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1 그란티장수풍뎅이[* 국내에서 잘 알려진 이름]}}}[br](그랜트흰장수풍뎅이, 그랜트왕장수풍뎅이[* <세계 장수풍뎅이 해설>에서 붙여진 이름])[br]Western Hercules beetle}}}'''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ynastes grantii.jpg|width=100%]]}}} || || [[학명|{{{#000 '''학명'''}}}]] || ''' ''Dynastes grantii'' '''[br]Horn, 1870 || ||<-2> {{{#000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절지동물문]](Arthropod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곤충강(Insecta) ||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딱정벌레목(Coleoptera)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풍뎅이과(Scarabaeidae)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아과'''}}}]] ||장수풍뎅이아과(Dynastinae) ||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왕장수풍뎅이속(''Dynastes'') || ||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그란티장수풍뎅이(''D. grantii'')''' || [[파일:그란티장수풍뎅이.jpg|width=350]] 그란티흰장수풍뎅이의 암컷과 수컷 [[파일:bb151.jpg|width=350]] [[파일:bb152.jpg|width=350]] 같은 Dynastes속 최대종인 [[헤라클레스장수풍뎅이]]와 그란티장수풍뎅이(웨스턴 헤라클레스 비틀). 미국에서는 둘 다 헤라클레스 비틀이라고 한다. [목차] == 개요 == [[북아메리카]] 대륙 [[미국]]의 [[애리조나]]주, [[유타주]], [[텍사스]]주 등 미국 서부 및 중서부 주들에 서식하는[* 멕시코에 서식하는 것은 그란티와는 다른 힐루스장수풍뎅이(Dynastes hyllus)이다. 그란티와 외형은 비슷하게 생겼으나 그란티같은 유백색이 아닌 황색 바탕의 몸 색을 가진다. 또 평균적으로 그란티보다 살짝 큰 편이다.] 전체길이 40~90mm의 북미 대륙 최대 크기의 [[장수풍뎅이]].[* 크기는 국내에서 서식하는 [[장수풍뎅이]]와 비슷하다.] 그란티장수풍뎅이는 공식적인 정식 명칭이 아닌 가칭이다. 외모에서도 알 수 있듯 세계 최대의 장수풍뎅이인 [[헤라클레스장수풍뎅이]]와 같은속인 왕장수풍뎅이속의 장수풍뎅이지만 크기는 다소 작아 국내의 [[장수풍뎅이]]와 비슷하며, 외모가 유사한 종으로 북미 동부지역에 서식하는 [[티티우스장수풍뎅이]]와 [[중남미]]의 [[힐루스장수풍뎅이]]가 있다.[* 차이점을 찾자면 일반적으로 티티우스쪽이 뿔이 더 짧고 발색이 노란색이며, 힐루스장수풍뎅이도 발색과 뿔의 형태가 다르다.][* 영명에서 그란티장수풍뎅이가 '''서부''' 헤라클레스 딱정벌레로 불린다면, [[티티우스장수풍뎅이]] 쪽은 '''동부''' 헤라클레스 딱정벌레로 불린다.][* 이 세 종은 분류에 따라 종을 합치는 경우도 있다.] 장수풍뎅이들 중에서는 몇 안되는 흰색을 띄는 종이지만 이 색은 습도에 따라 변하며, 습도가 높으면 색이 검게 변한다. 특히 일본과 그 영향을 받은 한국에서는 이 종의 이름이 미국의 18대 대통령 [[율리시스 S. 그랜트]]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http://bugguide.net/node/view/139578|실제로는 애리조나에 있는 미육군의 그랜트 요새(Fort Grant)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근데 그랜트 요새 또한 해당 대통령의 이름을 따온것이니 대통령이름에서 유래했다고해도 딱히 틀린건 아니다.] 작은 크기에 비해 표본의 가격이 매우 비싼 편인데, 정작 현지인 미국 서부에서는 집단으로 많이 채집되는 경우가 잦다고 한다. == 생태 == 다른 [[장수풍뎅이]]와 마찬가지로 성충은 [[수액]]과 [[과일]]을 먹고 [[유충]]은 부엽토를 먹는다. 빛에 달려드는 습성 또한 동일하다. 건조지역에 살기 때문에, [[알]] 상태에서 보내는 시간이 상당히 길다. 개중에는 '''3개월'''가량을 알 상태로 있는 것도 있다. 유충기간이 몇 '''년''' 단위로 상당히 긴 것으로 알려져있는데, 부화해서 [[번데기]]가 되는데 까지 대략 '''2~3년''' 정도 걸린다고 한다. 유감스럽게도, 긴 유충 기간에 비해 성충은 다른 장수풍뎅이처럼 단명한다. 길어야 3~5개월 정도. 이들과 티티우스장수풍뎅이의 [[알]]에 기생하는 [[http://www.uky.edu/Ag/CritterFiles/casefile/insects/beetles/hercules/mites.htm|진드기 종]]이 있으며, 유충의 [[천적]]으로 [[파리매]]상과에 속하는 [[https://en.wikipedia.org/wiki/Mydas_fly|마이디다이]](''Mydidae'')과의 [[http://www.uky.edu/Ag/CritterFiles/casefile/insects/beetles/hercules/mydas.htm|유충]]이 있다. == [[애완동물]] == [[북아메리카]]에 서식하는 몇 안되는 종의 장수풍뎅이라는 점과 독특하게도 흰색이라는 점이 맞물려 [[영미권]]을 비롯해 상당히 인기있는 장수풍뎅이다. 이 종이 서식하는 지역에서는 수컷들을 잡아다 싸움을 붙이기도 한다고 하며, [[표본]]으로도 인기가 높고 북미 현지를 비롯하여 곤충 사육의 대명사인 [[일본]]에서도 사육이 이루어지고있다.[* 다만 현지에서는 티티우스장수풍뎅이쪽이 더 자주 사육 되는것으로 보인다.] [[http://beetlesaspets.blogspot.kr/2015/01/the-western-hercules-beetle-dynastes.html|그란티장수풍뎅이의 사육 보고서(영문)]] 알려진 사육방법은 국내의 [[장수풍뎅이]]와 크게 차이나지 않으나, 개인적인 사육을 위한 외국 곤충의 수입이 금지된 국내에서는 사육이 불가능하다. 사진이나 [[표본]]으로 만족하도록 하자. == 기타 == 곤충이 주연으로 나왔던 [[코카콜라]] [[https://youtu.be/icV7fGqPZ2I|광고]]에서 뚜껑을 따는 역할로 등장하기도 했다. [[https://youtu.be/RJYRcGrcrZI]] [[https://www.stagbeetles.com/bbs/board.php?bo_table=photo_member&wr_id=383665&sst=wr_good&sod=desc&sop=and&page=18]] [[헤라클레스장수풍뎅이]],[[티티우스장수풍뎅이]]와 이종교배한 개체가 있다.[* 이밖에도 [[힐루스장수풍뎅이]],[[넵튠장수풍뎅이]],[[사탄장수풍뎅이]]등 같은 속의 다른종들과 이종교배가 가능할것으로 보인다.] [[분류:왕장수풍뎅이속]][[분류:애완동물/딱정벌레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