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네이버의 서비스)]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그라폴리오 로고2.png|width=100%]]}}} || ||<-2> '''그라폴리오''' || || '''설립''' || [[2016년]] || || '''운영사''' || [[네이버(기업)|네이버 주식회사]] || ||<-2> [[https://www.grafolio.com| 공식 홈페이지]] || ||<-2> [[https://blog.naver.com/grafolio| 공식 블로그]] || [목차] [clearfix] == 개요 == >'''그라폴리오는 전 세계 크리에이터들의 멋진 작품을 발견하고, 공유하고 사고 팔 수 있는 크리에이티브 콘텐츠 커뮤니티입니다.''' >---- > - 창작자들의 놀이터: 그라폴리오 [[일러스트레이터]], [[애니메이터]], [[사진작가]], [[작곡가]] 등 다양한 [[크리에이터|창작자]]들을 지원하는 [[대한민국]]의 창작 [[플랫폼]]. == 근황 == 2020년 하반기부터 공식 활동량이 급감하였다. 이 때부터 2021년 6월 12일까지 등록된 브랜드 콜라보레이션의 개수는 고작 12개 밖에 되지 않으며, 그라폴리오 공식 블로그의 게시글도 모두 비공개로 전환되었다. [[https://blog.naver.com/grafolio|#]] 공식 공지사항에 올라온 글은 19년 9월이 마지막이다. [[https://grafolio.naver.com/notice/list.grfl|#]] 21년 9월 13일 아트상품 서비스를 종료한다는 공지사항이 올라왔다. [[https://grafolio.naver.com/notice/detail.grfl?history=2021091001|#]] 21년 1월 20일 후원 서비스를 종료한다는 공지사항이 올라왔다. [[https://grafolio.naver.com/notice/detail.grfl?history=2022011001|#]] === 불분명한 미래 === 후원 서비스와 아트상품 서비스도 종료한 시점에서 그라폴리오 측에서 이러한 스탠스의 행보를 앞으로도 유지한다면 추후 그라폴리오의 일부 서비스를 OGQ로 이전한다거나 [[PHOLAR]]의 [[서비스 종료|절차를 밟을]] 가능성이 높게 쳐지고 있는 상황이다. 어떻게 될 지 불분명한 미래를 고려했을 때, 그라폴리오에서만 활동하는 크리에이터라면 지금부터라도 그라폴리오 외 다른 플랫폼에서도 본인의 작품을 백업 겸 업로드하는 게 좋다. * 일러스트, 사진, 그래픽 디자인: [[인스타그램]], [[비핸스]], [[https://notefolio.net|노트폴리오]], [[디비언트아트]], [[어도비]] 포트폴리오, Society6, [[NFT]] 시장 등 * 조형 및 공예, 산업 디자인: [[인스타그램]], [[비핸스]], [[https://notefolio.net|노트폴리오]], [[유튜브]], [[디비언트아트]], [[어도비]] 포트폴리오 등 * 애니메이션: [[유튜브]], [[비핸스]], [[비메오]], [[https://notefolio.net|노트폴리오]], 카카오톡 이모티콘 스튜디오, [[어도비]] 포트폴리오 등 * 작곡가: [[유튜브]][* 실제로 그라폴리오 출신 작곡가 중에 유튜브 활동을 시작하면서 크게 성공한 사례가 몇 있다.], [[사운드 클라우드]], [[스포티파이]] 등 * 만화: [[베스트도전]], [[인스타그램]], [[카툰연재 갤러리]][* [[디시인사이드]]를 처음 들어보는 크리에이터라면 개인 성향에 따라 거부감이 클 수도 있으므로 주의 바람.], [[마나(웹툰 연재처)|마나]] 등 * 게임: [[스팀]], [[itch.io]] 2023년 상반기에 네이버에서 OGQ로 서비스를 이관한다는 공지사항이 올라왔다. [[https://grafolio.naver.com/notice/detail.grfl?history=2023041701|#]] == 작품 == [[https://www.grafolio.com/works/list.grfl|바로가기]] 그라폴리오에는 데뷰, 발견, 주목받는 각 세 가지 코너가 있으며 자정을 기준으로 갱신된다. === 데뷰 === [[https://www.grafolio.com/works/list.grfl#debut|바로가기]] 신인 크리에이터를 발굴 및 소개하는 코너다. === 발견 === [[https://www.grafolio.com/works/list.grfl#discovery|바로가기]] 호응이 좋은 작품(좋아요 수, 댓글 수 등)을 소개하는 코너다. 그라폴리오 사이트 접속 시 첫 화면으로 뜨는 페이지이기 때문에 '발견' 코너에 선정되면 인지도 상승에 많은 도움이 된다. === 주목받는 === [[https://www.grafolio.com/works/list.grfl#attention|바로가기]] 팔로워 100명 이상을 보유한 크리에이터의 작품 중 호응이 좋은 작품을 소개하는 코너다. '발견' 코너와 유사한 성격의 코너이지만 팔로워 100명 미만을 보유한 크리에이터는 소개하지 않는다는 차이점이 있다. == [[스토리]] == [[https://www.grafolio.com/story/list.grfl|스토리 바로가기]] 크리에이터는 그라폴리오에서 자신만의 스토리를 연재할 수 있다. 스토리는 크리에이터가 자신이 전달하고 싶은 주제를 선정해, 주제에 맞는 작품들을 모아 연재하는 페이지다. 정기연재를 선택할 경우 매주 요일을 정해 올리거나 열흘 단위 연재도 가능하다. 크리에이터는 꾸준하고 일관된 한가지 주제나 스타일로 스토리를 연재하며 고유 브랜드를 만들고, 팬들은 자신이 관심 있는 주제의 작품들을 계속해서 찾아 볼 수 있다. 현재 그라폴리오에서 분류된 스토리 주제는 아래와 같다 * [[일상]] * [[연애]] * [[여행]] * [[디자인]] * 동식물 * 카툰 * [[음악]] * [[판타지]] * [[자연]] * [[가족]] * [[맛]] * [[추상]] == 콜라보레이션 == [[https://www.grafolio.com/collaboration/list.grfl|콜라보레이션 바로가기]] 다른 기업과 그라폴리오가 합동으로 여는 공모전 성격의 '브랜드 콜라보레이션'과 그라폴리오 내 창작자들이 직접 열 수 있는 이벤트 성격의 '크리에이터 콜라보레이션'이 있다. 주로 공모전을 많이 개최하다보니 상금만을 노리는 [[체리피킹|체리피커, 공모전헌터]]들이 많이 등장한다. === 브랜드 콜라보레이션 === 2018 브랜드 콜라보레이션 어워드 [[https://tv.naver.com/v/4899819|#]] [[예술의 전당]] 등 여러 기업에서 그라폴리오와 함께 공모전을 주최하는 콜라보레이션이다. 작품 응모 시 응모작의 저작권이 주최자에 귀속되는 게 아니라 참가자에게 그대로 보존된다는 장점이 있다. ==== 배지 ==== 그라폴리오에서 직접 진행하는 콜라보레이션 중에서도 특정 테마를 주제로 하는 일러스트 등의 간단한 공모전일 경우 당선자에게 소정의 [[네이버페이]]와 당선자 페이지 프로필에 영구보관되는 특별한 배지를 준다.[* 예) [[https://grafolio.naver.com/collaboration/248|#]]] 따로 값어치가 있는 건 아니고 게임에 비유하자면 업적 같은 콘텐츠. === 크리에이터 콜라보레이션 === 크리에이터끼리 자발적으로 주최 및 참여를 하는 콜라보레이션으로 크리에이터 간의 교류를 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된다. 주최자는 소정의 상품을 내걸 수도 있으며, 그러지 않아도 된다. == OGQ 마켓 == [[http://naver.creators.ogq.me/home|OQG 마켓 바로가기]] 크리에이터가 직접 네이버 스티커, 컬러링시트, 음원, 이미지 등을 판매할 수 있다. == [[팩토리]] == [[https://www.grafolio.com/account/product/home.grfl|팩토리 바로가기]] 그라폴리오와 제휴 중인 아트 상품 제작 파트너 업체에 연락해서 자신만의 굿즈를 판매할 수 있다. === 그라폴리오와 제휴 중인 파트너 업체 === * 아르디움 Ardium[[http://ardium.co.kr/|#]] * 에센스다[[http://snsda.com/|#]] * 헬로얼스[[https://smartstore.naver.com/helloearth|#]] * ~~아티굿띵[[http://www.artygoodthing.com|#]]~~ * ~~알리아 팩토리[[https://smartstore.naver.com/aliafactory|#]]~~ * ~~통나무 카드[[http://tongnamucards.com/|#]]~~ * ~~MOILK~~: 운영 중단 * ~~스튜디오 썸띵[[http://stsomething.com/|#]]~~: 22년 7월 기준 공사중입니다라는 페이지만 뜬다. 대부분의 파트너 업체가 굿즈 판매를 하려면 심사 과정이 있다. 에센스다는 [[목업]] 디자인 자동화 시스템을 적용한 주문제작 판매를 해서 가입만 하면 누구든지 자유롭게 판매할 수 있으므로 무명인이 굿즈 판매를 시작하기에 좋다. 단, 마케팅은 스스로 해야 한다. 그라폴리오 제휴와는 별개로 목업디자인 자동화 굿즈 판매로 인지도가 높은 플랫폼은 국내에서는 [[마플샵]]이 있으며, 해외에는 [[https://www.etsy.com/|엣시]]와 [[https://teespring.com/|티스프링]] 등이 있다. == -- 후원 -- == -- [[https://www.grafolio.com/patron/creatorList.grfl|후원 바로가기]] -- -- 마음에 드는 크리에이터가 있다면 그 사람을 후원함으로써 후원자는 리워드를 받을 수 있고 크리에이터는 금전적 지원을 받을 수 있다. -- 2022년 2월 28일을 마지막으로 서비스 종료. [[https://grafolio.naver.com/notice/detail.grfl?history=2022011001|#]] == -- 감성충전 -- == -- [[https://www.naver.com/#EMOTION|감성충전 바로가기]] -- -- [[네이버]] 메인 페이지에 뜨는 코너로, 그라폴리오 내 작품 및 크리에이터를 소개하는 코너다. -- 2020년 상반기 서비스 종료. == 여담 == * 나무위키에서는 그라폴리오 문서가 상당히 늦게 생겼다. * [[서울 일러스트레이션 페어]] 공식 협찬사이다. 그래서 매번 서울일러스트레이션페어가 시작되기 전 마다 그라폴리오에 '서울일러스트레이션페어' 연재 스토리가 개설된다. [[https://www.grafolio.com/story/26175|서울일러스트레이션페어 2018 그라폴리오 스토리]] * 10대 작곡가를 대상으로 [[헤이즈]]와 콜라보레이션을 한 적이 있다.[[https://www.grafolio.com/collaboration/165|#]] * 주로 모바일 배경화면 관련 콜라보레이션을 많이 진행한다. 이 경우 특히 상금을 노리는 '''공모전 상금 사냥꾼'''들이 많이 발견된다. [youtube(bAMxjHf7uZI)] * 2022년 여름에 개최한 C: VIBES 컨티뉴바이브展 전시회에 그라폴리오에서 활동하는 일러스트 작가 14명이 참여하였다. [[http://www.dizzotv.com/site/data/html_dir/2022/06/28/2022062880048.html|#]] == [[크리에이터]] == === 문서가 있는 그라폴리오 크리에이터 === * [[김현정(화가)|김현정]] * [[마로지]] * [[배성태]] * [[뿡빵뀨]] * [[성원]] * [[쥬드 프라이데이]] * [[흑요석(일러스트레이터)|흑요석]] * [[Crimsona]] * [[유콘(인터넷 방송인)]] === [[그라폴리오/문서가 없는 크리에이터|문서가 없는 그라폴리오 크리에이터]] === * [[그라폴리오/문서가 없는 크리에이터|항목 참고]] == 관련 문서 == * [[네이버]] * [[서울 일러스트레이션 페어]] * [[그라폴리오/문서가 없는 크리에이터]] [[분류:창작 사이트]][[분류:네이버]][[분류:2016년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