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width=30px]]]] {{{#cfa547 '''[[대한민국|{{{#cfa547 대한민국}}}]] [[대한민국 국회의원|{{{#cfa547 국회의원}}}]] ([[경기도|{{{#cfa547 경기}}}]] [[화성시 병|{{{#cfa547 화성시 병}}}]])'''}}} || || ''선거구 분리''[br][[서청원]][* [[화성시 갑]] 선거구의 [[제19대 국회의원]] 이다.][br][[이원욱]][* [[화성시 을]] 선거구의 [[제19대 국회의원]] 이다.] || → || '''제20-21대[br]권칠승''' || → || ''현직'' || ---- || {{{#fff '''권칠승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역대 중소벤처기업부장관)]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홍보위원장)] }}} || ---- ||<-2> '''[[중소벤처기업부장관|{{{#fff 대한민국 제3대 중소벤처기업부장관}}}]]''' || ||<-2> '''대한민국 제20·21대 국회의원[br]{{{+1 권칠승}}}[br]權七勝 | Kwon Chil-seung'''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권칠승2.jpg|width=100%]]}}} || ||<|2> '''출생''' ||[[1965년]] [[11월 8일]] ([age(1965-11-08)]세)|| ||[[경상북도]] [[영천시|영천군]] 화북면 선천동[br](現 [[경상북도]] [[영천시]] 화남면 선천리)[* [[안동 권씨]](安東 權氏) 복야공파(僕射公派) 집성촌이다.]|| || '''거주지''' ||[[경기도]] [[화성시]] [[병점동]] 정든마을신창비바패밀리2차아파트|| || '''본관''' ||[[안동 권씨]][* 복야공파 상률(尙律)계 37세로, 항렬자를 쓰지 않았다. 다만 동생 권순호(權純鎬, 1968 ~ )씨가 안동 권씨 37세 순(純) 항렬을 쓰고 있다. 이 쪽은 수교법 항렬(七)을 써서 항렬자 규칙이 매우 단순하기 때문에 항렬자 규칙이 들어간 다른 한자를 쓰기도 하기 때문이다.]|| || '''현직''' ||[[제21대 국회의원]][br][[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br][[더불어민주당]] [[화성시 병]] 지역위원장|| ||<|2> '''재임기간''' ||제3대 [[중소벤처기업부장관]]|| ||[[2021년]] [[2월 5일]] ~ [[2022년]] [[5월 12일]]|| || '''SNS''' ||[[https://blog.naver.com/k7wins|[[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0]]]] | [[https://youtube.com/channel/UCXe7Q0Lhhx3-AaRSP7Pm27w|[[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k7win_, 크기=20)][* 2023년 6월 5일 현재 비공개 처리되었다,] | [[https://facebook.com/k7win|[[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부모''' ||[[아버지]] 권대춘, 어머니 [[황보씨|영천 황보씨]] || || '''형제자매''' ||형 권세창[* 權世昌. 1963 ~ .], 남동생 권순호[* 權純鎬. 1968 ~ .] || || '''배우자''' ||김순애 || || '''자녀''' ||슬하 1남 1녀 || || '''학력''' ||[[대구중학교]] {{{-2 (졸업)}}}[br][[경북고등학교]] {{{-2 (졸업 / 65회)}}}[br][[고려대학교]] [[고려대학교/학부/정경대학|정경대학]] {{{-2 ([[경제학]] / [[학사]])}}} || || '''병역''' ||[[대한민국 육군|육군]] [[상병]] [[소집해제]] || || '''소속 정당'''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 '''지역구''' ||[[경기도|경기]] [[화성시 병]] || || '''의원 선수''' ||'''2''' || || '''의원 대수''' ||[[제20대 국회의원|'''20''']], [[제21대 국회의원|'''21''']] || || '''소속 위원회''' ||[[법제사법위원회]] || || '''경력''' ||[[대통령비서실]] [[민정수석]]실 행정관 {{{-2 ([[참여정부]])}}}[br][[서갑원]] [[국회의원 보좌관]][br]민주당 중앙당 부대변인[br][[경기도의회]] 의원 {{{-2 (제8-9대 / 화성시 3선거구)}}}[br][[문재인]]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 정무특보[br][[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 {{{-2 (제20-21대 / [[경기도|경기]] [[화성시 병]])}}}[br][[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부의장[br][[더불어민주당]] 원내부대표[br][[중소벤처기업부장관]] {{{-2 (제3대 / [[문재인 정부]])}}} ||}}}}}}}}}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국회의원과 [[문재인 정부]]의 세 번째 [[중소벤처기업부장관]]을 지냈다. 독립유공자 [[황보선]]이 그의 외조부로, 이 때문에 [[독립기념관]] 비상임이사를 맡고 있기도 하다. [[https://www.yna.co.kr/view/AKR20210120071400001|#]] == 생애 == [[1965년]] [[11월 8일]], [[경상북도]] [[영천시|영천군]] 화북면 선천동(현 영천시 화남면 선천리)에서 아버지는 권대춘(權大春, 1936 ~ )과 어머니 [[황보씨|영천 황보씨]](永川 皇甫氏, 1937 ~ )[* [[독립유공자]] [[황보선]] 선생의 딸이다.] 사이의 3형제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대구중학교]], [[경북고등학교]](65회), [[고려대학교/학부/정경대학|고려대학교 정경대학]] [[경제학과]]를 졸업하였다. 고려대학교 졸업 후 [[삼성그룹]] 공채 제28기로 입사하여 근무하였다. === 정계 활동 === 1997년 [[제15대 대통령 선거]]에서 [[새정치국민회의]] [[김대중]] 후보의 선거기획단에 속하여서 정치에 입문하였다. 이후 13년 간을 당과 청와대를 오가면서 실무자로 활동했다. [[김대중]] 정부 때는 [[새정치국민회의]], [[새천년민주당]]에서 중앙당 사무처 직원으로 근무하였고, 열린우리당으로 분당될 때는 열린우리당 행을 선언하면서 [[열린우리당]]의 중앙당 사무처 직원을 지내다가 2004년부터 2008년까지 민정수석실의 행정관으로 재직하면서 활동했다. 이때 민정비서관이 [[전해철]]이었고, 민정수석이 [[문재인]]이었다. 정권이 바뀐 후에는 청와대를 나와 2009년에는 [[서갑원]] 의원의 보좌관으로 재직했다. 그러다가 2010년 4월 중앙당 부대변인으로 발탁되었고, 같은 해 열린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민주당(2008년)|민주당]] 후보로 화성시 3선거구에 출마하여 처음으로 당선되면서 독자적인 정치 행보를 시작하게 되었다. 도의원으로서의 평가는 제법 괜찮은 편으로 2013년 삼성전자의 불산 누출 사고 조사위원을 지내면서 자치단체 최초의 유해화학물질 관리 조례를 제정하여 행정학회 선정 최우수 조례로도 선정되었다. 경기도의회에서 예결특위위원장을 맡아 [[김문수]] 당시 도지사(고향, 고교 선후배관계)와 무상급식을 두고 충돌하는 등, 전면에서 활동하였다. 이런 활동을 인정받아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도 무난히 [[새정치민주연합]] 후보로 공천을 받아 경기도의회 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재선 도의원이 되었다. === [[제20대 국회]] ===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화성 지역의 신설 지역구를 노리고, [[2016년 재보궐선거|경기도의회 의원직을 사임하였다]]. 그리고 화성병 선거구 출마를 선언하고, 당내 경선에서 화성갑 지역위원장이었던 [[오일용]] 후보와 맞붙었다. 중도 사직으로 인해 25%의 패널티를 받았지만, 치열한 접전 끝에 0.04% 차이(2표)로 제치고 후보로 선정되었다. 상대였던 새누리당 [[우호태]] 후보가 뇌물수수 경력으로 화성시장직을 중도 퇴임한 경력 때문에 후보 자체가 워낙 약하다는 평가를 받았고, 실제로도 선거 결과도 여유있게 앞서 나가면서 승리,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참고로 당시 중도 사직해서 국회의원에 출마한 도의원 중 유일하게 국회 입성에 성공했다. 현재 20대 국회에서 반달파출소 (반월파출소) 신설을 확정지었다. (동료 의원에게 설명했다는 일화) 지역구인 봉담읍에 학교 신설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제21대 국회]] === 21대 총선에서는, 공천을 받으면서 재선에 도전한다. 64.45%로 34.38%를 받은 [[석호현]]을 누르고 재선에 성공하였다. 이는 화성시 봉담 지역에 하나밖에 없는 초등학교를 더 개교시키겠다는 목표로 초등학교 착공을 이끌어낸 게 주요 계기가 되었다는 평가가 많다. 지역구 관리를 꽤 잘 한다고. 2020년 6월 22일 성범죄나 살인 등 강력범죄를 저지른 의사들의 면허를 박탈하고, [[의료사고]] 등으로 징계받은 [[의료인]]들의 정보를 알 수 있도록 하는 [[의료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내시경]] 검사를 받는 여성을 성폭행하고 '''징역 7년'''을 받은 의사가 여전히 병원을 운영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참고로 의사면허는 의료사고를 저지른다 해도 박탈당하기 참 어려운데, 마왕 [[신해철]]을 죽인 의사도 이전에 무려 4명이나 되는 사람들을 의료사고로 이미 사망하게 만든 상태였으며 의료면허 취소도 자신의 수술을 정당화 시키기 위해 진료기록을 올렸다는 이유로 박탈당한 것이다. 다른 직종과는 확연히 다르다. 대표적으로, [[이정렬]]은 층간소음 문제로 상대의 열쇠구멍에다 본드 넣었다가 면직당한 것도 모자라, 변호사 등록도 판사 그만두고 나서도 몇 년 못 했다. 민변에서 거부했을 정도로, 법조인에게는 얄짤 없다는 것. 20대 국회의원 시절부터 공약으로 내밀었던 초등학교 개교 공약으로 착공된 수현초등학교가 2020년 9월 드디어 개교했다. 2023년 3월 27일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에 임명되었다.[[http://v.daum.net/v/20230327104313234|#]] 장관까지 맡았던 국회의원이 당의 대변인을 맡은 것은 이례적인 일로 평가된다.(자세한 내용은 비판 및 논란 참조) ==== [[중소벤처기업부장관]] ==== 2021년 1월 20일, [[2021년 재보궐선거|서울시장 보궐선거]]에 출마하는 [[박영선]] 장관 후임으로 중소벤처기업부장관에 내정되었다.(국회의원과 장관 겸직) 권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는 2월 3일 열렸는데 [[위장전입]] 문제 등 일부 도덕성 문제가 지적되었으나 대부분은 소상공인 손실보상제 등 정책 질의가 중심이 되었다.[[https://www.news1.kr/articles/?4201389|#]] 다음 날인 2021년 2월 4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에서 인사청문경과보고서를 채택했다.[[https://www.yna.co.kr/view/AKR20210204088800001|##]] 같은 날 오후 문재인 대통령이 임명안을 재가하면서 5일부터 임기가 시작했다. [[http://yna.kr/AKR20210204164800001|#]] == 비판 및 논란 == === 보좌관의 [[카카오(기업)|카카오]] 이직에 따른 이해충돌 논란 === [[카카오(기업)|카카오]]의 [[카풀]] 논란으로 잡음이 이어 지고 있는 가운데 권칠승 의원 보좌관이 카카오로 이직한 사실이 드러났다. [[YTN]]의 보도에 따르면 2018년 12월 이달 초부터 권칠승 의원 보좌관 최모씨가 카카오의 카풀 서비스 업체인 카카오 모빌리티 대외협력 담당으로 자리를 옮겼다. 더군다나 권칠승 의원은 최씨가 이직하기 전인 지난 10월 30일에 TF에서 활동을 시작했다. 이러한 가운데 택시와 카풀 업계 사이 협상을 주재하던 의원실 관계자가 협상 당사자인 카카오 측으로 이직한거였다. 또한 택시기사 분신 이후 하루 만에 민주당 TF 긴급회의가 열린 지난 11일에도 전 보좌관 최씨는 국회 동향을 살피기 위해 의원회관을 방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같은 사실이 알려지자 택시업계 단체들은 반발하고 나섰으며 권칠승 의원은 이에 대해 “TF에 합류한 뒤 최씨의 이직 소식을 알게 됐다”면서 “TF 활동을 하면서 따로 연락한 적도 없다”고 해명했다. 최씨 역시 자신이 직장을 옮긴 것이 부적절한 일은 아니라고 반박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52&aid=0001228879|#]] 하지만 민주당 TF 측도 곤혹스러워하고 있는데 TF 관계자는 "매우 민감한 시기에 부적절한 행보다. 가뜩이나 문제를 풀 수 있는 방법이 마땅찮아 고민이 깊은 터에 TF에 대한 비난만 더 가중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어 "TF가 나름대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데 찬물을 끼얹은 격"이라고 지적 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9&aid=0004271983|#]] 논란이 되자 결국 권칠승 의원은 당 카풀·택시 태스크포스(TF)에서 사임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52&aid=0001230239|#]] === [[권칠승의 천안함 함장 막말 논란|현충일 전날 천안함 함장에 막말 논란]] === 2023년 현충일 전날인 6월 5일, 당시 [[이래경]] 혁신위원장 내정자 논란을 설명하던 와중, 천안함 함장에 대하여 "무슨 낯짝으로" 등의 막말로 정국에 '''심각한''' 파장을 일으켰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권칠승의 천안함 함장 막말 논란)] == 소속 정당 == || '''{{{#fff 소속}}}''' || '''{{{#fff 기간}}}''' || '''{{{#fff 비고}}}''' || || [include(틀:새정치국민회의)] || 1997 - 2000 || 정계 입문 ||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2000 - 2003 || 합당[* [[새천년민주당]]에 흡수 합당.] || || [include(틀:무소속)] || 2003 || 신당 합류하기 위한 탈당 || || [include(틀:열린우리당)] || 2003 - 2004 || 입당 || || [include(틀:무소속)] || 2004 - 2009 || 청와대 행정관 봉직 || || [include(틀:민주당(2008년))] || 2009 - 2011 || 입당 || || [include(틀:민주통합당)] || 2011 - 2013 || 합당[* [[시민통합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민주당(2013년))] || 2013 - 2014 || 당명 변경 || || [include(틀:새정치민주연합)] || 2014 - 2015 || 합당[* [[새정치민주연합]]에 흡수 합당.]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2015 - 현재 || 당명 변경 || == 기타/여담 == * 국회 의원회관 방이[* 방 번호에 나름 의미가 부여된다. [[2000 남북정상회담|2000년 6월 남북정상회담]] 성사의 주역이었던 [[박지원(1942)|박지원]] 전 의원이 [[6.15 남북공동선언]]을 기리는 615호를 고집한 것만 봐도.] '''325호'''인데 문재인 대통령이 국회의원 시절 사용한 방이라고 한다.[* 문재인 대통령이 해당 번호를 고른 이유는 [[노무현]] 대통령의 기일인 [[5월 23일]]의 523를 뒤집은 것이라는 말도 있다.] [[제20대 국회]]에 이어 [[제21대 국회]]에서도 쓰고 있다... * 보좌관이었던 [[정명근]]과 [[김회철]]이 2022년 지방선거에 각각 화성시장과 경기도의원으로 출마해 당선되었다 * 아래 선거 이력을 보면 알겠지만 현재까지 4번 치른 선거에서 모두 당선되었는데, 어떤 선거든 3번만 더 [[당선]]되면 이름값을 제대로 하게 된다. 왜냐하면 이름을 한자로 표기했을 때 '''七(일곱 칠)+勝(이길 승)'''이기 때문.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 2010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 경기 화성 3 || [include(틀:민주당(2008년))] || '''23,229 (45.81%)''' ||<|4> '''당선 (1위)''' || '''초선''' || || 2014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include(틀:새정치민주연합)] || '''29,176 (52.66%)''' || '''재선'''[* 20대 총선 출마로 사퇴.] || || 2016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2> 경기 [[화성시 병|화성 병]] ||<|2>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45,777 (50.67%)''' || '''초선''' || || 2020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88,793 (64.45%)''' || '''재선''' || || {{{#fff '''역대 선거 벽보'''}}}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권칠승 5지.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권칠승 20총.jpg|width=100%]]}}} || ||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000000,#fff 5회 지선}}}]] [[경기도의회|{{{#000000,#fff (경기 화성시 제3선거구)}}}]]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000000,#fff 6회 지선}}}]] [[경기도의회|{{{#000000,#fff (경기 화성시 제3선거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권칠승 6지.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권칠승 21총.jpg|width=100%]]}}} ||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000000,#fff 20대 총선}}}]] [[화성시 병|{{{#000000,#fff (경기 화성시 병)}}}]]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000000,#fff 21대 총선}}}]] [[화성시 병|{{{#000000,#fff (경기 화성시 병)}}}]] ||}}}}}}}}} || == 둘러보기 == [include(틀:문재인 정부의 국무위원)] [include(틀:제20대 국회의원/경기도)] [include(틀:제21대 국회의원/경기도)] [include(틀:제20대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include(틀:제21대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중앙당)]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국회의원 보좌관 출신 정치인]][[분류:영천시 출신 인물]][[분류:안동 권씨 복야공파]][[분류:1965년 출생]][[분류:제20대 국회의원]][[분류:제21대 국회의원]][[분류: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분류:경북고등학교 출신]][[분류:고려대학교 출신]][[분류:참여정부/인사]][[분류:문재인 정부/인사]][[분류:독립유공자 후손]][[분류:중소벤처기업부 장관]][[분류:더불어민주당 소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