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그린 홈)] [include(틀:스포일러)] [include(틀:스위트홈(드라마))] ||<#000> {{{+2 {{{#ccff33 '''그린 홈'''}}} }}}[br]''{{{#ccff33 Green Home}}}''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sweethomegreenhome.png|width=100%]]}}} || [목차] == 개요 == 드라마 《[[스위트홈(드라마)|스위트홈]]》 [[스위트홈(드라마 시즌 1)|시즌 1]]에서 작중 배경이 되는 15층 건물. 오피스텔 건물이었던 [[스위트홈|원작]]과 다르게 아파트 단지로 설정이 변경되었다. 또한, 이름에 걸맞게 건물 외관이 녹색 계열의 페인트로 칠해져 있다. 원작에 비해 낡고 오래된 건물이라는 것이 더욱 강조된 편이다. == 구조 == === 1층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그린홈1층.png|width=100%]]}}} || 거주 시설 대신 로비와 입주민들을 위한 상가 단지가 위치해있다. * '''관리사무소''' : [[스위트홈(드라마 시즌 1)/등장인물#경비|경비]]의 사무실로, 아파트 단지의 CCTV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 '''그린 슈퍼마켓'''[* 슈퍼마켓이 아니라 슈퍼마켙을 상호명으로 사용하고 있다.] : [[김석현(스위트홈)/드라마|김석현]]과 [[안선영(스위트홈)/드라마|안선영]]이 운영하는 마트. 괴물화 사태 후 주민들에게 식량과 물품을 보급하는 곳이 된다. * '''피노키오 어린이집''' : [[차진옥]]이 운영하는 아파트 단지 내 어린이집. 괴물화 사태 후 주민들의 임시 거주지가 된다. === 5층 === * '''502호''' : [[서이경]]의 집. === 8층 === * '''802호''' : [[최윤재]]의 집. * '''807호''' : [[이은혁/드라마|이은혁]]과 [[이은유(스위트홈)/드라마|이은유]]의 집. * '''8??호''' : [[스위트홈(드라마 시즌 1)/등장인물#류재환|류재환]]의 집. * '''8??호''' : [[스위트홈(드라마 시즌 1)/등장인물#강승완|강승완]]의 집. === 10층 === * '''1009호''' : [[손혜인/드라마|손혜인]]의 집. * '''1013호'''[* 원작에서는 1013호였지만 드라마에서는 확실치 않다.] : [[안길섭/드라마|안길섭]]의 집. === 12층 === * '''1210호''' : [[김수영(스위트홈)/드라마|김수영]]과 [[김영수(스위트홈)/드라마|김영수]]의 집. ||
{{{#ccff33 '''작중 상황'''}}} || * 수영과 영수의 아버지가 [[눈알 괴물/드라마|눈알 괴물]]을 마주치고 기겁하다 추락사했다. 눈알 괴물은 해당 장소에서 아무도 공격하지 않았다. === 13층 === * '''1305호''' : [[스위트홈(드라마 시즌 1)/등장인물#이수웅|이수웅]]의 집. * '''1308호''' : [[스위트홈(드라마 시즌 1)/등장인물#노병일|노병일]]의 집. === 14층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그린홈14층.png|width=100%]]}}} || * '''1408호''' : [[한두식/드라마|한두식]]의 집. * '''1410호''' : [[차현수/드라마|차현수]]의 집. * '''1411호''' : [[1411호(스위트홈)#1411호 여성|1411호 여성]]의 집. ||
{{{#ccff33 '''작중 상황'''}}} || * 1210호의 장소를 주시하던 [[눈알 괴물/드라마|눈알 괴물]]이 현수에게 자극을 받고 습격했지만 이내 같은 층에 거주하던 두식의 엽총에 의해 목이 잘린다. === 15층 === * '''1506호''' : [[정재헌(스위트홈)/드라마|정재헌]]의 집. * '''1510호''' : [[윤지수(스위트홈)/드라마|윤지수]]의 집. * '''15??호''' : [[임명숙(스위트홈)/드라마|임명숙]]의 집. ||
{{{#ccff33 '''작중 상황'''}}} || * [[식탐 괴물/드라마|식탐 괴물]]이 지수의 집에 침입하려다 실패한다. * 재헌에 의해 [[근육 괴물/드라마|근육 괴물]]이 그린 홈에서 추락한다. === 옥상 === ||
{{{#ccff33 '''작중 상황'''}}} || * [[윤지수(스위트홈)/드라마|지수]]와 [[정재헌(스위트홈)/드라마|재헌]]이 S.O.S 현수막을 설치한다. * [[스위트홈(드라마 시즌 1)/등장인물#정의명|의명]]에 의해 [[스위트홈(드라마 시즌 1)/등장인물#신중섭|중섭]]이 살해당한다. === 지하주차장 === ||
{{{#ccff33 '''작중 상황'''}}} || * [[거미 괴물/드라마|거미 괴물]]에 의해 [[차현수/드라마|현수]]가 납치된다. * [[안길섭/드라마|길섭]]에 의해 [[육상 괴물/드라마|육상 괴물]]이 최후를 맞이한다. == 여담 == * 연출을 맡은 이응복 감독의 인터뷰에 따르면 실존하는 1930년대에 지어진 아파트[* 팻말에 단기 4266년 준공이라고 되어있다. 서기로 환산할 경우 1933년이다.][* [[충정아파트]]로 보인다.]를 모티브로 3,500평 이상 규모의 세트를 제작해 촬영을 진행했다고 한다. 일부분은 1970년대에 지어진 [[회현시민아파트#s-2|회현시범아파트]]에서 촬영했다. * 산으로 둘러싸인 원작의 그린 홈과 다르게 드라마판 그린 홈은 서울 도심 한복판에 있으며, 드라마판에서 더욱 다른 건물들과의 이질감이 강조되다 보니 위화감이 느껴진다. 그린 홈 외부 곳곳에는 재개발 반대 현수막들이 있는데, 아파트 재개발건으로 인해 마찰을 빚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오래된 아파트가 배경이라곤 하지만 각 호마다의 현관문이 제각각인 부분은 이해하기 어렵다.[* 각 등장인물의 집들을 구분하기 위해서라기에는 너무나도 현관문들의 등장 시간도 짧고 잘 등장하지도 않는다.] 일자복도형 아파트 구조[* [[아따맘마]]에 나오는 일본식 아파트 구조다.]와 오피스텔과 같은 구조의 복도도 나오기도 하는데, 1층에서 위층으로 올라갈 수 있는 계단도 2종류가 나온다.[* 2개의 철문을 열고 들어가야 하는 일반적인 계단과 난데없이 그냥 1층 복도에 연결되어 있는 계단이다.] 원작과는 배경이 달라지면서 생긴 문제들로 보인다. 보면서 이 아파트는 어떻게 생긴 구조인가 할 정도로 구조가 복잡하고 이해하기 어렵게 되어있다. * 특이하게도 이 아파트 주민들은 온갖 무기를 다 소지하고 있다. 일단 [[한두식/드라마|한두식]]의 집은 목발 엽총을 포함한 본인이 개조한 온갖 무기들로 가득 차 있고, [[정재헌(스위트홈)/드라마|정재헌]]은 [[도검 소지 허가증]]이 필요한 장검을 소지하고 있고, [[박유리(스위트홈)/드라마|박유리]]는 우리 나라에서 소유 자체가 불가능한 석궁을 무기로 쓰고, [[안길섭/드라마|안길섭]]은 수많은 화염병에 모자라 화염방사기까지 소지하고 있는 등 별의별 무기가 다 있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그린 홈, version=504)] [[분류:스위트홈(드라마)|그린 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