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2000년에 개봉한 실사 영화, rd1=그린치(영화))] [include(틀:일루미네이션 엔터테인먼트 장편 애니메이션)] ||<-5>
{{{#fff '''{{{+2 그린치}}}''' (2018)[br]The Grinch}}} || ||<-5>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9292b4d4b29e4944b9976013e028221f.jpg|width=100%]]}}} || ||<-5> '''[[일루미네이션 엔터테인먼트|{{{#fff 일루미네이션 엔터테인먼트 장편 애니메이션}}}]]''' || || [[슈퍼배드 3]] || → || '''그린치''' || → || [[마이펫의 이중생활 2]] || ||<-2> '''{{{#FFFFFF 장르}}}''' ||<-3>[[애니메이션]], [[코미디]] || ||<-2> '''{{{#ffffff 감독}}}''' ||<-3>스콧 모지어, 야로우 체니 || ||<-2> '''{{{#ffffff 각본}}}''' ||<-3>켄 다우리오, 스테판 프랑크 [br] 마이클 르시어, 킨코 파울 || ||<-2> '''{{{#ffffff 원작}}}''' ||<-3>[[닥터 수스]] || ||<-2> '''{{{#ffffff 제작}}}''' ||<-3>자넷 힐리, 크리스토퍼 멜라단드리 [br] 로버트 테일러 || ||<-2> '''{{{#ffffff 주연}}}''' ||<-3>[[베네딕트 컴버배치]], [[라시다 존스]] || ||<-2> '''{{{#ffffff 음악}}}''' ||<-3>[[대니 엘프만]] || ||<-2> '''{{{#ffffff 제작사}}}''' ||<-3>[[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일루미네이션]] || ||<-2> '''{{{#ffffff 수입사}}}''' ||<-3>[[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UPI 코리아]] || ||<-2> '''{{{#ffffff 배급사}}}''' ||<-3>[[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유니버설 픽처스]][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UPI 코리아]] || ||<-2> '''{{{#ffffff 개봉일}}}''' ||<-3>[[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2018년]] [[11월 9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8년]] [[12월 19일]][* 개봉일이 하루 앞당겨졌다.] || ||<-2> '''{{{#ffffff 화면비}}}''' ||<-3>2.35:1 || ||<-2> '''{{{#ffffff 상영 시간}}}''' ||<-3>90분 || ||<-2> '''{{{#ffffff 제작비}}}''' ||<-3>7,500만 달러 || ||<-2> '''{{{#ffffff 월드 박스오피스}}}''' ||<-3>'''$511,565,348''' ([[https://www.boxofficemojo.com/movies/?page=main&id=grinch2017.htm|최종]]) || ||<-2> '''{{{#ffffff 북미 박스오피스}}}''' ||<-3>'''$270,620,950''' (최종) || ||<-2> '''{{{#ffffff 대한민국 총 관객 수}}}''' ||<-3>'''551,953명''' (최종) || ||<-2> '''{{{#ffffff 공식 홈페이지}}}''' ||<-3>[[https://www.grinchmovie.com/?redirect=off|홈페이지]] [[https://grinch.jp/|일본 홈페이지]] || ||<-2>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ffffff 상영등급}}}]]''' ||<-3>[[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1|[[파일:영등위_전체관람가_2021.svg|width=25]]]]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1|{{{#000000 전체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1957년 [[닥터 수스]]가 저술한 [[How the Grinch Stole Christmas|동명의 동화책]]이 원작이며, 1966년 TV 애니메이션[* CBS의 크리스마스 TV 스페셜로 방영되었으며, 아시아에선 큰 인지도가 없는 작품이지만 미국에선 이 작품(2018년판)과 2000년판보다 이 쪽이 훨씬 유명하다. 감독은 [[루니 툰]] 제작자로도 유명한 [[척 존스]]. 1968년엔 앨범이 [[그래미 어워드]] 부문에서 우승한 적도 있다. 당시 그린치 목소리와 나레이션 성우는 배우 [[보리스 칼로프]]였고, 주제가는 콘푸로스트 '토니' 목소리로 유명한 썰 라벤스크로프트였다. 참고로 나홀로 집에 1,2편에서도 살짝 나왔다.], 2000년 [[짐 캐리]] 주연 [[그린치(영화)|실사 영화]][* 감독은 [[론 하워드]].]에 이은 세 번째 영상화 작품이다. 원래는 2017년 11월 10일에 개봉할 예정이었으나, 1년 연기되었다. == 예고편 == ||
[youtube(M9mSWuWFu7g)]||[youtube(DOeU1uUIdeE)]|| || 공식 티저 예고편 || 공식 예고편 || ||[youtube(_UOh0UX3alI)]||[youtube(312fLsIFWlo)]|| || 2차 공식 예고편 || 국내 2차 공식 예고편 || == 시놉시스 == * 출처: [[https://www.kobis.or.kr/kobis/mobile/main/main.do|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모두가 행복한 크리스마스를 참을 수 없는 그린치는 크리스마스를 훔치기 위해 산타가 되기로 결심한다. 그린치는 만능집사 맥스, 덩치만 큰 소심 루돌프 프레드와 함께 슈퍼배드한 크리스마스 훔치기 대작전에 돌입하는데… >'''슈퍼배드한 그린치X만능 집사 맥스X덩치만 큰 소심 루돌프 프레드!''' >'''크리스마스 훔치기 대작전이 시작된다!''' == 출연진 == 좌측부터 원어, 한국어, 일본어 성우진 * [[베네딕트 컴버배치]]/[[최한]][* 둘 다 [[닥터 스트레인지(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닥터 스트레인지]]와 [[도르마무(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도르마무]]를 맡았다.]/[[오오이즈미 요]][* 전문 성우는 아니지만 이미 여러번 성우 연기를 해왔던 경험 덕분인지 좋은 연기력을 보여줬다. 여기서는 [[모리카와 토시유키]]를 연상케하는 톤이다.] - 그린치 역(목소리) * 카메론 실리[* [[위대한 쇼맨]]에 출연한 경력이 있는 아역배우이다.]/[[최보배]]/[[안(배우)|안]] - 신디 루후 역 (목소리) * 키넌 톰슨 * [[라시다 존스]] * [[안젤라 랜스버리]][* 1944년 영화 가스등으로 데뷔하였으며, [[제시카의 추리극장]]에서 제시카 플래처로 잘 알려져 있다.]/[[쿄다 히사코]] - 시장 역 * [[퍼렐 윌리엄스]]/[[엄상현]]/[[미야노 마모루]] - 나레이션 역 그 외에 참여한 한국어 성우진: [[김지율]], [[박요한(성우)|박요한]], [[윤은서]] == 원작과의 차이 == Dr.Seuss의 원작 동화 "How the Grinch Stole Christmas"와 비교했을 때 2018년작 "그린치"는 상당히 다른 작품이다. 크게 보면 주제는 공유하고 있지만 인물들의 성격이나 비중, 각 사건을 연결하는 방법 등이 상이하다. 원작은 짧은 동화인 반면 영화는 러닝타임이 1시간 30분에 달하는 것을 보아 영화에 새로운 내용이 많이 추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차이점을 모두 나열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고, 대표적인 것만 몇 가지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 그린치의 어린시절 회상은 원작에 등장하지 않는다. * 원작에서 그린치는 신디 루의 집을 첫번째로 방문하는데, 영화에서는 마지막에 방문한다. * 원작에는 거대한 순록 프레드가 등장하지 않는다. * 영화에서 그린치는 절벽이 무너져 훔친 선물을 모두 잃어버릴 뻔 하지만, 원작에는 그런 내용이 없다. * 전반적으로 신디 루의 비중이나 역할이 원작에 비해 영화에서 매우 커졌다. --그리고 매우 귀엽다.--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the-grinch, critic=51, user=6.5)]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the_grinch, tomato=59, popcorn=51)] [include(틀:평가/IMDb, code=tt2709692, user=6.3)]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the-grinch, user=2.8)]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738499, user=6.9)]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364183, user=3.2)]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233407, user=6.4)]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23774869, user=6.4)] [include(틀:평가/왓챠, code=mdKBEYV, user=3.4)]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62677, light=79.63)]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150688, expert=5.0, audience=8.66, user=8.48)]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110869, expert=5.5, user=7.4)] [include(틀:평가/CGV, code=80649, egg=91)] > ''The Grinch'' gives the classic Seuss source material a brightly animated update that's solidly suitable for younger viewers without adding substantially to the story's legacy. > ''그린치''는 고전적인 [[닥터 수스]] 동화에 밝은 색상을 부여하여 이야기를 크게 수정하지 않고도 어린 시청자들에게도 맞게 한다. > - [[로튼 토마토]] 총평(컨센서스) 플롯이나 스토리 면에서는 예전 그린치 영화들과 그다지 달라진게 없기 때문에 평작 수준의 평가를 받고 있지만 영화의 색감과 마을의 모습을 화사한 영상미로 잘 담아내었기 때문에 관람객들 사이에선 호평이 많다. 전체적으로 크리스마스 시즌을 잘 겨냥한 무난한 가족영화였다는 평. == 흥행 == 제작비가 7,500만 [[미국 달러]]이다. [[마케팅]]비를 포함한 총 [[손익분기점]]은 2억 달러로 발표되었다. 현재 손익분기점인 2억달러를 넘어선 5억달러를 벌어들이며 순수 제작비의 7배, 마케팅비 포함 2배의 액수를 벌어들이며 꽤나 짭짤하게 성공했다. === [[북미]] === ||<-5>
{{{#ffffff '''북미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 2018년 44주차 ||<|2> → || '''2018년 45주차''' ||<|2> → || 2018년 46주차 || || [[보헤미안 랩소디(영화)|보헤미안 랩소디]] || {{{#ffffff '''그린치''' }}} || [[신비한 동물들과 그린델왈드의 범죄]] || ||<-5> [[http://www.boxofficemojo.com/weekend/chart/|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 45주차 1위를 차지했다. 미국인들이 사랑하는 [[닥터 수스]] 동화를 바탕으로 만든 영화여서 북미 현지에서는 6주차 현재도 박스오피스 3위에 올라 있는 등 순항하고 있다. === [[대한민국]] === ||<-7>
'''{{{#ffffff [[대한민국]] 누적 관객수}}}''' || || '''{{{#ffffff 주차}}}''' || '''{{{#ffffff 날짜}}}''' || '''{{{#ffffff 일일 관람 인원}}}''' || '''{{{#ffffff 주간 합계 인원}}}''' || '''{{{#ffffff 순위}}}''' || '''{{{#ffffff 일일 매출액}}}''' || '''{{{#ffffff 주간 합계 매출액}}}''' || || {{{#ffffff 개봉 전}}} || || 4,170명 || 4,170명 || 미집계 || 32,481,000원 || 32,481,000원 || ||<|7> {{{#ffffff 1주차}}} ||2018-12-19. 1일차(수) || 11,938명 ||<|7> -명 || 6위 || 80,214,500원 ||<|7> -원 || ||2018-12-20. 2일차(목) || 20,348명 || 5위 || 127,943,550원 || ||2018-12-21. 3일차(금) || 19,125명 || 5위 || 130,883,350원 || ||2018-12-22. 4일차(토) || 71,288명 || 5위 || 559,222,150원 || ||2018-12-23. 5일차(일) || 72,514명 || 5위 || 577,987,700원 || ||2018-12-24. 6일차(월) || 33,923명 || 6위 || 234,921,600원 || ||2018-12-25. 7일차(화) || 119,185명 || 7위 || 944,001,000원 || ||<|7> {{{#ffffff 2주차}}} ||2018-12-26. 8일차(수) || 14,384명 ||<|7> -명 || 8위 || 93,367,650원 ||<|7> -원 || ||2018-12-27. 9일차(목) || 12,131명 || 8위 || 82,891,600원 || ||2018-12-28. 10일차(금) || 14,286명 || 8위 || 108,528,250원 || ||2018-12-29. 11일차(토) || 33,821명 || 7위 || 264,556,450원 || ||2018-12-30. 12일차(일) || 31,703명 || 8위 || 253,028,200원 || ||2018-12-31. 13일차(월) || 26,250명 || 7위 || 185,433,950원 || ||2019-01-01. 14일차(화) || 32,824명 || 8위 || 264,288,100원 || ||<|7> {{{#ffffff 3주차}}} ||2019-01-02. 15일차(수) || 10,527명 ||<|7> -명 || 8위 || 74,478,500원 ||<|7> -원 || ||2019-01-03. 16일차(목) || 3,805명 || 12위 || 26,332,800원 || ||2019-01-04. 17일차(금) || 3,463명 || 12위 || 25,924,050원 || ||2019-01-05. 18일차(토) || 4,374명 || 13위 || 33,715,850원 || ||2019-01-06. 19일차(일) || 3,756명 || 13위 || 29,002,800원 || ||2019-01-07. 20일차(월) || 1,551명 || 16위 || 10,376,050원 || ||2019-01-08. 21일차(화) || 2,087명 || 16위 || 13,445,150원 || ||<|7> {{{#ffffff 4주차}}} ||2019-01-09. 22일차(수) || 836명 ||<|7> -명 || 18위 || 5,067,850원 ||<|7> -원 || ||2019-01-10. 23일차(목) || 380명 || 27위 || 2,254,300원 || ||2019-01-11. 24일차(금) || 433명 || 23위 || 2,676,500원 || ||2019-01-12. 25일차(토) || 383명 || 27위 || 2,878,500원 || ||2019-01-13. 26일차(일) || 397명 || 25위 || 2,923,500원 || ||2019-01-14. 27일차(월) || 261명 || 27위 || 1,450,000원 || ||2019-01-15. 28일차(화) || 209명 || 31위 || 1,288,500원 || || '''{{{#ffffff 합계 }}}''' ||<-6> '''누적관객수 551,953명, 누적매출액 4,179,894,400원''' || *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 ## 1위를 차지할 시 순위에 볼드체 같은 주에 개봉하는 작품은 [[남의 아내]], [[드래곤 블레이드: 천장웅사]], [[무지개빛 데이즈(2018)|무지개빛 데이즈]], [[시니스터 스쿼드]], [[크리미널 섹터 211]], [[하이재킹: 비상착륙]](이상 [[2018년]] [[12월 18일]]), [[7:20 원나잇 포에버]], 그린치, [[아뵤! 쿵후 보이즈 ~라면 대란~|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아뵤! 쿵후 보이즈 ~라면 대란~]], [[모두의 이야기|극장판 포켓몬스터 모두의 이야기]], [[마약왕]], [[스윙키즈]], [[아쿠아맨(영화)|아쿠아맨]](이상 [[2018년]] [[12월 19일]]), [[더 파티]], [[마션 인베이션]], [[마지막 8월: 어느 기념비의 이야기]], [[메리 셸리: 프랑켄슈타인의 탄생]], [[배틀 스쿨]], [[버블 패밀리]], [[부다페스트 로큰롤]], [[이차크의 행복한 바이올린]], [[파이널 스코어]](이상 [[2018년]] [[12월 20일]])까지 총 22편이다. 12월 19일 개봉. 북미와는 달리 한국에서는 별 인기 있는 소재가 아니고 이미 [[마약왕]], [[스윙키즈]], [[아쿠아맨]] 등 경쟁작들이 개봉하면서 망했다. === [[일본]] === [[2018년]] [[12월 14일]] 개봉 하였다. ||{{{#!folding[  개봉 1주차 순위  ] [[파일:wef234f23f.png]]}}} || 개봉 첫주차에 [[드래곤볼 슈퍼: 브로리]], [[보헤미안 랩소디(영화)|보헤미안 랩소디]], [[신비한 동물들과 그린델왈드의 범죄]], [[FOREVER FRIENDS|극장판 요괴워치: FOREVER FRIENDS]]에 밀린 [[일본]] [[박스오피스]] 5위에 그쳤다. ||{{{#!folding[  개봉 2주차 순위  ] [[파일:g242323ree.png]]}}} || 개봉 2주차에 [[주먹왕 랄프 2: 인터넷 속으로]], [[드래곤볼 슈퍼: 브로리]], [[가면라이더 헤이세이 제네레이션즈 FOREVER]], [[보헤미안 랩소디(영화)|보헤미안 랩소디]], [[신비한 동물들과 그린델왈드의 범죄]], [[스타 이즈 본]]에 밀려서 [[일본]] [[박스오피스]] 7위로 하락하였다. ||{{{#!folding[  개봉 3주차 순위  ] [[파일:wfe2ef2f2efef.png]]}}} || 개봉 3주차에는 [[주먹왕 랄프 2: 인터넷 속으로]], [[보헤미안 랩소디(영화)|보헤미안 랩소디]], [[드래곤볼 슈퍼: 브로리]], [[신비한 동물들과 그린델왈드의 범죄]], [[가면라이더 헤이세이 제네레이션즈 FOREVER]], [[FOREVER FRIENDS|극장판 요괴워치 5: FOREVER FRIENDS]], [[이런 야심한 밤에 바나나라니 사랑스러운 실화]]에 밀려서 [[일본]] [[박스오피스]] 8위로 내려 앉았다. ||{{{#!folding[  개봉 4주차 순위  ] [[파일:2f23f23f23f.png]]}}} || 개봉 4주차에는 [[주먹왕 랄프 2: 인터넷 속으로]], [[보헤미안 랩소디(영화)|보헤미안 랩소디]], [[드래곤볼 슈퍼: 브로리]], [[이런 야심한 밤에 바나나라니 사랑스러운 실화]], [[신비한 동물들과 그린델왈드의 범죄]], [[가면라이더 헤이세이 제네레이션즈 FOREVER]], [[스타 이즈 본]], [[러브 라이브! 선샤인!! 더 스쿨 아이돌 무비 오버 더 레인보우]], [[FOREVER FRIENDS|극장판 요괴워치 5: FOREVER FRIENDS]]에 이은 [[일본]] [[박스오피스]] 10위로 내려 앉았다. === [[중국]] === [[2018년]] [[12월 14일]] 개봉했다. === [[영국]] === ||<-5>
{{{#ffffff '''영국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 2018년 44주차 ||<|2> → || '''2018년 45주차''' ||<|2> → || 2018년 46주차 || || [[보헤미안 랩소디(영화)|보헤미안 랩소디]] || {{{#ffffff '''그린치''' }}} || [[신비한 동물들과 그린델왈드의 범죄]] || ||<-5> [[http://www.boxofficemojo.com/intl/uk/|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영국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 [[2018년]] [[11월 9일]] 개봉했다. === [[오스트레일리아]] === ||<-5>
{{{#ffffff '''오스트레일리아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 2018년 48주차 ||<|2> → || '''2018년 49주차''' ||<|2> → || 2018년 50주차 || || [[크리드 2]] || {{{#ffffff '''그린치''' }}} || 그린치 || || 2018년 49주차 ||<|2> → || '''2018년 50주차''' ||<|2> → || 2018년 51주차 || || 그린치 || {{{#ffffff '''그린치''' }}} || [[범블비(영화)|범블비]] || ||<-5> [[http://www.boxofficemojo.com/intl/australia/|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오스트레일리아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 === [[프랑스]] === [[2018년]] [[11월 28일]] 개봉했다. === [[독일]] === ||<-5>
{{{#ffd700 '''독일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 2018년 48주차 ||<|2> → || '''2018년 49주차''' ||<|2> → || 2018년 50주차 || || [[신비한 동물들과 그린델왈드의 범죄]] || {{{#ffd700 '''그린치''' }}} || 그린치 || || 2018년 49주차 ||<|2> → || '''2018년 50주차''' ||<|2> → || 2018년 51주차 || || 그린치 || {{{#ffd700 '''그린치''' }}} || [[아쿠아맨]] || ||<-5> [[http://www.boxofficemojo.com/intl/germany/|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독일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 ||<-5> [[http://www.kobis.or.kr/kobis/business/stat/boxs/findWeekendForeignBoxOfficeList.do/|영화진흥위원회 통합전산망 주말 해외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 [[2018년]] [[11월 29일]] 개봉했다. === [[멕시코]] === ||<-5>
{{{#ffffff '''멕시코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 2018년 48주차 ||<|2> → || '''2018년 49주차''' ||<|2> → || 2018년 50주차 || || [[주먹왕 랄프 2: 인터넷 속으로]] || {{{#ffffff '''그린치''' }}} || [[아쿠아맨(영화)|아쿠아맨]] || ||<-5> [[http://www.boxofficemojo.com/intl/mexico/|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멕시코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 === [[대만]] === 개봉 첫 주 [[나의 Ex]], [[오버로드(영화)|오버로드]], [[헌터 킬러(2018)|헌터 킬러]], [[보헤미안 랩소디(영화)|보헤미안 랩소디]], [[스타 이즈 본]]에 밀린 [[박스오피스]] 6위에 그쳤다. [[http://tw.dorama.info/drama/d_box_office.php?date=2018-11-05&ud=0|링크]] == 수상 및 후보 == * 크리틱스 초이스 어워드 장편 애니메이션상 후보 == 기타 == == 관련 문서 == * [[How the Grinch Stole Christmas|그린치가 크리스마스를 훔친 방법]] [[분류:미국 애니메이션/목록]][[분류:2018년 애니메이션 영화]][[분류:미국의 애니메이션 영화]][[분류:미국의 가족 영화]][[분류:미국의 판타지 영화]][[분류:소설 원작 애니메이션 영화]][[분류:유니버설 픽처스]][[분류:일루미네이션 엔터테인먼트]][[분류:성탄절 영화]][[분류:피카레스크]][[분류:닥터 수스]][[분류:리메이크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