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나무위키 독립운동가 프로젝트]][[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동명이인/ㄱ]] [목차] == 의병장, 권중협 == || 성명 ||권중협(權重協) || || 생몰 ||? ~ [[1907년]] [[8월 1일]] || || [[출생지]] ||미상 || || 사망지 ||[[서울특별시]] [[중구(서울)|중구]] [[남대문로4가]] [[숭례문]] || || 추서 ||건국훈장 애국장 || 권중협은 대한제국군 육군보병 정위(正尉)로, 시위보병 제2연대 제1대대에 중대장으로 근무했다. 그러던 1907년 8월 1일 대한제국군이 [[정미7조약]]에 의해 강제 해산되자, 그는 이에 반발하여 [[남상덕]] 등과 함께 거병하여 [[남대문 전투]]에서 일본군을 상대로 항전했다. 그러나 전투 도중 총탄에 맞아 전사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99년 권중협에게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했다. [[분류:생년 미상]][[분류:1907년 사망]][[분류:건국훈장 애국장]] == 홍성군 출신 독립운동가, 권중협 == || 성명 ||권중협(權重協) || || 생몰 ||[[1880년]] [[3월 19일]] ~ [[1962년]] [[4월 9일]] || || [[출생지]] ||[[충청남도]] [[홍성군]] 금마면 용흥리 || || 사망지 ||[[충청남도]] [[홍성군]] || || 추서 ||대통령표창 || 권중협은 1880년 3월 19일 충청남도 홍성군 금마면 용흥리에서 태어났다. 그는 1919년 4월 2일 홍성 장터에서 발발한 독립만세시위에 참가했다가 일제 경찰에게 체포되었고, 4월 23일 홍성경찰서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으로 태형 90도에 처해졌다. 이후 홍성군에서 조용히 지내다 1962년 4월 9일에 사망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2005년 권중협에게 대통령표창을 추서했다. [[분류:홍성군 출신 인물]][[분류:1880년 출생]][[분류:1962년 사망]][[분류:대통령표창(독립유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