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캠페인 = 캠페인 에피소드 5의 5-1번째 임무. 한국어 제목은 <핵폭발>. [[스타크래프트/캠페인/에피소드 5#s-6.1|여기]] 참고. = [[스타크래프트]]의 맵 = [include(틀:브루드 워/리마스터/등급전 맵/2019년 시즌1)] [include(틀: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8)] == 그라운드 제로 == [[파일:external/data.ygosu.com/4ef6f4ce93860.jpg]] Map size: 128×128 Map tile: Ashworld Players: 4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 1]]과 [[tving 스타리그 2012|스타리그 2012 듀얼 토너먼트]]에서 쓰였다. [[한국e스포츠협회|KeSPA]]의 타입 분류로는 중앙집중형 힘싸움 맵. 실제로 중앙 전장이 매우 넓다. 12시와 6시 방향의 두 [[멀티#s-3|멀티]]에는 [[베스핀 가스|가스]]가 1500으로 적은 편. 가로와 세로 거리는 같으나 중간에 있는 멀티 지형이 각각 평지와 언덕이라 환경은 다르다. 앞마당 뒤에 언덕이 있어 견제에 약한 편. 언덕에 올라간 [[아크라이트 공성 전차|시즈탱크]][* 예로는 [[2012년]] [[2월 11일]]의 [[이영호]] 대 [[송병구]] [[https://youtu.be/WzKRf_3RIT4|경기]].]나 [[뮤탈짤짤이|뮤짤]]에 휘둘리기 쉽다. ||||<#FF2400> '''{{{#white 1 버전에서의 종족별 상대전적}}}''' || || [[테저전/스타크래프트|테란 : 저그]] || 14 : 5 || || [[저프전/스타크래프트|저그 : 프로토스]] || 6 : 5 || || [[테프전/스타크래프트|테란 : 프로토스]] || 6 : 10 || 결국 무난하게 [[테란맵]]으로 흘러갔고 [[테테전/스타크래프트|테테전]]도 11경기나 펼쳐졌다. 정작 [[프프전/스타크래프트|프프전]]은 5경기로 4경기인 [[저저전/스타크래프트|저저전]]과 비슷하다. 테란맵이지만 맵 최다 승자는 [[김민철(프로게이머)|김민철]](6승 1패). 김민철은 저프전 6승 중 혼자 3승을 거두기도 했다. 이 맵에서 가장 유명한 경기라면 단연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 1]]의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시즌 1/결승전|결승전]] 2경기인 [[꼼덴록]]이 뽑힌다. 역대 최고의 테테전 중 하나에 들만한 명경기로, [[정명훈(프로게이머)|정명훈]]이 [[이영호]]를 40여분의 대혈투 끝에 제압하며 1인자 테란을 극복한 2인자 테란이 되었다. 그리고 [[tving 스타리그 2012]] 4강에서 재대결할때도 하술할 네오 버젼을 쓴 1경기에서 정명훈이 다시 이겼다. [[이제동]]은 이 맵과의 궁합이 나쁘다. 4전 전패인데다 경기 내용이나 의미도 하나같이 무척 나쁘다. [[http://sports.news.nate.com/view/20111126n06270|개막전]]에서는 [[진에어 그린윙스/스타크래프트|제8게임단]] 선수로서의 첫 걸음이었지만 저막이라 불리던 [[도재욱]]에게 져버렸고[* 당시 [[도재욱]]이 4세트에 나오자 스덕들은 '으이그 [[박용운]] 발트리ㅉㅉ' 라며 비웃었지만 도재욱이 가뿐하게 발라버렸다. 그리고 결과적으로, 도재욱은 이 시즌 대 저그전 최고의 토스가 되었기에 지금 보면 크게 이상한 일은 아니다.], [[고인규]]에게 공3업 [[발키리(스타크래프트 시리즈)|발키리]] 관광을 [[http://www.youtube.com/watch?v=OtD8aLnUlow|당하고]], [[이영호]]에게는 [[https://youtu.be/8X9U8Vhqx04|6분 컷 관광]]을 당한 곳이며, 2012 스타리그 광탈의 시초인 [[유영진(프로게이머)|유영진]]에게 [[https://play-tv.kakao.com/embed/player/cliplink/41370017|진 것]]도 여기서였다. 심지어 아래 후술될 네오 버젼에서도 2번 나와서 [[고인규]][* 오리지널 그라운드 제로에서 만나서 완패를 당한 후 네오 [[일렉트릭 서킷]]에서도 다시 만났는데, 그때는 이제동이 이기면서 저번 시즌에서의 패배를 설욕하는데 성공했다. 그러나 그 다음 또 네오 그라운드 제로에서 만났을 때는 다시 무기력하게 패배했다.], [[조성호(프로게이머)|조성호]][* 다만 당시 조성호는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프로리그]]에서 역대급 전성기를 누리고 있었고, 이제동은 예전보다 토스전 실력이 많이 떨어져 있을 때였다.]를 만났는데, 그 2번 모두 져버리고 말았다. [[김대엽]]이 [[신상문]]에게 [[용기병(스타크래프트 시리즈)|드라군]] 2기+[[탐사정|프로브]] 12기가 터지는 희대의 [[거미 지뢰|마인]][[대박]]을 당한 곳도 이 맵이다. [[https://youtu.be/FRRyi_tYYqs|경기 영상]]. 위 항목의 캠페인과 이 맵과는 별개로, 같은 이름의 그라운드 제로라는 맵이 기본적으로 존재한다. 이쪽은 우주 정거장 타일을 사용하는 6인용 맵. [[http://classic.battle.net/scc/lp/6.shtml|스타크래프트 공식 홈페이지]] == 네오 그라운드 제로 == [[파일:external/www.teamliquid.net/546_Neo%20Ground%20Zero.jpg|width=400]] 위의 그라운드 제로를 바탕으로 약간 고친 맵. 밸런스 수정을 위해 앞마당의 견제용 언덕을 없애고, 9시와 3시 확장을 제외한 다른 지역의 가스를 삭제했다.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2 프로리그 시즌 2]]와 [[tving 스타리그 2012]]에서 쓰였다. ||||<#FF2400> '''{{{#white 네오 버전에서의 종족별 상대전적}}}''' || || 테란 : 저그 || 10 : 4 || || 저그 : 프로토스 || 7 : 11 || || 프로토스 : 테란 || 7 : 6 || 데이터상으로는 테란이 유리한 맵이지만 정작 가장 적게 펼쳐진 동족전은 3전인 테테전. 얼마나 테란이 나갈 맵들이 많았는지 반증한다. 반면 저저전은 저그가 제일 불리한 맵임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11전으로 테테전보다 훨씬 많이 나왔다.[* 이 맵이 쓰일 당시 프로리그는 [[스타크래프트]]와 [[스타크래프트 2]] 병행리그였던데다 스타 1보다 스타 2의 중요도가 훨씬 컸던 상황이라서 프로게임단들이 스타 1성적과 데이터를 거의 중요시하지 않았던 것이 크게 작용했을 것이다.] 프프전은 12전으로 저저전보다 더 많이 나왔다. 7월 10일 [[허영무]]와 [[김명운]]의 스타리그 4강전에서 [[https://play-tv.kakao.com/embed/player/cliplink/43186224|1]],[[https://play-tv.kakao.com/embed/player/cliplink/43189527|5세트]] 경기 맵이 네오 그라운드 제로였는데 허영무는 여기서 모두 승리하면서 스타리그 결승에 진출하였다. 참고로 5경기는 브루드 워 마지막 개인리그 [[저프전]]이었다. 이 경기에서 [[프로토스]]는 브루드 워 개인리그 [[저그]]전 최후의 승리를 거두었다. 경기 내용도, [[https://www.youtube.com/watch?v=nDUaJOhlptg&feature=player_embedded|중계 도중 눈물을 흘렸던]] [[김태형(1973)|김태형]] 해설도, '''맵의 이름 그대로 모든 것이 숙명같은 경기였다'''고 평했다. '''[[https://youtu.be/dK99iOh5Ico|그리고 결승전 1세트에서 김캐리의 마지막 절규가 나왔다]]'''. [[9월 22일]],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프로리그]]의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브루드 워]] 마지막 공식전 경기인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2 프로리그 시즌 2]] 2세트 [[이영한]] vs. [[장윤철]] 경기([[https://youtu.be/kTMA1-2-VpA|영상]])에서도 이 맵을 썼다. 개인리그·프로리그 양쪽에서 브루드 워 마지막 저프전의 무대가 된 것. 공교롭게도 이 경기에서도 프로토스가 이겼다. 한편 이 경기의 중계는 사라진 [[MBC GAME]]의 목소리들이었던 [[김철민(게임 캐스터)|김철민]] 캐스터와 [[이승원(게임 해설가)|이승원]], [[유대현]] 해설이 [[OGN|온게임넷]]에서 맡아서, 올드 스덕들은 초라해진 스타판의 마지막에 뜻모를 쓸쓸함을 금치 못했다. 경기가 끝나자마자 브루드 워의 퇴장을 슬퍼하고 아쉬워하는 목소리가 커뮤니티 여기저기서 쏟아져 나왔던 점은 덤. 이 맵에서 가장 강한 선수는 [[장윤철]]이다. 현역 시절 이 맵에서 전승을 한 것은 물론이고, 저프전에서 프로토스 최초의 승리와 최후의 승리도 거뒀다. 현역 시절이 종료된 후 [[아프리카TV]]에서도 이 맵에서 자신의 발목을 계속 잡아왔던 [[이제동]]을 [[ASL S8]] 24강 최종전에서 잡아내며 인간상성을 극복한 바 있다. [각주] [[분류:스타크래프트/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