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1 [[대한민국 정부|[[파일:정부상징.svg|width=30]]]] [[대한민국|{{{#043762 '''대한민국'''}}}]] [[외교부|{{{#043762 '''외교부'''}}}]] [[차관|{{{#043762 '''제1차관'''}}}]]}}} || ||<-1> [[노무현 정부|{{{#000000 '''노무현 정부'''}}}]] ||<-4> [[이명박 정부|{{{#ffffff '''이명박 정부'''}}}]] || || ,,10대,,[br][[조중표]] || → || '''11대[br]권종락''' || → || ,,12대,,[br][[신각수]]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권종락 대사.jpg|width=100%]]}}} || || '''이름''' ||권종락(權鍾洛) || ||<|2> '''생몰''' ||[[1949년]] 8월 16일 ~ [[2010년]] 1월 28일 || ||[[경상북도]] [[포항시]] || || '''학력''' ||[[포항중학교]] {{{-1 ([[졸업]])}}}[br][[대구고등학교]] {{{-1 ([[졸업]])}}}[br][[서울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정치외교학부|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외교학과]] {{{-1 (정치학사)}}}[br][[터프츠 대학교|터프츠대학]] 플레처 스쿨{{{-1 (석사)}}} || || '''병역''' ||해군 중위 전역 || || '''경력''' ||제5회 외무고시 합격[br][[외무부]] 입부[br][[대한민국 해군]] 장교 복무[br]외무부 통상정책과장[br][[주 유엔 대한민국 대표부]] 참사관[br][[주미국 대한민국 대사관]] 공사참사관[br][[대통령비서실]] 외교비서관[br][[외교통상부]] 북미국장[br]주케냐대사[br]주아일랜드대사[br][[이명박]] 대통령당선인 외교보좌역[br][[외교통상부]] 제1차관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외교관. 외교관 재직 시절에는 북미국장을 역임하는 등, 외교부 내 소위 '북미라인'의 대표주자였으며, [[이명박]] 정부에서 외교통상부 제1차관을 역임하였다. 그러나 재직 중 [[간암]]이 발병하여, 퇴임한 지 얼마 지나지 않은 [[2010년]] 별세하였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03797102?sid=102|#]] == 생애 == [[1949년]] [[경상북도]] [[포항시]]에서 출생하였으며, 중학교까지는 고향 포항에서 다녔으나[* [[포항중학교]]를 졸업하였으며, [[이명박]] 대통령의 후배이다.], 고등학교는 대구의 [[대구고등학교]]로 진학하였다. [[서울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정치외교학부|서울대 외교학과]] 재학 중인 [[1971년]] 제5회 외무고시에 합격[* 합격 동기로는 [[정의용]] 전 [[외교부]] 장관이 있다.]하였으며, 이듬 해인 [[1972년]] 대학 졸업과 함께 [[외무부]]에 입부하였다. 다만, 입부 직후 해군 장교로 군 복무를 하였기 때문에, 3년 4개월 간의 공백기가 있었다.[* 이명박 정부 초대 내각에서 외시 기수가 2기수 낮은 [[유명환]] 장관보다 권종락 차관이 기수가 높았는데, 이 공백기가 있으니 문제가 없다는 중평이 있었다. [[https://shindonga.donga.com/3/all/13/107404/1|#]]] 외교관으로서의 초기 경력은 통상 분야에서 쌓았고, 통상 주무 과장인 통상정책과장을 역임하였다. 다만, [[주 유엔 대한민국 대표부]] 근무 당시, [[안보리]] 담당 참사관을 맡게 된 것을 시작으로, 주미대사관 공사참사관, [[대통령비서실]] 외교통상비서관, 북미국장 등 북미 분야 핵심 요직을 차례로 맡아, 북미 라인의 핵심 주자가 되었다. 그러나 북미국장 재직 당시, [[김대중 정부]]가 역점을 두고 추진한 [[햇볕정책]]에 대한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여, 북미국장 퇴임 이후에는 주케냐대사, 주아일랜드대사 등 외교통상부 본부에서 직책을 맡지 못했고 2007년 외교부를 떠났다. [* 이후 차관으로 복귀 시, 이때를 군 복무에 이은 유이한 공백기로 뽑기도 했다.] 주아일랜드대사 재직 시절인 2006년 6월, 고향과 포항중학교 선배인 [[이명박]] 당시 서울특별시장의 아일랜드 방문으로 직접적인 인연을 맺게 되었다. [[https://shindonga.donga.com/3/all/13/107404/1|#]] 외교부를 떠나 이명박 캠프에 합류한 그는 캠프에서는 국제관계 특보로, 대선 이후에는 당선인 외교보좌역으로 활동하였으며, 2008년 [[이명박 정부]] 초대 내각에서 외교통상부 제1차관으로 화려하게 복귀하였다. 이명박 대통령과 동향인 포항 출신이라는 점에서 소위 영포회의 핵심 인사로 분류되기도 했다. [[http://monthly.chosun.com/client/news/viw.asp?nNewsNumb=201008100010|#]] 그러나 재직 중 발병한 간암으로 오래 재직하지 못하고 사임, 2010년 별세하였다. == 기타 == 형제 외교관이다. [[2021년]]까지 주우크라이나대사를 역임한 권기창 대사(외시 24회)의 형. [[분류:1949년 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