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권두조의 수상 경력 / 보유 기록 / 역임 직책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1975~1992).png|height=55]][br]'''KBO 리그 한국시리즈[br]우승코치''' || || '''[[1992년 한국시리즈|{{{#ed1c24 1992}}}]]''' || ---- ||<-2>
{{{#ffffff 보유 기록}}}[* [[나균안/선수 경력/2018년|이 모든 기록들이]] [[김헌곤/선수 경력/2022년|무난하게 깨어질 듯 했으나]], 규정타석에 못 미치다 결국 2군으로 쫓겨나면서 무산되었다.] || || '''단일 시즌 최저 타율''' || 0.162 || || '''단일 시즌 최저 출루율''' || 0.237 || || '''단일 시즌 최저 장타율''' || 0.188 || || '''단일 시즌 최소 안타[* 규정타석 기준]''' || 49안타 || ---- [include(틀:롯데 자이언츠 주장)] ---- [include(틀:롯데 자이언츠 2군 감독)] ---- [include(틀:LG 트윈스 2군 감독)] ---- [include(틀:SSG 랜더스 2군 감독)] ---- ||<-5>
'''{{{#ed1c24 [[롯데 자이언츠|'''{{{#ed1c24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16번}}}''' || || 팀 창단 || {{{+1 →}}} || '''{{{#ed1c24 권두조[br](1982~1983)}}}''' || {{{+1 →}}} || [[박영태]][br](1984~1992) || ||<-5> '''{{{#ff9933 [[삼미 슈퍼스타즈|'''{{{#ff9933 삼미 슈퍼스타즈}}}''']]{{{/}}}[[청보 핀토스|'''{{{#ff9933 청보 핀토스}}}''']]{{{/}}}[[태평양 돌핀스|'''{{{#ff9933 태평양 돌핀스}}}''']] 등번호 13번}}}''' || || [[최홍석(야구)|최홍석]][br](1983) || {{{+1 →}}} || '''{{{#ffffff 권두조[br](1984~1988)}}}''' || {{{+1 →}}} || [[양상문]][br](1989~1993) || ||<-5> '''{{{#000000 [[롯데 자이언츠|'''{{{#000000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75번}}}''' || || [[이성득]][br](1988~1989) || {{{+1 →}}} || '''{{{#ffffff 권두조[br](1990~1996)}}}''' || {{{+1 →}}} || [[문동환]][br](1997) || || [[문동환]][br](1997) || {{{+1 →}}} || '''{{{#ffffff 권두조[br](1999)}}}''' || {{{+1 →}}} || [[윤형배]][br](2007~2012) || ||<-5> '''{{{#000000 [[롯데 자이언츠|'''{{{#000000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76번}}}''' || || [[오대석]][br](1997~1998) || {{{+1 →}}} || '''{{{#ffffff 권두조[br](2000~2001)}}}''' || {{{+1 →}}} || [[강병철]][br](2006~2007) || ||<-5> '''{{{#ffffff [[LG 트윈스|{{{#ffffff LG 트윈스}}}]] 등번호 71번}}}''' || || [[정삼흠]][br](1997~2001) || {{{+1 →}}} || '''{{{#ffffff 권두조[br](2002)}}}''' || {{{+1 →}}} || [[정삼흠]][br](2003) || ||<-5> '''{{{#ffffff [[SK 와이번스|'''{{{#ffffff SK 와이번스}}}''']] 등번호 78번}}}''' || || [[김봉근(야구)|김봉근]][br](2003~2004) || {{{+1 →}}} || '''{{{#1e3466 권두조[br](2005)}}}''' || {{{+1 →}}} || [[한문연]][br](2011) || ||<-5> '''{{{#ffffff [[롯데 자이언츠|{{{#ffffff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86번}}}''' || || [[박영태]][br](1993~2010) || {{{+1 →}}} || '''{{{#ffffff 권두조[br](2012~2014)}}}''' || {{{+1 →}}} || [[전병우]][br](2015) || }}} ||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권두조.jpg|width=100%]]}}} || ||<-2> '''{{{+2 권두조}}}[br]權斗祚 | Kwon Doo-Jo''' || ||<|2> '''출생''' ||[[1952년]] [[6월 10일]] ([age(1952-06-10)]세) || ||[[경상북도]] [[포항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부산중앙초 - 부산동성중 - [[부경고등학교 야구부|경남상고]] - [[중앙대학교 야구부|중앙대]] || || '''포지션''' ||[[유격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1982년 [[롯데 자이언츠]] 창단멤버 || || '''소속팀''' ||제일은행 야구단 (1975~1981) [br][[롯데 자이언츠]] (1982~1983)[br][[삼미 슈퍼스타즈]]-[[청보 핀토스]]-[[태평양 돌핀스]] (1984~1988) || || '''지도자''' ||[[태평양 돌핀스]] 플레잉코치 (1988)[br][[OB 베어스]] 수비 인스트럭터 (1989)[br]'''[[롯데 자이언츠]] 1군 수비코치 (1990~1996)'''[br][[한화 이글스]] 1군 수비코치 (1997~1998)[* ~7월 8일][br][[한화 이글스/2군|한화 이글스 2군]] 수비코치 (1998)[* 7월 9일~][br][[롯데 자이언츠]] 1군 수석코치 (1999~2001)[* ~6월 9일][br][[롯데 자이언츠/2군|롯데 자이언츠 2군]] 감독 (2001)[* 6월 10일~][br][[LG 트윈스/2군|LG 트윈스 2군]] 감독 (2002)[br][[SK 와이번스]] 1군 수비코치 (2005)[* ~5월 26일][br][[SSG 랜더스/2군|SK 와이번스 2군]] 감독 (2005)[* 5월 27일~][br][[부경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2007~2011)[br][[롯데 자이언츠]] 1군 수석코치 (2012)[br][[롯데 자이언츠/2군|롯데 자이언츠 2군]] 감독 (2013)[br][[롯데 자이언츠]] 1군 수석코치 (2014)[* ~5월 26일] [br] [[동원과학기술대학교 야구부]] 감독 (2020)[br][[경남산업고등학교 야구부|거제BC]] 감독 (2022~) || || '''프런트''' ||[[한화 이글스]] 육성팀장 (2011)[br][[롯데 자이언츠]] 스카우트 (2014~2020) || [목차] [clearfix] == 개요 == [[KBO 리그|한국프로야구]] [[롯데 자이언츠]], [[삼미 슈퍼스타즈]], [[청보 핀토스]]에서 활동했던 [[내야수]]이자 야구 지도자. == 선수 경력 == [[1975년]]부터 [[실업야구]] [[SC제일은행|제일은행]]에서 활동했으며, 1982년 [[KBO 리그|한국프로야구]] 출범에 따라 [[롯데 자이언츠]]의 원년 멤버이자 첫 주장으로 이름을 남기게 되었다. 원년에 모든 경기에 출장하였으나 이미 32세였던 그는 당시에는 상당한 노장 축에 속했던 선수였고,[* 전문 트레이너들의 체계적인 피지컬 트레이닝를 도입한 1994년의 [[LG 트윈스]] [[이광환]] 감독 이전까진 30대 초반이면 대부분 선수 생명의 끝줄이었다.] 더불어서 상당히 왜소한 체격이었던 탓에 홈런은 전무했으며 타격은 2할대 초반의 타율을 기록하였다. 그의 최고의 강점은 선구안으로, 원년 시즌 삼진 27개를 당하는 동한 볼넷은 36개를 얻어 냈으며 통산기록도 삼진 159개, 볼넷 157개로 차이가 단 2개뿐이었다. 하지만 [[MBC 청룡]]에서 [[김재박]]에게 자리를 내준 내야수 [[정영기]]가 포수 [[차동열]]을 상대로 트레이드[* 선수 간 트레이드 1호다. KBO 트레이드 1호 이적 선수인 [[서정환]]은 현금 트레이드 1호이다.]되어 롯데로 이적함으로서 권두조는 주전 [[유격수]] 자리를 내놓게 되었다. 결국 1983년 시즌 후 [[삼미 슈퍼스타즈]]의 투수 [[임호균]]이 롯데로 이적할 당시 4명의 반대급부 선수 중 한명으로 지목되어(권두조, [[박정후]], [[우경하]], [[김정수(1953)|김정수]]) 팀을 옮겨서 주전 유격수로 활약하였다. 1984년에는 타율 0.267을 기록하여 타율 20위 안에 들었으며, [[청보 핀토스]]에서 1987년까지 인천 야구의 주전 유격수로 활약하였다. 하지만 1986년에는 타율 .162를 기록, 한 시즌 최저 타율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하도 존재감이 없었던 선수여서인지는 몰라도, 엄연히 규정타석을 채운 최저타율 기록이었음에도 한 시즌 최저타율 기록 보유자를 [[박진만]]으로 착각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태평양 돌핀스]]로 팀이 바뀌기 전에 은퇴하고 수비코치로 부임하며 지도자 생활을 시작한다. 현역 시절에는 희생번트 등의 팀 플레이를 잘 했고 1983년 중반부터 은퇴하기 전이었던 1987년까지 지속되었던 역대 7위에 해당하는 433경기 연속 출장 등의 성실함--철밥통--으로 인정받았던 선수였다. 스탯티즈 기준 1500타석 이상 기록한 타자 중에서 뒤에서 네 번째의 통산 타율, 뒤에서 두 번째의 통산 장타율을 기록하였고, 마찬가지로 1500타석 이상 기록한 타자 중에서 WAR 최하위를 기록했다. == 연도별 성적 == ||<-15>
{{{#ffffff 역대 기록}}}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볼넷 || 사구 || 출루율 || 장타율 || || 1982 ||<|2> [[롯데 자이언츠|롯데]] || 80 || .223 || 59 || 15 || 1 || 0 || 35 || 40 || 7 || 36 || '''7'''[br](5위) || .329 || .287 || || 1983 || 81 || .168 || 30 || 5 || 2 || 0 || 10 || 21 || 1 || 10 || 0 || .209 || .218 || || {{{#b21528 연도}}} || {{{#b21528 소속팀}}} || {{{#b21528 경기수}}} || {{{#b21528 타율}}} || {{{#b21528 안타}}} || {{{#b21528 2루타}}} || {{{#b21528 3루타}}} || {{{#b21528 홈런}}} || {{{#b21528 타점}}} || {{{#b21528 득점}}} || {{{#b21528 도루}}} || {{{#b21528 볼넷}}} || {{{#b21528 사구}}} || {{{#b21528 출루율}}} || {{{#b21528 장타율}}} || || 1984 || [[삼미 슈퍼스타즈|삼미]] || 100 || .267 || 97 || 10 || 2 || 1 || 25 || 38 || 3 || 36 || 3 || .337 || .314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타율}}} || {{{#ffffff 안타}}} || {{{#ffffff 2루타}}} || {{{#ffffff 3루타}}} || {{{#ffffff 홈런}}} || {{{#ffffff 타점}}} || {{{#ffffff 득점}}} || {{{#ffffff 도루}}} || {{{#ffffff 볼넷}}} || {{{#ffffff 사구}}} || {{{#ffffff 출루율}}} || {{{#ffffff 장타율}}} || || 1985 || [[삼미 슈퍼스타즈|삼미]] / [[청보 핀토스|청보]] || 110 || .237 || 71 || 12 || 2 || 0 || 19 || 21 || 8 || 30 || 6 || .319 || .291 || || 1986 ||<|2> [[청보 핀토스|청보]] || 108 || .162 || 49 || 6 || 1 || 0 || 11 || 14 || 2 || 27 || 3 || .237 || .188 || || 1987 || 108 || .237 || 46 || 5 || 1 || 0 || 12 || 15 || 3 || 18 || 2 || .307 || .273 || ||<-2> '''[[KBO 리그|KBO]] 통산''' [br] (6시즌) || 587 || .220 || 352 || 53 || 9 || 1 || 112 || 149 || 24 || 157 || 21 || .296 || .266 || == 지도자 경력 == 은퇴하자마자 [[태평양 돌핀스]]의 수비코치를 맡아 한 시즌을 재직했으며 [[OB 베어스]], 그 이후 친정 팀이었던 [[롯데 자이언츠]], [[한화 이글스]], [[SK 와이번스]] 등에서 계속해서 [[2001년]]까지 팀은 옮겼지만 코치 생활을 계속하였으나 [[백인천]] 감독이 부임하자 팀을 떠나 2004년까지는 야인으로 지내게 된다. 2005년 [[조범현]] 감독의 [[SK 와이번스]]의 수비코치로 계약했으나 팀의 부진이 지속되자 5월 말에 2군 감독으로 보직 개편되어 2군 감독으로 한 시즌을 보낸 후 다시 팀에서 나왔고 2007년부터 2011년까지 모교인 부경고등학교의 감독을 맡았다가 2011년 8월 [[한화 이글스]]의 육성 팀장으로 임명된다. === 롯데 자이언츠 2기 === 그러나 얼마 가지 않아서 [[롯데 자이언츠]] [[프런트]]가 [[양승호]] 감독을 보좌할 수석코치로 권두조를 점찍어 영입했다. 1년 전에 [[제리 로이스터]]를 해고하고 프런트 경험이 있었던 [[양승호]] 감독을 영입했던 점으로 미루어 감독의 권한을 최소화하는 대신 프런트 야구를 지향하려 한다는 우려가 제기되었었다. 그럭저럭 1년동안 수석코치로서의 역할을 하였다. 그러다가 [[양승호]] 감독이 포스트시즌 이후 전격적으로 감독에서 사퇴하자[* [[고려대학교]] 감독 시절 입시비리에 대한 혐의로 구속되었는데, 이것 때문에 양 감독이 사고가 일어나기 전에 사임했다는 설이 매우 유력하다.] 이후 새로 선임된 [[김시진]] 감독이 [[권영호(야구선수)|권영호]] [[영남대학교]] 감독을 수석코치로 발탁하자 2군 감독으로 보직 이동되었다. 그러나 한 시즌 만에 다시 [[권영호(야구선수)|권영호]] 1군 수석코치와 보직을 맞바꾸어 다시 1군 수석코치로 돌아오게 되었다.[* 참고로 [[권영호(야구선수)|권영호]]는 2군 감독 부임 1주일 만에 구단 [[프런트]]와 훈련방식에서 마찰을 일으켜 결국 해임되고 만다.] 이후 [[롯데 자이언츠 선수단 CCTV 사찰 사건]] 당시 주동자로 알려져 큰 비난을 받았으나 진짜 문제는 권두조가 아니라 '''사장이었던 [[최하진]]이었던 게 드러났다!''' 이후 프런트에서 스카우터로 6년간 일했고 [[2020년]]부터 동원과학기술대학교 야구부 감독으로 자리를 옮겼다가 동년 11월쯤에 투수코치이던 [[이문한]]에게 감독직을 넘기고 사임했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포항시 출신 인물]][[분류:1952년 출생]][[분류:1982년 데뷔]][[분류:1987년 은퇴]][[분류:내야수]][[분류:우투우타]][[분류:롯데 자이언츠/은퇴, 이적]][[분류:삼미 슈퍼스타즈-청보 핀토스-태평양 돌핀스-현대 유니콘스/은퇴, 이적]][[분류:부경고등학교 출신]][[분류:중앙대학교 출신]][[분류:안동 권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