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000 {{{+1 그레이엄 핸콕}}}[br]Graham Hancock}}}'''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V5BNGRlN2Q1N2MtMzc5MC00ZGRmLWJhODAtNmRkNTliMGZlNjBjXkEyXkFqcGdeQXVyMjE0MDI2NA@@._V1_.jpg|width=100%]]}}} || ||<|2> '''출생''' ||[[1950년]] [[8월 2일]] ([age(1950-08-02)]세)|| ||[[스코틀랜드]] [[에든버러]]||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영국)]|| || '''학력''' ||[[더럼 대학교]]|| || '''종교''' ||[[개신교]]|| || '''직업''' ||[[작가]]|| || '''주제''' ||[[초고대문명]], [[종교]]|| [목차] [clearfix] == 개요 == 그레이엄 핸콕은 영국 [[스코틀랜드]] [[에든버러]] 출신의 작가이자 기자다. == 상세 == 대표적인 저서로는 '신의 지문'이 유명하며, 국내에서도 1995~1996년에 출간되었다. 보통 [[피리 레이스 제독의 지도]]와 같은 저술 활동을 통해 고대의 고등 문명에 대해 고고학계와 다른 접근법으로 문명을 재조명하려한다. 다만 이건 그레이엄 핸콕이 전문적이고 과학적 훈련을 받은 고고학자가 아니기에 가능한 일이며 이 사람의 책을 읽을 때는 깊은 주의를 요한다. 이를테면 그의 대표 저서 '신의 지문'이 내리는 결론은, '전 세계의 불가사의들은, 1만여년 이상 옛날의 초고도 문명이 망하면서 각지로 이주한 그 문명의 후예들이 남긴 유산이며, 그 초고도 문명이란 바로 [[아틀란티스]]다. 그리고 아틀란티스는 바로 현재의 [[남극]] 대륙이며 지각 이동으로 남쪽으로 쭈욱 미끄러져 내려가서 너무 추워져 ...'이다. 하지만 문제는 핸콕의 다른 주장이 "춘분점이 가리키는 별자리가 몇천년마다 바뀌는데, 그 몇천년마다 별자리에 해당하는 동물이나 신을 숭배하는 문명이 생긴다"는 것이다. 그런 방법으로 [[스핑크스]]도 이집트가 아니라 사자자리 시대의 초고대문명이 만들었다고 하는데, 잘 생각해보면 남극이 그렇게 이동할 정도로 지각이 밀렸으면 별자리의 관측이 지금 같을 리 없다. 그리고 별자리 모양 역시 시대, 지역, 민족, 문화마다 모두 다르다. 참고로 지각 이동이 일어난 이유는 지표에 얼음이 너무 많이 쌓여서 그 무게를 못 이기고 지축과 대륙들이 주르륵 미끄러진 것이라고 한다. 작자 가라사대 지금 남극에도 얼음이 너무 많아져 위험하다고 하니 우리 모두 얼음을 모두 녹이자? 이 이론은 핸콕 본인 것은 아니고 햅굿이라는 사람의 것인데, [[판구조론]] 이전엔 그럭저럭 비중 있는 이론 중 하나였다. 핸콕은 판구조론을 무시하고 지금도 받아들여지는 이론인 것처럼 말한다. 건전성 여부를 떠나서 흥미로운 주제를 가지고 썰을 풀지만 그의 책은 딱딱한 연구 보고서 스타일의 집필을 하기 때문에 흥미로 집어드는 건 추천하지 않는다. 재밌는 판타지를 기대했다면 완독할 때까지 지루한 기분을 맛보게 될 것이다. 대 피라미드의 여러 가지 수수께끼나 스핑크스 등에 대한 설명은 꽤 그럴듯하여 연구보고서나 과학서로 생각하고 보지 말고, 그냥 고대 문명을 소재로 한 소설이라고 생각하고 보면 그럭저럭 재미있다. 다만 그것도 신의 지문 이후 한 두권까지이고 이후는 점점 더 헛소리가 된다. 신의 지문으로 어느 정도 알려진 이후에는 '우주의 지문[* 원제는 전혀 다르다. 아마도 국내출판사가 히트작인 '신의 지문'과 연계 마케팅을 하려고 이런 제목을 붙인 듯.]'이라는 책을 또 냈는데, 이번에는 화성 인면암[* 빛의 장난과 인간의 "낯선 것에서 낯익은 형상을 찾아내려는" 인지 특성에 의한 것으로 밝혀졌다.]과 NASA에 얽힌 음모론, 화성 멸망설[* 화성이 수십만년 전까지도 지구처럼 푸르른, 생명이 넘치는 살아있는 행성이었는데 그만 소행성과 충돌해 끝장났다는 주장. '미션 투 마스' 같은 영화에서 차용했다.] 등을 다루며 '소행성을 조심합시다 소행성은 별의 원수'라는 주장을 열심히 하였다. 그런데 마지막 결론이 황당하다. "우리는 사실 화성인의 후예고, 화성 표면의 인면암 및 기기괴괴들은 우리 선조의 작품이며, 소행성 충돌로 화성이 망할 때 선조들이 지구로 건너온 것." 사실 초고대문명설 자체가 백인우월주의, 인종차별 요소를 담고 있다고도 보이며 그의 책을 볼 때 유의해야 한다. 하지만 주장 전개에서 드러나는 각종 모순이야 어쨌건, 그의 저서는 초고대문명설의 집대성이기 때문에 초고대문명을 다룬 창작물에서는 숱하게 인용되고 있다. 당연히 이러한 초고대문명설은 학계에서는 헛소리 취급받고 있다. == 고대의 아포칼립스 == 2022년엔 [[넷플릭스]]와 함께 [[고대의 아포칼립스]]라는 다큐멘터리를 만들어서 발표했다. 아틀란티스가 남극에 있다거나 인류 문명이 외계에서 왔다거나 하는 식의 급진적이고 황당한 가설들은 언급하지 않으며 방송에서는 비교적 온건한(?) 주장을 담았다. 동시대의 [[수렵채집인]](Hunter-gatherer)보다 수준이 훨씬 발달한 삶을 영위한 어떤 고대문명이 [[구석기 시대]]의 막바지, 최종빙하기(Last Glacial Period)가 끝나고 [[영거 드라이아스]]기[* 마지막 빙하기가 끝나고 온난화가 진행되다가 갑자기 빙하기가 찾아온 시기를 영거 드라이어스라고 한다. 이 시기에 지구의 기온은 급격히 떨어졌다가 약 1천년이후 회복되어 [[홀로세]]를 시작한다]가 시작되던 1만 2800년 전에(기원전 1만 800년 무렵) [[대홍수]]라는 자연재해로 인해 리셋되었고, 고대문명의 잔존 인력들이 지식을 전파하면서 새롭게 인류를 부흥시키기 위해 노력한 흔적들이 세계 곳곳에 남아있다는 것이 다큐멘터리 주장의 핵심이다. 상대적으로 온건하고 직접적 근거를 인용할 수 있는 주장을 주로 담았기 때문에 너무 판타지스럽진 않다. 주장의 근거로서 최근에 발견된 [[괴베클리 테페]] 43번 기둥과 카라한 테페(Karahan tepe)유적, [[멕시코]]의 촐룰라 [[피라미드]], [[인도네시아]]의 구눙파당 유적지와 [[미크로네시아 연방]]의 [[난마돌]], [[몰타의 거석 신전]], 북아메리카의 파버티 마운드와 서펀트 마운드, [[터키]]의 [[데린쿠유]] 지하도시, [[미국]] 마이애미 연안의 비미니 거석 등이 제시되었다. [[대홍수]]의 원인도 언급하였는데 그의 주장에 따르면 당시 [[황소자리 유성군]]으로 인하여 지구에 대량의 유성우가 내렸으며 이들 유성들이 얼음으로 덮힌 지구의 지역([[빙상]])에 충돌함으로써 짧은 시간내에 전지구적인 대홍수가 발생하고 지구의 기온이 급락하는 빙하기([[영거 드라이아스]])가 다시 도래하였다는 것이다. 또한 세계 각 민족에 남아있는 [[대홍수]]의 설화는 이 당시 전세계 해수변이 급격하게 불어난 사건이 구전으로 내려온 것이며, 세계 각 문화에 공통적으로는 등장하는 '재앙으로서의 [[뱀]]'의 상징은 유성우가 떨어질 당시 혜성꼬리를 늘어뜨린 뱀 같은 [[혜성]]의 이미지가 후대에 전해졌기 때문이고, 현존하는 고대 유적들이 유독 천문 관측에 민감한 방향으로 건설된 것은 이때의 사건에 기반하여 하늘을 보면서 미래에도 유사한 사건이 벌어지지 않을지 경계를 하기 위함이고, 세계 각 민족 신화에 내려오는 '외부에서 도래하여 문명을 전파하는 신화적 존재'는 대홍수에서 살아남았던 고대문명의 난민들이라는 것이 이 다큐멘터리의 내용이다. 본 다큐멘터리에서는 대홍수 이전에 '현대 문명 이상의 고도의 과학기술을 가진 고대의 문명([[초고대문명설]])'이 있다고 주장하는 것은 아니고 여기서 나오는 미지의 선진 고대문명은 동시대의 다른 인류([[수렵채집인]])보다 앞선 건축, 천문, 항해, 농경, 운송 능력과 지식을 가진 정도로만 한정하고 있다. 또한 핸콕의 기존 주장인 '아틀란티스 남극설'과 달리 이 고대 문명의 위치는 제대로 언급되지 않는다. 다만 동남아시아 및 태평양 지역([[순다랜드]])를 언급한 바 있으며 영거 드라이어스를 일으킨 유성 충돌의 영향권(black mat)이 [[대서양]]을 좌우로 둘러싼 지역(아메리카, 중동, 유럽)이라는 학계 의견을 소개하기는 한다. 또한 실제로 다큐에서 예로 든 유적들은 제대로 연구되지 않은 것이 사실이고, 그 동안 발전된 지표 투과 레이다의 판독 결과, 많은 유적에서 보이는 비밀의 방이나 지하의 밀폐된 구조물은 아직 발굴되지 않은 것도 사실이다. 심지어 이집트 대 피라미드 주위에도 지하에 공간이 많이 있고, 그 안에 무언가 들어 있을수있다는 것까지 확인할수있지만, 탐사비용이라든지 여러 이유로 발굴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남아 있는 것이 대부분이 석조 구조물이라서 유기물이 있어야 되는 탄소동위원소 방사능 연대측정이 불가능하다는 약점(=연대를 맘대로 주장할 수 있다는 헛점) 또한 있다. 사실 그레이엄 핸콕의 화려한 전적과 그가 보여주는 주류 학계에 대한 과도한 적대감을 제외하고 이 다큐멘터리 자체만 보자면 주류 학계에도 꽤 활발히 논의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예를 들어 기원전 1만 800년 무렵 혜성 충돌이 [[괴베클리 테페]] 건설로 대표되는 도시 문명 건설 등 인류 발전의 모멘텀이 되었다는 주장은 이미 주류 학계에서도 논의된 적이 있다[[https://news.v.daum.net/v/20210626105101986|#]]. 그리고 그레이엄 핸콕이 근거로 제시한 몇몇 거대 유적은 정말 현지 인류가 [[수렵채집인]] 문명이던 시절에 건축된 것도 맞다. 예를 들어 미국 [[루이지애나]]의 파버티 포인트는 [[유네스코]]에서도 [[수렵채집인]]들이 만들어낸 기념비적 토공사이며 이후 등장한 현지 농경민들도 이정도 규모의 공사는 해낸 적이 없다고 설명하고 있다[[https://heritage.unesco.or.kr/%ED%8C%8C%EB%B2%84%ED%8B%B0-%ED%8F%AC%EC%9D%B8%ED%8A%B8%EC%9D%98-%EA%B8%B0%EB%85%90%EB%B9%84%EC%A0%81-%ED%86%A0%EA%B3%B5%EC%82%AC/|#]]. 일반적인 학계에서는 이런 유적을 두고 [[수렵채집인]]이 기존 통념보다 뛰어난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보는 것이고 그레이엄 핸콕은 이정도 규모의 유적 공사는 [[수렵채집인]] 수준으로 애초에 불가능하다고 보고 제3의 요소(미지의 선진 고대문명)이 있었을 가능성을 첨가한 것 뿐이다. 이런 점을 유념해서 이 다큐멘터리를 시청한다면 더욱 바람직하게 감상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몰타]] 유적에서의 [[큰개자리]]를 언급하는 부분도 넷플릭스 8개 시리즈중 압권중 하나이다. == 기타 == [[롤랜드 에머리히]] 감독은 그의 주장에 심취해 있는 듯하다. 영화 [[2012(영화)|2012]] 스탭롤 말미에서 '신의 지문'이 언급된다. == 국내 출간작 == * 신의 지문 상, 하 * 창세의 수호신 * 신의 암호 상, 하 * 우주의 지문 * 신의 거울 * 신의 봉인 상, 하 * 탤리즈먼: 이단의 역사 * 슈퍼내추럴 * 신의 사람들 [[분류:1950년 출생]][[분류:영국 남성 작가]][[분류:에든버러 출신 인물]][[분류:더럼 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