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from=신복역, other1=울산 도시철도 1호선의 미개통 역, rd1=신복로터리역, )] ||<-3> {{{+2 '''굴포천역'''}}} || ||<-3> [[서울 지하철 7호선|[[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30]]]] || || [[장암역|{{{#!html
장암 방면}}}]][[삼산체육관역|삼산체육관]][br]← 0.9 ㎞ || [[서울 지하철 7호선|{{{#!html
7호선
(758)
}}}]] || [[석남역|{{{#!html
석남 방면}}}]][[부평구청역|부평구청]][br]0.9 ㎞ →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부평구 갈산동 신복사거리, 너비=100%, 높이=100%)]}}} ||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Gulpocheon || || [[한자]] ||<-2><|2> 掘浦川 || || [[간체자]] || || [[가나(문자)|가나]] ||<-2> [ruby(掘浦川, ruby=クルポチョン)] || ||<-3> '''주소''' || ||<-3> [[인천광역시]] [[부평구]] [[길주로]] 지하623 ([[삼산동(부평구)|삼산동]] 466) || ||<-3> '''운영 기관''' || || [[서울 지하철 7호선|{{{#ffffff 7호선}}}]] ||<-2> [[인천교통공사|[[파일:인천교통공사 CI.svg|width=120&theme=light]][[파일:인천교통공사 CI 다크모드.svg|width=120&theme=dark]]]] || ||<-3> '''개업일''' || || [[서울 지하철 7호선|{{{#ffffff 7호선}}}]] ||<-2> 2012년 10월 27일 || ||<-3> '''역사 구조''' || ||<-3> 지하 2층 || ||<-3> '''승강장 구조''' || ||<-3> [[복선]] [[상대식 승강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서울 지하철 7호선]] 758번. [[인천광역시]] [[부평구]] [[길주로]] 지하623 ([[삼산동(부평구)|삼산동]] 466) 소재. 장암역 기점 56.2㎞. [[2012년]] [[10월 27일]] 개통되었다. == 역 정보 == 계획 당시의 역명은 '신복역'이었는데 역이 위치한 신복사거리에서 따온 것이다. 주민 설문조사에서는 '신복사거리역'이 가장 선호도가 높았으나, 부평구는 굴포천 생태문화벨트 등 지역 문화권을 대표하는 이미지가 필요하다며 북쪽에 흐르는 [[굴포천]]의 이름을 딴 ‘굴포천역’을 건의했고 이것이 반영되었다.[[http://www.incheon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18475|관련 기사]] 하지만 굴포천은 부평구청역에 더 가까이 있다. 이 역 내에는 부평구 측에서 설치한 공연장이 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032&aid=0002400925&sid1=001|「홍미영 부평구청장 “빠르고 안전한 시민의 발 되길 기대”」, 2013-10-31, 경향신문]]] 신복사거리를 경계로 [[갈산동(부평구)|갈산2동]], [[부평동(부평구)|부평4동]], [[부개동|부개3동]], [[삼산동(부평구)|삼산2동]]에 걸쳐 있다. 역 주소는 갈산2동이다. 7, 8번 출구는 대덕리치아노([[롯데마트 삼산점]]이 입점해있는 주상복합 건물) 지하에 있다. 다만, 현재 7번 출구가 대덕리치아노 관리단에 의하여 2020년 7월에 에스컬레이터가 고장난 이후 '''일방적으로 폐쇄[* 2012년 3월, 굴포천역 개통 직전에 인천시와 대덕리치아노 관리단, 롯데쇼핑 등이 참여한 '''‘굴포천역∼대덕리치아노 건물 간 연결통로와 겸용 출입구 설치 협약’'''에 따르면, 대덕리치아노 건물 내 출입구 (7,8번 출구) 설치 후 해당 건물 관리단이 시설물 유지·관리와 함께 일반인에게 상시 개방하며, 지하철 운행시간 동안 에스컬레이터를 운용한다는 내용이 들어있다.]'''하여 많은 이용객들의 불편을 야기하여 비판을 받고있으며, 실제로 굴포천역 관리주체인 인천교통공사에 수차례 민원이 제기되었다. 이에 대해 인천교통공사는 2021년부터 관리단에 수 차례의 현장 방문과 공문을 통해 관리 의무 이행을 요청했지만 받아 들여지지 않았고, 결국 당해 12월에 공사측은 최후통첩이 담긴 내용증명과 함께 [[http://www.kiho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968896|소송 준비 단계에 들어섰다.]] 2022년 3월에 소송대리인을 선임하여 4월 13일에 정식으로 소송을 제기했다. == 역 주변 정보 == 삼산지구 (6,7단지) 와 욱일아파트, 대동아파트, 동아아파트 등의 저층 아파트 단지가 있다. 충선로를 기준으로 이 역과 [[삼산체육관역]]의 역세권이 나뉜다. 이 역과 [[부평구청역]]의 인근을 대형 상권으로 개발할 계획이 있다. 인근에 부평굴포누리기후체험관과 부평 먹거리타운 등이 있다. === 출구 정보 === ||<-2> {{{#000,#fff [[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20]] 굴포천역 출구 정보}}} || ||{{{#ffffff 1}}}||부개3동행정복지센터[br]인천구산초등학교|| ||{{{#ffffff 2}}}||부흥5거리[br]부광여자고등학교[br]부광중학교[br]부흥중학교|| ||{{{#ffffff 3}}}||부평중·고등학교[br]부흥5거리[br]부평구어울림센터[br]부평4동행정복지센터[br]인천나누리병원|| ||{{{#ffffff 4}}}||부평구청[br]신트리공원[br]부평정보도서관|| ||{{{#ffffff 5}}}||인천여성문화회관[br]농협하나로마트|| ||{{{#ffffff 6}}}||굴포누리기후변화체험관[br]굴포공원[br]갈산빗물펌프장|| ||{{{#ffffff 7}}}||인천삼산경찰서[br]롯데마트[br]부평구민방위교육장[br]부평노인종합복지관[br]삼산초등학교|| ||{{{#ffffff 8}}}||[[인천삼산월드체육관]][br]부평구청소년수련관[br]부평역사박물관 방면|| == 일평균 이용객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연도'''}}} || [[서울 지하철 7호선|[[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25]]]] || {{{#ffffff '''비고'''}}} || || 2012년 || 10,563명 || [* 개통일인 10월 27일부터 12월 31일까지 66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 2013년 || 13,040명 || {{{#fff,#1f2023 비고}}} || || 2014년 || 15,761명 || || || 2015년 || 17,122명 || || || 2016년 || 17,946명 || || || 2017년 || 18,532명 || || || 2018년 || 18,822명 || || || 2019년 || {{{#747f00 19,200명}}} || || || 2020년 || 14,533명 || || || 2021년 || 15,384명 || || || 2022년 || 17,156명 || || ||<-3> {{{#ffffff '''출처'''}}} || ||<-3> [[http://www.seoulmetro.co.kr/kr/board.do?menuIdx=548|서울교통공사 자료실]][br][[https://www.ictr.or.kr/main/board/data.jsp|인천교통공사 자료실]] || }}} 사방이 온통 주택가로 구성된 덕분에 이용객이 제법 있는 편이다. 2017년 기준 하루 평균 18,532명이 타고 내려 옆의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인천 1호선]] 평균을 상회하는 수요를 보인다. 7호선 안에서는 40위로 다소 수요가 적은 편이나, 불과 개통된 지 6년이 채 지나지 않았음에도 경인선의 일반전철 정차역인 [[중동역(경인선)|중동역]], [[부개역]], [[백운역]]과 비슷한 숫자를 기록하는 것을 봐서는 이용률 자체가 낮지는 않다. [[삼산체육관역]]의 경우 부개역의 수요를 일부 빼왔지만, 굴포천역은 [[경인선]] [[부평역]]의 수요를 흡수했다. 이 역이 개통하면서 경인선 부평역의 승하차 숫자가 무려 7천 명이 감소했기 때문이다. == 승강장 == ||[[파일:굴포천역 승강장.jpg|width=500]]|| || {{{#fff 7호선 승강장}}} || 굴포천역 승강장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으로 구성되고 있으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스크린도어가 닫힐 때 경고음이 추가되었다. ||[[파일:굴포천역 역명판.jpg|width=100%]]|| || {{{#fff 역명판}}}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굴포천역 안내도(2023.7).png|width=100%]]}}}|| || '''{{{#747F00 역 안내도 [[https://drive.google.com/file/d/16LtV9GygwGY55uHQJu8PdLoV1OuQF3k7/view?usp=sharing|크게보기]]}}}''' || ||<-4> [[삼산체육관역|삼산체육관]] ↑ || || {{{#ffffff 하}}} || ㅣ || ㅣ || {{{#ffffff 상}}} || ||<-4> ↓ [[부평구청역|부평구청]] || || {{{#ffffff 상}}} ||<|2> [[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18]] [[서울 지하철 7호선]] ||[[부천종합운동장역|부천종합운동장]]·[[온수역|온수]]·[[대림역|대림]]·[[장암역|장암]] 방면|| || {{{#ffffff 하}}} ||[[부평구청역|부평구청]]·[[산곡역|산곡]]·[[석남역|석남]] 방면|| == 둘러보기 == [include(틀:서울 지하철 7호선의 역 목록)] [[분류:대한민국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서울 지하철 7호선]][[분류:2012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분류:인천광역시의 지하철역]][[분류:부평구의 도시철도역]][[분류:부평구]]