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 {{{+1 귀신꽃무지}}}(큰뿔꽃무지)[br]Mecynorhina beetle}}}'''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귀신꽃무지.jpg|width=100%]]}}} || || [[학명|{{{#000 '''학명'''}}}]] || ''' ''Mecynorhina'' '''[br]Hope, 1837 || ||<-2> {{{#000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절지동물문]](Arthropod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곤충강(Insecta) ||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딱정벌레목(Coleoptera)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풍뎅이과(Scarabaeidae)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아과'''}}}]] ||꽃무지아과(Cetoniinae) ||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메키노리나속(''Mecynorhina'') || ||<-2>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 ||<-2> ''M. oberthueri'' ''M. polyphemus'' ''M. torquata'' ''M. ugandensis'' ''M. kraatzi'' ''M. savagei'' || [[파일:Mecynorhina oberthueri.jpg|width=400]] 교미하는 오베르투에리(''M. oberthueri'')종의 한쌍 [목차] [clearfix] == 개요 == [[골리앗꽃무지]]와 함께 [[아프리카]] 대륙에서 [[장수풍뎅이]]와 [[사슴벌레]]의 생태적 지위를 차지한 대형 [[꽃무지]]인 메키노리나속(''Mecynorhina'')에 속하는 꽃무지 종들의 총칭.[* 같은 지역에 서식하는 아마로데스속(''Amaurodes'')이나 [[동남아시아]]에 서식하는 메갈로리나속(''Megalorrhina'')도 포함되어 메키노리나라고 불리는 경우가 있으나 [[속]] 자체가 차이나므로 따로 표기하지 않았다.] '''귀신꽃무지라는 명칭은 공식 일반명이 아닌 가칭이다.'''[* 국내에 서식하지 않는 속으로 일반명이 없다. 이건 우리나라에 알려진 대부분의 외국 곤충도 해당된다.] 일본에서는 큰뿔꽃무지(オオツノハナムグリ)라고 부르며, 영명으로 [[골리앗꽃무지|골리아투스 비틀]]이라고 표기되는 경우도 있지만 해당 명칭으로 불리는 다른 종의 꽃무지인 골리앗꽃무지와는 다른 속에 속해있는 종들이다. 수컷만이 뿔을 지니고 있으며 암수 모두가 대단히 화려한 문양과 색채를 가진것으로 유명한데, 이 뿔과 문양의 형태, 색채의 차이로 종을 구별하며 같은 종 사이에서도 이 차이가 세분화되어 아종들이 구별된다. == 생태 == 성충은 다른 [[꽃무지]]들과 마찬가지로 [[수액]]과 과일을 주식으로 삼으나, 아프리카 생태계에서 장수풍뎅이와 사슴벌레의 생태적지위를 차지하고 있는 [[골리앗꽃무지]]와 마찬가지로 수컷들은 장수풍뎅이처럼 자신들의 뿔을 이용해 경쟁자 수컷들과 경쟁하며 다른 꽃무지와 마찬가지로 [[유충]]은 부엽토를 먹으며 자신의 배설물과 부엽토를 이용한 [[고치]]를 만들어 [[번데기]]가 된다. 이 유충들도 [[골리앗꽃무지]]의 [[유충]]처럼 육식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는데, 사육사례의 경우에서는 단백질이 부족할때 다른 유충을 포식한다고 한다. == 종류 == 각 종의 대표 사진중 한개체만 나온 사진은 수컷 개체의 사진으로 통일됨. 각 종 사이 아종들의 종류가 매우 다양하고, 일부 아종은 그 구분이 모호하며 같은 아종 안에서도 발색과 문양 차이까지 보인다는 점 및 한글로 표기된 독음은 임의로 표기했기 때문에 정확하지 않을수 있음에 유의. [[파일:귀신꽃무지속1.jpg|width=600]] [[파일:귀신꽃무지속.jpg|width=600]] 귀신꽃무지속 [[아종]]들의 분포도. 우간덴시스 종을 토르쿠아타 종의 아종으로 표기했다. === 오베르투에리(''M. oberthueri'') === [[파일:Mecynorhina oberthueri1.jpg|width=500]] 사진으로 볼수있듯 기본적으로 아이보리색, 주황색, 갈색의 등갑을 지닌 종으로, 검은 무늬가 새겨진 것처럼 보이는 개체들이 있다. 아종마다 무늬의 형태와 크기가 다르다. * ''M. oberthueri oberthueri'' * ''M. oberthueri kirchneri'' === [[폴리페무스]](''M. polyphemus'') === 일반적으로 녹색내지는 붉은빛도는 녹색바탕의 몸위에 아이보리색 무늬가 새겨진 종. * ''M. polyphemus polyphemus'' * ''M. polyphemus confluens'' [[파일:Mecynorhina polyphemus.jpg|width=500]] * ''M. polyphemus rufuino'' === 토르쿠아타(''M. torquata'') === 폴리페무스와 유사하나 뿔의 형태가 다르며, 개체 간 또는 아종 간의 사이에서 무늬 및 발색 차이를 보인다. 가슴과 등갑에 문양이 없는 개체도 있으나 문양이 있는 개체와 없는 개체 모두 몸 전체가 대부분 녹색 또는 푸른색이며, 후술할 우간덴시스 종이 이 종의 아종으로 분류되는 경우도 있다. * ''M. torquata torquata'' * ''M. torquata immaculicollis'' [[파일:Mecynorhina torquata immaculicollis.jpg|width=500]] * ''M. torquata poggei'' [[파일:Mecynorhina torquata poggei.jpg|width=500]] * ''' ''M. torquata ugandensis'' ''' === '''우간덴시스(''M. ugandensis'')''' === [[파일:Mecynorhina ugandensis.jpg|width=500]] 사진 속의 개체 모두 우간덴시스 종이다. 발색차이가 가장 다양하며 가장 잘 알려진 귀신꽃무지로서, 전술한 토르쿠아타 종의 아종으로도 분류되는 종. 많은 사육자나 [[표본]]상들은 토르쿠아타의 아종으로 분류하나, 단순화를 위해 별도의 종으로도 표기하기에 종으로 분류함. 대다수의 개체들은 외관상으로는 타 토르쿠아타 아종과 큰 차이가 없으나 이 종에서 발생하는 개체 간 색채의 종류가 가장 큰 차이점으로, 다른 종들을 상회하는 개체 간의 발색 차이를 보여주기 때문에 우간덴시스를 별도 종으로 표기한 경우에 한해 아종으로 분류된 종 또한 많다. 발색은 붉은색, 녹색, 갈색, 푸른색, 검은색 등을 비롯한 다양한 색상이 있으며 가슴과 등에 문양이 없는 개체들도 있는데, 등갑과 가슴의 색이 다른 개체도 있는 등 발색의 종류가 굉장히 많다. 영문 위키피디아의 [[https://en.wikipedia.org/wiki/Mecynorhina_ugandensis|우간덴시스 항목]] 에서 이 종의 아종으로 분류된 종들의 다양한 발색차이를 볼수 있다. === 크랏지(''M. kraatzi'') === [[파일:Mecynorhina kraatzi.jpg]] 검은 색의 몸위로 주황색의 세로로 뻗어있는 줄무늬를 지닌 종. 개체마다 줄무늬의 색이 다르게 보이기도 한다. === 사바게이(''M. savagei'') === [[파일:Mecynorhina savagei.jpg]] 크랏지 종과 유사하나 수컷의 뿔의 형태와 등갑에 난 무늬의 형태에서 차이를 보이며, 개체간의 차이는 있지만 보통 녹색에 가까운 발색을 지니고 있다. === 교잡종 === 일부 귀신꽃무지 사육자들 사이에서 교잡종이 태어났다는 보고가 있지만 귀신꽃무지속 자체가 워낙 심한 발색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 == [[애완동물]] == 외국산 곤충수입이 금지된 대한민국은 사육이 불가능하지만 특이한 외모와 다양한 발색과 무늬에 흥미를 느낀 해외의 사육자들 사이에서 사육되고 있으며 이들의 [[표본]]또한 자주 거래되고 있는데, 특히 다양한 발색을 보이는 우간덴시스 종은 [[일본]]에서 인기가 높다. [[골리앗꽃무지]]와 마찬가지로 이들의 유충을 사육할때도 [[단백질]]을 섭취시킬 것이 권고되나, 골리앗꽃무지와는 식성이 다른 듯 다른 동물의 [[사료]]를 주라는 지침은 보이지 않는다. [[분류:메키노리나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