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AMereAndImmensePen, 합의사항1=현실 예시는 삭제하고 가상 예시는 귀축이라 명시된 캐릭터만 근거를 반드시 포함하여 작성하기)] [목차] == [[鬼]][[畜]] == === 개요 === ||1. [[아귀(귀신)|아귀]](餓鬼)와 축생(畜生)을 아울러 이르는 말. 2. 야만적이고 잔인한 짓을 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 은혜를 모르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본래는 저런 의미이지만 현대 [[한국어]]에서는 잘 안 쓰는 단어다. [[일본]]에서는 매스컴이나 방송 등에서도 이 단어를 자주 사용한다. 원래는 [[불교]] 용어에서 나온 말인데 현대 일본에서는 연쇄살인 같은 매우 잔혹한 강력범죄를 가장 높은 수위로 비난할 때 사용하곤 한다. 정신적으로 악영향을 끼치는 비정한 행위를 아무렇지 않게 하는 사람[* 흔히 말하는 [[사이코패스]]]을 지칭하는 용어가 되기도 한다. 참고로 [[귀태]]와 한글자 차이인데 묘하게 유사한 의미이다. [[불교]]에서는 [[사람]]이 죽었다가 [[세상]]에 다시 태어나며 [[윤회]]하는데, 매 삶에서 자신이 지은 업(業)에 따라 6도(六道) 세계의 생명체 중 하나로 다시 태어난다고 믿는다. 육도는 지옥도(地獄道) · 아귀도(餓鬼道) · 축생도(畜生道) · 아수라도(阿修羅道) · 인간도(人間道) · 천상도(天上道) 등 6가지 세상을 뜻한다. 그중 배고픈 귀신 [[아귀(귀신)|아귀]](餓鬼)와 개돼지 같은 [[축생]](畜生)을 아우른 아귀축생(餓鬼畜生), 줄여서 '귀축'은 일본에서는 사람이 해서는 안 되는 비인간적 행위를 하는 자를 가리키는 뜻으로 쓴다. 성인 애니메이션과 같은 오타쿠계 [[서브컬처]]에서도 빈번히 쓰이는 단어. [[한국]]에서는 일본 [[야겜]]에 이런 표현이 자주 나오면서 주로 성적인 의미로 통한다. 이를 널리 알린 건 당연히 귀축왕 [[란스]]이다. 그래서 색골이나 색마 정도로 '''잘못''' 통용되곤 한다. 일부 [[중2병]] 환자들은 스스로를 귀축이라고 자칭하지만, 이건 자칭 [[팜므파탈]] 이상의 어리석은 행위다. 전통적으로 성과 폭력의 표현수위가 굉장히 강한 일본의 기준에서는 귀축 소리 들으려면 친족을 대상으로 한 살해와 강간도 아무 거리낌 없이 즐기는, 그야말로 인간임을 포기하여 악귀와 금수의 경지에 이른 수준을 뜻한다. 그래서 일본 오덕들도 자신을 [[로리콘]]이라고 자칭하는 경우는 흔히 있어도 귀축이라고 자칭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과거 2차 대전 시기 [[일본 제국]] 정부가 자국민을 상대로 [[미국]]과 [[영국]]을 음해하기 위해 만든 표현인 [[귀축영미]]가 여기서 기원되었다. 귀축의 반대말로 쓰이는 일본어는 인축무해(人畜無害). 사람에도 동물에게도 전혀 해가 없는 평범하고 안전한 상식적인 보통 사람을 말한다. [[아라라기 코요미]]는 스스로를 인축무해라고 주장했고 그래서 [[하치쿠지 마요이]]는 줄여서 '인축 씨'라고 불렀다. 북한에서는 미국을 욕할 때 한정으로 어느 정도 꽤 쓴다. 조선말대사전에는 다음과 같이 정의되어 있다. ||귀축 원어:[鬼畜] 품사:[명] 도깨비나 귀신, 짐승이라는 뜻으로 《사람으로서는 상상할수도 없는 가장 야만적이고 잔인무도한자》를 이르는 말. 속담:<귀축같다>, 《사람으로서는 상상할수도 없을 정도로 야만적이고 잔인하다》를 이르는 말. 례: 미제살인귀들의 귀축같은 만행을 온 세상에 단죄한다.|| 중국 서브컬쳐에서는 완전 다른 뜻으로 쓰이고있다. 한국어로 치면 [[음MAD]] 내지 [[합성물]]의 뜻으로 쓰이는데, 이는 중국에서 유명해진 최초의 음MAD가 일본의 [[最終鬼畜妹フランドール・S]]이기 때문이다. 그 이후 제목에 있는 "귀축"만 따와서 이 곡을 지칭하다가 결국 약빤 영상 전체를 귀축으로 칭하게 되었다. 그래서 중국 서브컬처에서 사람을 "귀축"이라고하는 것도 원래 뜻의 "짐승보다도 못한다"는 심한 욕으로써의 의미보다 "맛이 갔다"는 뜻으로 사용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빌리빌리]]의 "필수요소" 문단 참조. === 귀축이라 불리는 가상 인물 === ||'''__귀축이라고 명시된 근거__를 반드시 포함시켜주시기 바랍니다.''' 예) X권 Y페이지, 혹은 X화 YY분 ZZ초 경 등|| * 귀축으로 의심은 되지만 작중에서 명시되지 않은 캐릭터는 이곳 말고 [[악당/캐릭터/광기형]], [[악당/캐릭터/색욕형]] 문서를 참고할것. || 범례 || || 성적인 의미의 성격이 강한 캐릭터(★) || || 살인 및 잔혹성의 의미인 원문의 성격이 강한 캐릭터(☆) || || 둘 다 성향을 보이는 캐릭터(★☆) || || 자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수단과 방법을 안 가리는 사람(★★)[* KISAKU 귀작(鬼作)안에서의 키사쿠의 귀축이란 무엇인가? 참조] || * [[란스]](★): 아예 이 인물이 등장하는 에로 게임 제목 중에 [[귀축왕 란스]]가 있을 정도로, 대놓고 귀축으로 취급된다. *[[사토 카즈마]](★): 메구밍을 덮치려 하다 얻은 호칭. * [[어윈 아크라이트]](★) == [[철권 시리즈|철권]]의 기술 == [[미시마 카즈야]]의 기술로 커맨드는 6lk. 철권 6BR에 추가된 신기술로 낮은 중단차기. 가드 당하면 13프레임 불리하지만 워낙 길어서 [[딜레이캐치]]가 되는 캐릭터가 별로 없다.[* 허나 7FR에서는 가드백이 줄어서 그런건지는 몰라도 의외로 많은 캐릭터들이 딜캐 가능하다. 심지어 [[폴 피닉스|폴]], [[킹(철권)|킹]], [[로버트 리처드|밥]], [[데빌진]], [[펭 웨이|펭]], [[에밀리 드 로슈포르|리리]], [[쿠마(철권)|쿠마]], [[기가스(철권)|기가스]] 상대로는 끝거리에서 가드시켜도 딜캐당한다!(카즈야도 이론상으로는 '''띄울 수 있지만''' 유저가 [[크레이지동팔]]이나 [[촉새(철권)|촉새]]급이 아닌 이상 불가능하므로 제외)] 정말 말도 안되는 길이로 흔히 '''고무고무 뻥발'''이라 불린다. 빠르고 긴 중단 견제기가 부족한 카즈야에게 있어서 빛과 소금 같은 중단 기술. 단점은 횡이동에 탈탈 털린다는 것. 양방향을 다 못 잡는다. 그리고 발동이 느려서 초근접 상태에서 사용하다가 역으로 카운터맞는 경우가 많다. 노멀 히트 시 +5프레임 유리, 카운터 히트 시 머리를 내 쪽으로 향한 채 엎드린 대폭 유리한 상황이 된다.[* 7FR에서는 [[펭 웨이]]의 왼어퍼나 기상킥 카운터처럼 카운터히트 시 엉덩방아를 찧으며 넘어진다.] 벽 앞에서 카운터 히트 시 대종(3rkrk)등이 확정 들어간다.~~ [[이것이 미래세계다|아프다]]~~ 대개 카운터로 맞고 고꾸라지면 대쉬해서 밟는데 뒤로 구르다가 캐치 당하면 역으로 많이 맞기 때문에 보통 옆으로 구르면서 한 번 밟히고 일어나는 편. [[분류:한자어]] [[분류:인물 특징]][[분류:욕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