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언어별 명칭''' || || [[영어|{{{#373a3c,#ddd '''영어'''}}}]] ||Extremism[* Extremismo (스페인어), Extrémisme (프랑스어), Extremismus (독일어) 등 다양한 파생어들이 있다.] || ||<-2><^|1>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기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한자|{{{#373a3c,#ddd '''한자'''}}}]] ||極端主義[* 중국어][br]過激派[* 일본어] || || [[베트남어|{{{#373a3c,#ddd '''베트남어'''}}}]] ||Chủ nghĩa cực đoan || || [[힌두어|{{{#373a3c,#ddd '''힌두어'''}}}]] ||अतिवाद || || [[방글라어|{{{#373a3c,#ddd '''방글라어'''}}}]] ||চরমপন্থাবাদ || || [[그리스어|{{{#373a3c,#ddd '''그리스어'''}}}]] ||Εξτρεμισμός || || [[조지아어|{{{#373a3c,#ddd '''조지아어'''}}}]] ||ექსტრემიზმი || || [[러시아어|{{{#373a3c,#ddd '''러시아어'''}}}]] ||Экстремизм || || [[터키어|{{{#373a3c,#ddd '''터키어'''}}}]] ||Aşırılık || || [[히브리어|{{{#373a3c,#ddd '''히브리어'''}}}]] ||קיצוניות ורדיקליזם || || [[페르시아어|{{{#373a3c,#ddd '''페르시아어'''}}}]] ||افراط‌گرایی || || [[아랍어|{{{#373a3c,#ddd '''아랍어'''}}}]] ||تطرف || }}}}}}}}} || [목차] [clearfix] == 개요 == '''극단주의'''는 생각이나 행동이 극단적으로 치우치는 태도를 뜻한다. == 원인 == 극단주의를 부추기는 원인 중에서는 "사회적 폭포 현상(social cascades)"[* 중앙일보 신준봉 기자, [[https://news.joins.com/article/17668105|“휩쓸리는 '폭포효과' 음모론에도 작동돼 멀쩡한 사람도 빠져”]]]이 있다. 극단주의는 다른 사람들이 자신의 의견에 동조하면 더 극단적으로 행동하는데 사회적 폭포 현상처럼 극단주의에 빠진 소수의 믿음과 관점이 가까운 다수의 사람에게 확산되어서 사람들이 자신이 실제로 알고 있는 정보를 근거로 판단을 내리기보다는 다른 사람들의 생각에 근거하여 판단하면서 극단주의가 발생하게 된다. == 문제점 == >한쪽을 잡는 것을 미워하는 까닭은 도(道)를 해치기 때문이니, [[만능주의|하나를 들고 백 가지를 폐하는 것이다.]] >''所惡執一者, 爲其賊道也, 擧一而廢百也'' >---- >[[맹자]], 진심 상 26에서 극단적인 공동체주의를 주장한 [[묵자]]와 극단적인 개인주의를 주장한 [[양주(전국시대)|양주]], 그리고 극단적인 중립을 주장한 자막을 모두 비판하면서. 극단주의는 생각의 폭을 좁게 하고 더 나아가 갈등과 분쟁을 유발한다. 극단주의에 빠진 사람들은 본인들의 방식에 틀린 점이 있더라도 이를 고치려 하지 않으며 자신들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전쟁]]과 [[테러]] 등을 서슴치 않는 경우가 많다. 나무위키에서도 극단주의 혹은 극단주의에 비슷한 논리로 서술된 문서가 몇몇 보인다. 예를 들어 "극단적으로(는)~" 등 자신의 비전문적이자 극단주의적인 관점을 통한 [[뇌피셜]]까지 거리낌 없이 작성하곤 한다. 특히 사회 현상과 같은 [[독자연구]]가 두드러지는 문서에서 그러한 경향이 더 심하다. == [[사회심리학]]에서의 극단주의 == [[심리학]]자들, 특히 사회심리학자들 중에서 어떤 사람들은 극단주의 자체가 무엇인가의 문제보다는, 극단주의 집단이 어떤 집단이며 어째서 사람들이 그런 집단에 소속되려 하는가에 관심을 갖고 있다. 이런 관심은 [[2007년]]부터, 빠르게 잡을 경우 [[2000년]]부터, 심지어는 [[1990년대]]부터 태동하고 있다고도 볼 수 있지만, 이쪽으로 막대한 연구비가 쏟아져 들어가기 시작한 것은 역시나 저 문제의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ISIL]]'''과 그 [[테러리즘]]이 서구권을 위협하면서부터라고 할 수 있다. 현대에는 일차적으로 불확실성-정체성 이론(UIT; uncertainty-identity theory)이 가장 잘 나가는 [[이론적 조망]]이며, 그 외에 꼽을 만한 것이 유의성 탐색 이론(significance quest theory), 불확실성 관리 이론(uncertainty management theory), 정체성 융합 이론(identity fusion theory) 등이 거론될 수 있다. 이 분야의 대표적인 권위자인 집단심리학자 마이클 호그 (M. A. Hogg)에 따르면, 세상에 존재하는 수많은 집단들은 저마다 '''집단 실체성'''(entitativity)에 있어서 차이를 보인다. 다시 말해, 어떤 집단은 그냥 막연히 사람들을 한데 모아놓은 듯한 느낌밖에는 들지 않으며 개인의 행동과 생각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아서 집단 활동을 하거나 말거나 개인에게 큰 의미를 갖지는 않는다. 그런데 반대로, 어떤 집단은 그 구성원들을 엄청나게 쪼아대어(…) 매 순간마다 자신이 그 집단에 소속되어 있다는 "집단됨에 대한 느낌"(perception of groupness)이 명확하게 느껴지게 하고, 집단의 규범이 개인의 태도와 생각, 행동을 강하게 통제하기도 한다. 마이클 호그는 모든 종류의 극단주의 집단은 여기서 후자 중에서도 극단적인 후자의 특성을 보인다고 하였다. [[종교]]건 [[정치]]건 어떤 종류의 극단적인 사상을 따르건 간에, 극단주의 집단은 구성원들의 심리에 있어 거의 동일한 현상을 일으킨다. 개인이 구태여 그런 집단에 소속되려 하는 이유는, 결국 극단적인 생각을 공유하는 집단일수록 개인이 갖고 있는 불안함과 인식론적인 애매모호함을 크게 줄여주게 마련이기 때문. 평범한 사람들은 대체로 그런 집단에 가입하는 것이 괜한 불편함밖에는 되지 않지만, 앞길이 막막하거나 무엇 하나 인생에서 확실한 것이 없는 사람들은 그런 집단에 소속되고 강하게 동일시함으로써 자기 자신이 누구인가에 대한 확고하고 명확한 인식을 갖게 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이들은 자신이 이 집단에서 더욱 더 중요한 입지에 올라서기 위해, 동료들의 인정을 받고 영향력을 끼치기 위해, 점점 더 극단적이고 과격한 행동들을 하기 시작한다. 결국 극단주의 집단에서는 그런 행동들이 환영 받기 때문이다. 집단의 극화(group polarization)가 일어난다. 이러한 극화된 집단이 다른 우수한 집단을 만났을 경우에는 회피나 전쟁 즉, 그 또한 극단적인 자세를 취할 확률이 높은 편이다. 많은 연구자들의 [[논문]]들은 극단주의 집단들이 그 종류와 분야를 막론하고 공통적으로 보이는 특징들을 정리해 왔다. 마이클 호그의 한 [[리뷰]]에 따르면, 극단주의 집단들은 대체로 다음의 특성들을 드러내 보인다고 한다. * 폐쇄적이고, 집단의 경계가 극도로 명확하다. 가입과 탈퇴의 자유는 사실상 제한된다. * 집단 내부의 모든 구성원들이 획일화된 사고와 가치관을 공유하고, 그렇게 되도록 강요한다. * 집단 내부에서 전수되어 내려오는 불변하는 관습과 의례를 완고하게 옹호한다. * 집단의 구조가 위계적이고 수직적이며, 명령과 영향력의 체계가 내적으로 뚜렷하게 사슬구조를 이루고 있다. * 늘 내부의 문제에 신경을 쓰나(inward-looking), 구성원들 간의 의견충돌이나 생각의 다양성, 비판, 고발, 폭로 등에 대해서는 관용하지 않는다. * 집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주요한 의사결정은 대체로 독재적이거나, 최소한 만장일치적이다. 리더십은 중앙집권적이고, 구성원들 역시 강압적 리더십을 옹호한다. * 집단 외부의 문제에 관심이 없으며(asocial) 집단 전체가 집합적 [[나르시시즘]](collective narcissism)에 빠져 있다. 외부인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불신하며, 과시와 [[교만|오만]], 착취, 우월함을 드러낸다. * 집단만의 정통주의(orthodoxy) 및 본질주의(essentialism)를 따르며[* 아이러니하게도 진보적 가치를 중시하는 사람과 단체도 이러한 경우가 잦다. 1990년대에서 2010년대 사이부터 [[68운동]], [[퇴행적 좌파]], [[신좌파]], [[운동권]]은 [[OK Boomer]]와 [[래디컬 페미니즘]]과 [[SJW]]로 전락했다. 전통을 부수자는 주의가 또 다른 전통 악습을 만들어낸 셈.], 행동과 가치에 대한 절대적인 기준이 존재한다고 믿는다. * 집단이 지키고자 하는 규범과 도덕, 신조에 대해 극렬한 집착을 드러내며, 그러한 관점을 양보하지 않는다. 극단주의 집단이 이런 경향을 드러내는 이유는, 공통적으로 이렇게 해야만 자신들의 집단이 추구하는 가치와 이상이 가장 명확히 드러난다고 느껴지기 때문이며, 이를 통해 구성원들이 집단에 동일시할 때 가장 큰 심리적 만족감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리더십에 대한 설명은 언뜻 [[권위주의]]를, 가치관에 대한 설명은 언뜻 [[근본주의]]를 연상하게 하는데, 여기서 핵심은 리더가 권위주의적이고 근본주의적인 가치관을 견지할 때 그 집단은 자신들이 추구하는 지향점을 더욱 명확히 드러냄으로써 집단 실체성이 증가한다는 것이다. == 캐릭터 == 애매한 면이 있거나 애매하면 ※ 표시. * [[가담항설(웹툰)|가담항설]] - [[신룡(가담항설)|신룡]], [[섭(가담항설)|섭]] * [[가면라이더 시리즈]] * [[가면라이더(초대)|가면라이더]] - '''[[쇼커 수령]]''' * [[가면라이더 류우키]] - [[시바우라 쥰]], [[토죠 사토루]], '''[[칸자키 시로]]''' * [[가면라이더 위자드]] - [[후에키 소우]] * [[가면라이더 가이무]] - [[쿠레시마 미츠자네]][* 마지막에 자신의 과오를 반성하고, 코우타와 함께 쟈무를 사살함으로서 훌륭한 영웅으로서 갱생했지만, 이야기 전개가 뜬금없는데다가, 여태까지의 악행은 평생 용서받지 못한다.] * [[가면라이더 아마존즈]] - '''[[타치바나 유고]]''', '''[[텐조 타카아키]]''', [[미도 에이노스케]], [[미즈사와 레이카(가면라이더 아마존즈)|미즈사와 레이카]], [[마모루(가면라이더 아마존즈)|마모루]], [[쿠로사키 타케시]]※ * [[가면라이더 빌드]] - '''[[우라가 케이지]]''' * [[가면라이더 기츠]] - [[아즈마 미치나가]], [[베로바]] * [[갓 오브 워 시리즈]] - [[크레토스]] : 1, 2, 3탄과 외전 3부작(올림푸스의 사슬, 스파르타의 유령, 어센션) 한정. * [[곡괭이 시리즈]] - '''[[The King of Gockgang-E(곡괭이 시리즈)|살인마]]''' * [[길티기어]] - [[자토 ONE]][* 중반 까지만.] * [[나루토]] - [[시무라 단조]], [[우치하 오비토]], [[우치하 마다라]], [[우치하 이타치]], [[우치하 사스케]], [[오로치마루]], [[야쿠시 카부토]], [[카와키]] * [[닥터후|닥터 후]] - [[코바리안]] * [[더 위쳐 시리즈]] - [[이터널 파이어]] 교단[* 다만 그렇다고 모든 신자들이 극단적인 것은 아니고 온건하고 개방적인 사람들도 있다.], [[작크 드 알데스버그]], [[라도비드]][* 차갑고 계산적인 성격이지만 그가 실시하는 정책들 자체가 하나같이 극단적이다.], [[스코이아텔]] * [[던전앤파이터]] - [[적귀 소륜]] * [[데스노트]] - [[야가미 라이토]] * [[드래곤 에이지 시리즈]] - [[메레디스 스타나드]], 레드 템플러들, [[페트리스 수녀]], [[앤더스]] * 기사 라무네 시리즈 * [[VS기사 라무네&40염]] - [[초대 라무네스]]※ * [[VS 기사 라무네&40 FRESH]] - [[에렉톤#s-2|에렉톤]] * [[드래곤 퀘스트 다이의 대모험]] - [[버언]] * [[디지몬 시리즈]] * [[파워 디지몬]] - [[서정우(디지몬 시리즈)|서정우]] : [[디지몬 카이저]] 시절 한정. * [[디지몬 프론티어]] - [[루체몬]] * [[디지몬 세이버즈]] - [[장태수(디지몬 세이버즈)|장태수]] * [[디지몬 크로스워즈]] - [[차도혁]], [[바그라몬]] * [[레이브(만화)|레이브]] - [[루시아 레아그로브]], [[샤크마 레아그로브]], [[펌프킨 도류]] * [[리그 오브 레전드]] - [[사일러스(리그 오브 레전드)|사일러스]] * [[레전드히어로 삼국전]] - [[조조(레전드히어로 삼국전)|조조]] * [[마법소녀 육성계획]] 시리즈 - [[마법나라|외교 부문]] : 지들의 최고 지도자인 [[마왕 팜]]이 죽었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도시 하나를 파괴하고 시민들도 죽일 생각이었다. * [[마법소녀 오리코☆마기카]] - [[미쿠니 오리코]] * [[마기아 레코드 마법소녀 마도카 마기카 외전]] - [[아이카 히메나]], [[세나 미코토]] *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 [[토르: 천둥의 신]], [[어벤져스(영화)|어벤져스]] - [[로키(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로키]] * [[닥터 스트레인지(영화)|닥터 스트레인지]] - [[칼 모르도]] * [[블랙 팬서(영화)|블랙 팬서]] - 은조부, [[에릭 킬몽거(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에릭 킬몽거]] * [[타노스(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타노스]] * [[앤트맨과 와스프]] - [[고스트(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고스트]] * [[메이플스토리]] - [[메이플 연합|반 검은 마법사 동맹]], [[검은 마법사]], [[제른 다르모어]], [[선대 신왕]], [[헤카톤]] * [[명탐정 코난]] - 대부분 등장인물들 그 중에 [[에도가와 코난]], [[모리 란]], [[하이바라 아이]], [[야마무라 미사오]], [[소년 탐정단(명탐정 코난)|소년 탐정단]], [[세라 마스미]] * [[미래일기]] - [[가사이 유노]] * [[변호인(영화)|변호인]] - 차동영을 위시한 본작 악역들 다수 * [[뿌리깊은 나무(SBS)|뿌리깊은 나무]] - [[정기준]]과 심종수를 비롯한 [[밀본]] 전체. * [[사립 저스티스 학원]] - [[키리시마 쿠로]] * [[사이퍼즈]] - [[성흔의 디아나]] * [[사우스 파크]] - 대다수의 캐릭터들 * [[수어사이드 스쿼드]] - [[아만다 월러]] * [[슈퍼전대 시리즈]] * [[오성전대 다이레인저]] - [[샤담 중좌]] * [[미래전대 타임레인저]] - [[류야]] * [[우주전대 큐레인저]] - [[스콜피오(우주전대 큐레인저)|스콜피오]] * [[아바타로전대 돈브라더즈]] - [[키지노 츠요시]]([[키지 브라더]])[* 온화하고 성실한 면과, [[키지노 미호|아내]]를 건드리고 해하려는 자에게만은 눈이 돌아가버려 극단적으로 나오는 어두운 일면이 공존해있다. 허나 34화 이후부터는 내로남불에 적반하장 및 구제불능 급의 인격문제 그 자체로 타락하기만 했다. 허나 49화에서야 [[학 쥬우토|아내의 진실]]을 받아들이고는 많이 반성하기 시작했다.] * [[스타워즈]] * [[스타워즈: 에피소드 3 - 시스의 복수|스타워즈 에피소드 3: 시스의 복수]] - [[아나킨 스카이워커]] * [[몬 모스마]] : [[자쿠 전투]] 이후의 지나친 [[신 공화국]] 군축 * [[스타워즈 시퀄 시리즈|시퀄 3부작]] - [[카일로 렌]] * [[쏘우 게레라]], [[카시안 안도르]] * [[스타크래프트 시리즈]] - [[울레자즈]], [[아몬(스타크래프트 시리즈)|아몬]], [[나루드]](=[[사미르 듀란]]), [[아크튜러스 멩스크]], [[말라쉬]]를 비롯하여 [[알라라크]]※를 제외한 [[탈다림]] 전체[* 댈람에 감화되어 아이어에 잔존한 탈다림들은 제외. 알라라크의 성향은 극단주의라기보단 현실주의나 냉소주의, 법가사상에 가깝다. 물론 탈다림답게 배타적이고 무자비한 성격이다.], [[아바투르]], [[알다리스]] * [[쓰르라미 울 적에]] - [[소노자키 오료]]를 비롯한 [[소노자키가]] * [[아르슬란 전기]] - [[안드라고라스 3세]], [[히르메스]], [[장 보댕]], 사왕 자하크 * [[야인시대]] - 눈물의 곡절과 최동열 기자를 제외한 [[이정재(야인시대)|이정재]][* 2부 후반부터.], [[정진영(야인시대)|정진영]][* 2부부터.]을 포함한 대부분 등장인물들. * [[에버소울]] - [[케이린 파우스트]], [[흑기사(에버소울)|흑기사]]*[* 잔혹하고 치밀하고 극단적인 성품을 가진 공포와 증오의 화신이며, 인연을 증오하지만, 새로 영입한 동료들을 성격 여부와 관계없이 거리낌없이 받아들이는 인간적인 악마의 면모가 있다.] * [[에이스 컴뱃 시리즈]] - [[국경없는 세계#s-2]], [[회색 남자들#s-2]], [[마티아스 토레스]] * [[워크래프트 시리즈]] - [[살게라스]], [[아서스 메네실]], [[가로쉬 헬스크림]], [[실바나스 윈드러너]], [[데스윙]] * [[용의 전설 레전더]] - [[율 햅번]] * [[원피스(만화)|원피스]] - [[호디 존스]], [[신 어인 해적단]] * [[유희왕 ZEXAL]] - [[돈 사우전드]] * [[모탈 컴뱃: 디셉션]] - 다크 라이덴 * [[저지 드레드]] - 다크 저지 4인방 * [[저지 아이즈: 사신의 유언]] - [[쇼노 요우지]] * [[죠죠의 기묘한 모험]] - [[카즈]], [[DIO]] * [[주술회전]] - [[게토 스구루]], [[죠고]], [[하나미(주술회전)|하나미]], [[마히토]], [[다곤(주술회전)|다곤]], --[[토도 아오이]]-- * [[진격의 거인]] - [[예거파]] 인물들[* 특히 [[엘런 예거]]와 [[프록 폴스타]].], [[지크 예거]], [[옐레나(진격의 거인)|옐레나]] * [[캐릭캐릭 체인지]] - [[에루]]를 제외한 [[이스터 사]] 전원 * [[쿠베라(웹툰)|쿠베라]] - [[아샤 라히로]], [[사가라(쿠베라)|사가라]]※ * [[크로니클(영화)|크로니클]] - 앤드루 디트머 * [[클로저스]] - [[티나(클로저스)|티나]] : 일생 대부분을 전장에서만 보낸 인공지능인지라 전장 외의 경험은 심각하게 부족해서, 자신이 생각한 결함을 토대로 상대방을 무조건 죽이려고 하거나 테러리스트로 간주하는 등 핀트가 엇나간 행동을 매우 많이 보인다. 문제는 스토리 상으로는 이러한 오판이 '''잘못되었다고 말해지기는 커녕 아주 냉철한 판단이라고 묘사된다.''' 당연하지만 이쪽은 [[메리 수]] 캐릭터이며, 유저들도 공감하지 못하고 있다. * [[터닝메카드 W]] - [[데미안(터닝메카드 W)|데미안]] : 그나마 얘는 W 1쿨 마지막회 이후에는 극단주의 사상을 버린다. * [[토이 스토리 3]] - [[랏소 베어]] * [[트랜스포머 3]] - [[센티널 프라임(트랜스포머 시네마틱 유니버스)|센티널 프라임]] * [[트랜스포머 프라임]] - [[메가트론(프라임)|메가트론]] * [[트라이건]] - [[밀리온즈 나이브스]] * [[페어리 테일(만화)|페어리 테일]] - [[아이린 베르세리온]] *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 * [[파이널 판타지 6]] - [[케프카 팔라초]] * [[파이널 판타지 브레이브 엑스비어스]] - 솔 * [[파이어 엠블렘 풍화설월]] - [[에델가르트 폰 흐레스벨그]], [[레아(파이어 엠블렘 시리즈)|레아]] * [[폴아웃 시리즈]] - [[엔클레이브(폴아웃 시리즈)|엔클레이브]], [[카이사르의 군단]] 등 [[뉴 캘리포니아 공화국]]과 [[커먼웰스 미닛맨]]을 제외한 작 중의 세력의 상당수[* NCR은 여러 병패가 있지만, 민주주의를 주 이념으로 인종, 종교 등에 대한 차별이 없어 다른 세력에 비해 그나마 양호한 편이고, 커먼웰스 미닛맨은 평화롭게 살아가려는 생존자들을 지키기 위한 민병대로 공공의 적인 레이더와 슈퍼뮤턴트를 제외하고는 다른 세력과는 극단적으로 척을 지진 않는다.] * [[헬싱]] - 로마 교황청 특무국 이스카리옷 제13과 요원들 전원. * [[혹성탈출(2001년 영화)]] - 테이드 장군 * [[혹성탈출: 반격의 서막]] - [[코바(혹성탈출 시리즈)|코바]] * [[DC 코믹스]] * [[라스 알 굴]] * [[레드 후드]] * [[렉스 루터]] * [[오션 마스터]] * [[왓치맨(드라마)]] - 제7기병대 * [[피스메이커(DC 코믹스)|피스메이커]] * [[Fate 시리즈]] * [[Fate/stay night]] * [[Unlimited Blade Works 루트]] - [[아처(5차)|아처]], [[에미야 시로]] * [[Heavens Feel 루트]] - [[마토 사쿠라]], [[세이버 얼터]] * [[Fate/Zero]] - [[에미야 키리츠구]], [[캐스터(4차)|캐스터]] * [[Fate/EXTRA]] - [[트와이스 H. 피스맨]] * [[Fate/Apocrypha]] - [[시로 코토미네]]([[룰러(3차)|3차 룰러]]) * [[Fate/Grand Order]] - [[사자왕(Fate/Grand Order)|사자왕]], [[마신왕 게티아]], [[신 아르주나]] * [[KOF 시리즈]] - [[클론 제로]], [[사이키(KOF)|사이키]] * [[MELTY BLOOD]] - [[오시리스의 모래]] * [[Re:CREATORS]] - [[군복 공주]], 1쿨 한정의 [[앨리스테리어 페브러리]] * [[takt op. 운명은 새빨간 선율의 거리를]] - [[관리관 힐데]]※ * [[Warhammer 40,000]] - [[인류제국]]을 비롯한 주요 등장인물 및 등장세력 대부분 * [[Warframe]] - [[Warframe/신디케이트/레드 베일|레드 베일]] == 관련 문서 == * [[과격파]] * [[정치적 극단주의]] * [[극좌]] * [[극우]] * [[극중]] * [[종교극단주의]] * [[교조주의]] * [[근본주의]] * [[광신도]] [[분류:사상]][[분류:문제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