (볼드체는 영화시장 10대 국가)}}}}}}''' || ||
'''[[일본]]''' || [[2021년]] [[10월 30일]] || || [[싱가포르]] || [[2021년]] [[11월 20일]] || || [[홍콩]] || [[2021년]] [[11월 25일]] || || '''[[미국]]''', [[캐나다]] || [[2021년]] [[12월 3일]] || || '''[[대한민국]]''', '''[[호주]]''', [[뉴질랜드]] || [[2021년]] [[12월 9일]] || || '''[[영국]]''' || [[2021년]] [[12월 10일]] || || [[인도네시아]] || [[2022년]] [[1월]] || || '''[[프랑스]]''' || [[2022년]] [[1월 6일]] || || [[브루나이]], [[필리핀]], [[베트남]], [[말레이시아]], '''[[독일]]''', [[필리핀]], [[대만]], [[태국]], '''[[멕시코]]''', [[오스트리아]], [[아일랜드]], [[이탈리아]], '''[[중국]]''', ~~'''[[러시아]]'''~~ || 미정 || == 시놉시스 == >'''{{{+1 이것은 《섬광》과 《검은 검사》가 그 이름으로 불리기 전의 이야기.}}}''' > >그 날, 《너브기어》를 우연히 입어버린 《유우키 아스나》는 >본래 넷게임과는 무관하게 사는 중학교 3학년 소녀였다. > >게임 마스터는 말했다. >《이것은 게임이라도 놀이가 아니다.》 >게임에서의 죽음은 그대로 현실의 죽음으로 이어지고 있다. > >그것을 들었던 모든 플레이어가 혼란스러워, 게임내는 아비규환이 소용돌이쳤다. >그 중 한 명이었던 아스나이지만, >그녀는 세계의 룰도 모르는 채 정상이 보이지 않는 강철의 부유성《아인크라드》의 공략으로 내디뎠다. > >죽음과 이웃의 세계를 살아가는 가운데, 아스나에 방문하는 운명적인《만남》. >그리고 《이별》. > >《눈앞의 현실》에 농락당하지만, 열심히 싸우는 그녀의 앞에 나타난 것은, 고고의 검사 · 키리토였다. >---- >[[https://sao-p.net/story-character/story/|[[파일:소드 아트 온라인 프로그레시브.png|width=113]]]] == [[극장판 소드 아트 온라인 -프로그레시브- 별 없는 밤의 아리아/줄거리|전체 줄거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극장판 소드 아트 온라인 -프로그레시브- 별 없는 밤의 아리아/줄거리)] == 등장인물 == * '''[[키리토(소드 아트 온라인)|키리토]]''' (CV. [[마츠오카 요시츠구]])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616827954 (1).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소아온극장판키리토.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 || 자세한 내용은 [[키리토(소드 아트 온라인)|해당 문서]] 참조 * '''[[아스나(소드 아트 온라인)|아스나]]''' (CV. [[토마츠 하루카]])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616827954.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소아온극장판아스나.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hara_asuna_02.png|width=100%]]}}} || 자세한 내용은 [[아스나(소드 아트 온라인)|해당 문서]] 참조 * '''[[미토(소드 아트 온라인)|미토(ミト)]]''' (CV. [[미나세 이노리]], [[나카오 류세이]][* [[드래곤볼]] 시리즈의 [[프리저]] 성우로 유명하며, SAO가 데스게임화 되면서 본인의 얼굴로 바뀌기 전의 아바타일때의 한정. 이 때문에 나카오 류세이의 목소리가 나올 때마다 '프리저가 SAO에 왔다!' 등 드래곤볼 드립이 넘쳐난다.(...)] /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2]]]] [[아나이리스 퀴노네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616827954 (2).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소아온극장판미토.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hara_mito_02.png|width=100%]]}}} || 자세한 내용은 [[미토(소드 아트 온라인)|해당 문서]] 참조 [[극장판 소드 아트 온라인 -프로그레시브- 별 없는 밤의 아리아/등장인물|기타 등장인물]] == 주제가 == ||<-2>
'''{{{#ffffff {{{#!html 주제가}}}}}}[br]{{{#ffffff {{{#!html 往け}}}}}}[br]{{{#ffffff {{{#!html 가라}}}}}}'''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T9KcagzYZUY, width=100%)]}}} || ||<-2> '''{{{#57ade6,#57ade6 「뮤직 스테이션」×「극장판 소드 아트 온라인 -프로그레시브- 별 없는 밤의 아리아」특별 영상}}}'''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Ff7k1zxBe1I, width=100%)]}}} || ||<-2> '''{{{#57ade6,#57ade6 MV ver.}}}'''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Qf3KC5DxVm4, width=100%)]}}} || ||<-2> '''{{{#57ade6,#57ade6 Full ver.}}}''' || || '''노래''' ||<|2> [[LiSA(1987)|LiSA]] || || '''작사''' || || '''작곡''' || [[Ayase]][* 중간중간 코러스로도 참가한다.] || || '''편곡''' || 에구치 료(江口 亮)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콘티''' || - || || '''연출''' || - || || '''작화감독''' || - || || '''총 작화감독''' || - || }}}}}}}}} || ||<-2> {{{#!folding 가사 ▼ ||
'''絡まる''' || || 카라마루 || || 휘감기고 || || '''絡まる想いはちぐはぐ''' || || 카라마루 오모이와 치구하구 || || 휘감기는 그리움은 뒤죽박죽 || || '''髪ほどきながら''' || || 카미 호도키나가라 || || 머리카락 풀면서 || || '''「らしくない」''' || || 라시쿠나이 || || 「너답지 않아」 || || '''誰かが作り上げた私の自画像なんかで''' || || 다레카가 츠쿠리아게타 와타시노 지가조-난카데 || || 누군가가 만들어 준 나의 자화상 같은 걸로 || || '''微笑みはしない''' || || 호호에미와 시나이 || || 미소 짓지는 않을 거야 || || '''幾度となく“正しさ”は その形を変えるけど''' || || 이쿠도토나쿠 타다시사와 소노 카타치오 카에루케도 || || 수없이 많이 "올바름"은 그 형태를 바꾸지만 || || '''この胸のときめきだけ信じているわ''' || || 코노 무네노 토키메키다케 신지테-루와 || || 이 가슴의 두근거림만은 믿고 있어 || || '''「いけ、わたしよ 行け!」って''' || || 이케 와타시요 이켓테 || || 「가라, 자신아 가라!」고 || || '''もう、誰も追いつけない場所まで''' || || 모- 다레모 오이츠케나이 바쇼마데 || || 이제 누구도 쫓아올 수 없는 곳까지 || || '''加速していけ''' || || 카소쿠시테 이케 || || 속도를 더해 가라 || || '''運命なんて気にしてる暇ないんだって''' || || 운메- 난테 키니시테루 히마나인닷테 || || 운명 따위 신경 쓸 겨를 없다니까 || || '''「いま、わたしの今!」って''' || || 이마 와타시노 이맛테 || || 「지금, 자신의 지금!」이라고 || || '''そう、あの日の涙からの未来''' || || 소- 아노 히노 나미다카라노 미라이 || || 그래, 그 날의 눈물부터의 미래 || || '''辿り着いたわ''' || || 타도리 츠이타와 || || 그곳에 다다랐어 || || '''アスヘ 世界は万華鏡''' || || 아스에 세카이와 망게쿄- || || 내일로, 세상은 만화경 || || '''やるせない''' || || 야루세나이 || || 안타깝고 || || '''やるせない孤独のシグナルさえ''' || || 야루세나이 코도쿠노 시구나루사에 || || 안타까운 고독의 시그널조차 || || '''踊り明かそう''' || || 오도리 아카소- || || 밤새도록 춤추자 || || '''「悪くない」''' || || 와루쿠나이 || || 「나쁘지 않아」 || || '''何にもないあの夜も''' || || 나니모 나이 아노 요루모 || || 아무것도 없는 그 밤도 || || '''何かに怯えたあの頃も全て私''' || || 나니카니 오비에타 아노 코로모 스베테 와타시 || || 무언가에 두려워하던 그때도 모두 자신 || || '''戸惑いや裏切りに''' || || 토마도이야 우라기리니 || || 망설임이나 배신에 || || '''行き場のない感情を''' || || 유키바노 나이 칸죠-오 || || 갈 곳 없는 감정을 || || '''撒き散らした代償に''' || || 마키치라시타 다이쇼-니 || || 흩뿌렸던 대상에게 || || '''何を手にして来れたかな''' || || 나니오 테니시테 코레타카나 || || 무얼 들고 왔던 걸까 || || '''そう、''' || || 소- || || 그래, || || '''「ここだよ」叫びながら''' || || 코코다요 사케비나가라 || || 「여기야」 외치면서 || || '''「愛して」と願いながら''' || || 아이시테토 네가이나가라 || || 「사랑해줘」라고 기도하며 || || ''' 駆け出したこの道を走り続けるだけ''' || || 카케다시타 코노 미치오 하시리 츠즈케루다케 || || 달리기 시작한 이 길을 계속 달릴 뿐이야 || || '''「いけ、わたしよ 行け!」って''' || || 이케 와타시요 이켓테 || || 「가라, 자신아 가라!」고 || || '''もう、誰も追いつけない場所まで''' || || 모- 다레모 오이츠케나이 바쇼마데 || || 이제 누구도 쫓아올 수 없는 곳까지 || || '''乱気流さえ追い越して''' || || 란키류-사에 오이코시테 || || 난기류조차 뛰어넘어서 || || '''まだ知らない私を見たい''' || || 마다 시라나이 와타시오 미타이 || || 아직 내가 모르는 나를 보고 싶어 || || '''「いま、わたしの今!」って''' || || 이마 와타시노 이맛테 || || 「지금, 자신의 지금!」이라고고 || || '''そう、確かに描いていた未来''' || || 소- 타시카니 에가이테이타 미라이 || || 그래, 분명하게 그려왔던 미래 || || '''やり遂げたいの''' || || 야리토게 타이노 || || 끝까지 해내고 싶어 || || '''誰のせいにもしない''' || || 다레노 세-니모 시나이 || || 누구의 탓도 하지 않을 거야 || || '''昔から弱虫のくせに''' || || 무카시카라 요와무시노 쿠세니 || || 옛날부터 겁쟁이였던 주제에 || || '''気づかないふりをしてきたね''' || || 키즈카나이 후리오 시테키타네 || || 눈치채지 못한 척을 하고 있었네 || || '''「ツラくない」''' || || 츠라쿠나이 || || 「괴롭지 않아」 || || '''“大事”だって守りながら''' || || 다이지닷테 마모리나가라 || || "소중"하다고 지키면서 || || '''いつも「大丈夫」って笑いながら''' || || 이츠모 다이죠붓테 와라이나가라 || || 언제나 「괜찮다」고 웃으면서 || || '''「変わりたい」と泣いていた''' || || 카와리타이토 나이테-타 || || 「변하고 싶어」라 울고 있었어 || || '''「ごめんね」って やっと聞こえない残響になった''' || || 고멘넷테 얏토 키코에나이 잔쿄-니 낫타 || || 「미안해」 들리지 않는 잔향이 되었어 || || '''時を追い越して もう、そこにはいないの私''' || || 토키오 오이코시테 모- 소코니와 이나이노 와타시 || || 시간을 뛰어넘어서 이젠 거기에 난 없어 || || '''「置いて行け!」そうね''' || || 오이테이케 소-네 || || 놓고가! 그러네 || || '''思い出に浸ることもない程 今に夢中''' || || 오모이데니 히타루 코토모 나이 호도 이마니 무츄- || || 추억에 잠기지 않을 정도로 지금에 집중하고 있어 || || '''「わたしよ 行け!」って''' || || 와타시요 이켓테 || || 「자신아 가라!」고 || || '''もう、誰も追いつけない場所まで''' || || 모- 다레모 오이츠케나이 바쇼마데 || || 이제 누구도 쫓아올 수 없는 곳까지 || || '''加速していけ''' || || 카소쿠시테 이케 || || 속도를 더해 가라 || || '''運命なんて気にしてる暇ないんだって''' || || 운메- 난테 키니시테루 히마나인닷테 || || 운명 따위 신경 쓸 겨를 없다니까 || || '''「いま、わたしの今!」って''' || || 이마 와타시노 이맛테 || || 「지금, 자신의 지금!」이라고 || || '''そう、あの日の涙からの未来''' || || 소- 아노 히노 나미다카라노 미라이 || || 그래, 그 날의 눈물부터의 미래 || || '''辿り着いたわ''' || || 타도리 츠이타와 || || 그곳에 다다랐어 || || '''嗚呼、まだみてみたいの''' || || 아- 마다 미테미타이노 || || 아 계속 보고 싶어 || || '''嗚呼、キミト アスへ 世界は万華鏡''' || || 아- 키미토 아스에 세카이와 망게쿄- || || 아 당신과 내일로, 세상은 만화경 || || '''원어 가사 출처: [[https://www.lyrical-nonsense.com/lyrics/lisa/yuke/|[[파일:Lyrical Nonsence Logo.png|height=20]] {{{#57ade6,#57ade6 LYRICAL NONSENSE}}}]]''' || }}} || == OST == ||<-3>
'''{{{#57ade6,#57ade6 극장판 소드 아트 온라인 -프로그레시브- 별 없는 밤의 아리아 오리지널 사운드트랙}}}'''[br]'''{{{#57ade6,#57ade6 Sword Art Online The Movie -Progressive-[br]Aria Of A Starless Night Original Soundtrack}}}''' || ||<-3> [[파일:Sword Art Online The Movie -Progressive- Aria Of A Starless Night Original Soundtrack.jpg|width=100%]] || ||<-3> [[파일:jk_ost_2.jpg|width=100%]] || || 번호 || 곡명 || 비고(음악 길이) || || 01 || [[https://youtu.be/nHtdHknhjJI|counting down]][* 키리토의 테마곡 "Swordland"의 어레인지] || 1:46 || || 02 || welcome to this world ~progressive mix || 1:29 || || 03 || one day, one morning || 1:22 || || 04 || sometimes I feel alone || 1:36 || || 05 || she is my friend || 1:58 || || 06 || she is my friend #2 || 0:54 || || 07 || sometimes I feel alone #2 || 0:23 || || 08 || she is my friend #3 || 0:33 || || 09 || welcome to this land of sword || 0:38 || || 10 || please enter your name || 1:25 || || 11 || aincrad ~progressive mix || 1:35 || || 12 || who are you!? || 1:02 || || 13 || the first town ~progressive mix || 1:55 || || 14 || walking around together || 1:26 || || 15 || he rules us ~progressive mix || 2:36 || || 16 || death game ~progressive mix || 2:09 || || 17 || muddling through somehow || 0:40 || || 18 || I know you are my friend || 1:28 || || 19 || you can do it! || 1:29 || || 20 || together we go further || 1:25 || || 21 || terrible trap || 1:37 || || 22 || I’m not putting you in danger || 2:12 || || 23 || together we go further #2 || 1:26 || || 24 || driven to the wall || 4:42 || || 25 || and now he is here || 0:51 || || 26 || the distance between || 1:32 || || 27 || log out? || 0:39 || || 28 || in her dream || 1:22 || || 29 || she had to decide || 1:18 || || 30 || beta tester || 1:09 || || 31 || she was my friend || 0:15 || || 32 || marching down || 0:23 || || 33 || so yummy!! || 0:21 || || 34 || what did you say!? || 0:24 || || 35 || just chilling out || 1:31 || || 36 || what to believe || 0:31 || || 37 || I knew she was my friend || 1:40 || || 38 || we just have to survive || 0:41 || || 39 || [[https://youtu.be/Y-D7Lz14IDE|to the fierce battlefield]][* 아스나의 테마곡 "Luminous Sword"와 키리토의 테마곡 "Swordland"의 어레인지] || 4:06 || || 40 || panic || 0:26 || || 41 || together we could go further || 1:36 || || 42 || [[https://youtu.be/9z7N2QbHkMg|we will finish this game]][* 아스나의 테마곡 "Luminous Sword"의 어레인지] || 2:39 || || 43 || live through our swordland || 1:53 || || 44 || time of victory || 0:38 || || 45 || beta tester #2 || 1:12 || || 46 || I’m a Beater || 1:54 || || 47 || there is a whole world out there || 4:21 || 일본 현지 일정으로 2021년 10월 29일 발매가 되었다.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sword-art-online-progressive---aria-of-a-starless-night, critic=없음, user=없음)]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sword_art_online_the_movie_progressive_aria_of_a_starless_night, tomato=80, popcorn=95)] [include(틀:평가/IMDb, code=tt13424422, user=7.2)]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sword-art-online-the-movie-progressive-aria-of-a-starless-night, user=3.3)] [include(틀:평가/알로시네, code=287946, presse=없음, spectateurs=3.6)]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4511922, user=7.2)]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374051, user=4.0)] [include(틀:평가/Filmarks, code=93812, user=3.9)]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30359166, user=8.1)] [include(틀:평가/야후! 키모, code=11504, user=4.3)] [include(틀:평가/왓챠, code=m5ek8vR, user=3.7)]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99016, light=83.33)]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208872, expert=5.00, audience=8.50, user=8.56)]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155229, user=7.8)] [include(틀:평가/CGV, code=85446, egg=93)] [include(틀:평가/TMDB, code=761898, user=82)] [include(틀:평가/라프텔, code=40563, user=4.7)] [include(틀:평가/MyAnimeList, code=42916, user=8.01)] > '''우정과 사랑 그리고 서바이벌''' > - 오진우 ([[씨네21]]) (★★☆) === 호평 === ==== 작화 및 연출 ==== >CG기술의 진화가 엄청나군요! 클라이막스 보스전의 약동감에 압도되었습니다. >좋아하는 장면을 다시 한 번 보는 반가움과 새로운 SAO를 보는 재미가 혼재되어 있어서 원작 팬도 처음 SAO를 보는 분도 즐길 수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 >[[마츠오카 요시츠구]] >그림 자체도 굉장하지만 대사나 음악이 붙으니 더욱 박력이 나오네요. 역시 애니는 종합예술이라고 생각했습니다. >---- >[[abec]] >앨리시제이션 편을 본 시점에서 "영화로 보고 싶은 화면이구나"라고 생각했는데 별 없는 밤의 아리아는 그보다도 더욱 풍부한 영화가 되어 있어 놀랐습니다. >---- >[[카와하라 레키]] 연출과 작화도 좋고 잘 만든 수작이라는 평이다. 극장판인 만큼 작화에 힘이 크게 들어갔으며, 일상 작화부터 액션작화, 세세한 작화부터 역동적인 작화까지 시리즈 최고의 작화력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액션 연출은 [[카이 야스유키]]가 했으며 TV판의 연출을 차용하면서도 더 많은 이펙트와 작화 매수를 사용해 호평을 받고 있다. 기존의 소아온이 주로 받던 비판중 하나가 "키리토가 너무 인간적인 캐릭터가 아니라서 키리토의 시선을 베이스로한 연출에 몰입이 안된다." 였는데, 이 작품에선 키리토가 아닌 초보자인 아스나의 시선으로 연출 하는 방식을 택했다. 따라서 기존의 인위적인 연출은 사라지고 현실성이 부여된 생동감있는 연출을 보여준다. 사건에 긴장감이 부족했던 오디널 스케일에 비해, 등장인물들이 죽음에 직면하는 장면을 그려내고, 그 부분을 생동감 있는 화면과 비명으로 연출해내어 사건의 발생지점마다 큰 긴장감을 준다. 아스나랑 키리토는 어차피 죽지 않는다는 걸 뻔히 알고 있으면서도 긴박한 표정만으로 긴장감이 전해질 정도다. 그에 더해 [[미토(소드 아트 온라인)|미토]]는 생사가 불명인 부분도 있어 위기에 처하면 정말 어떻게 되나 손에 땀을 쥐게 된다. ==== 스토리 및 캐릭터 ==== 줄거리에서도 호평이 상당한데, 아무래도 기존 작품의 문제점들을 작가가 직접 갈아 엎어버린거라서 스토리 측면에서도 보완이 된 것이 많다. 원작자인 카와하라 레키가 아스나의 캐릭터성이 부족하다 판단하여 신 캐릭터인 [[미토(소드 아트 온라인)]]를 추가하자 제안하여 과거사를 추가하였는데, 두 사람이기에 보여주는 약한 부분과 인간적이고 귀여운 부분들 덕에 확실히 캐릭터성이 몇 배로 올라갔고, 지금의 아스나의 강함은 미토와의 사이에 있었던 여러 일을 계기로 터득한 강함이라는 의미가 부여되어 캐릭터가 몇 배나 드라마틱하고 뜻 깊어졌다고 한다. 기승전결과 갈등이 뚜렷한 부분도 호평이다. 극장 애니는 갈등의 해소의 순간에 힘을 집중해서 관객을 매료하는 일이 많은데[* 대표적으로는 [[날씨의 아이]]] 뚜렷하여 여기라고 알기 쉬운 갈등의 해소와 그 순간 3DCG 플로어를 맘껏 활용한 카메라워크가 그야말로 압권. 딱 들어맞게 근본 브금인 루미너스 소드를 롱 런 활용하는 부분도 빼놓을 수 없다. 특히 4DX와의 조합이 엄청나다. 누구라도 같은 선택을 할 어찌하지도 못할 상황에 놓여버린 미토의 사건이, 자신이라면 어떻게 했을까 생각하게 만들어서 몰입감을 높이고 가슴을 아프게 한다. 이야기 자체만으로도 굉장히 드라마틱한데 그에 그치지 않고 도중에 편입된 오리지널 캐릭터가 이렇게까지 주인공과 이야기에 큰 의의를 부여할 수 있게 만든 감독과 제작 일동의 역량에 감탄하는 사람이 많다. [[미토(소드 아트 온라인)|미토]]도 그 유의미함 뿐만 아니라, 캐릭터 자체가 굉장히 공을 들여놨고 다양한 갭 모에와 갈등을 선보여 캐릭터가 굉장히 입체적이고 귀엽고 여태까지 소아온 시리즈에 없었던 인간미 있는 캐릭터로서 탈(脫)오리지널 캐릭터 급으로 잘 만들어졌다는 평이 지배적. 주역 캐들과 같이 굿즈가 나올때마다 제일 먼저 매진되는 등 엄청난 인기를 끌고 있다. === 호불호 === 주인공을 아스나로 하여 모든 장면에서 기존의 TVA와 다른 맛을 보여줬지만 그 새로운 맛을 캐치해내지 못해낸 불호도 꽤 있다. 사실상 원작에서도 아르고가 비중이 많다고 말할 수 없지만, 아스나 입욕 후에 얼굴 비춘 장면이 마지막에 잠깐 얼굴 비추는 장면으로 바뀐 것에 아쉬워 하는 사람도 있다. == 수상 == 2022~2023 뉴타입 어워드에서 극장상영작, 작품상 등, 거의 모든 상을 쓸어담았다. https://webnewtype.com/news/info/entry-23522.html 9th 애니메 트렌딩에서 올해 최고의 영화로 선정되었다. 소아온 애니가 10년차 되던 해이지만 여태 소아온이 입성한 것은 처음이다. https://twitter.com/AniTrendz/status/1629691059155480579 == 흥행 == === [[일본]] === ||<-5>
{{{#ffffff '''일본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2021년 43주차 ||<|2> → || '''2021년 44주차''' ||<|2> → || 2021년 45주차 || || [[극장판 트로피컬 루즈! 프리큐어 눈의 프린세스와 기적의 반지!]] || {{{#bc002d '''극장판 소드 아트 온라인 -프로그레시브- 별 없는 밤의 아리아'''}}} || [[이터널스(영화)|이터널스]] || ||<-5> [[http://www.kogyotsushin.com/archives/weekend/|흥행통신]] [[https://www.boxofficemojo.com/weekend/by-year/?area=JP|박스오피스 모조]] [[http://www.kobis.or.kr/kobis/business/stat/boxs/findWeekendForeignBoxOfficeList.do|KOBIS]] || ||{{{#!folding[  개봉 1주차 순위  ] [[파일:2021년 10월 마지막 주 일본 박스오피스.png]]}}} || 개봉 첫 주차에 일본 박스오피스 1위에 올랐다. ||{{{#!folding[  개봉 2주차 순위  ] [[파일:2021년 11월 1주차 일본 박스오피스.png]]}}} || 개봉 2주차에 [[일본]] [[박스오피스]] 5위로 내려 앉았다. ||{{{#!folding[  개봉 3주차 순위  ] [[파일:2021년 11월 2주차 일본 박스오피스.png]]}}} || 개봉 3주차에 [[일본]] [[박스오피스]] 4위로 한 계단 상승하였다. ||{{{#!folding[  개봉 4주차 순위  ] [[파일:2021년 11월 3주차 일본 박스오피스.png]]}}} || 개봉 4주차에 일본 박스오피스 6위로 내려 앉았다. ||{{{#!folding[  개봉 5주차 순위  ] [[파일:2021년 11월 마지막주 일본 박스오피스.png]]}}} || 개봉 5주차에 일본 박스오피스 9위로 내려 앉았다. 11월 19일부로 10억엔을 돌파하였다.[[https://twitter.com/sao_anime/status/1461620272700657668|#]] ||{{{#!folding[  개봉 6주차 순위  ] [[파일:2021년 12월 1주차 일본 박스오피스.png]]}}} || 개봉 6주차에 일본 박스오피스 7위로 상승하였다. ||{{{#!folding[  개봉 7주차 순위  ] [[파일:2021년 12월 2주차 일본 박스오피스.png]]}}} || 개봉 7주차에 일본 박스오피스 8위로 내려 앉았다. ||{{{#!folding[  개봉 8주차 순위  ] [[파일:2021년 12월 3주차 일본 박스오피스.png]]}}} || 개봉 8주차만에 일본 박스오피스 Top 10 밖으로 밀려났다. 일본 내 흥행수익 15억엔 돌파로, 역대 심야 애니 극장판 TOP10 내에 들어서 대흥행했다. 귀멸의 칼날, 주술회전 극장판이 치고 올라오기 전까지 역대 1위였던 오디널 스케일의 비해 다소 떨어진 수치지만 세월의 풍파를 맞고 1기에 비해 3분의1 내지 4분의1로 판매량이 떨어진 앨리시제이션을 생각하면 기대를 훨씬 웃도는 수치. === [[대한민국]] === ||<-7>
'''대한민국 누적 관객 수''' || || '''주차''' || '''날짜''' || '''일일 관람 인원''' || '''주간 합계 인원''' || '''순위''' || '''일일 매출액''' || '''주간 합계 매출액''' || ||<|7> 1주차 ||2021-12-09. 1일차(목) || 5,749명 ||<|7> 18,709명 || 5위 || 59,607,000원 ||<|7> 202,846,200원 || ||2021-12-10. 2일차(금) || 2,611명 || 8위 || 29,476,700원 || ||2021-12-11. 3일차(토) || 4,459명 || 8위 || 49,797,800원 || ||2021-12-12. 4일차(일) || 3,219명 || 9위 || 35,634,200원 || ||2021-12-13. 5일차(월) || 1,041명 || 11위 || 10,904,600원 || ||2021-12-14. 6일차(화) || 1,219명 || 11위 || 12,923,900원 || ||2021-12-15. 7일차(수) || 411명 || 10위 || 4,502,000원 || ||<|7> 2주차 ||2021-12-16. 8일차(목) || 1,421명 ||<|7> 6,956명 || 6위 || 14,419,000원 ||<|7> 74,767,300원 || ||2021-12-17. 9일차(금) || 1,069명 || 5위 || 11,755,800원 || ||2021-12-18. 10일차(토) || 1,611명 || 5위 || 17,913,000원 || ||2021-12-19. 11일차(일) || 1,497명 || 5위 || 16,358,800원 || ||2021-12-20. 12일차(월) || 449명 || 8위 || 4,761,100원 || ||2021-12-21. 13일차(화) || 534명 || 8위 || 5,641,400원 || ||2021-12-22. 14일차(수) || 375명 || 11위 || 3,918,200원 || ||<|7> 3주차 ||2021-12-23. 15일차(목) || 1,309명 ||<|7> 5,163명 || 8위 || 13,449,600원 ||<|7> 54,025,700원 || ||2021-12-24. 16일차(금) || 785명 || 10위 || 8,610,400원 || ||2021-12-25. 17일차(토) || 1,148명 || 8위 || 12,334,300원 || ||2021-12-26. 18일차(일) || 942명 || 8위 || 10,390,800원 || ||2021-12-27. 19일차(월) || 310명 || 14위 || 3,234,600원 || ||2021-12-28. 20일차(화) || 321명 || 15위 || 3,271,000원 || ||2021-12-29. 21일차(수) || 348명 || 18위 || 2,735,000원 || ||<|7> 4주차 ||2021-12-30. 22일차(목) || 646명 ||<|7> 2,328명 || 14위 || 6,603,700원 ||<|7> 25,058,300원 || ||2021-12-31. 23일차(금) || 476명 || 15위 || 5,325,500원 || ||2022-01-01. 24일차(토) || 432명 || 11위 || 4,749,400원 || ||2022-01-02. 25일차(일) || 371명 || 12위 || 4,098,700원 || ||2022-01-03. 26일차(월) || 139명 || 17위 || 1,516,500원 || ||2022-01-04. 27일차(화) || 157명 || 19위 || 1,678,900원 || ||2022-01-05. 28일차(수) || 107명 || 21위 || 1,085,600원 || ||<|7> 5주차 ||2022-01-06. 29일차(목) || 769명 ||<|7> 2,631명 || 8위 || 7,323,200원 ||<|7> 26,058,500원 || ||2022-01-07. 30일차(금) || 244명 || 15위 || 2,570,100원 || ||2022-01-08. 31일차(토) || 296명 || 12위 || 3,267,800원 || ||2022-01-09. 32일차(일) || 277명 || 11위 || 3,038,700원 || ||2022-01-10. 33일차(월) || 94명 || 25위 || 932,700원 || ||2022-01-11. 34일차(화) || 230명 || 13위 || 1,909,000원 || ||2022-01-12. 35일차(수) || 721명 || 13위 || 7,017,000원 || ||<|7> 6주차 ||2022-01-13. 36일차(목) || 372명 ||<|7> 2,654명 || 17위 || 3,689,000원 ||<|7> 26,221,000원 || ||2022-01-14. 37일차(금) || 303명 || 16위 || 3,185,000원 || ||2022-01-15. 38일차(토) || 509명 || 16위 || 5,183,000원 || ||2022-01-16. 39일차(일) || 400명 || 16위 || 4,100,000원 || ||2022-01-17. 40일차(월) || 130명 || 17위 || 1,270,000원 || ||2022-01-18. 41일차(화) || 163명 || 17위 || 1,588,000원 || ||2022-01-19. 42일차(수) || 777명 || 16위 || 7,206,000원 || ||<|6> 7주차 ||2022-01-20. 36일차(목) || 294명 ||<|6> 1,687명 || 27위 || 2,886,000원 ||<|6> 17,340,000원 || ||2022-01-21. 37일차(금) || 259명 || 21위 || 2,696,000원 || ||2022-01-22. 38일차(토) || 398명 || 20위 || 4,242,000원 || ||2022-01-23. 39일차(일) || 355명 || 20위 || 3,778,000원 || ||2022-01-24. 40일차(월) || 172명 || 21위 || 1,668,000원 || ||2022-01-25. 41일차(화) || 209명 || 25위 || 2,070,000원 || || '''합계''' ||<-6> '''누적관객수 40,128명, 누적매출액 426,317,000원'''[* ~ 2022/01/25 기준] || *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 ## 1위를 차지할 시 순위에 볼드체를 적용해 주세요. ## 날짜는 개봉 일정에 맞게 변경해 주세요. [[2021년]] [[12월 9일]]에 [[CGV]]에서 단독 개봉했다. 1주차와 달리 2주차부터는 상영관 수가 반토막 수준으로 줄었는데,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을 위해 상영관 및 상영시간을 줄인 것으로 보인다. 한국 개봉일과 백신패스[* 3차 백신까지 맞지 않으면 영화관 입장불가.] 적용일이 겹치는 희대의 악재를 맞고 시작했다. 그 다음 주에는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 이라는 21년 최대의 깡패가 개봉하는 악재까지 겹쳐지면서 보기 드물 정도로 운이 없었던 와중에서 관객 수 4만 명이면 상당히 선방했다.--정작 그 백신패스는 소아온이 상영관에서 내려가기 직전에 끝났다.-- 더불어 수입사인 애니플러스는 자사의 애니들 평균을 하회하는 홍보력을 보여줬다.--소아온에 무슨 원한 있냐-- === [[북미]] === 개봉 첫 주에 105만 달러를 벌어서 박스오피스 10위를 차지했다. === [[중국]] === == Blu-ray & DVD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별 없는 밤의 아리아 Blu-ray & DVD.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4.8px -10px -6px" [youtube(Pvw0SoXrVgk, width=100%)]}}} || || '''{{{#ffffff {{{#!html Blu-ray & DVD 발매 고지 CM}}}}}}''' || * '''발매일''' : 2022년 7월 8일 (금) * '''완전 생산 한정판''' * Blu - ray : 9,900엔 (세금 포함) ANZX - 14040 ~ 14041 * DVD : 8,800엔 (세금 포함) ANZB - 14040 ~ 14041 * '''통상판''' * Blu - ray : 6,380엔 (세금 포함) ANSX - 14040 * DVD : 5,280엔 (세금 포함) ANSB - 14040 * '''완전 생산 한정판 / 통상판 공통 수록 내용''' * '극장판 소드 아트 온라인 - 프로그레시브 - 별없는 밤의 아리아' 본편 * 자막 : 배리어 프리 일본어/영어 * 음성 : 배리어 프리 일본어 음성 가이드 * '''완전 생산 한정판 특전''' * 애니메이션 10주년 이벤트 「소드 아트 온라인 -풀다이브-」 티켓 우선 판매 신청권 * 원작자 : 카와히라 레키 신작 소설(일러스트 : abec)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659337173.jpg|width=100%]]}}} || [[카와하라 레키]]의 '''신작 특전 소설 「메모러블 송」''' >'''줄거리''' > >"아스나 미안해, 약속……못 지키겠어." > >그날. 네펜트 무리를 앞두고 친한 친구를 버리고 도망친 죄는 [[미토(소드 아트 온라인)|미토]]/토자와 미스미의 마음을 깊이 괴롭히고 있었다. >구제, 또는 벌을 바라며 방황하는 그녀는 제1층의 맨 끝에서 《레이젤 마을(レーゼルの村)》에 이르게 된다. 거기서 기다리고 있던 것은, 두 플레이어와의 만남이었다. >한 사람은 애슐리라고 이름을 밝힌 소탈한 외모의 여성 플레이어. 그리고 또 한 사람은, 마음에 스며드는 노랫소리를 울리는 유나라는 이름의 소녀. > >그녀들과의 해후는 상처받은 미토의 영혼에 무엇을 가져다 줄 것인가──. >이것은 아스나와의 이별과, 플로어 보스 공략전 사이의 미싱 링크를 메우는 또 하나의 『[[별 없는 밤의 아리아]]』의 이야기. > >【분량】 72페이지 * 캐릭터 디자인 · 총작화 감독 : 토야 켄토가 신작 일러스트 BOX 사양 * 특제 소책자 * 특전 CD * 「RECROSSING WAYS」 캐릭터송 : 아스나 (CV : 토마츠 하루카), 미토 (CV : 미나세 이노리) * 「REGENERATE BRAVE」 캐릭터송 : 미토 (CV : 미나세 이노리) * '''특전영상''' * 개봉 직전 특별 프로그램 '극장판 SAO -프로그레시브- 별 없는 밤의 아리아 인사이드 스토리' * 이벤트 영상집 * 특보 · PV · CM집 * '''특전 음성''' * 오디오 코멘터리 * Dolby Atmos * DTS Headphone : X === BD 점포 특전 === [[파일:1661148825.jpg|width=600]] '''점포 공동특전''' abec 신작 일러스트 B5사이즈 캔버스 일러스트 카드 [[파일:1661148818.jpg|width=600]] '''ANIPLEX+''' abec 신작 일러스트 사용 캐릭터 파인그래프(번들 세트 굿즈) [[파일:FUOENE2VEAAOBvf.jpg|width=600]] '''애니메이트''' 신작 일러스트 사용 A4클리어 파일&아크릴 코스터&원형 스티커 오리지널 미니 캐릭터 아크릴 스탠드 3개 세트(번들 세트 굿즈) [[파일:FUOF0L6UYAIk__A.jpg|width=600]] '''라쿠텐북스''' 포스트 카드 5장 세트&신작 일러스트 사용 아크릴 스탠드 신작 일러스트 사용 등신대 침대 시트(번들 세트 굿즈) [[파일:body_172748.jpg|width=600]] '''HMV・@Loppi''' 신작 일러스트 사용 A3클리어 포스터 신작 일러스트 사용 캐릭터 파인매트(번들 세트 굿즈) [[파일:61SR0h8u4yL._AC_SX522_.jpg]] '''Amazon''' 클리어 책갈피&신작 일러스트 사용 B2천 포스터 신작 일러스트 사용 캐릭터 파인그래프(번들 세트 굿즈) [[파일:1661150445.jpg|width=600]] '''소프맵, 애니메가(ソフマップ・アニメガ)''' 신작 일러스트 사용 B2태피스트리 신작 일러스트 사용 풀 그래픽 T셔츠(번들 세트 굿즈) [[파일:img_tower.jpg]] '''타워레코드''' A4클리어 파일 [[파일:1661148884.jpg]] '''WonderGOO/新星堂''' 클리어 스탠드&캔뱃지 [[파일:sword_art_online_2950-723x1024.jpg|width=600]] '''아미아미 온라인 샵''' 아크릴 키홀더 A2클리어 포스터(번들 세트 굿즈) [[파일:yande.re_883924_sample_ass_asuna_(sword_art_online)_ishida_kana_mito_(sword_art_online)_sword_sword_art_online_sword_art_online_progressive_weapon (1).jpg|width=750]] '''Getchu.com(げっちゅ屋)''' A3클리어 포스터 [[파일:1661148850.jpg]] '''Joshinディスクピア''' 아크릴 키홀더 [[파일:FZTuzaXaQAIglYI.jpg|width=600]] '''ビックカメラ''' B2태피스트리[* 기존에 있던 상품 일러 재탕인데도 불구하고 제일 먼저 재고가 소진됐다.] == 방문자 특전 == === 일본 === * '''대히트 감사 무대 인사 특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별 없는 밤의 아리아 무대인사 특전.jpg|width=100%]]}}} || '''한정 A4 클리어 파일''' {{{#!folding 1~9주차 특전 [ 펼치기 · 접기 ] * '''1주차 특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별 없는 밤의 아리아 1주차 특전0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별 없는 밤의 아리아 1주차 특전0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별 없는 밤의 아리아 1주차 특전03.jpg|width=100%]]}}} || [[abec]] '''신작 엽서'''(3종 랜덤) * '''2주차 특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별 없는 밤의 아리아 2주차 특전.jpg|width=100%]]}}} || 토야 켄토(戸谷賢都)가 그린 '''일러스트 색지 카드''' (2종 랜덤) * '''4D 상영 한정 방문자 특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별 없는 밤의 아리아 4D 특전.jpg|width=100%]]}}} || '''특제 엽서''' * '''3주차 특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별 없는 밤의 아리아 3주차 특전 단편소설.png|width=100%]]}}} || [[카와하라 레키]]의 '''신작 특전 소설 「그 다음 날」''' 솔로 플레이어 [[키리토(소드 아트 온라인)|키리토]]가 [[아스나]]를 만날 때까지를 그리는 전날의 이야기! 커버 일러스트는 원작 일러스트레이터 [[abec]]의 신작!! >'''줄거리''' >2022년 11월 6일. 데스게임이 시작된 그날 >《시작도시》를 뛰쳐나온 [[키리토(소드 아트 온라인)|키리토]]는 《호룬카 마을》로 향했다. >목적은 고난도 퀘스트[* 숲의 비약 퀘스트]의 보상인 강력한 한손용 직검 《애닐 블레이드》이다. >다른 플레이어[* 본편 8권에서 등장한 '코펠']에 의한 MPK(몬스터 플레이어 킬) 위험에 처하면서도 [[키리토(소드 아트 온라인)|키리토]]는 간신히 살아남아 보상을 손에 넣었다. >그런 그를 예상치 못한 인물이 찾아온다. >「당신이 팔아 줬으면 하는 게 있어」 > >그 인물―― 정보상을 지망하고 있다고 하는, 수수께끼 같은 플레이어 · [[아르고(소드 아트 온라인)|아르고]]가, [[키리토(소드 아트 온라인)|키리토]]에게 꺼낸 이야기란――? >나중에 《아인크라드》에 그 이름을 떨치는, 최강의 솔로 플레이어《검은검사》와, 굉장한 정보상《생쥐》. >그동안 얘기되지 않았던 두 사람의 만남이 원작자 [[카와하라 레키]]에 의해 밝혀진다. * '''4주차 특전'''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별 없는 밤의 아리아 4주차 특전.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4.8px -10px -6px" [youtube(waHreztF0qc, width=100%)]}}} || [[카와하라 레키]] 신작 [[리즈벳]]과 [[시리카]]의 이야기 '''보이스 드라마 시리얼 코드 포함 엽서''' 일러스트는 원작 일러스트레이터 [[abec]]의 신작!! 현재 청취가능 기간 만료 >'''개요''' >2022년 11월 6일. >《소드 아트 온라인》이 데스게임이 되었던 그날. >절망의 구렁텅이에 몰린 《그녀들》은, 어떻게 한 걸음을 내디뎠는가--. >본편의 인기 캐릭터 [[리즈벳]]과 [[시리카]], 각각의 《시작의 날》을, >원작자 [[카와하라 레키]]가 집필한 각본으로 그리는 보이스 드라마. >이는 언젠가 [[키리토(소드 아트 온라인)|키리토]]와 [[아스나(소드 아트 온라인)|아스나]]를 만날 그녀들의 시작의 이야기. * '''5주차 특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별 없는 밤의 아리아 5주차 특전.jpg|width=100%]]}}} || '''엔딩 일러스트 카드'''(2종 랜덤) * '''6주차 특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별 없는 밤의 아리아 6주차 특전01.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별 없는 밤의 아리아 6주차 특전02.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별 없는 밤의 아리아 6주차 특전03.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별 없는 밤의 아리아 6주차 특전04.jpg|width=100%]]}}} || '''극장판 소드 아트 온라인 - 프로그레시브 - 별 없는 밤의 아리아 "뒷" 공략본''' 【크기 및 쪽수】 A4 사이즈, 16페이지 【수록 내용】 * 스포일러 가득! 이것을 읽으면 본편을 더욱 즐길 수 있을 것임에 틀림없다! * 「극장판 소드 아트 온라인 - 프로그레시브 - 별 없는 밤의 아리아」의 메인 스태프가 모든 것을 말하는 제작진 좌담회 수록! 멤버: 카와노 아야코 (감독), 키자와 유키토 (각본), [[카와하라 레키]] (원작·스토리 원안), 오오사와 노부히로 (수석 프로듀서), 니와 마사키 (프로듀서), 시부야 아키히사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미키 카즈마 (원작 담당 편집, 치프 프로듀서) * 원작 일러스트레이터 [[abec]]에 의한 캐릭터 원안을 비롯해, 귀중한 설정 자료를 게재! * [[아스나]]의 목욕 장면 원화의 일부를 대공개! * '''7주차 특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별 없는 밤의 아리아 7주차 특전.jpg|width=100%]]}}} || '''35mm 필름 프레임''' * '''8주차 특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별 없는 밤의 아리아 8주차 특전.jpg|width=100%]]}}} || '''복제 원화 3장 세트(3종 랜덤)''' * '''대히트 감사 특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별 없는 밤의 아리아 9주차 특전.jpg|width=100%]]}}} || '''1. abec신작 일러스트를 사용한 대히트 답례 색지 포트레이트''' '''2. 3주차 특전이였던 카와하라 레키 신작 특전 소설 「그 다음 날」 전자책 선물 카드''' }}} * '''New Year 방문자 특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별 없는 밤의 아리아 NewYear 방문자특전.jpg|width=100%]]}}} || '''New Year 카드''' === 대한민국 === * '''1주차 특전''' [[https://twitter.com/ANIPLUSTV/status/1465923431052967940?s=20|출처]]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별 없는 밤의 아리아 1주차 특전0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별 없는 밤의 아리아 1주차 특전0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별 없는 밤의 아리아 1주차 특전03.jpg|width=100%]]}}} || [[abec]] '''신작 엽서'''(3종 중 1종 선착순 증정)[* 일본 1주차 특전하고 같은 엽서. 다만 일본과 달리 엽서 뒷면의 무기 그림이 키리토와 아스나 한정으로 서로 뒤바뀐 인쇄 오류 사례가 많이 보고되고 있다.] * '''2주차 특전''' [[http://www.cgv.co.kr/culture-event/event/detailViewUnited.aspx?seq=33667&menu=004|출처]]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별 없는 밤의 아리아 2주차 특전.jpg|width=100%]]}}} || 토야 켄토(戸谷賢都)가 그린 '''일러스트 색지 카드''' (2종 랜덤 선착순 증정)[* 일본 2주차 특전하고 같은 색지 카드.] * '''3주차 특전''' [[https://twitter.com/ANIPLUSTV/status/1472851593452490753?s=20|출처]]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별 없는 밤의 아리아 5주차 특전.jpg|width=100%]]}}} || '''엔딩 일러스트 카드'''(2종 랜덤)[* 일본에서 5주차 특전으로 증정한 일러스트 카드랑 동일하다.] * '''4주차 특전''' [[https://twitter.com/ANIPLUSTV/status/1475363418266046465?s=20|출처]]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별 없는 밤의 아리아 4주차 특전.png|width=100%]]}}} || '''[[abec]]의 신작 엽서'''[* 일본 4주차 특전인 보이스 드라마 시리얼코드가 없고 그냥 일러스트만 들어간 엽서.] (1종 선착순 증정) * '''5주차 특전''' [[https://twitter.com/ANIPLUSTV/status/1477891894080569348?s=20|출처]]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별 없는 밤의 아리아 7주차 특전.jpg|width=100%]]}}} || '''35mm 필름 컷''' (선착순 랜덤 증정) [* 일본 7주차 특전하고 같은 필름.] * '''4DX 1주차 특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661222804.jpg|width=100%]]}}} || '''A4포스터''' (2종 랜덤) * '''4DX 2주차 특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883024237.jpg|width=100%]]}}} || '''일러스트 보드''' (선착순 랜덤 증정)[* 일본 대히트 감사 특전과 동일] == 대한민국 상영관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1주차 상영관''' [[https://twitter.com/ANIPLUSTV/status/1467778892673196033?s=20|출처]]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별 없는 밤의 아리아 한국 1주차 상영관.jpg|width=100%]]}}} || * '''2주차 상영관''' [[https://twitter.com/aniplustv/status/1470343641055268867?s=21|출처]]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별 없는 밤의 아리아 한국 2주차 상영관.jpg|width=100%]]}}} || * '''3주차 상영관''' [[https://twitter.com/ANIPLUSTV/status/1472851593452490753?s=20|출처]]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별 없는 밤의 아리아 한국 3주차 상영관.jpg|width=100%]]}}} || * '''4주차 상영관''' [[https://twitter.com/ANIPLUSTV/status/1475363418266046465?s=20|출처]]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별 없는 밤의 아리아 한국 4주차 상영관.jpg|width=100%]]}}} || * '''5주차 상영관''' [[https://twitter.com/ANIPLUSTV/status/1477891894080569348?s=20|출처]]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별 없는 밤의 아리아 한국 5주차 상영관.jpg|width=100%]]}}} || }}} == 기타 == * 사실 원작(프로그레시브)에서도 1층을 다루는 건 엄밀히 말해 1권 중에서도 앞부분에 해당하며, 실제 분량과 비중도 2층(덧없는 검의 론도) 파트가 압도적으로 많다. 때문에 비교적 짧은 1층 분량을 극장판에서 어찌 채울 지가 관건이었는데, 2차 PV에서 신캐릭터 [[미토(소드 아트 온라인)|미토]]의 등장과 더불어 원작에 보이지 않았던 오리지널 장면들이 대거 추가되면서, 원작에 없는 요소들로 분량을 채우는 방향으로 추측되기 시작했다. ||
[[파일:E_yY7ZDUcAQLbvL (1).jpg|width=365]]||[[파일:E_01raUVQA45h88 (1).jpg|width=365]]||[[파일:FC8VMk8acAAhl9g.jpg|width=265]]|| 개봉 전날인 2021년 10월 29일부터 12월 6일까지 미토 시에서 행해지는 미토 매화축제에 [[미토(소드 아트 온라인)|미토]]가 홍보가 홍보대사로 취임했다. 홍보 및 관광지 각지에서 여러 상품이 콜라보되었다. 별 없는 밤의 아리아는 많은 콜라보를 하였지만 사실상 프로그레시브의 콜라보는 미토의 콜라보랑 같다. [[미토(소드 아트 온라인)#콜라보|해당 문서 참조]] * 극장판 홍보의 일환으로 10월 2일에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와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도쿄 돔]] 경기에서 마츠오카 요시츠구가 시구, [[야스모토 히로키]]가 시포를 했다. 마츠오카 옆에 있는 [[타케타츠 아야나]]는 덤. 이 경기 자체는 5:4로 요미우리가 승리했으나, 이후 기운이라도 뺏겨버린 것인지 3일 경기 무승부 이후 요미우리는 10연패에 빠진다. 거기에 10연패 기간동안 평균 득점은 1.6점이다. ~~FC 요미우리~~ 이 10연패는 10월 20일 요코하마와의 경기에서 겨우 끊어냈는데, 연패를 끊은 경기도 득점은 '''고작 3점'''이었다. [[파일:Visual-Giants (1).jpg|width=600]] * 일본공인경마회(JRA)와 소드 아트 온라인의 콜라보 캠페인이 개최되었다. 도쿄 경마장을 모티브로 한 버추얼 월드를 콜라보 기간 동안 즐길 수 있다. 키리토, 아스나의 특별 아바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월드 내의 아이템을 모아서 미션을 달성하거나 주말 한정으로 열리는 아인크라드 배(매주 금요일 18:30~일요일23:59)에서 레이스를 겨루는 컨텐츠도 있다고 한다. 이 레이스를 통과하면 시크릿 아바타도 획득할 수 있다.--[[우마무스메|소마무스메]]-- 월드 개설 기간은 12월 29일 13:00까지. [[https://twitter.com/sao_anime/status/1450674379314974720?s=2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일본중앙경마회콜라보.jpg|width=100%]]}}} || * 소아온 극장판 중 [[Dolby Atmos]] 사운드 믹스 및 [[Dolby Vision]] HDR 처리의 첫번째 영화이다. * 아스나가 [[너브기어]] 처음 접속할 때, 언어 선택 중 [[한국어]]가 있다. * 아스나, 키리토 SD 모습으로 각 나라의 상징과 같이 있는 모습이 있다.[[https://m.dcinside.com/board/sao/77942|호주]] [[https://m.dcinside.com/board/sao/76691?headid=&recommend=&s_type=subject_m&serval=%EA%B5%AD%EA%B0%80|미국,한국]] * [[일본 영화]] 최초의 디지털 영화 티켓 기록을 세웠다.[[https://sao-p.net//news/?id=57889|#]] [[파일:FXEoboVUUAUk-TA (1).jpg|width=700]] [[파일:FZ9HMlaaUAU0iuq.jpg|width=700]] 2022년 7월 2일, 일본에서 애니메이트 한정 굿즈 페어가 개최되었다. 몇 개월 전에 예약을 접수 받았지만 금세 재고가 없어져 조기종료되고 굿즈 발매 당일에도 오래가지 않았다. 특히 [[미토(소드 아트 온라인)|미토]]가 초살된 수준. 2022년 8월27일부터 9월18일까지 한국에서도 개최. 태피스트리는 역시 수입하지 못하였다. 아크릴스탠드, 키홀더 등등의 굿즈가 수입되었지만. 역시 미토의 모든 굿즈가 반나절도 안돼서 초살되었다. [각주] [[분류:소드 아트 온라인/극장판]][[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21년 애니메이션 영화]][[분류:2021년 4분기 일본 애니메이션]][[분류:라이트 노벨 원작 애니메이션 영화]][[분류:A-1 Pict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