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external/pbs.twimg.com/fr1PfaM6.png]] >'''Grab. Southeast Asia's Leading Ride-Hailing Platform''' >(그랩. 동남아시아의 선도적인 라이드헤일링 플랫폼) * [[https://www.grab.com/sg/|홈페이지 (싱가포르)]] *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grabtaxi.passenger|안드로이드용 앱]] * [[https://itunes.apple.com/app/id647268330|iOS용 앱]] [목차] == 개요 == [[싱가포르]]에 기반한 [[차량]] 공유 및 배송, 전자상거래, 전자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이다.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태국]] 등 [[동남아시아]] 8개국에서 이용할 수 있으며 [[동남아시아]]의 [[우버]]라고 불린다. 특히 [[싱가포르]], [[인도네시아]]에서는 [[고젝]]과 경쟁 관계에 있다. == 역사 == [[하버드 대학교|하버드 비즈니스 스쿨]]에 재학중이던 [[말레이시아]] 출신 앤서니 탄(Anthony Tan 陳炳耀)이라는 [[중국계 말레이시아인]]이 자신을 보기 위해 [[말레이시아]]를 찾아온 친구가 [[택시]]에 대해 불만을 털어놓은 것이 계기가 되었다고 한다. ([[http://v.media.daum.net/v/20160415151204303|한국경제 기사]]) 결국 [[2012년]]에 '마이 텍시(MyTeksi)'[* [[말레이어]]에서는 택시를 '텍시(Teksi)'라고 쓴다. 또한 마이(MY)는 영어로 '나의'라는 뜻뿐만 아니라 '말레이시아'(Malaysia)의 약자로 쓰기도 하므로 '내 택시', '말레이시아 택시'라고 하는 두 가지 해석이 가능하다.]라는 콜택시 앱을 만들었는데, 한국의 [[카카오택시]][* [[2015년]]에 출시되고 보편화는 한참 뒤였다.]보다 3년 정도 빨리 시작한 것이다. 그러나 초반에는 기사들의 거부감이 많아 직접 기사들을 찾아다녔다고 앤서니 탄이 회고하였다. 2013년 [[필리핀]]에는 '그랩택시(GrabTaxi)'라는 이름을 달고 [[말레이시아]] 밖으로 진출했다. [[https://www.techinasia.com/review-philippines-grabtaxi-pick-up-app|#]] 이후 [[태국]], [[싱가포르]], [[베트남]],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등지에도 진출하면서 한동안 말레이시아에서는 'MyTeksi', 나머지 서비스 국가에서는 'GrabTaxi'로, 두 개의 브랜드가 공존하는 형태였다. 평범한 콜택시 앱이 우버와 비슷하게 된 건 2014년 그랩카(GrabCar)라는 서비스를 개시하면서부터다. [[https://vulcanpost.com/9643/grabtaxi-launches-new-limo-service-grabcar-wants-to-be-the-uber-of-asia/|#]] 이후 [[오토바이]]를 타고 갈 수 있는 그랩바이크(GrabBike) [[https://www.techinasia.com/grabtaxi-grabbike-motorcycle-service-jakarta|#]], 소형 화물 배달 서비스인 그랩익스프레스(GrabExpress)를 개시하였다. [[https://www.techinasia.com/grabtaxi-grabbike-launches-grabexpress-courier-service-in-indonesia|#]] 말레이시아에서 각자 따로 분리되어 있던 MyTeksi, GrabTaxi가 2016년 그랩(Grab)이란 새 브랜드로 통합되면서 지금은 그냥 그랩(Grab)으로 불린다. 또한 [[말레이시아]]에서 시작한 앱이지만 현재는 본사가 [[싱가포르]]에 있어 싱가포르산 앱으로 간주되고 있다. 한국 관광객들 및 교민들이 절찬리 이용하는데 특히 센토사 섬에 가거나 [[말레이시아]] [[조호르바루]]를 갈 때 많이들 이용한다. [[소프트뱅크]] 등으로부터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3/27/0200000000AKR20170327158400009.HTML|투자]]를 받는 등 향후 성장 가능성으로 주목받는 업체. === [[우버]]와의 합병 === [[2018년]] 3월 26일자로 그랩과 우버가 합병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우버]]가 [[동남아시아]] 시장에서 철수하고 그랩이 [[동남아시아]]를 전담하기로 했다. 이로써 [[동남아시아]] 공유차량 서비스 시장은 그랩과 [[인도네시아]] 기반인 [[고젝]]의 양강 구도가 되었다. === 나스닥 상장 === 2021년 말 그랩 홀딩스라는 이름으로 [[미국]] [[나스닥]]에 [[상장]]되었다. 상장 이후 대폭락하며 [[소프트뱅크 비전 펀드]]는 6억 달러 수준의 지분 평가손실을 기록하고 있다. == 이용 방법 == 현재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태국]], [[베트남]], [[캄보디아]], [[필리핀]], [[미얀마]](베타) 총 8개 국가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나라가 작은 [[도시국가]] [[싱가포르]]를 제외하면 전국 서비스는 아니고 이용할 수 있는 도시가 지정되어 있는 관계로 주의가 필요하지만 [[한국인]] 여행자들이 많이 찾는 도시들은 거의 다 가능하다. 요컨데 [[쿠알라룸푸르]], [[발리]], [[코타키나발루]], [[호치민시]], [[하노이]], [[다낭]], [[방콕]], [[자카르타]], [[세부]], [[마닐라]] 등 어지간한 곳은 다 커버된다. 한국에서 실행하면 서비스 지역이 아니므로 [[우버]]를 사용하라는 메시지가 뜬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우버]]도 T맵 택시와 합친 택시 말고는 제공하는 서비스가 별로 없다. 콜택시 앱으로 시작한 만큼 본사가 있는 [[싱가포르]]나 고향인 [[말레이시아]]에서는 많은 택시 기사들이 그랩을 이용하고 있어 일반 콜택시를 찾을때도 애용된다.[* 단, 콜비를 받지 않는 한국의 카카오택시와 달리 콜비를 받는다.] 싱가포르에서는 되려 택시 스탠드에서 택시 잡기가 더 어렵고 고젝이나 그랩을 부르는 게 현명하다. 휴대폰 번호와 이메일 주소만 있으면 간단히 가입 가능하고 우버와 달리 [[현금]]결제가 기본이라 [[신용카드]]나 [[체크카드]] 등록이 필수가 아니다.[* 그렇지만 결제수단이 다양한 편인데 특히나 [[싱가포르]]에서는 [[구글 페이]]와 [[알리페이]]도 사용 가능하다. 카드를 등록하면 매번 현금으로 지불할 필요가 없어 편리하다.] 오히려 우버가 그랩의 영향을 받아서인지 뒤늦게 일부 국가 한정으로 현금 결제를 시작했을 정도다. ([[https://techcrunch.com/2016/02/08/uber-begins-to-see-the-payout-from-accepting-cash-payments/|관련 TechCrunch 기사]]) 이용 방법은 출발지와 도착지를 선택하면 요금이 나오고, 예약(BOOK) 버튼을 누르면 그 즉시 콜을 받을 운전자를 찾는다. 사전에 표시된 거리 요금대로 가므로 [[바가지]] 걱정이 없다는 게 장점. 기사도 빨리 도착하는 게 유리한 시스템이므로 먼 길로 돌아가지도 않고, 요금에 관한 불만이 나올 일이 적다. ([[https://vind.kr/w/%EB%B2%A0%ED%8A%B8%EB%82%A8-%EA%B7%B8%EB%9E%A9-%EC%82%AC%EC%9A%A9%EB%B2%95/|베트남 그랩 사용법]]) 단, 택시의 경우에는 예상요금대가 표시되며, 택시기사가 미터기 금액을 보고 앱에 직접 금액을 입력하는 방식. [[http://v.media.daum.net/v/20170412111026788|카카오택시가 도입한다고 하는 자동결제 방식]]이 이미 그랩에서는 이뤄지고 있어, 카드를 등록했다면 카드로 자동으로 빠져나가고 영수증을 이메일로 보내준다. 드라이버를 별점으로 평가할 수도 있다. [[싱가포르]]의 경우에는 [[ERP]]라고 하는 도로 혼잡 통행료 징수 체계가 있어, 요금에 이 통행료가 더 붙는다. 국가마다 다르지만, 일부 국가에서는 프로모션 용도로 할인쿠폰 코드를 살포(...)하고 있다. 동남아 여행객이라면 미리 찾아보고 사용 가능한 쿠폰은 꼭 사용할 것. 2019년 11월부터 [[일본]]의 재팬택시(JapanTaxi)와 [[중동]]의 카렘(Careem)과 협업하여 일본 내 5개 도시 (도쿄, 교토, 삿포로, 나고야, 오키나와)와 중동 13개국 94개 도시에서 그랩 모바일 앱을 일본과 중동 지역에서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싱가포르와 필리핀 쪽 사용자들부터 시작하며 다른 동남아시아 국가 사용자들로 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다. [[https://www.grab.com/sg/press/others/explore-the-sights-and-sounds-of-japan-and-the-middle-east-with-grab/|그랩 공식 보도자료]] === 서비스 === || '''Taxi''' || 말 그대로 [[택시]]를 부르는 것을 말한다. 보통 콜비가 붙으므로 유의해야 한다. 그랩이 서비스하는 모든 나라에서 찾을 수 있다. [br] 나라마다 택시 종류가 다르므로 자세한 내용은 그랩 홈페이지 설명을 참고할 것. [br] [[https://www.grab.com/sg/taxi/|싱가포르]], [[https://www.grab.com/my/taxi/|말레이시아]], [[https://www.grab.com/id/en/taxi/|인도네시아]], [[https://www.grab.com/th/en/taxi/|태국]], [[https://www.grab.com/vn/en/taxi/|베트남]], [[https://www.grab.com/ph/taxi/|필리핀]], [[https://www.grab.com/mm/|미얀마]](베타) || || '''GrabCar''' || 일반인이 운행하는 차량을 부르는 것이다. 거리당 요금 (+ 수요에 따른 추가요금)으로 미리 계산되어 바가지 걱정이 없다. [br] 현재 베타 서비스 중인 미얀마를 제외한 서비스 대상 국가에서 이용이 가능하다. [br] 일부 국가에서는 프리미엄 차량 서비스가 있다. [br] [[https://www.grab.com/sg/car/|싱가포르]], [[https://www.grab.com/my/car/|말레이시아]], [[https://www.grab.com/id/en/car/|인도네시아]], [[https://www.grab.com/th/en/car/|태국]], [[https://www.grab.com/vn/en/car/|베트남]], [[https://www.grab.com/ph/car/|필리핀]] || || '''GrabBike''' || [[오토바이]] 택시. 일부 국가 한정. [br] [[https://www.grab.com/id/en/bike/|인도네시아]](자카르타), [[https://www.grab.com/vn/en/bike/|베트남]](호치민, 하노이), [[https://www.grab.com/th/en/bike/|태국]](방콕 및 주변 지역)에서 이용 가능하다. || || '''GrabExpress''' (GrabDelivery) || [[퀵서비스]] 같은 서비스로 역시 일부 국가에서만 제공 중이다. || || '''GrabPay''' || [[알리페이]] 같은 QR코드 베이스 [[핀테크]]앱.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베트남, 필리핀에서 서비스 제공 중. || || '''[[https://www.grab.com/sg/share/|GrabShare]]''' || 카풀 서비스 || || '''[[https://www.grab.com/sg/hitch/|GrabHitch]]''' || 카풀 서비스 || || ''' [[https://www.grab.com/sg/justgrab/|JustGrab]]''' || 택시나 일반인 차량을 랜덤으로 골라서 그랩카 요금보다 10% 정도 저렴하게 탈 수 있는 서비스 || || '''GrabFood''' || 우버이츠처럼 음식을 배달하는 서비스, 실시간 배달 상황까지 보여준다. || || '''GrabGroceries''' || 마트와 연동하여 식료품을 배달하는 서비스 || || '''GrabPackages''' || 그랩을 자주 사용하는 유저를 위해, 매월 일정 금액을 구독할 경우 상대적으로 더 저렴하게 그랩을 쓸 수 있는 구독 서비스 || || '''GrabOffers''' || 각종 그랩으로 쓸 수 있는 쿠폰 및 프로모션 || === 그랩 차량 종류 === * JustGrab : 택시와 일반 차량의 랜덤 설정이다. * GrabCar : 우버와 같은 설정이다. * GrabBike : 오토바이 * GrabCar Premium : 프리미엄 세단 * GrabTaxi : 그랩을 지원하는 일반 택시 * GrabSUV : SUV * GrabVan : 다인승 차량(미니 버스) * GrabCar Luxe : 독일계 고급 세단 * Assist : 휠체어 보조 가능 차량 * Rent : 2시간 혹은 4시간 단위 === 그랩 기사 === 일반적으로 기사들이 질이 높고 친절하지만 종종 몇몇 기사들이 외국인 여성 승객이 타면 내일 어디가냐(....)고 물어보는 경우도 있다. [[싱가포르]]에서 개인 차량의 경우 특히 [[말레이인]], [[인도계 싱가포르인]]들이 기사로 많이 걸리는데 그렇다고 되려 겁 먹을 필요는 없다. 택시는 [[중국계 싱가포르인]] 노인 기사들이 많다. 홍콩의 택시와 달리 싱가포르 택시는 노인 기사도 영어를 잘 한다. 그리고 가끔씩 [[일본인]]이나 [[백인]] 심지어 낮은 확률로 [[한국인]]이 운전하는 개인 차량들도 나오는데 싱가포르에 거주하는 외국인들이 부업 삼아 주말에 그랩 운전을 겸하기도 하기 때문이다. 법이 엄한 싱가포르에선 기사가 범죄자로 돌변하는 일은 거의 없다.[* 애초 성범죄와 강력범죄를 엄벌해서 강도나 강간 등은 그 악명높은 [[태형]]이 기본이다.] 되려 그랩 기사를 상대로 범죄를 저지르던 일당들이 여럿 엄벌에 처해진 일이 있는 등 기사의 질에 대한 걱정은 접어줘도 된다. [[말레이시아]]의 그랩도 싱가포르와 대동소이해서 그럭저럭 기사 질이 높고 안전하게 이용할 만 하다. 특히 [[쿠알라룸푸르]] 수도권의 경우 말레이시아 택시의 고질병인 바가지가 없다는 것 하나만으로도 큰 메리트가 된다. 말레이시아 택시는 바가지가 심하기로 악명이 높다. 한국에서 치안이 안 좋게 인식되는 [[필리핀]]이나 [[태국]],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등 다른 [[동남아시아]]에서도 그랩만은 그나마 고젝과 함께 안전이 보장된다. 특히 택시 잘못 타면 골로 가는 나라인 [[필리핀]]에선 더욱 그렇다. 그랩은 업체에 의해 기사들이 중앙에서 관리되어 셋업 등의 위험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롭다. 그리고 밤 늦게 호객행위를 하거나 미터기를 끄고 되도 않는 바가지를 씌우는 등으로 악명높은 [[태국]]에서도 고젝/그랩은 가장 안전하다. 태국은 고젝과 함께 영어로 이용이 가능한지라 알기 힘든 태국 문자로 적힌 [[태국어]] 폭탄을 피해서 언어 문제도 해결된다. == 특징 == 아래 특징 중 다수는 [[우버]]와 공유하는 것이기도 하다. * 차량 배정 당시 정해진 요금만 받는다. 차량 배정 당시 산출된 루트로 고정요금이 산정되기 때문에 만약 예상이 없던 교통체증이 발생하거나 그랩기사가 길을 잘못들어 먼 거리를 빙빙 돌아 가도 정상루트와 요금은 똑같다. * 그랩기사는 사진과 이름, 차량 번호판과 차종, 차색깔, 지금까지의 누적된 고객평가까지 표시된다. * 그랩기사 뿐만 아니라 승객 역시 자신의 사진을 찍어서 업로드해야 한다. 또한 이름도 그랩기사에게 표시된다. 따라서 그랩기사가 엉뚱한 사람을 픽업할 위험은 없다. * 굳이 차량 배정을 요청하지 않더라도 언제든지 현재 위치 기준 주변의 그랩기사가 어디에 몇명이나 있는지 실시간으로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본 위치에서 그랩이 잘 잡힐지 여부를 알 수 있다. 차량이 배정되면 배정된 그랩차량의 위치만 실시간으로 표시된다. * 그랩기사와는 전화통화뿐 아니라 그랩 내 자체 메신저로 문자 메시지도 가능하다. 때문에 그랩기사와 통화할 일은 거의 없고 대부분 문자메시지로 소통하는 편이다. 예를 들어 그랩기사가 지금 어디에 있다, 만에하나 길이 막힌다면 왜 막힌다 이런 걸 문자로 받을 수 있고 반대로 어디로 어떻게 오라고 고객이 문자를 보낼수도 있다 * 픽업 위치를 잡을 때, 단순히 휴대폰 GPS로 현위치를 잡는게 아니라 현위치 기준 가장 가깝고 대표적인 랜드마크로 우선적으로 자동 지정된다[* 수정은 가능하다]. 관광지 입구, 아파트 단지 입구나 상가입구 등이 해당된다. * 카드 또는 현금으로 결제 가능하다. 카드 결제는 미리 카드정보를 입력해야 한다. * 카드로 결제하는 경우, 팁을 앱으로 주는 것도 가능하다. 미리 정해진 소액의 팁을 줄 수도 있고 임의로 큰 금액을 줄수도 있다. * 별점을 남길 수 있다. 별점은 5점 만점으로서, 만약 4점이하의 별점을 남기면 어떤 점이 불만이었는지 설명을 필수적으로 기재해야 한다. * 별점뿐 아니라 그랩기사의 세부적인 면을 평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운전을 잘한다, 길을 잘 찾는다, 대화를 편하게 한다, 음악 선곡을 잘한다, 차량 내부가 깔끔하다 등등이 해당된다. * 승객은 이용실적에 따라 그랩포인트를 얻는다. 그리고 이렇게 쌓인 포인트는 그랩 푸드 등 다른 그랩 서비스에서 마일리지로 활용가능하다. [[분류:승차공유 서비스]][[분류:배달앱]][[분류:애플리케이션]][[분류:나스닥 상장 법인]][[분류:싱가포르의 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