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동명의 독립운동가, rd1=권혁기(독립운동가))] ||<-2> '''문재인 정부 대통령비서실 춘추관장 [br]{{{+1 권혁기}}}[br]權赫基'''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img.yonhapnews.co.kr/PYH2017051103170001300_P2.jpg|width=100%]]}}} || ||<|2> '''출생''' ||[[1968년]]|| ||[[서울특별시]] || || '''학력''' ||[[국민대학교]] {{{-2 (국사학 / 학사)}}}[br][[고려대학교]] {{{-2 (감사행정학 / 석사)}}} || || '''소속정당'''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 '''현직''' ||[[더불어민주당]] 정무기획실장 || || '''약력''' ||[[국민대학교]] 총학생회장[br]연청 청년조직국장[br][[대통령비서실]] 국내언론행정관[br]해양수산부 장관 정책보좌관[br]민주당 전략기획국장[br]국회 부대변인[br][[대통령비서실]] 춘추관장 {{{-2 ([[문재인 정부]])}}}[br][[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비서실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정치인. [[문재인 정부]]에서 [[대통령비서실]] 춘추관장을 지냈다. 현재는 [[더불어민주당]] 정무기획실장이다. == 생애 == 1968년 서울 출신으로 [[청량고등학교]]와 [[국민대학교]] 국사학과를 나왔다. [[국민대학교]] 총학생회장을 지내기도 했다.[* 그보다 2년 앞선 국민대 총학생회장은 [[윤건영]] 국정상황실장이다.] 이후, 고려대 감사행정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 정치 활동 == 1997년 [[김대중]] 대통령의 외곽조직인 민주연합청년동지회[* 이른바 "연청"] 청년조직국장으로 정치에 입문했다. 이후 청와대 국내언론비서실 행정관, 해양수산부 장관 정책보좌관, 민주당 전략기획국장, 국회 부대변인, [[더불어민주당]] [[국민주권선거대책위원회]] 수석부대변인 등을 역임했다.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당직자 몫으로 비례대표 22번에 이름을 올렸으나 당선권에 들지 못했다. 18대 대선에서도 [[문재인]]을 도와 언론 대응을 맡았으며,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도 국회 부대변인직을 사퇴하고, [[국민주권선거대책위원회]] 수석부대변인을 맡으며 도왔다. 정치권에서는 논평의 메시지가 명확하고, 일처리가 신속하며 단호하기로 정평이 나 있다. 네거티브 공세에 적극적으로 대처했다는 평이 많다고 한다. 특히 [[문준용]] 관련 논란에서의 대응이 나름 괜찮게 평가되었다고. 2017년 5월 [[문재인 정부]]의 첫 춘추관장으로 임명되었고, 2019년 1월 8일 21대 총선 출마를 위해 사직했다. 용산구 출마를 준비한다고. 용산구 현역 의원 [[진영(정치인)|진영]]이 행정안전부 장관으로 임명되면서 [[제21대 국회의원 선거|다음 총선]]에 불출마할 가능성이 높아지자 진 의원 대신 출마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보통 현역 의원이 선거를 코앞에 두고 장관직에 임명되면 불출마하는 편이다. 물론 [[김영록]] 같은 예외도 있지만, 이 경우는 [[이개호]]의 도지사 출마를 막기 위해서였다.] 실제로 현재 용산구 지역 예비후보로 등록해 경선을 준비했으나 당에서 용산구를 전략공천 지역구로 정하고 [[강태웅]] 전 서울시 부시장을 후보로 공천하면서 본선 진출은 무산됐다.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이후 [[김태년]] 원내대표의 비서실장으로 임명되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4/0004428734|#]] 2023년 5월 8일 더불어민주당 정무조정실 산하에 새로 신설된 조직인 정무기획실의 실장에 임명되었다.[[https://v.daum.net/v/20230508172140846|#]] == 여담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황교안]]이 출마지를 찾지 못하고 있을 때 황교안을 [[김민석(정치인)|도]][[황희(정치인)|발]][[전현희|한]] [[정춘숙|후]][[이석현|보]][[신경민|들]] 중 하나다. 특히 권혁기의 도발이 셌는데 "[[용산구]]와 [[강남구]]는 [[대한민국 보수정당]]이 그냥 먹는 동네라고 생각하면 큰 오산이다. 하지만 용산구에 오신다면 [[골리앗]]을 맞는 [[다윗]]의 자세로 맞서드리겠다."고 했다. 사실 권혁기는 다른 이들과 달리 국회의원 경험도 없는 사람이었기 때문에 황교안에게 더 큰 굴욕을 선사했다.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2001081855363921|#]][[https://twitter.com/lsh4u/status/1213293787386003456|이석현 트위터]][[https://www.mk.co.kr/news/politics/view/2020/01/98126/|$]]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 2012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2> 비례대표 || [include(틀:민주통합당)] || 7,777,123 (36.45%) || 낙선 (37번) || || || 2016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6,069,744 (25.54%) || 낙선 (22번) || ||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1968년 출생]][[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청량고등학교 출신]][[분류:국민대학교 출신]][[분류:더불어민주당 소속]][[분류:학생운동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