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ff 그란 알레그리아 관련 틀}}}''' || ||<^|1>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include(틀:JRA상 최우수 단거리마)] [include(틀:JRA상 최우수 3세 암말)] [include(틀:신세기의 명마 베스트 100)]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Gran_Alegria_Maiden_2018.jpg|width=100%]]}}} || ||<-2> 이름 || グランアレグリア[br]Gran Alegria || ||<-2> 출생 || [[2016년]] [[1월 24일]] ([age(2016-01-01)]세) || ||<-2> 성별 || 암컷 || ||<-2> 털색 || 갈색 (鹿毛, 카게) || ||<-2> 아비 || [[딥 임팩트(말)|딥 임팩트]] || ||<-2> 어미 || 태피츠플라이(Tapitsfly) || ||<-2> 외조부 || [[태핏]](Tapit) || ||<-2> 성적 || 15전 9승 (9-2-2-2) || ||<-2> 총상금 || 10억 7381만 3000엔 || ||<-2> 생산자 || [[샤다이 그룹#노던 팜|노던 팜]] || ||<-2> 마주 || [[샤다이 그룹#선데이 레이싱|선데이 레이싱]] || ||<-2> 모집 정보 및 규모 || 7000만 엔^^(1구 175만 엔 × 40구 계좌)^^ || ||<-2> 조교사 || [[후지사와 카즈오]] (미호) || ||<|3> 주요[br]우승 || G1 || [[오카상]] (2019)[br][[야스다 기념]] (2020)[br][[스프린터즈 스테이크스]] (2020)[br][[마일 챔피언십]] (2020, 2021)[br][[빅토리아 마일]] (2021) || || G2 || [[한신 컵]] (2019) || || G3 || [[사우디아라비아 로열 컵]] (2018) || ||<-2> 주요 수상 || 2019년 [[JRA상]] 최우수 3세 암말[br]2020년, 2021년 JRA상 최우수 단거리마 || || 레이팅 || WBRR || M121 ([[틀:2020 세계 최고 경주마 랭킹|2020]]) / M120 ([[틀:2021 세계 최고 경주마 랭킹|2021]]) || ||<-2> 상세 정보 || [[https://db.netkeiba.com/horse/2016104532/|[[파일:netkeiba_logo.png|width=85]]]] | [[https://www.jbis.jp/horse/0001220947/|JBIS]]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알레그리아.jpg|width=100%]]|| || '''아름다움, 빠름.[br]{{{-2 美しき、速さ。}}}''' || || '''{{{#white 히어로 열전 No.89}}}''' || 일본의 경주마. 마명은 스페인어로 대환성을 뜻한다. [[JRA]]의 3세 이상 [[마일]] G1 대회[* 오카상, 야스다 기념, 마일 챔피언십, [[빅토리아 마일]]로 오카상은 3세 암말 클래식 대회, 야스다 기념과 마일 챔피언십은 3세 이상 상하반기 마일 최강자전, [[빅토리아 마일]]은 4세 이상 암말 고마전이다.]를 모두 제패, 특히 G1 최다승(9승)에 빛나는 [[아몬드 아이]][* [[2020년]] 야스다 기념, 당시 2착], 역대 3번째이자 암말 최초 그랑프리 3연패를 달성하고 [[개선문상]]에 출주한 [[크로노 제네시스]][* [[2019년]] 오카상, 당시 3착]마저도 뿌리치고 마일거리 G1 경주에서 우승한 전적으로 명실상부한 '''마일의 여왕'''이라는 별명으로 불리고 있다. [[2016년]]생 경주마 중에서는 [[2019년]] 암말 트리플 티아라 3강으로 함께 활약한 [[러브즈 온리 유]], [[크로노 제네시스]]와 함께 [[일본]]의 당대 최강 암말 중 하나로 꼽힌다. == 혈통 == || 1대 || 2대 || 3대 || ||<|6>'''[[딥 임팩트(말)|딥 임팩트]][br]{{{-2 ディープインパクト}}}'''[br]{{{-2 2002}}}||<|3>'''[[선데이 사일런스]][br]{{{-2 Sunday Silence}}}'''[br]{{{-2 1986}}}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 ||'''[[헤일로(말)|헤일로]][br]{{{-2 Halo}}}'''|| ||위싱 웰[br]{{{-2 Wishing Well}}}|| ||<|3>윈드 인 허 헤어[br]{{{-2 Wind in Her Hair[br]1991}}} [[아일랜드|[[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5px]]]]|| ||알자오[br]{{{-2 Alzao}}} || ||버클리어[br]{{{-2 Burghclere}}}|| ||<|7>태피츠플라이[br]{{{-2 Tapitsfly[br]2007}}}|| ||<|3>[[태핏]][br]{{{-2 Tapit[br]2001}}}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 ||펄핏[br]{{{-2 Pulpit}}}|| ||탭 유어 힐스[br]{{{-2 Tap Your Heels}}}|| ||<|3>플라잉 말린[br]{{{-2 Flying Marlin}}}[br]{{{-2 1999}}}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5px]]]]|| ||말린[br]{{{-2 Marlin}}}|| ||모닝 도브[br]{{{-2 Morning Dove}}}|| ||<-3>* [[니진스키 2|니진스키]] M5×M5 6.25%|| 아비는 [[딥 임팩트(말)|딥 임팩트]]이고, 어미는 미국에서 G1 2승과 G2 1승을 포함해 총 7승을 기록한 중상마 태피츠플라이(Tapitsfly)다. 전형제로 2017년생 블루트강(ブルトガング)이 있었다. 신마전을 4마신차로 압승하는 활약을 보여주었으나, 한달도 못가 안락사 되었다.[* 이유는 신마전 이후 척추 협착으로 인한 요위라고 한다.] 태피츠플라이는 저 동생을 낳은뒤 2018년에 요절하는 바람에 그란은 더 이상 동생을 볼 수 없다고 한다. 여담으로 외조부 태핏과 어미 태피츠플라이 모두 회색털을 지닌 말이지만 그란 알레그리아는 평범하게 갈색 털을 가지고 태어났다. == 경주 스타일 == 주요 각질은 선행. 보통은 전열, 대략 앞에서 3~5번째 포지션에 자리를 잡고 달리다 4번 코너 탈출과 동시에 압도적인 스퍼트로 치고나와 리드를 벌리는 식으로 우승을 차지하지만, 스타트가 좋지 않았을 때는 중열 혹은 후열[* 스프틴터즈S 당시 16마리가 출주했었는데, 그란 알레그리아는 15-15의 위치로 4코너를 통과한 후, 무시무시한 스퍼트로 1착을 해냈다, 이때는 그란 알레그리아 뿐만 아니라, 아예 가장 맨 뒤에서 4코너를 통과했던 어 윌 어웨이(アウィルアウェイ)도 무시무시한 스퍼트로 10번 인기임에도 3착을 기록하면서 3연단 대박을 터트렸다.]에 있다가 최종 직선에서 치고 나오는 경우도 있었다. 어느 경우던 강력한 막판 스퍼트를 보유하고 있기에 가능한 전략. [[https://www.youtube.com/watch?v=VeMeXPniuYM|2020 스프린터즈S까지의 승리 영상 모음.]] == 생애 == 데뷔 레이스는 2018년 6월 3일, 2세 신마전에서 프랑스인 기수 [[크리스토프 르메르]]가 기승하여 우승을 차지했다. 이후 G3 사우디아라비아 로열 컵에 출전하여 1착, 기세를 몰아 G1 [[아사히배 퓨처리티 스테이크스]]에 출전했으나 3착에 그쳤다. === 2019년(3세) === [include(틀:2019년 JRA G1 대회 우승마/간략)] 이후 3세(클래식) 시즌인 2019년 G1 [[오카상]]에 직행, 우승하며 첫 G1 우승을 기록했다. 이어진 G1 [[NHK 마일 컵]]에도 출주하여 4착으로 들어왔으나 다른 말[* 5착으로 들어온 다논 체이서. 그란 알레그리아의 강착으로 4착으로 순위가 올라갔다.]의 진로를 방해했다는 이유로 5착으로 강착당했다. 연말에는 G2 한신 컵에 출주하여 우승을 차지, 첫 G2 우승을 기록하며 클래식 시즌을 마무리지었다. === 2020년(4세) === [include(틀:2020년 JRA G1 대회 우승마/간략)] 4세 시즌인 2020년에 주전 기수인 르메르가 아닌 [[이케조에 켄이치]]가 기승하여 G1 [[타카마츠노미야 기념]]에 출주, 2착과 코(약 20cm) 차이로 3착을 기록했으나 1착이었던 쿠리노 가우디가 4착으로 강착당하며 2착을 기록했다. 이후 G1 [[야스다 기념]]에서 주전 기수인 르메르가 [[아몬드 아이]]에 기승 선약이 잡혀있어 대타로 이케조에 켄이치가 기승해 우승을 차지했다.[* 참고로 2020 야스다 기념에서 이케조에 기수는 3코너 부분에서 앞에서 달리던 말이 날린 잔디 덩어리에 얼굴을 강타당해 고글이 파손되고 눈에 멍이 심하게 들 정도의 부상을 입었으나, 이를 견뎌내고 우승을 차지하는 근성을 보여주기도 했다.] [youtube(fcmgQhmCWWs)] 가을 시즌에 르메르가 돌아온 후에는 G1 [[스프린터즈 스테이크스]], G1 [[마일 챔피언십]]에서 연승을 달리며 2020년 최우수 단거리마로 선정됐다. === 2021년(5세) === [include(틀:2021년 JRA G1 대회 우승마/간략)] 5세 시즌인 2021년엔 G1 [[오사카배]]에 출주해 2000m 중거리에 도전했다. 결과는 4착이었으나, 3착이었던 [[콘트레일]]이 많은 비판을 받는 것에 비해 적성거리와 중마장의 악조건 속에서 선전했다는 평. 이후 G1 [[빅토리아 마일]]에서 늦은 스타트에도 불구하고 최종 직선에서 바깥쪽으로 치고 나오며 압도적인 스퍼트로 우승을 차지해 G1 5승을 챙겼다. 야스다 기념에 출전, 1.8배의 1번 인기를 얻었다. 경기 당일 비가 내렸지만, 중마장에서 그동안 양호한 적성을 보여주었고, 마일에서 뛰어난 경기를 보여주었었다. 비록 3주만 쉬고 나오는 강행군이지만 빅토리아 마일에서의 실적을 포함해서 퍼포먼스가 출주마 중 워낙 압도적이라 그란의 우승은 기정사실화된 분위기였다. 하지만 결과는 8번 인기였던 [[다논 킹리]]에 머리 차이로 밀리며 2착에 그쳤다. 말은 마군에 갇혀버린 상태에서 힘으로 뚫고 나온거라 나쁜 상황에서 고군분투했다는 평을 받는다. 주된 패배원인은 [[크리스토프 르메르]] 기수의 안일한 기승이라는 것이 중론. 위치를 안일하게 잡아 마군에 갇힌 것이 문제라는 평이다.[* 경기 전 그 알레그리아가 [[빅토리아 마일]]-야스다 기념 연전 승리 기록을 가진 유일한 암말인 보드카의 뒤를 이을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해 화제가 되었으나 아쉽게도 지고 말았다. 똑같이 기수의 미스로 빠져든 마군 속을 스스로 읽어서 뚫고 나간 보드카의 사연이나, 승리한 다논 킹리가 이미 전성기가 지난 퇴물 취급을 받던 말이란 것도 평가를 떨어뜨린 요소, 다만 다논 킹리는 다음 경주 마이니치 왕관에서 비록 슈넬 마이스터에게 사진 판독 끝에 골 순간 머리를 들고 / 내림의 차이로 지긴 했지만 코너 이전부터 롱스퍼트를 유지하며 선두를 지키는 엄청난 주행을 보여줘 야스다 기념이 플루크가 아님을 증명했다.] 경기 시작전 르메르 기수가 우승확률 98%를 자신했는데 경기 이후 이 발언은 웃음거리가 되었다. 결국 그란 알레그리아의 야스다 기념 2연패 무산은 물론이고 기수 르메르는 야스다 기념에서 3년 연속 1번 인기마로 패배하는 진기록을 쌓았다.[* 2019년과 2020년에는 도쿄에서 극강의 성적을 냈던 [[아몬드 아이]]에 기승하고 야스다 기념에 출주했는데, 모두 패배했다.] [[크리스토프 르메르]] 기수는 진로방해 혐의로 과태료 3만엔을 부과받았다. [[https://news.netkeiba.com/?pid=news_view&no=188769|#]][* 마군에 완전히 갇힌 것을 힘만으로 억지로 뚫어내는 모습이다. [[크리스토프 르메르]] 기수가 얼마나 안일한 경기운영으로 마군에 갇힌 것을 알 수 있는 대목] 경기 후 르메르 기수는 인터뷰에서 본인의 경기 운영 실패를 인정하지 않고, 말에게 책임을 떠넘겼다. [[https://p.nikkansports.com/goku-uma/m/news/article.zpl?topic_id=1&id=202106060000738|#]] 10월 31일로 예정된 가을 천황상에 출주했다. 오사카배에 이어 두번째 2000m 도전이면서, 콘트레일과의 두번째 대결. 인기 2번을 받았다. 거리적성은 마일이지만, [[콘트레일]]의 부진한 모습 때문에 우승 후보 중 하나로 뽑히는 상황. 스타트도 괜찮았으며 경기 내내 선두권을 유지하고 있었지만, 마지막 직선에서 [[에프포리아]]와 콘트레일에 밀려 3착에 머무른다. 중거리에서 한계를 노출하며, 거리적성은 마일이 한계라는 것을 확실하게 입증하고 말았다. 일각에서는 중거리 도전 대신 마일 경주에 집중했다면 성적이 더 좋았을 것이라며 안타까워 한다. 경주 직후 우전 발굽에 통증이 발견되었으나 얼마 안가 무사히 회복, 하지만 말의 상태를 고려하여 당초 고려했었던 홍콩 마일 경주 대신 일본 국내 경주에 집중할 계획임이 선데이 레이싱에 의해 발표되었다.[[https://news.netkeiba.com/?pid=news_view&no=195304|#]] [youtube(M3jR3Ly_u-c)] [[11월 21일]]에 개최되는 마일 챔피언십 경주에 2연패를 목표로 출주, 동시에 은퇴전임을 밝혔다. 기수는 [[크리스토프 르메르]]가 계속 맡게 되었다.[* 이로 인해 당초 마일 챔피언십 출주를 표명했었던 NHK 마일 컵 우승마 [[슈넬 마이스터]]는 기수를 [[요코야마 타케시]]로 변경하여 출주할 예정임이 함께 발표되었다.] [[슈넬 마이스터]]와 함께 양강구도라는 평을 받는다. 1.7배의 압도적인 1번인기를 받고 출주했다. 결국 마일 챔피언십에서 슈넬 마이스터를 꺾고 우승함으로서 마일 챔피언십 2연패를 달성했고, 마명처럼 관객들의 대환성 속에서 유종의 미를 거두었다. 이로서 JRA 암말 사상 6번째로 상금 10억을 넘어간 말이 되었다.[* 이전에 달성한 암말들은 [[아몬드 아이]], [[젠틸돈나]], [[부에나 비스타(말)|부에나 비스타]], [[보드카(말)|보드카]], [[크로노 제네시스]].] 은퇴와 동시에 담당 조교사 후지사와 카즈오 씨도 은퇴를 한다고 밝혀지면서 말이나 사람이나 유종의 미를 제대로 거두고 간다는 평가를 받게 되었다. 참고로 그란 알레그리아는 마일의 여왕이라는 칭호에 걸맞게 JRA 역대급 마일러 중 하나지만, 마일러에게 좁은 현창마를 타이키 셔틀 이후 최강 마일러도 유명한 [[모리스(말)|모리스]]도 못 간 [[현창마]]를 가기는 어렵다는 것이 중론인지라 그 역시도 못갈 가능성이 높다. 2021년 12월 18일 나카야마 경기장에서 16시 30분에 은퇴식을 치뤘다.[[https://news.sp.netkeiba.com/?pid=news_view&no=196790|#]] == 번식마 생활 == || 순서 || 생년 || 말 이름 || 성별 || 모색 || 아버지 || 전적 || || 1 || 2023 || 그란 알레그리아 2023 || 수컷 || - || [[에피파네이아]] || (데뷔 전) || 2022년 7월 11일, [[크로노 제네시스]]와 함께 [[에피파네이아]]의 자마를 수태한 것이 확인되었다.[[https://news.netkeiba.com/?pid=news_view&no=205127|#]] 앞서 동년 4월 7일에 에피파네이아의 자마 수태를 발표했던 [[러브즈 온리 유]]와 함께 [[2019년]] 암말 트리플 티아라 3강 경주마 전원이 에피파네이아의 자마를 수태하게 되었다. 2023년 1월 24일, 첫 산구를 출산했다. 성별은 수컷. [[https://news.sp.netkeiba.com/?pid=news_view&no=220565|#]] == 여담 == * 라디오 방송을 좋아한다고 한다. 좋아하는 건 국회중계, 싫어하는 건 스모방송이라고. [[https://news.sp.netkeiba.com/?pid=column_view&cid=43017|#]] * 얌전하고 지시에 잘 따른다는 평을 듣는 말이다. 초기에는 승부욕이 지나친 경향도 있었으나, 나이를 먹으면서 그 부분도 어느 정도 개선되었다고 한다. * [[오사카배]] 당시 사상 최초의 3계급 G1 제패에 도전 중이었는데, [[후지사와 카즈오]] 조교사가 인터뷰 중 '''"그란 알레그리아는 아직 눈치채지 못했기 때문에 열심히 해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グランアレグリアはまだ気づいていないので頑張ってくれると思う)라고 대답한 내용이 화제가 됐다. 이후 오사카배와 천황상(가을)의 결과에 대해서, 인터넷에선 "아무래도 1600m에서 눈치챈 것 같다"는 장난스러운 반응이 있었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umamusme&no=203535|오늘 왠지 좀 길지 않았어?]] == 경주 성적 == {{{#!wiki style="word-break:keep-all;" || 경주일 || 경마장 || {{{#!wiki style="min-width: 130px" 경기명}}} || 등급 || {{{#!wiki style="min-width: 80px" 트랙}}} || 배당[br] || 인기|| 착순 || 기수 || 1착마[br](2착마) || ||<-10> 2018년 {{{-1 (2세)}}} || || 6.3 || [[도쿄 경마장|도쿄]] || 2세 신마 || || 잔디 1600m || 1.8 || 1 || '''{{{#red 1착}}}''' ||<|3> [[크리스토프 르메르]] || ([[다논 판타지]]) || || 10.6 || 도쿄 || [[사우디아라비아 로열 컵]] || GIII || 잔디 1600m || 1.3 || 1 || '''{{{#red 1착}}}''' || (드골) || || 12.16 || [[한신 경마장|한신]] || [[아사히배 퓨처리티 스테이크스]] || '''GI''' || 잔디 1600m || 1.5 || 1 || 3착 || [[어드마이어 마스]] || ||<-10> 2019년 {{{-1 (3세)}}} || || 4.7 || 한신 || '''[[오카상]]''' || '''GI''' || 잔디 1600m || 3.4 || 2 || '''{{{#red 1착}}}'''[*레코드] ||<|3> 크리스토프 르메르 || (시게루 핑크 다이아) || || 5.5 || 도쿄 || [[NHK 마일 컵]] || '''GI''' || 잔디 1600m || 1.5 || 1 || 5착[*강착 4착으로 들어왔으나 진로방해로 인해 강착되었다.] || [[어드마이어 마스]] || || 12.21 || 한신 || [[한신 컵]] || GII || 잔디 1400m || 2.1 || 1 || '''{{{#red 1착}}}''' || (피아노 로마노) || ||<-10> 2020년 {{{-1 (4세)}}} || || 3.29 || [[주쿄 경마장|주쿄]] || [[타카마츠노미야 기념]] || '''GI''' || 잔디 1200m || 4.1 || 2 || 2착[* 원래 3착으로 들어왔으나, 1착으로 들어온 쿠리노 가우디가 4착으로 강착되면서 순위가 올라갔다.] ||<|2> [[이케조에 켄이치]] || [[모즈 슈퍼플레어]] || || 6.7 || 도쿄 || '''[[야스다 기념]]''' || '''GI''' || 잔디 1600m || 12.0 || 3 || '''{{{#red 1착}}}''' || ([[아몬드 아이]]) || || 10.4 || [[나카야마 경마장|나카야마]] || '''[[스프린터즈 스테이크스]]''' || '''GI''' || 잔디 1200m || 2.2 || 1 || '''{{{#red 1착}}}''' ||<|2> 크리스토프 르메르 || ([[다논 스매시]]) || || 11.22 || 한신 || '''[[마일 챔피언십]]''' || '''GI''' || 잔디 1600m || 1.6 || 1 || '''{{{#red 1착}}}''' || ([[인디 챔프]]) || ||<-10> 2021년 {{{-1 (5세)}}} || || 4.4 || 한신 || [[오사카배]] || '''GI''' || 잔디 2000m || 2.8 || 2 || 4착 ||<|5> 크리스토프 르메르 || [[레이 파팔레]] || || 5.16 || 도쿄 || '''[[빅토리아 마일]]''' || '''GI''' || 잔디 1600m || 1.3 || 1 || '''{{{#red 1착}}}''' || (램블링 앨리) || || 6.6 || 도쿄 || [[야스다 기념]] || '''GI''' || 잔디 1600m || 1.5 || 1 || 2착 || [[다논 킹리]] || || 10.31 || 도쿄 || [[천황상#s-3|천황상(가을)]] || '''GI''' || 잔디 2000m || 2.8 || 2 || 3착 || [[에프포리아]] || || 11.21 || 한신 || '''마일 챔피언십''' || '''GI''' || 잔디 1600m || 1.7 || 1 || '''{{{#red 1착}}}''' || ([[슈넬 마이스터]]) ||}}} [include(틀:오카상,grade=GI)] [include(틀:야스다 기념,grade=GI)] [include(틀:스프린터즈 스테이크스,grade=GI)] [include(틀:마일 챔피언십,grade=GI)] [include(틀:빅토리아 마일,grade=GI)] ---- [include(틀:한신 컵,grade=GII)] ---- [include(틀:사우디아라비아 로열 컵,grade=GIII)] [[분류:경주마/일본 생산]][[분류:경주마/일본 조교]][[분류:씨암말/일본]][[분류:2016년 출생/경주마]][[분류:미호 트레이닝 센터 소속/경주마]][[분류:딥 임팩트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