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문서가 존재하는 V1엔진 스피드 카트바디)] [include(틀:그래피티 시리즈)] {{{}}} [목차] || [[파일:그래피티 V1 설명.png]] || || 카트바디 설명 || || [[파일:그래피티 V1 트랜스폼.gif]] || || 트랜스폼 || [[파일:카트패스2.jpg]] >'''자유로움을 갈망하다, 그래피티 V1''' == 개요 == 2월 10일에 아이템 카트바디인 [[트레인 V1]]과 함께 출시한 그래피티 시리즈의 V1 엔진 버전 카트바디. == 국가별 획득 경로 == === 한국 === || '''카트 명칭''' ||<(>그래피티 V1 || || '''획득 방법''' ||<(> 없음 || 2022년 2월 10일 업데이트로 열린 카트 패스 챕터 2 시즌 1의 프리미엄 패스 보상으로 나왔지만, 그 전에 출시한 [[어벤저 V1/비판 및 논란|어벤저 V1이 몰고 온 엄청난 파장]]으로 인하여 카트 패스를 구매하는 유저가 많지 않았다. 그래서 넥슨 측에서는 이를 의식했는지 패스권 구매 시 추후에 열릴 카트 패스에서 사용할 수 있는 혜택을 제공했다. 18주년 선물 상자에서 '''18대 한정 수량'''으로 등장했다. 8월 31일까지이며 시간은 오후 9시. 근데 문제는 수량이 너무 적은 탓인지 또 매크로 돌리는 사람들이 수두룩해서인지 '''단 1초만에''' 매진되는 어이없는 광경이 벌어졌었다. === 중국 === || '''카트 명칭''' ||<(> 涂鸦 V1 (낙서 V1) || || '''획득 방법''' ||<(> 카트패스 시즌2 챕터1 프리미엄 패스 최종보상 || === 대만 === || '''카트 명칭''' ||<(>塗鴉 V1 (낙서 V1)|| || '''획득 방법''' ||<(> 카트패스 시즌2 챕터1 프리미엄 패스 최종보상|| == 성능 == ||<-4> '''성능 수치''' || || {{{#000,#fff '''서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6]] || [[파일:중국 국기.svg|height=16]] || [[파일:대만 국기.svg|height=16]] || || '''드리프트''' ||<-3> 1040 || || '''가속력''' ||<-3> 1027 || || '''코너링''' ||<-3> 962 || || '''부스터 시간''' ||<-3> 950 || || '''부스터 충전량''' ||<-3> 540 || ||<-4> '''속도''' || || '''직선 속도''' ||<-3> 속도km/h || || '''부스터 속도''' ||<-3> 293km/h || || '''출발 부스터''' ||<-3> 속도km/h || || '''헤어핀 감속''' ||<-3> 125~129km/h || ||<-4> '''익시드 시스템''' || || '''최고 속도''' ||<-3> 속도km/h || || '''부스터 속도''' ||<-3> 312km/h || || '''지속 시간''' ||<-3> 2.5초 (Type L) || || '''쿨타임''' ||<-3> 630Frame || ||<-4> '''주행 물리''' || || '''안정성''' ||<-3> 상 || || '''접지력''' ||<-3> 상 || || '''몸싸움''' ||<-3> 중상 || || '''무게중심''' ||<-3> 조금 앞 || ||<-4> '''발동 조건''' || || '''자동 변신''' ||<-3> 160km/h || || '''익시드''' ||<-3> 20% || || '''크래시 게이지''' ||<-3> 200km/h || [[파이어 마라톤 V1]], [[폭스 V1]], [[골든 코튼 V1]]처럼 전반적인 밸런스가 잘 잡혀있는 밸런스형 카트바디. 성능과는 별개로 그래피티 V1 이전에 출시한 [[어벤저 V1]] 때문에 레전드 등급의 파츠가 엄청나게 풀려버려서 준수한 성능에도 불구하고 존재감이 완전히 사라져버린 비운의 카트바디가 되었다. ---- {{{+1 '''강점'''}}} * '''괜찮은 순정 파츠와 부스터 효율''' 드리프트 수치가 1040으로 [[비트 V1]], [[파이어 마라톤 V1]], [[골든 코튼 V1]] 보다 톡톡이에 이점을 가져가며 차체 크기도 적당해[* 빌리지 테마 출발선 격자무늬 기준으로 [[파이어 마라톤 V1]]이 한칸에 딱 들어가는 사이즈라면, 그래피티 V1은 한칸보다 작은 사이즈이다.] 주행하는 데에 큰 불편함을 느끼진 않는다. 부스터 충전량 540에 지속시간 950으로 부스터 효율도 평균 이상이다. * '''밸런스 좋은 올라운더''' 감속은 폭스 V1과 비슷한 125~129km/h로 평균 정도이고, 안정성과 접지력이 훌륭해 범용성이 매우 높다. 익시드 역시 가장 대중적이고 사용하기 좋은 L타입이다. 따라서 모든 포지션에서 무난하게 쓰기 좋으며 초보자들에게도 충분히 어필할 수 있다. 마땅한 레어급 밸런스 카트바디가 없다면 기용할 가치가 있다. ---- {{{+1 '''약점'''}}} * '''조금 긴 차체 앞부분''' 차체가 작은 편인 건 맞으나 앞부분만큼은 조금 튀어나온 모양새라 안일하게 주행했다간 조금씩 부딪히는 일이 나온다. 이를 자꾸 의식하게 되면 실수가 잦아지는 점도 경계해야 할 부분이다. * '''낮은 고점''' 모든 밸런스형이 그렇듯 특출난 강점이 없다는 단점 역시 공존하고 있다. 러너로 쓰기엔 감속이 부족하고, 스위퍼로 쓰기엔 몸싸움이 특출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Liiv SANDBOX V1 W3]]와 [[그믐 산군 V1]]의 높은 감속, [[아이언 솔리드 V1]]과 [[스틸 솔리드 V1]]의 높은 충돌 방어력 같은 메리트 있는 카트바디들에 비해 고점이 낮기 때문에 고수층으로 갈수록 선호도는 떨어지게 된다는 점은 명심할 필요가 있다. == 탑승 선수 == || [[2022 카트라이더 리그 시즌2]] 기준 || * [[DFI BLADES/카트라이더|DFI BLADES]] : [[김다원(프로게이머)|김다원]](MIDDLE), * [[KWANGDONG FREECS/카트라이더|KWANGDONG FREECS]] : [[송용준(카트라이더 프로게이머)|송용준]](HYBRID) * [[Liiv SANDBOX/카트라이더|Liiv SANDBOX]] : [[김승태]](HYBRID), [[정승하]](RUNNER) * FINALE e-sports : [[윤서형]](SWEEPER) * APEX : 없음 * WISH : 김정연(SPEED ACE) * Savage : [[심우혁]](SWEEPER) * Sinkhole : 권효진(HYBRID) 2022 시즌 1 규정 후에 출시되어서 탑승 카트바디에는 나오지 않았다. 2022 시즌 2에 처음 등장했다. 에이스나 러너 포지션보다는 스위퍼형 L타입 카트라는 것이 주 의견이기에 스위퍼 포지션으로 채택될 가능성이 크다. 타이밍이 너무 안 좋았어서 라이브 서버에서 묻혔지만, 리그에서는 아직까지는 레어 등급만 스피드전에서 사용 가능하고 그래피티의 성능도 나름 괜찮다는 점 때문에 생각보다 자주 쓰이고 있다. L타입이 필요한 주행 위주의 달리기 맵에서 자주 쓰이고, 주행성과 드립감, 안정성, 감속의 밸런스가 꽤 좋아서 픽이 잘 되었다. 특히 경쟁 카트바디들(크롬 버스트, 폭스, 이온, 카본 비트)보다 몸싸움이 우세하다는 것이 크게 작용하였다. 다만 현 리그메타에서는 B, S타입을 선호하는지라 일부맵에서는 경쟁 카트바디들이 쓰였다. 결론적으로 [[어벤저 V1]] 사태의 가장 큰 피해자 이자 비운의 카트바디 였으나 리그에서 재평가를 받고, 현 S타입 1~2티어 카트인 [[크롬 버스트 V1]]와 지난 시즌 1~2 옵션 이었던 [[폭스 V1]]에게 전혀 밀리지 않으며, L타입 카트바디 중에서 가장 높은 픽률을 보였다. 이번 시즌 리그에서 가장 수혜를 받은 카트바디중 하나가 되었다. == 여담 == * JIU 엔진 때부터 계속 명맥을 이어왔던 그래피티 시리즈가 빠르게 V1으로 복귀했다는 점은 긍정적이지만, 하필이면 레전드 등급인 [[어벤저 V1]] 출시 이후에 출시되었기 때문에 출시되자마자 묻히게 됐다. 그 여파인지 패치 후 시간이 꽤 지났음에도 어떠한 후기나 리뷰도 없었다. 이미 레전드급 카트바디가 대량으로 풀린 상황에서 레어급 카트를 바로 타보겠다고 많은 돈을 투자할 이유가 없는 것은 사실. 이에 [[리버스(유튜버)|리버스 팀]]에서 그래피티 V1을 획득한 계정을 통해 주행 영상과 더불어 출시 후 '''41시간 30분''' 만에 첫 한섭 리뷰 영상을 올렸다. [[https://youtu.be/j1DjZEkJurg|(충격)사면 흑우라고 놀림받는 레전드 카트 ㅋㅋ]] [[https://youtu.be/KTQdOOGuX4g|생각보다 괜찮은데 욕먹는 이유]] 이후 원래 신규 카트를 가장 먼저 올리기로 유명한 [[이중선]]과 [[한삼변]]이 리뷰를 업로드했다. * 위에서 언급된 채널들에서 공통적으로 한 계정을 빌려서 다뤘는데 이 계정의 주인은 [[WyvernP]]로, 이중선의 리뷰 방송 당시 밝힌 바에 따르면 '''그냥 궁금해서 뽑았다'''고 한다. 심지어 패스 퀘스트를 깬것도 아니고 '''쌩으로 패스 티켓을 대량으로 구매해''' 뚫은거라 사실상 여타 리뷰어들 처럼 30만원을 투자한 것이다.[* 요즘에 그래피티를 구매하면 "내가 2번째야!!"라고 한다.] 이를 바꿔 말하자면, 리뷰를 한 채널 그 어디에서 이 카트바디를 더 빨리 획득할 생각이 없었다는 것이다. 평소라면 비판이 나올 수도 있는 부분이지만 선술했다시피 어벤저 V1가 더 좋은 카트바디라는건 카트 유저 대다수가 알고 있는 사항이라 이에 대한 지적이 없다시피했다. * 이렇듯 한국 서버에서는 찬밥 취급이지만 [[어벤저 V1]]이 행운의 빙고로 나온 중국 서버와 같은 시상이지만 꿀패를 막은 대만 서버에서는 어느정도 선방할 것으로 추정되며 실제로 전서버 기준 최초 리뷰가 [[https://b23.tv/vuA0aTe|빌리빌리]]에서 올라온 바 있다. 한섭에서의 어벤저 V1 출시 방식이 얼마나 밸런스 붕괴를 야기시켰는지 알 수 있는 부분. 덕분에 한섭에서는 챕터2 시즌1의 패스권을 구매할 메리트가 크게 떨어졌는데 넥슨에서도 이를 알았는지 챕터2 시즌1의 패스권을 구매 시 [[몬스터 V1|시즌2]]의 패스 티켓 99장을 주고 시즌1의 세 가지 패스를 모두 구매시 시즌2 럭셔리권까지 추가로 준다는 파격적인 이벤트를 시행했다.[[https://kart.nexon.com/events/2022/0210/Event.aspx#contents_2|#]] * 구매자가 저조해서인지 [[동호형]]이 주최하는 컨텐츠인 [[https://youtu.be/x8BH0qYpPBM|희귀카트 데스매치]]에 참가한 한 시청자가 그래피티 V1을 꺼냈는데, 해당 카트바디를 보유한 다른 유저가 아무도 없어서 바로 우승하는 진풍경이 벌어졌다. * 부스터 색깔은 [[아이언 솔리드 V1]]과 동일한 노란색이다. [[그래피티 X]]에서 녹색 번짐 이펙트를 최초로 도입했던 것의 연장선으로 보인다. * 여섯 번째 카트 패스로 플라즈마나 바이크가 출시될 거라는 모두의 예상을 깨고 출시되었다. 때문에 레전드급의 이른 출시와 맞물려 "바이크랑 플라즈마는 도대체 언제 나오냐"는 볼멘소리가 나오기도 한다. 결국 훗날 [[플라즈마 V1]]과 [[프로토 바이크 V1]]이 출시되긴 했다. * 카트 패스 주간 스페셜 퀘스트에서 대결 상대가 타는 카트이다. 반면 자신이 타는 카트는 '''[[그래피티 X]]'''. 패스 티켓을 주는 대결 퀘스트는 일반 보상 카트바디로 프리미엄 패스 보상 카트바디를 탑승한 상대 AI와 대결하는 전통이 깨진 것이다. 이는 일반 패스 보상이 아이템 카트인 [[트레인 V1]]이라 주행하기가 나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카트패스 역대 프리미엄 패스 최종 보상 리스트)] == 관련 문서 == * [[그래피티 9]] * [[그래피티 X]] [[분류: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카트바디]][[분류:2022년 출시된 카트바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