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그라스호퍼 클럽 취리히]] [include(틀:스위스 슈퍼 리그)] ---- ||<-2> [[파일:그라스호퍼 클럽 취리히 로고.svg|height=27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ff 0%, #f0f0f0)" {{{#1e70b8 {{{+1 그라스호퍼 클럽 취리히}}}}}}}}}''' || ||<-2><#1e70b8> '''{{{#fff {{{+1 Grasshopper Club Zürich}}}}}}''' || || '''정식 명칭''' ||Grasshopper Club Zürich || || '''[[축구단 별명|{{{#1e70b8 별칭}}}]]''' ||GC, GCZ, Grasshoppers || || '''창단''' ||[[1886년|{{{#000,#ddd 1886년}}}]] [[9월 1일|{{{#000,#ddd 9월 1일}}}]] '''^^([age(1886-09-01)]주년)^^'''[* [[https://www.gcz.ch/news/artikel/?tx_news_pi1%5Baction%5D=detail&tx_news_pi1%5Bcontroller%5D=News&tx_news_pi1%5Bnews%5D=1246&cHash=81bd0cf8789b0f935013a3e1a21062d8|#]], [[https://www.gcz.ch/club/gc-zuerich/geschichte-palmares/|#]]] || || '''소속 리그''' ||[[스위스 슈퍼 리그]] (Swiss Super League) || || '''연고지''' ||취리히 주 [[취리히]](Zürich) || || '''홈구장''' ||[[레치그룬트]] (Letzigrund) [br] (26,104명 수용) || || '''회장''' ||제니 왕 (Jenny Wang) || || '''감독''' ||브루노 베르너 (Bruno Berner) || || '''주장''' ||[[아미르 아브라시]] (Amir Abrashi) || || '''역대 한국인 선수''' ||[[정상빈]] (2022~2023)[*임대] || || '''공식 웹사이트''' ||[[https://www.gcz.ch|[[파일:그라스호퍼 클럽 취리히 로고.svg|height=25]]]]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gc_zuerich, 크기=25)] [[https://www.facebook.com/grasshopperclubzuerich|[[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https://www.instagram.com/gczurich/|[[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https://www.youtube.com/@grasshopperclubzurich|[[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https://www.tiktok.com/@gczurich|[[파일:틱톡 아이콘.svg|width=25]]]] [[https://www.linkedin.com/company/grasshopper-club-z%C3%BCrich|[[파일:LinkedIn 아이콘.svg|width=25]]]] || ||<-2><#1e70b8> '''{{{#fff 우승 기록}}}''' || || '''[[스위스 슈퍼 리그|{{{#1e70b8 __스위스 슈퍼 리그__ (1부)}}}]]'''[br](27회 / 최다 우승) ||1897-98, 1899-1900, 1900-01, 1904-05, 1920-21, 1926-27, 1927-28, 1930-31, 1936-37, 1938-39[br]1941-42, 1942-43, 1944-45, 1951-52, 1955-56, 1970-71, 1977-78, 1981-82, 1982-83, 1983-84[br]1989-90, 1990-91, 1994-95, 1995-96, 1997-98, 2000-01, 2002-03 || || '''[[스위스 챌린지 리그|{{{#1e70b8 __스위스 챌린지 리그__ (2부)}}}]]'''[br](1회) ||2020-21 || || '''__스위스컵__'''[br](19회 / 최다 우승) ||1925-26, 1926-27, 1931-32, 1933-34, 1936-37, 1937-38, 1939-40, 1940-41, 1941-42, 1942-43[br]1945-46, 1951-52, 1955-56, 1982-83, 1987-88, 1988-89, 1989-90, 1993-94, 2012-13 || || '''__스위스 리그컵__'''[br](2회) ||1973-74, 1974-75 || || '''__스위스 슈퍼컵__'''[br](1회) ||1989 || [목차] [clearfix] == 개요 == [[스위스]]의 [[취리히]]를 연고지로 하고 있는 종합 [[스포츠]] 클럽이며, 1886년에 설립되었다. 여러 스포츠 종목 중에서 [[축구]]가 가장 유명하며, 이외에도 [[핸드볼]]이나 [[아이스하키]] 등도 운영되고 있다. 클럽명의 기원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알려지지 않았으나, 초창기 선수들이 [[메뚜기]]처럼 민첩한 경기 스타일과 역동적인 골 세레머니를 보여준 것에 유래했다는 것이 유력하다. 축구 분야에서는 스위스 축구 클럽 가운데 리그 최다 우승횟수를 자랑한다. 이렇듯 한때는 명실상부한 스위스 최고의 클럽이었지만, 2002-03 시즌 이후로 우승이 없다. 이렇게 2000년대 이후에는 [[FC 바젤]], [[FC 취리히]], [[BSC 영 보이즈]]에게 리그 최강 자리를 넘겨 주었지만, [[UEFA 챔피언스 리그]]나 [[UEFA 컵]]에도 종종 모습을 드러내며 존재감을 입증했다. 하지만 2010년대 중반부터 리그 하위권으로 추락했고 결국 2018–19 시즌에는 강등까지 당했다. 마찬가지로 취리히를 연고로 하는 [[FC 취리히]]와는 [[더비 매치]] 관계이다. == 역사 == 2005-06 시즌과 2006-07 시즌 [[UEFA 컵]] 본선에 진출했으나 조별 라운드에서 최하위에 머물며 탈락했다. 2010-11 시즌에는 [[UEFA 유로파 리그]] 플레이오프에서 [[FC 스테아우아 부쿠레슈티]]와 1승 1패를 거둔 뒤 승부차기에서 패해 탈락했으며, 2012-13 시즌에는 스위스 컵 결승에서 승부차기 끝에 [[FC 바젤]]을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이후 1부리그에서 강등당하고 자금난을 겪던 중 2020년 중국 푸싱 유한회사 설립자겸 회장의 아내 제니 왕이 클럽을 인수하였다[[http://naver.me/GfZt6Yxj|#]] [[울버햄튼 원더러스 FC]]의 구단주 그룹인 그 푸싱 그룹이 맞다. 이 인수를 주도한 것은 다름아닌 [[조르제 멘데스]]인데, 울버햄튼 원더러스 FC와 커넥션 관계를 맺고 울버햄튼의 유망주 선수의 임대 구단 겸 위성 구단으로도 활용해 볼 목적으로 이 인수를 주도한 것이다. 이후 [[울버햄튼 원더러스 FC]]로 이적할 만한 비영국인 선수들의 워크퍼밋 충족을 위한 임대 구단 겸 위성 구단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특히 한중일 3국의 유망주 선수들을 2022년에 전부 데리고 있는 특이한 클럽이 되었다.[* 여담으로 2010년 [[스코틀랜드 프리미어십]]의 [[셀틱 FC]]에 [[기성용]], [[정즈]], 미즈노 코키, 이렇게 한중일 선수가 속한 적이 있다.] == 최근 시즌 == === 2013-14 시즌 === 2013-14 시즌에는 [[UEFA 챔피언스 리그]] 3차 예선에서 [[올랭피크 리옹]]에 홈, 원정에서 모두 패해 뒤 유로파 리그 플레이오프에서 [[ACF 피오렌티나]]에게 밀려 탈락했다. === 2014-15 시즌 === 2014-15 시즌에는 챔피언스 리그 [[LOSC 릴]]에 밀려 탈락한 뒤 유로파 리그 플레이오프에서 [[클뤼프 브뤼허 KV|클뤼프 브뤼허]]에게 밀려 탈락했다. 시즌 종료 후 프리시즌에 스위스 2부리그에 속한 팀인 FC 빈터투어와의 경기에서 3 대 4로 극적으로 역전승을 거두었다. === 2018-19 시즌 === 2018-19 시즌 슈퍼 리그에서 '''충격의 강등'''을 당하며 70년만에 2부 리그로 떨어지게 되었다. 팬들은 [[뉴스데스크 게임 폭력성 실험 사건|순간적인 상황 변화를 받아들이지 못 하고]] 경기장으로 난입해 선수들에게 거세게 항의했다. [[https://sports.v.daum.net/v/20190514161806036|기사]] === 2019-20 시즌 === 2부리그에서 시즌을 3위로 마무리하면서 결국 다음 시즌을 기대해야 했다. === 2020-21 시즌 === [[조르제 멘데스]] 커넥션 덕분인지 2부리그에서 순항을 했고, 결국 2부리그에서 1위를 차지하면서 2시즌만에 스위스 슈퍼리그로 재승격하는 데에 성공했다. === 2021-22 시즌 === 리그 1라운드 [[FC 바젤]]전은 0:2로 패했다. 2라운드 리그 디펜딩 챔피언 [[BSC 영 보이즈]] 원정 경기에서 0:0으로 비기는 데 성공했다. 3라운드 [[FC 로잔 스포르]]에서는 [[레오나르도 캄파나]]의 멀티골에 힘입어 3-1로 승리하면서 승격 후 첫 승리를 챙겨갔다. 1월 27일 [[울버햄튼 원더러스]]에서 [[정상빈]]을 임대 영입했다.[* 메디컬 테스트 등 절차를 통과하면 바로 울버햄튼으로 이적이 확정되는데, 프리미어리그 취업비자 자격을 충족하지 못했기 때문에 일단 유럽 위성구단에 임대를 보낸 것. 따라서 소속은 [[울버햄튼]]이다.] 임대기간은 1년 6개월. 리그에서는 9위인 [[FC 루체른]]과 승점이 똑같지만 득실차에서 앞선 8위를 기록했다. == 유명 선수 == * 스위스 * [[막스 바일러]]: 1925~1937 * [[세베리노 미넬리]]: 1930~1943 * [[빌리 후버]]: 1933~1943 * [[스테판 샤퓌자]]: 1999-2002 * [[슈테판 리히슈타이너]]: 2001-2005 * [[앙드레 아베글렁]]: 1926-1927, 1930-1934 * [[요한 포겔]]: 1992-1999 * [[로만 뷔르키]]: 2011-2014 * UEFA * [[페터 젤레]]: 2000-2006 * [[브루누 조르당]]: 2022~[* [[울버햄튼 원더러스 FC]]에서 임대.] * AFC * [[트렌트 세인즈버리]]: 2018[* [[장쑤 쑤닝]]에서 임대.] * [[카와베 하야오]]: 2021~[* [[울버햄튼 원더러스 FC]]에서 임대.] * [[리레이]]: 2022~2023 * [[정상빈]]: 2022~2023 [* [[울버햄튼 원더러스 FC]]에서 임대.] * [[세코 아유무]]: 2022~ * CONMEBOL * [[아일톤 곤칼베스 다 실바|아일톤]]: 2007 == 선수단 == [include(틀:그라스호퍼 클럽 취리히)] == 여담 == * [[부산 아이파크]]의 감독이었던 앤디 에글리가 이 팀을 이끌고 스위스 리그 우승을 차지한 적이 있었다. * [[EPL]] [[울버햄튼 원더러스]]의 [[위성구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