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제헌 국회의원/경상북도)]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21972 0%, #221972 20%, #221972 80%, #221972)" '''{{{#fff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br]{{{#fff {{{+1 권병노}}}[br]權炳魯}}}'''}}}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tv.pstatic.net/yonhapnews_30196218.jpg|width=100%]]}}} || ||<|2> '''출생''' ||[[1903년]] [[5월 14일]] || ||[[경상북도]] [[예천군]] || || '''사망''' ||[[1988년]] [[5월 11일]] || || '''본관''' ||[[안동 권씨|안동]](安東) || || '''호''' ||하정(荷汀)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전 의료인, [[정치인]]이다. 본관은 [[안동 권씨|안동]](安東), 호는 하정(荷汀)이다. == 생애 == 1903년 5월 14일 [[경상북도]] [[예천군]] 현동면 삼분동(현 [[의성군]] 다인면 삼분리)[* [[안동 권씨]] 집성촌이다. [[김상년]]·[[정창화(정치인)|정창화]] 전 국회의원, [[정영섭]] 전 서울 광진구청장도 이 마을 출신이다.]에서 [[http://news.imaeil.com/Society/2005031708140525141|태어났다]]. 사립 계신학교와 [[계성고등학교(대구)|대구 계성중학교]]를 졸업하고 [[보성전문학교]]에 진학하였으나 3학년 때 중퇴하였다. 이후 [[일제강점기]] 후기 [[의사]] 면허 시험에 합격하였다. 고향인 의성군 다인면에서 신신의원(信新醫院)을 개업해 운영했다. [[8.15 광복]] 후 [[우익]]단체인 [[대한독립촉성국민회]]에서 활동하였다.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대한독립촉성국민회 후보로 경상북도 의성군 을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무소속]]으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52년 식량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국회]]에서 식량대책위원회를 조직해 위원으로 활동했다. 비슷한 시기 자유당에 입당하였다.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무소속 [[박영교]]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55년 경상북도 의성군 단북면에 삼성중학교를 설립했다.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자유당]] 박영교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이후 정계에서 은퇴하여 병원 경영에 전념하였다. 1972년 [[제헌동지회]] 소속 전직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들과 [[10월 유신]] 지지 성명을 발표하였다. 1988년 5월 11일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서릉리 자택에서 [[노환]]으로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8051200209214011&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8-05-12&officeId=00020&pageNo=14&printNo=20493&publishType=00020|별세했다]]. [[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제헌 국회의원]][[분류:제2대 국회의원]][[분류:대한독립촉성국민회 국회의원]][[분류:자유당 국회의원]][[분류:대한민국의 의사]][[분류:의성군 출신 인물]][[분류:안동 권씨]][[분류:1903년 출생]][[분류:1988년 사망]][[분류:의료인 출신 정치인]][[분류:계성고등학교(대구)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