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로마 공화국 집정관]][[분류:기원전 3세기 집정관]][[분류:독재관]][[분류:로마 공화국 감찰관]][[분류:로마 출신 인물]] [include(틀:역대 로마 집정관/기원전 3세기)] [include(틀:역대 로마 독재관 및 기병장관)] [include(틀:역대 로마 감찰관)] ||||<#800080> {{{#ffffff {{{+3 '''그나이우스 도미티우스 칼비누스 막시무스''' }}}[br]{{{-1 [[라틴어]]: Gnaeus Domitius Calvinus Maximus }}} }}} || ||<#800080> {{{#ffffff '''생몰년도''' }}} ||미상 ~ 미상 || ||<#800080> {{{#ffffff '''출생지''' }}} ||이탈리아 로마 || ||<#800080> {{{#ffffff '''사망지''' }}} ||이탈리아 로마 || ||<#800080> {{{#ffffff '''지위''' }}} ||[[노빌레스]] || ||<#800080> {{{#ffffff '''국가''' }}} ||[[로마 공화정]] || ||<#800080> {{{#ffffff '''가족''' }}} ||그나이우스 도미티우스 칼비누스(아버지) || ||<#800080> {{{#ffffff '''직업''' }}} ||[[로마 공화정]] [[집정관]] || ||||<#800080> {{{#ffffff '''로마 공화정 집정관''' }}} || ||<#800080> {{{#ffffff '''임기''' }}} || 기원전 283년 || ||<#800080> {{{#ffffff '''전임''' }}} || [[가이우스 세르빌리우스 투카]][br][[마니우스 쿠리우스 덴타투스]] || ||<#800080> {{{#ffffff '''동기''' }}} ||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돌라벨라(기원전 283년 집정관)|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돌라벨라]] || ||<#800080> {{{#ffffff '''후임''' }}} || [[가이우스 파브리키우스 루스키누스]][br][[퀸투스 아이밀리우스 파푸스]] || [목차] [clearfix] == 개요 == [[로마 공화국]] [[집정관]], [[독재관]], [[감찰관]]. == 생애 == 고대 로마의 [[노빌레스]] 가문인 도미티우스 씨족의 일원이다. 아버지 그나이우스 도미티우스 칼비누스는 기원전 332년 가문 최초로 집정관을 역임했다. [[대 플리니우스]]에 따르면, 그는 기원전 305년 수석 [[조영관]] 후보였지만 그나이우스 플라비우스에게 패배했다고 한다. [[티투스 리비우스 파타비누스]]는 그가 기원전 299년에 수석 조영관을 맡았다고 한다. 그러나 19세기 독일의 역사학자 프리드리히 뮌처는 수석 조영관은 파트리키만이 맡을 수 있었다며 두 기록을 신용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영국의 역사학자 토머스 로버트 세넌 브로턴은 수석 조영관이 평민들에게 개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반박했지만, 현대 학계는 대체로 리비우스와 플리니우스가 오류를 범했다고 본다. 기원전 283년 [[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돌라벨라(기원전 283년 집정관)|푸블리우스 코르넬리우스 돌라벨라]]와 함께 집정관에 선임되었다. 로마는 이 시기에 루카니아인, [[에트루리아]]인, 브루티움인, [[삼니움]]인, 그리고 [[켈트족]] 계열인 세노네스족, 보이족과 싸웠다. [[아피아노스]]에 따르면, 돌라벨라가 바디모 호수 전투에서 삼니움, 에트루리아인, 세노네스족, 보이족 연합군을 격파하고 세노네느속의 땅을 파괴했을 때, 그는 로마로 진입하려는 루카니아인과 브루티움인들을 저지했다고 한다. 기원전 280년 집정관이 부재한 상황에서 고위 행정관 선거를 실시하기 위한 [[독재관]]에 선임되었다. 그가 누구를 [[기병장관]]으로 지명했는지는 기록이 미비해 알 수 없다. 같은 해에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스키피오 바르바투스]]와 함께 [[감찰관]]에 선임되었으며, 평민 최초로 인구 조사가 끝날 때 행해지는 정결 의식인 루스트룸(Lustrum)을 거행했다. 그와 바르바투스의 시기에 집계된 로마 시민 수는 총 287,222명이었다. 이후의 행적은 기록이 미비해 알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