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통합민주당(1995년) 원내총무)]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95DA 0%, #0095DA 20%, #0095DA 80%, #0095DA)" '''{{{#ffffff 대한민국 제15·16대 국회의원[br]{{{+1 권기술}}}[br]權琪述 | Kwon Ki-sul}}}'''}}}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권기술.jpg|width=100%]]}}} || ||<|2> {{{#ffffff '''출생'''}}} ||[[1938년]] [[4월 1일]] || ||[[경상남도]] [[울산광역시|울산군]] [[언양읍|언양면]] 평리 || ||<|2> {{{#ffffff '''사망'''}}} ||[[2011년]] [[2월 22일]] (향년 72세) || ||[[서울특별시]] [[광진구]] [[화양동]] [[건국대학교병원]] || || {{{#ffffff '''본관'''}}} ||[[안동 권씨]][* 항렬자를 쓰지 않았으나, 좌윤공파 극겸(克謙)계 35세이다. 다음은 출처 사진이다. [[파일:권기술 족보2.png]]] || || {{{#ffffff '''부모'''}}} ||아버지 권병호[* 權秉鎬. 초명 권포양(權抱陽). 1892 ~ 1957. 9. 14], 어머니 [[연일 정씨]][* 정기순(鄭基淳)의 딸이다.] || || {{{#ffffff '''배우자'''}}} ||이욱자[* [[전주 이씨]] 이병열(李炳悅)의 딸이다.] || || {{{#ffffff '''자녀'''}}} ||3남 2녀 || || {{{#ffffff '''학력'''}}} ||[[반곡초등학교]] {{{-2 (졸업)}}}[br][[울산제일중학교]] {{{-2 (졸업)}}}[br][[대건고등학교]] {{{-2 (졸업)}}}[br][[건국대학교]] {{{-2 ([[법학]] / [[학사]])}}} || || {{{#ffffff '''병역'''}}} ||[[보충역]],,(1을종),, || || {{{#ffffff '''종교'''}}} ||[[천주교]] || || {{{#ffffff '''의원 선수'''}}} ||'''2''' || || {{{#ffffff '''의원 대수'''}}} ||'''[[제15대 국회의원|15]], [[제16대 국회의원|16]]''' || || {{{#ffffff '''약력'''}}} ||울산제일중학교 동창회 회장[br]대건고등학교 동창회 회장[br]한나라당 울산 울주군 지구당 위원장[br]국회 운영위원회 위원(한나라당 원내 부총무)[br]국회 건설교통, 농림해양수산위원회 위원[br]국회 예산결산 특별위원회 간사[br]국회 농어민 및 도시영세민 대책특위 위원[br]국회 정치개혁 독재개혁 특별위원회, 국회관계법 소위원장[br]한나라당 울산광역시 지부장[br]신민당 창당 발기인[br]민추협 미주통신 부주간[br]전국 농업기술자협회 부이사장, 고문[br]농업경제신보사 논설위원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전 [[정치인]]이다. 본관은 [[안동 권씨|안동]](安東). == 생애 == 1938년 4월 1일 [[경상남도]] 울산군 언양면 평리(현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평리)[* 인근의 반곡리와 함께 [[안동 권씨]](安東 權氏) 좌윤공파(佐尹公派) 극겸계(克謙系) 집성촌이다.][[https://www.ulsanpress.net/news/articleView.html?idxno=101663|#]]에서 아버지 권병호(權秉鎬, 1892 ~ 1957. 9. 14)와 어머니 [[연일 정씨]][* 정기순(鄭基淳)의 딸이다.] 사이의 5남 2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울산 [[반곡초등학교]], [[울산제일중학교]], [[대건고등학교]], [[건국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였다. 1981년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권당]] 후보로 경상남도 울산시-울주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정의당]] [[고원준(정치인)|고원준]] 후보와 [[민주농민당]] [[이규정]]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84년 말 [[신한민주당]] 창당에 참여하였다. 이후 1987년 [[평화민주당]]에 몸담았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평화민주당을 탈당하여 [[무소속]]으로 경상남도 울주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정의당 [[박진구]]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90년 [[민주당(1990년)|꼬마민주당]]에 몸담았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1991년)|민주당]] 후보로 경상남도 울산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자유당]] [[김채겸]]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통합민주당(1995년)|통합민주당]] 후보로 경상남도 울산시 울주구 선거구에 출마하여 [[신한국당]] 김채겸 후보에 설욕하였다. 이후 통합민주당에서 당기위원장, 원내총무를 역임하였다. 1997년 [[제15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통합민주당이 신한국당에 흡수되어 [[한나라당]]이 출범하자 한나라당에 속하였다.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울산광역시 [[울주군(선거구)|울주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이후 한나라당에서 울산광역시 지부장, 원내부총무 등을 역임하였다.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열린우리당]] [[강길부]]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2011년 2월 22일 자택에서 쓰려진뒤 목뼈를 다쳐 건국대학교 병원 응급실로 이송되었으나 호흡곤란과 마비증세를 보이는 등 상태가 악화되어 향년 7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선거구'''}}}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1981 || [[제11대 국회의원 선거]] || 경남 제2선거구[* 울산시, 울주군] || [include(틀:민권당)] || 29,044 (12.39%) || 낙선 (4위) || || 1988 ||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 경남 울주 || [include(틀:무소속)] || 16,601 (25.45%) ||<|2> 낙선 (2위) || || || 1992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 경남 울산군 || [include(틀:민주당(1991년))] || 26,333 (35.42%) || || || 1996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 경남 울산 울주 || [include(틀:통합민주당(1995년))] || '''43,727 (53.80%)''' ||<|2> '''당선 (1위)''' || '''초선''' || || 2000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2> 울산 [[울주군(선거구)|울주]]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40,460 (68.45%)''' || '''재선''' || || 2004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 [include(틀:한나라당)] || 31,101 (41.46%) || 낙선 (2위) || || == 둘러보기 == [include(틀:제15대 국회의원/경상남도)] ---- [include(틀:제16대 국회의원/울산광역시)] [[분류:울주군 출신 인물]][[분류:1938년 출생]][[분류:2011년 사망]][[분류:제15대 국회의원]][[분류:제16대 국회의원]][[분류:통합민주당(1995년) 국회의원]][[분류:민주당(1996년) 국회의원]][[분류:한나라당 국회의원]][[분류:대한민국의 가톨릭 신자]][[분류:대건고등학교 출신]][[분류:건국대학교 출신]][[분류:원내대표]][[분류:안동 권씨 좌윤공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