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수권 - 호수)] ||<-2> [[그레이트솔트호|{{{+1 {{{#White '''그레이트솔트 호'''}}}}}}]][br]{{{#white Great Salt Lak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그레이트솔트호.webp|width=100%]]}}} || || '''유타 그레이트솔트 호 전경''' || [목차] [clearfix] == 개요 == '''그레이트솔트 호'''(Great Salt Lake)는 [[미국]] [[유타주]]의 북서쪽에 위치한 [[호수]]이다.[* 호수 근처에는 [[솔트레이크 시티]]라고 하는 유타주의 주도가 있는데, 그 이름이 이 호수에서 나왔다.] 면적은 2,460km², 최대 길이 120km, 최대 너비 45km, 최대 수심 14m 이다. == 지리 및 환경 == [[로키 산맥]] 중의 와사치 산맥 서쪽 기슭에 위치해 있고, [[서반구]]에서 가장 큰 염호이다. [[분지]]라는 특성상 흘러드는 [[강]]은 있지만 빠져나가는 [[강]]이 없어 [[염분]] 수치가 '''22%'''에 달한다.[* 이 때문에 호수 내에 대부분의 [[어류]]가 살지 않으며 [[사해|사람의 몸도 가라앉지 않는다.]]] 하지만 [[아르테미아]]와 물가[[파리(곤충)|파리]], 그리고 몇몇 [[조류#s-2|조류]]들은 호수에 서식한다. 특히 이 물가파리는 1000억 마리 이상의 개체수를 자랑해 호수로 이주해 오는 많은 새들에게 좋은 먹이가 되어준다. 또한 호수의 동쪽과 북쪽 끝부분에 있는 [[습지]]는 [[섭금류]]나 [[기러기]]같은 수많은 [[철새]]들에게 중요한 서식지가 된다. 호수가 워낙 얕아 [[강수량]]에 따라 수위가 급격하게 변한다. 이러한 극심한 수위 변화는 [[태평양]]의 낮은 빈도로 바뀌는 대기 순환에 의해 강하게 조절된다. 과학자들은 이러한 기후 변동을 포착하여 [[나이테]] 조사를 시행해 앞으로 5~8년간의 호수 수위 변동을 예측한다. 1987년 기준 8546km²에 달했던 호수 면적이 2022년 7월 기준 2460km²으로 심각하게 줄어들어 문제가 되고 있다. 인근 주민과 기업들은 물 소비를 적어도 반으로 줄여야 호수가 사라지지 않는다고 예상했다.[[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3010814120001841?did=NA|#]] [[워싱턴 포스트]]는 그레이트솔트호가 5년 내로 사라질 것이라는 보고서를 보도했다.[[https://www.washingtonpost.com/climate-environment/2023/01/06/great-salt-lake-utah-drying-up/|#]]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루신 컷오프.jpg|width=100%]]}}} || || '''루신 컷오프로 인한 강의 색 차이''' || 루신 컷오프라는 [[철로]]가 호수를 관통하는데, 이것이 호수가 섞이는 것을 방해해 흘러들어오는 강이 없는 남부가 상대적으로 염분이 높아졌고, 그 결과 남부에 수많은 [[조류#s-2|조류]]가 자라게 되어 이와 같은 색 차이를 만들게 되었다. 호수의 따뜻한 수온으로 인해 ''Lake-effect snow''라고 하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바람이 불어오는 양에 따라 꽤 많은 양의 눈이 호수 주변에 온다. 1년에 6~8번은 Lake-effect snow로 인한 눈보라가 발생하고, [[솔트레이크 시티]]의 평균 강수량의 10%는 호수로 인한 것이라고 예상되고 있다. [[분류:북아메리카의 호수]][[분류:미국의 호수]][[분류:유타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