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시성된 교황]][[분류:가톨릭 성인]][[분류:폐위된 군주]][[분류:1020년 출생]][[분류:1085년 사망]][[분류:토스카나 주 출신 인물]] [include(틀:역대 가톨릭 교황)]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9A100, #EFBC00 20%, #EFBC00 80%, #D9A100);" '''{{{#670000 제157대 교황[br]{{{+1 그레고리오 7세}}}[br]Gregorius VII}}}'''}}}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catholichotdish.com/StGregoryTheGreat.jpg|width=100%]]}}}|| || '''교황명''' ||그레고리오 7세 (Gregorius VII) || || '''본명''' ||힐데브란트 (Hildebrand) || ||<|2> '''출생''' ||[[1020년]] || ||[[파일:신성 로마 제국 국기(후광 포함).svg|width=28]] [[신성 로마 제국]] 소바나 || ||<|2> '''사망''' ||[[1085년]] [[5월 25일]] (65) || ||[[살레르노 공국]] || || '''재위기간''' ||[[1073년]] [[6월 30일]] ~ [[1085년]] [[5월 25일]] || || '''언어별[br]명칭''' ||[[라틴어]]: Sanctus Gregorius PP. VII[br][[이탈리아어]]: Papa San Gregorio VII[br][[영어]]: Saint Pope Gregorius VII II || [목차] [clearfix] == 개요 == [[가톨릭]]의 제157대 [[교황]]. 1059년 교황 [[니콜라오 2세]]에 의해 로마 가톨릭 교회의 대부제로 서품되었고 교황 [[알렉산데르 2세]]가 죽자 시민과 성직자들의 환호 속에 교황으로 옹립되었다. 당시 알렉산데르 2세의 장례 행렬에서 성직자들과 평신도 무리들이 '''"힐데브란트를 교황으로!!"'''라고 외치자 장례식 직후 [[추기경]]들이 모여 교황으로 승인했다. '''[[카노사의 굴욕]]으로 잘 알려진 [[교황]]'''이며, [[하인리히 4세]]와의 갈등이 유명하다. [[중세]] 시대 군주와 교황의 대립을 설명할 때 가장 먼저 언급되는 인물이다. == 생애 == 그레고리오 7세는 교황만이 교회의 으뜸이고 [[주교]]를 폐하거나 복직시킬 권한이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또한 세속 권력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황제를 폐위시킬 자격이 있으며 따라서 교회와 세계의 주인이라고 말하였다. 교황은 '''[[성직자]] 서임권을 둘러싸고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와 갈등'''을 빚을 수밖에 없었다. 성직자 계층이 황권의 지배 아래에서 벗어난다는 것은, 국가의 권력과 사회구조를 흔드는 매우 중대한 일이었기 때문이다. 당시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는 [[하인리히 4세]]였다. 교황권과 황권의 투쟁에서 대표주자라고 할 수 있는 두 사람의 격돌은 밀라노 주교 자리를 둘러싼 일련의 사태에서 비롯됐다. [[알렉산데르 2세]] 때부터 [[밀라노]] 지역에서 주교 문제로 자주 폭동이 일어나자, 하인리히 4세가 주교를 일방적으로 파면하고 교황에 의해 성직매매죄로 이미 고소당한 고드프리란 사람을 임명했다. 알렉산데르 2세 교황은 이를 인정하지 않고 밀라노 시민단체가 선출한 오토를 합법적인 주교로 인정했지만, 자신의 죽음으로 사태를 마무리 짓지 못한 상태였다. 그레고리오 7세는 [[하인리히 4세]]에게 밀라노 주교 임명권에 대해 간여치 말 것을 당부하는 한편, 1075년 2월 로마에서 종교회의를 개최해 평신도에 의한 성직 서임을 금지하는 법령을 선포하며 27개 항목의 '교황 훈령'을 선포했다. 하인리히 4세는 때마침 [[독일]] 북부의 [[니더작센|작센]][* 현재의 [[니더작센]]주가 당시에는 [[작센]]이었다. 현재의 작센은 [[베틴 가문]]이 통치하던 마이센 변경백국에서 기원한다.] 지방에서 일어난 반란 때문에 수긍하는 듯한 태도를 보였다. 그러나 그해 여름 반란을 진압한 후 자기가 임명한 밀라노 주교가 합법적이라고 주장하며, 1076년 1월 [[보름스]]에서 [[제국의회(신성 로마 제국)|제국의회]]를 개최하여 그레고리오 7세를 파면했다. 이에 그레고리오 7세는 그해 2월 '''하인리히 4세를 [[파문]]'''하고 황제권의 행사를 금지시켰다. 아울러 제국의 신하들에게 황제에 대한 충성 선언과 복종 의무를 해제하고 황제를 지지하던 주교들을 파문 또는 성직 수행 금지로 처벌했다. 황제에 대한 전대미문의 이 조처는 [[미사]]에 참례하지 못 하면 구원받을 수 없다고 생각하던 [[신성 로마 제국]]에 엄청난 충격을 주었다. 한편으로 하인리히 4세와 갈등을 빚고 있던 일부 제후들은 황제를 제거할 명분을 얻었다. 반대파 제후들은 1076년 10월 [[마인츠]]의 트리부르에서 회의를 열고, 1년 안에 황제가 교황으로부터 사면을 받지 못 하면 황제를 폐위하고 새로운 왕을 선출할 것을 결의, 1077년 2월 [[아우크스부르크]]에서 교황의 참석하에 회의를 열기로 했다. 황제파가 급속히 붕괴되자 하인리히 4세는 교황과 제후들의 동맹을 막기 위해 눈 덮힌 [[알프스 산맥]]을 넘어 아우크스부르크 회의에 참석하려고 로마를 떠나 카노사에 머무르고 있던 교황을 찾아갔다. 3일간의 참회 끝에 교황은 황제를 사면해 주었다. 이것이 바로 '''[[카노사의 굴욕]]'''이다. 한편 하인리히를 반대해 그를 제거하려 했던 제후들은 교황의 사면에 반대해 1077년 [[슈바벤]] 공작 루돌프를 대립 국왕으로 선출했고, 이에 하인리히 4세 세력과 대립왕 루돌프 세력 간에 전쟁이 발발했다. 내전에서 하인리히 4세의 황제파 세력이 우위를 차지하자 1080년 그레고리오 7세는 슈바벤의 루돌프를 황제로 인정하고 하인리히 4세를 파문했다. 그러나 이러한 조치가 떨어지자 중립파를 비롯한 독일 제후들은 교황의 지나친 권력 남용에 분개하며 황제를 지지했다. 이에 힘을 얻은 하인리히 4세는 곧 반대파를 평정하고 실질적인 황권을 회복했다. 여세를 몰아 하인리히 4세는 1080년 교황 그레고리오 7세를 폐위하고 [[라벤나]] 대주교 구이베르트를 [[대립교황]] [[클레멘스 3세(대립교황)|클레멘스 3세]]로 옹립했다. 1081년 내전에서 완전히 승리를 거둔 하인리히 4세는 로마로 쳐들어가 1084년 함락시켰고, 그레고리오 7세는 로마를 탈출하여 남부 [[이탈리아]]로 몽진했다. 그레고리오 7세는 그를 도와준 연합 세력이던 [[노르만족]] [[로베르 기스카르]][* [[보에몽 1세]]의 아버지로 이탈리아 남부에 자리잡은 노르만족이다. 군사적으로는 뛰어났던 인물로 [[동로마 제국]]과의 전쟁으로 얼마간의 성공을 거두기도 했지만 해운에 보급을 전적으로 의존하다보니 점령이 통치로 이어지지 못해 실질적으로 얻은 것은 없었다.]에 의해 안전을 명목으로 강제로 [[살레르노]]에서 지내다가 1년 후 '''"나는 정의를 사랑하고 불의를 미워했기에 유배지에서 죽는다.(Ho amato la giustizia e ho odiato l'iniquità. perciò muoio in esilio.)"'''는 말을 남기고 죽었다. 마지막만 보자면 결국 교황 그레고리오 7세와 하인리히 4세의 대립은 교황의 패배로 끝난 듯 보이지만, 우선 로마 함락 당시 하인리히 4세가 그레고리오 7세를 폐위시키고 옹립한 클레멘스 3세는 정식 교황으로 인정받지 못 하는 [[대립교황]]이다. 또한 교황 그레고리오 7세가 추구했던 대부분의 [[개혁]][* 성직매매 금지, 성직자 결혼 금지, 평신도(특히 황제)의 성직자 서임 금지 등]들은 후임 교황들에 의해 1세기가량 이어지면서 성공적으로 마무리지어진다. 단순히 '''폐위되어 쫓겨났다는 사실 하나만으로 역사 속의 패자라고 볼 수는 없다'''는 걸 보여준다. 1584년 교황 그레고리오 13세에 의해 [[복자|시복]]되었고, 1728년 교황 [[베네딕토 13세]]에 의해 [[시성]]됨으로써 [[성인(기독교)|성인]]으로 공경받게 되었다. 축일은 [[5월 2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