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 {{{#ffffff '''{{{+1 권혁수}}}'''[br]'''權赫壽'''}}}}}}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권혁수(독립운동가).jpg|width=100%]]}}} || || '''창씨명''' ||곤야마 칸쥬(權山赫壽) || || '''본관''' ||[[안동 권씨]][* 복야공파 박(搏)계 36세 혁(赫) 항렬. 안동권씨대동세보 22권 477쪽에는 권재탁(權在倬)으로 등재되어 있다.] || ||<|2> '''출생''' ||[[1926년]] [[9월 15일]] || ||[[경상북도]] [[안동군]] [[풍천면|풍서면]] 가곡리[br](現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가곡리 가일마을) || ||<|2> '''사망''' ||[[1965년]] [[6월 9일]] (향년 38세) || ||[[경상북도]] [[안동군]][br](現 [[경상북도]] [[안동시]]) || || '''부모''' ||[[아버지]] 권충섭(생부)·권오창(양부)[br][[어머니]] 청도 김씨(생모) || || '''형제자매''' ||남동생 권재혁[* 權在赫. 1945년생.], 권재민[* 權在民. 1948년생.] || || '''상훈''' ||대통령표창 추서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2006년]] 대통령표창을 추서받았다. 독립유공자 [[권준희]]는 그의 증조부 권준하(權準夏, 초명 권태능(權泰能), 1855 ~ 1919. 12. 15)의 6촌 재종형(再從兄)으로, 권혁수에게는 9촌 삼종증조부(三從曾祖父)가 된다. 기업인 [[권용순]]은 그의 7촌 재종질(再從姪)이다. == 생애 == [[1926년]] [[9월 15일]] [[경상북도]] [[안동군]] 풍서면 가곡리(현 안동시 풍천면 가곡리 가일마을)에서 아버지 권충섭(權忠燮, 1905 ~ 1949. 1. 3)과 어머니 [[청도 김씨]](1903 ~ 1941. 4. 26)[* 김시목(金時穆)의 딸이다.] 사이의 3형제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이후 5촌 당숙 권오창(權五昌, 1891 ~ 1938. 8)[* 초명 권오인(權五寅). [[1938년]] [[조선지원병]]으로 징집되어 그 해 8월경 [[하산 호 전투|장고봉 전투]]에 참전하였다가 전사했다.]에 입양되었으며, [[안동군]] 안동읍 안기정(현 [[안동시]] [[안기동]]) 144번지로 [[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165975&evntId=&evntdowngbn=N&indpnId=0000142730&actionType=det&flag=4&search_region=|이주하여]] [[한국생명과학고등학교|안동농림학교]] 임과(林科)에 9회로 입학하였다. [[1944년]] 안동농림학교 재학 중 학우들과 함께 8회 선배들이 조직한 비밀결사인 조선독립회복연구단(朝鮮獨立回復硏究團)에 가입하였다. 그 해 11월 조선독립회복연구단은 명성회(明星會)와 제휴하여 [[1945년]] 초에 무력봉기를 일으키기로 계획하고, 자금과 동지규합에 힘썼다. 명성회 측에서는 학생과 지식층에 항일사상을 고취하여 구국운동대열에 참여토록 하며, 일제의 공공시설을 무력으로 파괴하고 [[일본인]]들을 죽일 것 등을 계획하였다. 그러나 단원 일부가 체포되자 계획을 변경하여 1945년 3월 초 경찰서, 헌병파견대 등을 습격한 후 [[의성군]]으로 진출하여 [[일본군]]과 교전할 것을 계획하는 등의 거사를 준비했다. 그러나 [[1945년]] [[3월 10일]] 안동군 무덕장(武德場)에서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옥고를 치르다가 [[1945년]] [[5월 12일]] [[대구지방법원]]에서 구류가 취소되어 [[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165977&evntId=&evntdowngbn=N&indpnId=0000124041&actionType=det&flag=3&search_region=|출옥했다]]. 그러나 이후 다시 구금되었으며, 옥중에서 [[8.15 광복]]을 맞았다. 광복 이튿날인 [[8월 16일]], 대구지방법원 검사국에서 소위 [[치안유지법]] 위반 혐의에 대해 [[기소유예]]로 [[불기소처분]]을 [[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165975&evntId=&evntdowngbn=N&indpnId=0000142730&actionType=det&flag=4&search_region=|받고]] 출옥하였다. 출옥 후에는 여생을 보내다가 옥고의 여독으로 [[1965년]] [[6월 9일]] 38세의 이른 나이로 요절하였다. [[2006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독립운동 공적을 인정받아 대통령표창에 추서되었다.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안동시 출신 인물]][[분류:안동 권씨 복야공파]][[분류:1926년 출생]][[분류:1965년 사망]][[분류:대통령표창(독립유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