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제국의 매국노)] || '''{{{#eccd7a 역임한 지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역대 대한제국 농상공부대신)] ---- [include(틀:역대 대한제국 군부대신)] ---- [include(틀:역대 대한제국 법부대신)] ---- [include(틀:조선총독부 중추원)] ---- [include(틀:조선귀족)] ---- }}} || ||<-2> [[조선귀족|'''{{{#ffffff 조선귀족 자작}}}''']] || ||<-2>
'''[[조선총독부|{{{#eccd7a 조선총독부}}}]] [[중추원(일제강점기)|{{{#eccd7a 중추원}}}]] 고문[br]{{{+1 권중현}}}[br]權重顯 | Gwon Jung-hyeo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5px-Gwon_Jung-hyeon_Portrait.jpg|width=100%]]}}} || || '''이름''' ||권중현(權重顯) || || '''본명''' ||권재형(權在衡) || ||<|2> '''출생''' ||[[1854년]] ([[철종(조선)|철종]] 5) [[11월 27일]][* [[음력]] [[10월 8일]]] || ||[[충청도]] [[영동군|영동현]][br](현 [[충청북도]] [[영동군]]) || ||<|2> '''사망''' ||[[1934년]] [[3월 19일]][* 음력 2월 5일.] (향년 79세) || ||[[경기도]] [[경성부]][br](현 [[서울특별시]]) || || '''직업''' ||[[관료]], 정치가, [[군인]] || || '''자 / 호''' ||치옥(致玉) / 경농(經農) || || '''본관''' ||[[안동 권씨]](安東 權氏)[* 추밀공파 혁(𠋈)계 32세 중(重) 항렬.][* 같은 [[을사오적]]인 [[이완용]]과 달리 족보에서 [[영구제명]]되기는커녕 '''매국행적은 은폐된 채 자랑스러운 현조로 잘도 미화되어''' 족보에 등재되어 있다. 다음은 출처 사진과 링크다. [[:파일:권중현 족보 1.png|(#사진1)]][[:파일:권중현 족보 2.png|(#사진2)]][[http://andongkwon.org/bbs/board.php?bo_table=z5_04&wr_id=1|(#출처)]] ] || || '''소속 단체''' ||[include(틀:독립협회)] || || '''작위''' ||[[조선귀족]] [[자작(작위)|자작]] || || '''약력''' ||[[농상공부|농상공부대신]][br][[법부|법부대신]], [[군부|군부대신]][br][[중추원(일제강점기)|중추원]] 고문 || || '''종교''' ||[[유교]] {{{-2 ([[성리학]])}}} || || '''비고''' ||'''[[을사오적]]'''[br][[친일인명사전]] 등재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권중현 02.jpg|width=100%]]}}} || [[조선]]과 [[대한제국]]의 [[관료]], [[군인]], [[친일반민족행위자]]. [[본관]]은 [[안동 권씨|안동]](安東), 호는 경농(經農). 구한 말의 군인이자 [[정치가]]로 공신 가문의 후손으로 태어났고 음서로 관직 생활을 시작하였다. [[개화파]] 관료로 갑오개혁에 참여하였고 독립협회에 참여하였으며 이후에는 친일 행보를 보이다 1905년 농상공부대신으로서 을사조약에 동의하며 을사오적 중 1명이 되었고 [[매국노]]로 비난받으며 여러 차례 암살 시도를 당하게 된다. 경술국치 이후에는 중추원 고문이 되었고 자작 작위를 받았으나 3.1 운동이 일어난 뒤 작위 반납 의사를 밝혔다. 1934년 사망한 이후에 친일반민족행위자로 많은 사람들에게 비난을 받으며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되었다. [[임진왜란]] 때 팔도 [[도원수]]를 지낸 [[충장공]] [[권율]]의 9대손인[* 권율은 친딸만 있고 친아들이 없어, 둘째형인 [[권순]]의 아들인 친조카 [[권익경]]을 양자로 입적했다. 즉 생물학적으로는 권순의 후손이다.(참고로 권율의 친딸은 그 유명한 [[오성과 한음]]의 오성 [[이항복]]의 부인 권씨다.) '''근데 권중현도 친아들이 없다'''. 그래서 권중현도 친조카를 입양했다.] 아버지 권홍섭(權弘燮, 1823 ~ 1893. 4. 24)[* 초명 권집(權諿).]과 [[충무공]] [[이순신]]의 9대손인 어머니 [[덕수 이씨]](1820 ~ 1877. 9. 4)[* 외할아버지가 이순신의 차남 [[이예]]의 7대손인 이승권(李升權)으로 [[삼도수군통제사]]와 [[어영청|어영]]대장을 지냈다.] 사이의 5남 1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쉽게 말해 권율 [[가문]]과 이순신 가문의 결합이라고 보면 된다.[* 심지어 부모 양쪽 모두 9대손으로 같다!] 친가와 외가 전부 [[일본]]에게서 나라를 지킨 [[충신]] 가문인 집안에서 왜란기 조선을 침략한 일본에게 부역한 [[매국노]]가 나온 셈. 호부견자(虎父犬子)의 대표격.[* 이와 반대되는 인물이 [[백범 김구]]다. 김구의 조상은 [[병자호란]] 당시 졸장이자 훗날 친청파로 권세를 누리던 [[김자점]]이었다. 그런데, 이순신 모독에 앞장선 [[윤두수]]의 후손인 친일파 [[윤치호]]가 지은 것이 분명한 애국가를 항일투쟁하면서 불렸다며, 논란을 덮으려고 한 점이나 그 후계가 한국공군 로열 패밀리나 다름없는데, 김자점이 죽어라 견제하려 한 [[민회빈 강씨]]의 중시조 [[강감찬]]의 출생지와 무덤으로 추정되는 지역에 예전 및 현재 공사가 위치해 있어, 의도된 것은 아니지만, 조상미화를 했다는 의혹을 벗어나기 힘들다. 그래서, 상대적이라 붙어야 한다. 절대적으로 반대되기는 억지이다.] == 생애 == 1854년 10월 8일 [[충청도]] [[영동군|영동현]](현 [[충청북도]] [[영동군]])에서 [[권율]]의 9대손인 권홍섭(權弘燮)의 차남으로 출생했다. 권중현의 가계는 [[공신]] 집안이었지만 그의 6대조인 권상기(權尙琦, ? ~ ?. 8. 28) 대에 들어와서는 이렇다 할 [[관직]]을 배출한 조상이 없었다. 다만 그의 조부인 권경호(權景祜, 1795 ~ 1852. 9. 15)가 1834년([[순조]] 34) 식년시 생원시 3등 16위로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SA_6JOc_1834_030605|입격하였을 뿐]]이었는데 권중현이 태어난 이후인 1861년 비로소 아버지 권홍섭이 정시(庭試) [[무과]]에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UV_6JOc_9999_031291|급제하여]] [[음서]]로 [[능참봉|참봉]]을 시작으로 1877년 오위장(五衛將:정3품)에까지 올랐다. 이에 권중현 또한 공신 가문의 [[후손]]인 점과 아버지가 벼슬길을 먼저 닦아놓은 덕분에 음서로 관직 생활을 시작할 수 있게 되었다. 1883년 11월 [[부산광역시|동래]]감리서 서기관에 임명되었고 1885년 10월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 주사가 되었다. 1888년 정부의 명으로 [[일본]]을 시찰했다. 1890년 2월 전보국 주사로 임명되었고 1891년 4월 [[인천항]] 방판(幫辦)을 겸했다. 얼마 후 주차(駐箚) 일본서기관에 임명되었고 1891년 9월 주차 일본판사대신으로 승진했다. 1891년 11월부터 [[오스트리아]]·[[헝가리]] 주일특명전권대사와 교섭하여 1892년 6월 [[도쿄]]에서 조·오수호통상조약을 체결했다. 1893년 5월 인천항 방판과 주차 일본판사대신을 사임했다. 1894년 [[갑오개혁]]을 주도한 군국기무처 의원으로 활동하였고 1896년 [[독립협회]] 발기인 및 위원으로 참여했으며 1899년 의정부 찬정이 되었다. 그 뒤 1903년 5월 [[안동 권씨]] 경중대종중보소(京中大宗中譜所)[* [[서울특별시|서울]] 안에 있는 종친회라고 생각하면 된다.]에서 31세에서 60세까지의 대동(大同) [[항렬]]을 제정하는데에 참여하면서 '권재형(權在衡)'이었던 본인의 이름도 항렬자에 맞게 '권중현(權重顯)'으로 [[개명]]하였다.[* 대동 항렬을 제정하는데 참여했을 정도면 권중현의 집안인 안동 권씨 안에서도 가세가 흥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1904년 [[러일전쟁]] 직후 [[한국]]을 방문한 [[이토 히로부미]]를 영접하는 영접위원으로 임명되었고 [[중국]] [[뤼순]] 등지에 특파되어 [[일본군]]을 위문하였다. 1905년 [[을사조약]] 당시에는 농상공부대신을 지냈는데 농상공부대신은 현재의 [[농림축산식품부]] 및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에 해당되는 직위였다. 을사조약 때 학부대신 [[이완용]]의 조약 체결에 "[[일본 제국|대일본제국]]이 조선의 [[백성]]들을 먹여살리고 입혀주신다면야 기꺼이 찬성할 것"이라는 말도 되지 않는 억지 논리로 체결에 적극적으로 찬성하며 '[[을사오적]](乙巳五賊)'에 합류하게 되어서 [[민족]] 반역자가 되었다. 을사조약 체결 이후 다른 을사오적들과 함께 조선 의사 및 민중들의 습격을 받아서 출퇴근 때도 일본군의 [[호위]]하에 돌아다닐 정도였으며 죽을 때까지 [[암살]]범의 습격을 받아 도망치면서 목숨을 연명하였다. 이후로도 [[친일]] 행적을 계속하게 되면서 1910년 [[경술국치|한일병합]] 때 [[조선총독부]]로부터 [[자작(작위)|자작]] 작위를 받았다. 1919년 [[3.1 운동]]이 일어나자 [[이재곤(1859)|이재곤]]과 작위 반납 의사를 밝혔지만 일본이 거절했다. [[일제강점기]]에는 [[중추원(일제강점기)|중추원]] 고문, 조선사편수회 고문 등으로 활동하였으며 유유자적한 말년을 보내다가 [[1934년]] 3월 22일에 향년 79세를 일기로 죽었다. 그는 을사오적 가운데에서는 가장 오래 산 인물이기도 하다. == 여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091749561000.jpg|width=100%]]}}} || || {{{#ffd800 '''1916년 8월 28일'''}}}[* 출처 :《이미지로 보는 한일병합사(映像が語る日韓併合史)》] || * [[원주 원씨]](1853 ~ 1883. 7. 25) 원결(元結)의 딸, [[경주 최씨]](1881 ~ 1919. 11. 18) 최창윤(崔昌潤)의 딸 등과 결혼하였으나 슬하에 각각 딸 1명, 딸 4명 등을 두어 아들이 없었다. 이 때문에 형 권중건(權重健, 1848 ~ ?)의 차남 권태환(權泰煥, 1876. 10. 20 ~ 1947. 2. 23)[* 초명 권창현(權昌鉉).]을 양자로 들였다. * 사후 권중현의 자작 작위는 아들인 권태환에게 승작되었다. * [[광복]] 이후 친일인명사전에 권태환과 함께 등재되었다.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106인 명단에 포함되었고 친일반민족행위자재산조사위원회는 권중현의 [[재산]]을 [[국가]]로 환수하기로 결정했다. * 1960년 한 [[잡지]]에 따르면 권중현의 손자[* 손자 누구를 말하는지는 정확하지 않다. 양자 권태환은 [[화순 최씨]](1875 ~ 1946. 1. 14) 최진상(崔震相)의 딸과 결혼하여 슬하에 권영달(權寧達, 초명 권영대權寧大, 1895. 1. 26 ~ 1965. 11. 25), 권영술(權寧述, 1903. 12. 8 ~ 1979. 3. 3), 권영일(權寧逸, 1906. 5. 20 ~ ?), 권영휼(權寧遹, 1909. 6. 9 ~ ?), 권영렬(權寧迾, 1911. 6. 12 ~ ?), 권영결(權寧逫, 1915. 5. 2 ~ ?) 등 6명의 아들을 두었다.]가 고미술협회에서 일하고 있었다고 전해진다. * [[단(소설)]]에서 다루는 봉우(鳳宇) 권태훈(權泰勳, 1900. 1. 20 ~ 1994. 4. 16)은 권중현의 첫째 남동생 권중면(權重冕, 초명 권재운權在運, 1856. 11. 15 ~ 1936. 12. 14)의 [[외아들]]이다. 취음 권중면 선생은 형인 권중현과 의절하였고 아들 권태훈은 김구, 김규식 선생등과 함께 독립운동을 하였다. 그러니까 할머니가 이순신의 후손. 어째 대접이 시원치않다. == 둘러보기 == [include(틀:경술국치)] [include(틀:급진개화파)] ---- * [[친일반민족행위자]] * [[을사오적]] * [[이완용]] * [[이지용]] * [[이근택]] * [[박제순]] * [[이재곤(1859)|이재곤]] * [[권태환(1876)|권태환]] * [[나철]] * [[오기호]] * [[강원상]] [[분류:조선의 문관]][[분류:외교관]][[분류:대한제국의 군인]][[분류:급진개화파]][[분류:독립협회]][[분류:1854년 출생]][[분류:1934년 사망]][[분류:을사오적]][[분류:영동군 출신 인물]][[분류:안동 권씨 추밀공파]][[분류:조선귀족 자작]][[분류:종4위]][[분류:이순신 가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