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귀멸의 칼날]][[분류:귀멸의 칼날/설정]] [include(틀:상위 문서, top1=귀멸의 칼날)] [include(틀:귀멸의 칼날)] [목차] == 시대적 배경 == 작중에선 [[다이쇼 시대]]라고만 나온다.[* 사실 이것만으로도 은근 반전인 게 [[손 도깨비]]한테 다이쇼 시대라고 하기 전에는 시대를 추측할 수 있는 단서가 아무것도 없었다. 때문에 대부분의 독자들은 탄지로와 그가 만난 사람들 복장만 보고 에도시대 쯤이겠거니 추측한 경우가 대부분. 다이쇼 시대에 대한 걸 모르는 일본 외 독자들은 한술 더 떠서 아사쿠사 편에 들어서야 노상열차가 다니는 도쿄의 모습을 보고 놀라기 마련이다. 실제 외국인들 실황을 보면 모던 에이지풍인 도쿄의 풍경을 보며 이거 근대가 배경이었냐며 당황해하는 반응이 보인다.] 다만 시간대를 추측해 볼 수는 있는데, [[손 도깨비]]가 우로코다키에게 사로잡힌 시기가 [[에도 시대]] [[게이오]] 연간인데 47년 전이라고 언급하고, 손 도깨비가 마지막으로 우로코다키의 제자를 죽였을 때가 메이지라고 하며, 탄지로가 연호를 묻는 손 도깨비에게 다이쇼라고 대답하는 장면이 있으니 1화의 시점은 다이쇼 원년에서 약 2년 전이 되고, 이후 탄지로가 귀살대에 들어가는 데 2년이 걸렸다고 나오고, 작중에서 묘사된 기간을 합해보면 1년 정도가 흘렀다. 따라서 구체적으로 잡을 경우 2020년에 115살로 추정되는 [[우부야시키 키리야]]를 1905년생으로 놓고 보면 귀멸의 칼날 시대적 배경은 1910년에 시작하여 1913년에 끝이 났다고 봐도 될 듯. [[https://m.dcinside.com/board/a778827/697936?headid=&recommend=1&s_type=subject_m&serval=스토리|귀칼 스토리 연표]] == [[귀살대]] == ||<:>'''{{{+1 [ruby(鬼, ruby=き)][ruby(殺, ruby=さつ)][ruby(隊, ruby=たい)]|Demon Slayer Corps}}}'''[* 영문명을 직독직해하면 '악마 학살자 군단'이 되며, 일어명을 히라가나 기준으로 해석하면 '악마 살해 부대'가 된다.]|| ||<#FFF><:>{{{#!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emon_Slayer_Corps_Manga.png|width=100%]]}}}|| >'''귀살대'''(鬼殺隊). 그 숫자는 대략 수백 명. 정부로부터 정식으로 인정받지 못한 조직. >그러나 예로부터 존재해왔고, '''오늘도 도깨비를 사냥한다'''. >---- >▶ 원작 4화, 나레이션 中 [[도깨비(귀멸의 칼날)|도깨비]]를 사냥하기 위한 조직.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귀살대)] === [[일륜도]] === ||<:>'''{{{+1 [ruby(日,ruby=にち)][ruby(輪,ruby=りん)][ruby(刀,ruby=とう)] | Nichirin Swords}}}'''||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Nichirin Swords-2.png|width=100%]]}}}|| >[[도깨비(귀멸의 칼날)|도깨비]]의 급소는 목.그러나 일반적인 날붙이로는 목을 베어봤자 죽일 수 없다. >귀살대가 가진 칼은 특별한 강철로 만들어졌고, 그 이름은 ''''일륜도'''(日輪刀)'다. >---- >▶ 원작 6화, 나레이션 中 귀살대를 상징하는 무기. [[도깨비(귀멸의 칼날)|도깨비]]를 사냥할 수 있는 사실상의 유일한 무기이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일륜도)] ==== [[혁도]] ==== || '''{{{+1 [ruby(赫,ruby=かく)][ruby(刀,ruby=とう)] | Bright Red Nichirin Sword}}}'''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right_Red_Nichirin_Sword.png|width=100%]]}}}|| 특정한 조건에서 일륜도의 칼날이 붉게 변화하는 현상.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혁도)] === [[꺾쇠 까마귀]] === ||<:>'''{{{+1 [ruby(鎹,ruby=かすがい)][ruby(鴉,ruby=がらす)] | Kasugai Crows}}}'''||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Kagaya_colored_body.png|width=100%]]}}}|| 귀살대에서 연락용으로 사용하는 까마귀. 사람과 대화가 가능하기에 거의 동료에 가깝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꺾쇠 까마귀)] === [[전집중 호흡]] === ||<:>'''{{{+1 [ruby(全,ruby=ぜん)][ruby(集,ruby=しゅう)][ruby(中,ruby=ちゅう)]の[ruby(呼, ruby=こ)][ruby(吸, ruby=きゅう)][* 발음은 젠슈-츄-노 코큐-] | Total Concentration Breathing}}}'''||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reathing_Styles_Manga.png|width=100%]]}}}|| >''''전집중의 호흡''''은 '''온몸의 혈액 순환과 심장 고동을 촉진'''시켜. >그러면 체온이 껑충 뛰어 '''인간의 몸으로 도깨비처럼 강해질 수 있지'''. >무조건 폐를 크게 키워야 해. >피 속에 공기를 잔뜩 집어넣어서 피가 깜짝 놀랐을 때, 뼈와 근육은 부리나케 뜨거워지고 강해지거든. >---- >▶ [[마코모(귀멸의 칼날)|마코모]] - 원작 5화, 애니 1기 3화 中 귀살대의 핵심이자 귀살대가 신체능력이 월등한 도깨비에게 대항할 수 있게 해주는 수단이다. 귀살대가 육성자를 통해 대원들에게 중점적으로 가르치는 기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전집중 호흡)] ---- [include(틀:전집중 호흡)] ==== [[반점(귀멸의 칼날)|반점]] ==== ||<:>{{{+1 '''[ruby(痣, ruby=あざ)] | Demon Slayer Mark'''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emon_Slayer_Marks_CH128.png|width=100%]]}}}|| >전국 시대, [[키부츠지 무잔]]을 거의 처단 일보 직전까지 몰아넣었던 [[주(귀멸의 칼날)|시작의 호흡의 검객들]]. >그들 전원에겐 [[도깨비(귀멸의 칼날)|도깨비]]의 문양과 비슷한 반점이 발현되었다고 합니다. >---- >▶ 우부야시키 아마네 호흡 사용자에게 종종 발현되는 증상. 도깨비의 문양처럼 몸 일부에 호흡과 관련된 반점(痣)이 나타나며, 신체능력이 급격하게 향상된다. 한번 반점이 발현되면 계속 반점이 남는게 아니라, 특정 조건에서만 반점이 떠오르는 식. 반점을 발현한 자는 ''''아자모노'''(痣者)'라 불린다. 어디까지나 [[전집중 호흡]]의 파생으로 도달 가능한 경지 중 하나일뿐, 귀살대에서 체계적으로 가르치는 기술은 아니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반점(귀멸의 칼날))] ==== [[내비치는 세계]] ==== ||<:>'''{{{+1 [ruby(透, ruby=す)]き[ruby(通, ruby=とお)]る[ruby(世界, ruby=せかい)][* 직역하면 투명한 세계. 신체가 투명하게 보일 정도로 상대를 꿰뚫어 보는 능력에 잘 어울리는 작명이다.] | Transparent World}}}'''||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내비치는_세계.jpg|width=100%]]}}}|| 상대의 내부까지 투명하게 비춰보이는 경지. [[카마도 탄쥬로]]의 언급을 보면 [[전집중 호흡]]의 연장으로 도달할 수 있는 경지로 보이며, 작중에서도 호흡 사용자들만이 도달했으며 그 습득도 빨랐다.[* 물론 무술이란게 그렇듯이 오직 호흡으로만 도달할 수 있는 경지라고 못박히지는 않았으며, [[아카자]]는 호흡을 쓰지 않고 독자적인 무술을 연마해 다다르고자 했다. 내비치는 세계의 시초인 요리이치도 도를 추구하는 자들은 결국 같은 경지에 도달한다는 [[만류귀종]]식 발언을 하기도 했다.] 어디까지나 [[전집중 호흡]]의 파생으로 도달 가능한 경지 중 하나일뿐, 귀살대에서 체계적으로 가르치는 기술은 아니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내비치는 세계)] === [[귀살대 선별시험]] === 정식으로 귀살대 대원이 되기 위해 치르는 시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귀살대 선별시험)] === [[주(귀멸의 칼날)|주 (柱)]] === ||<:>'''{{{+1 柱 | Hashira}}}'''||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기둥들.png|width=100%]]}}}|| >[[주(귀멸의 칼날)|주(柱)]]란 귀살대 안에서 가장 지위가 높은 9명의 검객들이다. >주보다 아래 계급들은 무서운 속도로 죽어나가지만, '''그들은 다르다'''. >'''귀살대를 지탱하고 있는 것은 주들이였다'''. >---- >▶ 원작 45화, '귀살대 주합재판' 나레이션 中 귀살대를 지탱하는 핵심 간부들. 이름 그대로 '''귀살대를 지탱하는 기둥(柱)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주(귀멸의 칼날))] ---- [include(틀:귀살대 주)] === [[은(귀멸의 칼날)|은 (隠)]] === ||<:>'''{{{+1 隠 | Kakushi}}}'''||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emon_Slayer_Corps_Kakushi-1.png|width=100%]]}}}|| 귀살대의 보조 인원. 귀살대를 지원하거나 전투 후 뒤처리를 도맡는 [[기행부대]].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은(귀멸의 칼날))] == [[도깨비(귀멸의 칼날)|도깨비]] == ||<:>'''{{{+1 [ruby(鬼,ruby=おに)] | Demon}}}'''|| ||<#FFF><:>{{{#!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emon_Slayer_Demon_Manga.png|width=100%]]}}}|| >'''도깨비(鬼).''' >주식: 인간. '''인간을 죽여서 잡아먹는다.''' > >신체능력이 뛰어나고 상처 따위도 바로바로 낫는다. >절단된 살도 연결되고, 팔다리도 새롭게 생성할 수 있다. >[[손 도깨비|몸의 형태를 바꾸거나]] [[혈귀술|이능력]]을 가진 도깨비도 있다. > >태양빛이나 [[일륜도|특별한 칼]]로 목을 치지 않는 한 죽일 수 없다. >---- >▶ 원작 4화 '탄지로 일기 전편' 나레이션 中 인간이 변화한 존재. [[키부츠지 무잔]]이 최초의 도깨비이며, 이후 무잔에 의해 수많은 사람들이 도깨비로 변했다. 이들은 태양빛에 닿으면 타죽으며, 오직 인간밖에 섭취할 수 없기 때문에 강렬한 식인욕구 속에 인간을 먹으며 살아가고 힘을 키운다. [[귀살대]]는 이러한 도깨비들을 막고 사람들을 지키기 위해 창설되었다. 본작의 주적.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도깨비(귀멸의 칼날))] === [[혈귀술]] === >''''혈귀술(血鬼術)''''이라는 특수한 술법을 쓰는 도깨비는 > 이능력 도깨비다. > 앞으론 그런 도깨비들과 싸우게 될 거야. > ---- >▶ [[우로코다키 사콘지]] '''{{{+1 [ruby(血,ruby=けっ)][ruby(鬼,ruby=き)][ruby(術,ruby=じゅつ)] / Blood Demon Art}}}''' 힘을 키운 도깨비들이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여러 술법들. 주로 개인의 내면이 반영된 것들이 많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혈귀술)] === [[십이귀월]] === ||<:>'''{{{+1 [ruby(十,ruby=じゅう)][ruby(二,ruby=に)][ruby(鬼,ruby=き)][ruby(月,ruby=づき)]|Twelve Kizuki[* Twelve Demon Moons.]}}}'''||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극장판_상현_실루엣.jpg|width=100%]]}}}|| [[키부츠지 무잔]]이 [[귀살대]] 제거를 목적으로 특별히 강하게 육성한 12명의 도깨비들. 6명은 상현, 나머지 6명은 하현으로 나뉜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십이귀월)] === [[푸른 피안화]] === ||<:>'''{{{+1 [ruby(青,ruby=あお)]い [ruby(彼,ruby=ひ)][ruby(岸,ruby=がん)][ruby(花,ruby=ばな)] | Blue Spider Lily}}}'''||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Kimetsu_BlueLycoris.png|width=100%]]}}}|| 도깨비들이 찾아다니는 꽃. 말 그대로 파란 꽃잎의 [[석산]]이다.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푸른 피안화)] == [[귀멸의 칼날/장소|장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귀멸의 칼날/장소)] == 기타 설정 == * '''혁작의 아이 ([ruby(赫,ruby=かく)][ruby(灼,ruby=しゃく)]の[ruby(子,ruby=こ)])''' : 머리털과 눈동자에 붉은 기가 도는 사람을 뜻한다. 불을 쓰는 집안에서 태어난다 하며 운세가 길하다고 한다.[* [[카마도 탄지로|탄지로]]와 [[카마도 탄쥬로|탄쥬로]], [[츠기쿠니 미치카츠|미치카츠]]와 [[츠기쿠니 요리이치|요리이치]]가 그 대표적인 예. 주요는 아니지만 토키토 형제의 아버지도 혁작의 아이다.][* 그런데 이 중에서 불을 쓰는 집안은 숯쟁이 가문인 탄지로, 탄쥬로밖에 없다. 츠기쿠니 가문은 사무라이 집안이었고 후손인 토키토 형제도 나무꾼을 하며 살았다.] 그런데 정작 행복하게 살다 간 사람은 탄쥬로 한 명 뿐이고, 좋게 봐도 탄지로 밖에 없다.[* 심지어 탄지로는 인생역정을 보면 알겠지만 행복하지 않았다. 그 멘탈 강한 탄지로 본인조차 마지막에 와서는 이제 지쳤다, 그만 쉬고 싶다는 생각을 할 정도로 힘든 삶을 살았다.] * '''희귀혈 ([ruby(稀,ruby=まれ)][ruby(血,ruby=ち)])''' : 보기 드문 피의 소유주를 뜻한다. 생물의 피에는 종류와 계통이 있는데 희귀혈 중에서도 더욱 수가 적고 희귀한 피일수록 희귀혈 한 명으로 50명, 100명을 먹었을 때에 맞먹는 영양을 섭취할 수 있다. 때문에 도깨비의 표적이 되기 십상이다. 초반부 이후론 잊혀진 듯 싶었으나, 최종 국면편에서 풍주 [[시나즈가와 사네미]]도 희귀혈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또한, 사네미의 희귀혈은 도깨비를 꽐라 수준으로 취하게 만드는 성질이 있어서 오히려 도깨비를 잡는데 도움이 된다고 한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